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403U -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403U
KR20110005403U KR2020090015257U KR20090015257U KR20110005403U KR 20110005403 U KR20110005403 U KR 20110005403U KR 2020090015257 U KR2020090015257 U KR 2020090015257U KR 20090015257 U KR20090015257 U KR 20090015257U KR 20110005403 U KR20110005403 U KR 201100054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operation button
storage box
locking member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원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5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403U/ko
Publication of KR20110005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4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록킹 어셈블리는 작동버튼과, 가이드 부재와, 제1, 2록킹부재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는 상기 작동버튼의 동작과 연동하여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버튼에 돌출 배치된 것으로,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돌출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제1, 2 가이드 레일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들은 각각 상기 돌출방향으로 상기 돌출 중심축에 점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제1, 2 록킹부재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제1, 2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각각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의 상대운동에 따라서 수납상자에 고정되는 고정위치 및 상기 수납상자에 고정되지 않는 해제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차량의 수납상자, 록킹

Description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LOCKING ASSEMBLY FOR A STORAGE CONTAINER OF CAR}
본 고안은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 시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콘솔 박스나 글로브 박스 등의 수납상자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 박스는 차량의 조수석 전방에 위치하며, 운전자나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이 수시로 필요로 하는 간단한 도구나 물품의 보관이나, 차량 탑승 중에 휴대하기가 불편한 물품의 임시 보관 장소로 이용된다.
또한, 콘솔 박스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박스 모양의 수납공간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시프트레버를 덮고 있는 부분에서 시작해서 뒷좌석 바로 앞의 공간에 마련되며 보통 잡화물을 넣어 두는 곳으로 쓰인다.
이러한 글로브 박스 또는 콘솔 박스 등의 수납상자의 록커는 사용자가 임의로 동작하여 쉽게 개방할 수 있어야 하며, 차량 주행중의 진동이나, 경미한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상기 수납상자가 개방되어서는 아니 될 뿐 아니라 차량 주행중의 진동 등에 의하여 수납상자가 진동되어 소음을 일으켜 승차자에게 불쾌감을 주어서 는 아니 된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999-005063호에 게재된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킹 어셈블리(10)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에 따르면, 글로브 박스를 열고자 할 때에는 작동버튼(30)의 노브(32)를 하우징(31)으로 누르면 노브(32)의 결합공에 록킹바(20)의 연결바(22)가 삽입되어 있어 록킹바(22)가 록킹하우징(10)에 입설된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앞 측을 좌우로 이동시켜 록킹바(20)의 걸림홈(21)에 걸린 스트라이커(미도시)로부터 이탈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또한, 글로브 박스를 닫을 때에는 글로브 박스를 밀면 록킹바(20)의 경사부(24)가 스트라이커의 좌우단에 가이드 되면서 벌어지게 되고, 스트라이커의 양단이 걸림홈(21)에 위치하게 되면 리턴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다시 수축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림홈(21)이 끼워져 잠기게 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의 좌우측 2점을 지지하여 잠금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리턴 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잠금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글로브 박스 록킹 어셈블리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각각의 록킹바(2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노브가 필요하고 이들 노브들을 각각 서로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밀어서 글러브 박스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노브의 작동구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상기 록킹 구조가 수평으로 배치됨으로써, 이를 배치시키는 사이즈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크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서 록킹바의 걸림홈이 좌우에 배치되어서 상기 스트라이크의 양측면이 삽입되도록 록킹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의 홈 깊이를 적정 수준 이상으로 할 수 없으므로, 전, 후 충돌시에 쉽게 스트라이크가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가서, 결과적으로 록킹이 원하지 않게 쉽게 해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문제점들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록킹 작동 구조가 간단하면서, 록킹력이 우수한 구조를 가진 차량용 수납 용기 록킹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록킹력이 우수하여서 차량의 전, 후방 충격 시에도 수납상자가 견고하게 록킹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차량용 수납 용기 록킹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록킹 어셈블리는 작동버튼과, 가이드 부재와, 제1, 2록킹부재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는 상기 작동버튼의 동작과 연동하여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버튼에 돌출 배치된 것으로,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돌출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제1, 2 가이드 레일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들은 각각 상기 돌출방향으로 상기 돌출 중심축에 점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제1, 2 록킹부재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제1, 2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각각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의 상대운동에 따라서 수납상자에 고정되는 고정위치 및 상기 수납상자에 고정되지 않는 해제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작동 버튼의 적어도 일부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2 록킹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베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버튼 및 베이스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작동 버튼을 작동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록킹 부재의 중앙부 및 제 2 록킹 부재의 중앙부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본 고안은 연결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상기 제1, 2 록킹 부재의 교차 지점에서 상기 제1, 2 록킹 부재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이들을 상호 연결시킨다.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1, 2 록킹 부재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한편, 상기 경사부는, 각각 상기 돌출방향으로 점점 좌, 우측 폭이 축소되는 삼각판 형상을 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 끝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상자에는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 걸림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록킹 부재의 타단부는 각각 후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 2 록킹부재의 걸림턱이 상기 걸림홀의 외곽에 걸려서 록킹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평 방향 푸시하면, 제1, 2 록킹부재가 수직 연장되어서 수납상자를 록킹하므로, 사용자의 작동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 2 록킹부재로 각각 록킹하는 듀얼 록킹함으로써, 차량의 전, 후방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록킹이 해제되지 않아서, 수납상자 내의 수납물로 인한 2차 상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상기 록킹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크게 힘들이지 않고도 상기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수납상자용 록킹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상자용 록킹 어셈블리는, 덮개에 의하여 여닫이가 가능한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수납상자를 닫은 상태에서는 록킹이 되어서 차체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수납상자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100)가 차량의 콘솔 박스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100)는, 덮개(2)에 의하여 여닫이가 가능한 수납상자(1)에 있어서, 상기 덮개(2)가 수납상자(1)를 닫은 상태에서는 록킹이 되어서 차체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수납상자(1)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3은 상기 록킹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록킹 어셈블리(100)는 작동버튼(110)과, 가이드부재(120)와, 제1 록킹부재(131)와, 제2 록킹부재(136)와, 제1 탄성부재(141)를 포함한다.
작동버튼(110)은 상기 차량의 수납상자(1)를 덮는 덮개(2)에 결합된다. 이 경우, 베이스커버(101)가 상기 덮개(2)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버튼(110)이 상기 베이스커버(101)에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수납상자(1)가 콘솔 박스인 경우, 상기 작동버튼(110)은 수평, 예를 들어 전방으로 푸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작동버튼(110)으로부터 돌출 결합되어서, 상기 작동버튼(110)을 누름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작동버튼(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별도의 피스(piece)로 제작되어서 상기 작동버튼(110)의 결합홈(112)에 삽입되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제1, 2 가이드 레일(123, 127)을 포함하는 경사부(122)와, 상기 작동버튼(110)과 경사부(12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23)과 제2 가이드 레일(127)은 각각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돌출 중심축(K; 도 4a 참조)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돌출 중심축이란 상기 돌출 방향으로 각각의 단면에서의 상기 가이드부재(120) 중심들을 서로 연결한 가상의 축을 의미하며, 상기 작동버튼(110)의 중심이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축과 일맥 상통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23) 및제2 가이드 레일(127)들은 각각 상기 돌출방향으로 상기 돌출 중심축에 점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23) 및 제2 가이드 레일(127) 간의 떨어진 거리가 상기 돌출방향으로 점점 축소된다.
제1, 2 록킹부재(131, 136)는 상기 수납상자(1)에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함으로써, 덮개(2)가 수납상자(1)를 덮은 상태에서 수납상자가 록킹 및 록킹 해제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록킹부재(131)의 일단부(131a)는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제1 가이드 레일(123)을 따라 각각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 록킹부재(136)의 일단부(136a)는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제2 가이드 레일(127)을 따라 각각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록킹부재(131) 및 제2 록킹부재(136)의 각각의 타단부(131b, 136b)는 작동버튼(110)이 푸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상자(1)의 대응부에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이 해제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동버튼(110)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상자(1)에는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 걸림홀(210)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의 타단부는 각각 후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의 후크부(제1 후크부, 제2 후크부)가 상기 걸림홀(210) 외곽에 걸려서 록킹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2 록킹부재의 타단부(131b, 136b)가 각각 제1, 2 걸림홀(210a, 210b)들을 관통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2 후크부는 상기 제1, 2 걸림홀(210a, 210b) 사이의 플레이트에 걸리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버튼(110)을 밀게 되면, 가이드부재(120)가 전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일 지점에서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123, 127)이 각각 상기 돌출 중심축으로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일 지점에 있는 상기 제1, 2 록킹부재의 일단부(131a, 136b) 또한 상기 돌출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이와 연동하는 제1, 2 록킹부재(131, 136)의 타단부(131b, 136b)들이 벌어지게 되어서, 상기 제1, 2 후크부가 상기 제1, 2 걸림홀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2 걸림홀 외곽에는 상기 제1, 2 후크부가 상기 제1, 2 걸림홀 외부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하는 스토프용 돌출부(20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덮개(2)의 고정이 해제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덮개(2)를 열게 되면, 상기 제1, 2 후크부가 상기 제1, 2 걸림홀을 관통하여 빠져나올 수 있음으로써, 고정이 해제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a로 되돌아가서, 상기 작동버튼(110)의 적어도 일부와,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커버(101)에 의하여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101)에 수납된 록킹 어셈블리(100)가 하나의 모듈이 되어서 상기 덮개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버튼(110) 및 베이스커버(101)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작동버튼(110)을 작동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제1 탄성부재(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탄성부재(141)의 일단은 작동버튼(110)에 배치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경사부(122)를 거쳐서 상기 작동버튼(110)에 대향하는 베이스커버(101)에 결합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탄성부재(141)는 작동버튼(110)을 항상 작동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그 결과 평상시에는 상기 경사부(122)의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 일 단부(131a, 136a)와 만나는 지점이 항상 좁아지게 하여서, 결과적으로 제1, 2 록킹부재(131, 136)가 고정된 상태로 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탄성부재(141)는 압축스프링으로 상기 작동버튼(110) 및 가이드부재(120)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록킹부재(131)의 중앙부 및 제 2 록킹부재(136)의 중앙부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연결 부재(151) 및 제2 탄성부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51)는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의 교차 지점에서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는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서, 작은 힘으로도 그 타단부(131b, 136b)를 크게 벌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51)는 상기 베이스커버(101)의 양 내측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2, 136)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의 교차지점은 항상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제1, 2 록킹부재(131, 136) 사이가 멀어지게 되면, 상기 제1, 2 록킹부재의 일단부(131a. 136a)는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123, 127)을 따라서 서로 벌어지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 2 록킹부재의 타단부(131b, 136b)는 서로 벌어지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탄성부재(142)는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 사이가 서로 모이도록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이에 따라서 평상시에는 항상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가 고정된 상태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탄성부재(142)는 인장 스프링으로 상기 제1 록킹부재(131) 및 제2 록킹부재(136) 사이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평상시에는 제1 탄성부재(141)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제1, 2 가이드 레일 간의 폭을 좁히는 동시에, 제2 탄성부재(142)로,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 간의 폭을 좁히게 되어서, 더욱 강하게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에 탄성력을 부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하게 상기 덮개(2)가 록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경사부(122)는, 각각 상기 돌출방향으로 점점 좌, 우측 폭이 축소되는 삼각판 형상을 하며,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123, 127)은 상기 경사부(122)의 양측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경사부(122)의 사이즈를 최소한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 일단부 각각이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123, 127)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부(122)는 상기 돌출 중심축을 따라서 탄성부재용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용 홈에 상기 제1 탄성부재(14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141)가 돌출 방향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경사부(122)가 편심없이 직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지지부재(160)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순히 수평 방향 푸시에 의하여 수납상자(1) 덮개(2)를 록킹해제 할 수 있음으로써, 조작이 단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2 록킹부재(131, 136)로 동시에 상기 덮개(2)를 록킹 시킬 수 있음으로써, 차량의 충돌 등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록킹이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 여 상기 록킹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크게 힘들이지 않고도 상기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가 채택된 콘솔 박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록킹 상태에서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록킹 해제 상태에서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납상자 2: 덮개
100: 수납상자용 록킹 어셈블리 101: 베이스커버
110: 작동버튼 120: 가이드부
122: 경사부 123: 제1 가이드 레일
127: 제2 가이드 레일 131: 제1 록킹부재
136: 제2 록킹부재 141: 제1 탄성부재
142: 제2 탄성부재 151: 연결부재

Claims (5)

  1. 덮개에 의하여 닫힌 채로 록킹되는 차량용 수납상자를 록킹하는 록킹 어셈블리에 있어서,
    작동버튼
    상기 작동버튼의 동작과 연동하여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버튼에 돌출 배치된 것으로, 상기 돌출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제1, 2 가이드 레일들이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들은 각각 상기 돌출방향으로 상기 돌출 중심축에 점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가이드 부재 및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제1, 2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각각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의 상대운동에 따라서 수납상자에 고정되는 고정위치 및 상기 수납상자에 고정되지 않는 해제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1, 2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 용기 록킹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의 적어도 일부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2 록킹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베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버튼 및 베이스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작동 버튼을 작동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 용 기 록킹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 부재의 중앙부 및 제 2 록킹 부재의 중앙부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2 록킹 부재의 교차 지점에서 상기 제1, 2 록킹 부재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이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2 록킹 부재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 용기 록킹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각각 상기 돌출방향으로 점점 좌, 우측 폭이 축소되는 삼각판 형상을 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 용기 록킹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상자에는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 걸림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록킹 부재의 타단부는 각각 후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 2 록킹부재의 걸림턱이 상기 걸림홀의 외곽에 걸려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 용기 록킹 어셈블리.
KR2020090015257U 2009-11-25 2009-11-25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KR201100054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257U KR20110005403U (ko) 2009-11-25 2009-11-25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257U KR20110005403U (ko) 2009-11-25 2009-11-25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03U true KR20110005403U (ko) 2011-06-01

Family

ID=4929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257U KR20110005403U (ko) 2009-11-25 2009-11-25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4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57A (ko) * 2016-12-12 2018-06-20 배귀석 마그네틱을 이용한 미닫이문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57A (ko) * 2016-12-12 2018-06-20 배귀석 마그네틱을 이용한 미닫이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549B2 (en) Push butto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CN111902595B (zh) 具有集成有按钮式致动机构的可打开件的车辆存储设备
KR100645186B1 (ko) 센터 어퍼 트레이
US8740262B2 (en) Push button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a glovebox for a vehicle
CN110053563B (zh) 储物箱
JP6301148B2 (ja) ロック装置
JP4037539B2 (ja) ラッチユニット
KR200391926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푸쉬버튼식 잠금장치
JP2012225075A (ja) ロック装置
JP6701986B2 (ja) 車両用ドア固定装置の可動楔装置
KR20110005403U (ko)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KR200471689Y1 (ko)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KR100683227B1 (ko) 돌출형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US11498491B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2009161094A (ja) ドア装置
JP3119598U (ja) セーフティーボックス
US20240149793A1 (en) Storage device for vehicle
KR20060025832A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 시스템
JP5954121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KR102631456B1 (ko) 서랍 잠금장치
KR101295957B1 (ko)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JP4470676B2 (ja) 家具
JP5800201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4708131B2 (ja) セーフティーボックス
KR102291235B1 (ko) 차량용 스트랩 핸들 일체형 인사이드 핸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