KR20110005454U -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454U
KR20110005454U KR2020090015320U KR20090015320U KR20110005454U KR 20110005454 U KR20110005454 U KR 20110005454U KR 2020090015320 U KR2020090015320 U KR 2020090015320U KR 20090015320 U KR20090015320 U KR 20090015320U KR 20110005454 U KR20110005454 U KR 201100054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tension
locking
transfer wi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원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5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454U/ko
Publication of KR20110005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4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록킹 어셈블리는 덮개에 의하여 여닫이가 가능한 차량용 수납상자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개방 손잡이, 제1 장력전달 와이어, 록킹부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제1 장력전달 와이어는 상기 개방 손잡이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수납상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개방 손잡이의 개방 작동에 따라서 상기 개방 손잡이 방향 장력이 발생된다. 록킹부재는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에서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장력에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수납상자를 폐쇄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한다. 탄성부재는 상기 수납상자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부재를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덮개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콘솔 박스, 록킹, 와이어

Description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LOCKING ASSEMBLY FOR A STORAGE CONTAINER OF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시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콘솔 박스 등의 수납상자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 박스는 차량의 조수석 전방에 위치하며, 운전자나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이 수시로 필요로 하는 간단한 도구나 물품의 보관이나, 차량 탑승중에 휴대하기가 불편한 물품의 임시 보관 장소로 이용된다.
또한, 콘솔 박스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박스 모양의 수납공간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시프트레버를 덮고 있는 부분에서 시작해서 뒷좌석 바로 앞의 공간에 마련되며 보통 잡화물을 넣어 두는 곳으로 쓰인다.
이러한 글로브 박스 또는 콘솔 박스 등의 수납상자의 록커는 사용자가 임의로 동작하여 쉽게 개방할 수 있어야 하며, 차량 주행중의 진동이나, 경미한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상기 수납 상자가 개방되어서는 아니 될 뿐 아니라 차량 주행중의 진동 등에 의하여 수납 상자가 진동되어 소음을 일으켜 승차자에게 불쾌감을 주어 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의 일 예로서, 한국실용신안번호 제2005-0006782호에 개재된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락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락어셈블리(lock-assembly)는, 후방측에 한쌍의 측벽(33)이 형성된 개방버튼(32)이 버튼하우징(31) 내에서 수평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팔걸이 내의 수납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체결되는 고정후크(34)가 이들 측벽(33) 사이에 설치되고 개방버튼(32)의 양 측벽(33)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개방버튼(32)의 이동방향과 수평으로 길쭉한 형상의 후크축홈(35)과 횡단봉공(36)이 형성되고 고정후크(34)의 상부 및 중앙부에는 각각 후크축공(37) 및 횡단봉홈(38)이 형성되며 후크축홈(35) 및 후크축공(37)에 결합되는 후크축(41)이 버튼하우징(31)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횡단봉공(36) 및 횡단봉홈(38)에는 횡단봉(42)이 결합되어 개방버튼(32)이 전진 및 후진함에 따라 고정후크(34)가 후크축(41)을 축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횡단봉홈(38)과 일치하는 궤적을 따라 상승 및 후퇴하면서, 그 하부가 걸림턱에 체결 및 이탈되도록 한다. 즉, 버튼하우징(31)에 결합된 개방버튼(32)을 누르면, 후크축(41)을 축으로 고정후크(34)가 도면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외력을 제거하면 내장된 스프링(50)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암레스트 수납부용 락어셈블리 구조에 의하면, 고정후크(34)가 하나로서 일측에서만 록킹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차량의 다양한 위치 에서 충격시에, 수납부가 열림으로서, 2차 상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일단만 록킹하기 때문에, 상기 락 어셈블리가 수납부를 록킹하더라도, 암레스트 덮개 전체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서 흔들림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수납부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보다 심각해진다.
본 고안의 상기 문제점들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충격 방향에 관계없이 견고하게 록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차량의 수납상자에 적용되는 록킹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납상자의 크기에 맞추어 전체적으로 록킹하여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차량의 수납상자에 적용되는 록킹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록킹 어셈블리는 덮개에 의하여 여닫이가 가능한 차량용 수납상자를 록킹하는 것으로서, 개방 손잡이, 제1 장력전달 와이어, 록킹부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제1 장력전달 와이어는 상기 개방 손잡이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수납상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개방 손잡이의 개방 작동에 따라서 상기 개방 손잡이 방향 장력이 발생된다. 록킹부재는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에서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장력에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수납상자를 폐쇄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한다. 탄성부재는 상기 수납상자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부재를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본 고안은 제2 장력전달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력전달 와이어는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에서 상기 수납상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장력에 따라서 상기 수납상자 방향으로 전, 후 이동하는 것으로서, 그 끝단이 상기 록킹부재와 결합된다.
이 경우, 본 고안은 록킹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케이스는 상기 록킹부재를 수납하는 것으로, 일측면에 상기 제2 장력전달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록킹부재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록킹 케이스의 일측 내면 및 상기 록킹부재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절곡지점 및/또는 상기 제1, 2 장력전달 와이어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는 상기 개방 손잡이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별도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일측에 배치된 제1 장력 전달 와이어 및 타측에 배치된 제1 전달 와이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방 손잡이는,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수납상자를 록킹하는 후크부와, 상기 수납상자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부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바이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일측단부는 상기 후크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후크부와 연동하여 상기 수납상자를 폐쇄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납상자의 적절한 위치에서 다양한 수로 고정이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충격에 의해서 수납상자의 부적절한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상자를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수납상자 덮개의 떨림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수납상자용 록킹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상자용 록킹 어셈블리는, 덮개에 의하여 여닫이가 가능한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수납상자를 닫은 상태에서는 록킹이 되어서 차체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수납상자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록킹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록킹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록킹 어셈블리(100)는 개방 손잡이(110)와,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와, 록킹부재(130)와, 탄성부재(133)를 포함한다.
개방 손잡이(110)는 수납상자(1)의 덮개에 장착된다.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는 상기 개방 손잡이(110)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개방 손잡이(110)의 고정해제 작동에 따라서 상기 개방 손잡이(110) 방향 장력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상자(1)의 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개방 손잡이(11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이 되어 있는 경우, 손 잡이를 상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는 개방 손잡이(110)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서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는 상기 수납상자(1)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예를 들어서 상기 수납상자(1)가 콘솔 박스라면,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는 상기 콘솔 박스 내측 공간에서 상기 콘솔 박스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록킹부재(130)는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에서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의 장력에 의하여 수평 이동하여 상기 수납상자(1)를 폐쇄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수납상자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도 상기 수납상자와 동일하게 전, 후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록킹부재(130)는 상기 좌우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130)는 상기 수납상자의 삽입홈(3)에 삽입되어서 상기 수납상자를 록킹하고, 상기 수납상자의 삽입홈(3)으로부터 삽입 해제되어서 상기 수납상자의 록킹을 해제한다.
본 고안은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는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에서 상기 수납상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의 장력에 따라서 상기 수납상자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하는 것으로서, 그 끝단이 상기 록킹부재(130)와 결합된다.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와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는 상기 제1 장력전달와이어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그 끝단은 록킹부재(1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는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와 별개 부재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의 중앙부에서 분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간에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의 개방 손잡이(110) 방향 장력에 따라서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는 상기 록킹부재(130)를 고정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의 개방 손잡이(110) 반대 방향 장력에 따라서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는 상기 록킹부재(130)를 고정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는 수납상자(1)의 한 곳만을 록킹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곳을 동시에 록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상자의 사이즈에 맞추어 상기 록킹부재(130)를 적절 위치에 복수개로 배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록킹력이 강하게 되며, 덮개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의 절곡 지점 및 상기 제1, 2 장력전달 와이어(121, 126)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14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130)는 봉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록킹부재(130)는, 상기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와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연결봉부(131)와, 상기 연결봉부(13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수납상자의 삽입홈(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봉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록킹부재(130)는 록킹 케이스(136)에 의하여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록킹 케이스(136)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137a)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록킹부재(130)의 고정봉부(132)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137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3)는 상기 록킹 케이스(136) 및 상기 록킹부재(130)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3)는 상기 연결봉부(131)의 외측면을 따라서 일측은 상기 고정봉부(132)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록킹 케이스(136)의 일측 내면과 연결되어서, 상기 고정봉부(132)를 상기 삽입홈(3)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는 상기 개방 손잡이(110)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별도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재(130)는 상기 일측에 배치된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a) 및 타측에 배치된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b)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수납상자를 일측 및 타측에서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는 일체로 형성되며, 개방 손잡이(110)에 형성된 결합홀(114)을 관통하여서 상기 개방 손잡이(110)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개방 손잡이(110)는 손잡이부(112)와, 후크부(114)와, 탄성바이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12)는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후크부(114)는 힌지부재(113)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112)에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수납상자를 록킹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탄성바이어스부는 상기 수납상자(1)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부(114)를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의 일단부는 상기 후크부(114)에 결합되어서, 상기 후크부(114)와 연동하여 상기 수납상자를 폐쇄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한다. 이 경우, 상기 후크부(114)의 회전 위치를 단속하는 스토퍼(6)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록킹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후크부(114)가 수납상자(1)에 후크되어 있고, 복수의 록킹부재(130)들도 상기 수납상자의 삽입홈(3)에 삽입되어서 상기 수납상자를 고정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손잡이(11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후크부(114)가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수납상자(1)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고, 상기 후크부(114)에 걸려있는 제1 장력전달 와이어(121)가 후크부(114)의 회전에 따라서 후크부(114) 방향으로 장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제2 장력전달 와이어(126)가 수납상자의 삽입홈(3) 반대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상기 록킹부재(130)가 삽입홈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서 전체적으로 수납상자가 고정해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힘의 전달과 움직임을 단순화한 와이어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부품의 큰 설계 변경 없이 적용 가능하며, 단수화된 장력을 이용하여 힘과 작동력에 대한 전달이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납상자 내부에서 록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록킹 상태에서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수납상자 내부에서 록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록킹 해제 상태에서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납상자 3: 삽입홈
100: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110: 개방 손잡이
112: 손잡이부 114: 후크부
121: 제1 장력전달 와이어 126: 제2 장력전달 와이어
130: 록킹부재 133: 탄성부재
137a: 제1 관통홀 137b: 제2 관통홀
140: 가이드 롤러

Claims (6)

  1. 덮개에 의하여 여닫이가 가능한 차량용 수납상자를 록킹하는 록킹 어셈블리에 있어서,
    개방 손잡이;
    상기 개방 손잡이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수납상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개방 손잡이의 개방 작동에 따라서 상기 개방 손잡이 방향 장력이 발생되는 제1 장력전달 와이어;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에서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장력에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수납상자를 폐쇄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록킹부재; 및
    상기 수납상자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부재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에서 상기 수납상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장력에 따라서 상기 수납상자 방향으로 전, 후 이동하는 것으로서, 그 끝단이 상기 록킹부재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장력전달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를 수납하는 것으로, 일측면에 상기 제2 장력전달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록킹부재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록킹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록킹 케이스의 일측 내면 및 상기 록킹부재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절곡지점 및/또는 상기 제1, 2 장력전달 와이어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는 상기 개방 손잡이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별도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일측에 배치된 제1 장력 전달 와이어 및 타측에 배치된 제1 전달 와이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손잡이는,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수납상자를 록킹하는 후크부와, 상기 수납상자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부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바이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력전달 와이어의 일측단부는 상기 후크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후크부와 연동하여 상기 수납상자를 폐쇄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KR2020090015320U 2009-11-26 2009-11-26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KR201100054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320U KR20110005454U (ko) 2009-11-26 2009-11-26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320U KR20110005454U (ko) 2009-11-26 2009-11-26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54U true KR20110005454U (ko) 2011-06-01

Family

ID=4929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320U KR20110005454U (ko) 2009-11-26 2009-11-26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4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2735A (zh) * 2020-07-31 2020-12-18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汽车驾驶室内的带隐藏扣手的抽屉式储物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2735A (zh) * 2020-07-31 2020-12-18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汽车驾驶室内的带隐藏扣手的抽屉式储物盒
CN112092735B (zh) * 2020-07-31 2022-02-11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汽车驾驶室内的带隐藏扣手的抽屉式储物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7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KR100906670B1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EP3309006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KR102422966B1 (ko) 차량의 센터 암레스트
JP5020321B2 (ja) リモコン保持装置
JP5471921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のストッパ構造
JP2018203071A (ja)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0391927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락어셈블리
KR20110005454U (ko)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KR20210118276A (ko)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JP4977381B2 (ja) 車両用係止装置
JP5447779B2 (ja) オープナー構造
JP5551536B2 (ja) 収納ボックス
KR200471689Y1 (ko)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JP5271547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ロックユニット取付部構造
KR101305795B1 (ko) 차량용 콘솔암레스트 조립체
KR20060004177A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KR200470272Y1 (ko) 차량용 분리형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차량용 콘솔 박스
JP4034162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102578483B1 (ko) 글로브 박스의 개폐구조
JP4290079B2 (ja) 車両用収納物保持装置
KR102478810B1 (ko)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