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76A -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 Google Patents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76A
KR20110005376A KR1020090062876A KR20090062876A KR20110005376A KR 20110005376 A KR20110005376 A KR 20110005376A KR 1020090062876 A KR1020090062876 A KR 1020090062876A KR 20090062876 A KR20090062876 A KR 20090062876A KR 20110005376 A KR20110005376 A KR 20110005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hamber
cleaning module
water
senso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순
강부녕
김철민
배상범
Original Assignee
(주)광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산 filed Critical (주)광산
Priority to KR102009006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376A/ko
Publication of KR2011000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를 비롯한 기타 오폐수 등에 대한 수질 측정을 위한 센서에 관련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센서에 대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센서세정모듈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해수나 오폐수가 챔버 내부로 유입되어 센서에 의한 수질의 측정이 이루어진 후 챔버의 하부를 이루는 안내로를 따라 유출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되, 상기 챔버 내부에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로는 나선형의 하향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이루어져 해수나 오폐수의 배출시 와류가 발생됨에 따라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센서세정, 센서, 수처리, 선박평형수, 오폐수, 챔버, 안내로, 와류, 나선형

Description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Sensor cleaning module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를 비롯한 기타 오폐수 정화시설등에 대한 수질 측정 및 수질 제어 작업을 위한 센서에 관련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센서에 대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센서세정모듈에 관한 것이다.
각종 오폐수 정화나 선박에서 사용되는 선박평형수 처리와 같은 처리수의 실시간 측정과 이를 이용한 수질 제어 작업은 센서의 정확한 측정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지며, 오폐수를 정화한 후 방류하거나 선박평형수를 살균처리 하여 배출하고자 할 때에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각종 오폐수 정화나 선박평형수 처리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활용되는데, 센서를 이용하여 수질을 측정하게 되는 대표적인 항목들로는 pH, 전기전도도, ORP, 잔류염소 등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센서들을 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측정을 위한 센서들은 통상 광학적/전기적 수단을 사용하여 측정하지만 광학적 경로 또는 전기적 접점이 염분이나 진균 및 기타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오염될 수 있고 오염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수치는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게 된다.
이처럼 수질의 실시간 측정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제어 작업을 센서가 오염된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져 잘못된 측정치에 따라 수처리가 이루어지면 제대로 정화가 되지 않은 상태로 방류되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센서의 오동작으로 오염정도가 실제 이상으로 측정되면 과도한 약품사용이 이루어져 오히려 환경오염을 가속화시키게 되는 결과에 이를 수 있다. 수처리를 필요로 하는 분야는 다양하며 따라서 센서세정장치는 반드시 신뢰도가 높은 수준의 제품이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7-048294호의 "센서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이 있었으며 도1은 이에 따른 센서 세정장치에서 센서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기술1에서의 센서 세정장치의 주요한 구성요소로는 센서부, 센서부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 소정 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공급부, 시수공급부, 세정라인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특히 세정라인의 끝단에 노즐이 형성되어 센서 외부면을 향해 분사가 이루어져 센서에 대한 세정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1에서는 이들 구성요소와 함께 초음파 발생기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1과 같이 센서부 주위로 세정라인이 형성되게 하고 노즐을 통해 가스, 약품 등이 혼합된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콤프레셔와 같은 것이 필요하고 세정라인에 대한 유지보수도 어렵게 되고 특히, 센서에 대해서만 세 정이 이루어지고 그 주변에 대해서는 제대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1과 같은 세정장치에서는 측정이 완료된 후 배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오염원인 각종 이물질이나 부착물 등이 잔류하는 것에 대한 고려가 없었는 바, 항상 잔류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새로운 오폐수가 유입되어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신뢰도가 낮을 수 밖에 없었다.
또 다른 기술로 실용신안 출원번호 20-1995-0029667호의 "폐수의 산도 및 탁도 측정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것 역시 센서를 세척하기 위해 노즐을 통한 분사로서 국부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 외에도 다수의 센서세정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노즐을 통한 분사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것이었는 바, 정확한 측정에는 한계가 있었고 신뢰성을 높일 수가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센서세정장치들은 센서가 설치되는 챔버 내부나 기타 부수되는 내장물 및 센서에 고착화된 부착물이나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센서를 분리하여 센서 뿐 아니라 주변 장치들도 세척을 해야만 했었다. 이러한 불완전한 종래의 센서세정장치들은 운용의 측면에서 추가적인 비용부담과 시간적 손실 등으로 효율성이 많이 떨어졌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질 측정을 위한 센서가 설치되는 챔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노즐이 필요없는 비분사 방식이면서 센서 및 챔버 등에 발생되는 부착물이나 침전물도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센서의 효율이 최대로 발휘되도록 하며 아울러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가능하도록 하는 센서세정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것으로, 해수나 오폐수가 챔버 내부로 유입되어 센서에 의한 수질의 측정이 이루어진 후 챔버의 하부를 이루는 안내로를 따라 유출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되, 상기 챔버 내부에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로는 나선형의 하향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이루어져 해수나 오폐수의 배출시 와류가 발생됨에 따라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로는, 챔버의 하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시작되어 나선형을 이루면서 점차 하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되되 단면 형상은 오목한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을 제안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로는, 두개 이상의 소안내로가 복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챔버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센서와 마주보도록 나선형을 이루는 안내로 사이의 돌출부에 설치되어 세정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세정모듈은, 챔버 내부와 연결되어 해수 또는 오폐수를 공급하는 제1유입관,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시료가 투입되는 제2유입관 및 청수가 투입되는 제3유입관이 구비되며, 센서세정모듈의 자동운전을 위한 콘트롤부가 챔버 외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세정모듈은, 챔버 내부와 연결되어 해수 또는 오폐수를 공급하는 제1유입관,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시료가 투입되는 제2유입관 및 청수가 투입되는 제3유입관이 구비되며, 센서세정모듈의 자동운전을 위한 콘트롤부가 챔버 외측에 형성되고, 해수 또는 오폐수의 수질 측정전에 청수만을 챔버로 투입하여 센서 세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을 제안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세정모듈은, 챔버 내부와 연결되어 해수 또는 오폐수를 공급하는 제1유입관,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시료가 투입되는 제2유입관 및 청수가 투입되는 제3유입관이 구비되며, 센서세정모듈의 자동운전을 위한 콘트롤부가 챔버 외측에 형성되고, 해수 또는 오폐수의 수질 측정전에 청수만을 챔버로 투입하여 센서 세정을 한 후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을 초기값으로 한 후 배출시킨 다음 해수나 오폐수 및 시료를 투입한 후 측정된 실측값을 획득하여 초기값과 실측값의 차이로써 보정값을 얻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 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세정모듈은 센서가 설치되는 챔버 내부의 독특한 구조와 초음파 진동자에 의한 진동을 활용하여 센서 및 챔버 내부에 대한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되 각종 부착물이나 침전물 등이 잔류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져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에 앞서 청수만을 유입시켜서 세척을 한 후 측정한 초기값을 획득하도록 하고, 오폐수가 유입된 후 측정된 값을 실측값으로 하여 그 차이인 보정값으로 수질의 상태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센서에 의한 초기값과 실측값이 저장되므로 모니터링을 통하여 급격한 초기값의 이상이나 실측값의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센서의 오작동이 있거나 센서나 챔버에 심각한 오염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어 센서세정모듈에 대한 유지관리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세정모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는 것으로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도면을 참조토록 하나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따라서 타인에 의한 단순한 구조적 변경이나 등가적인 요소로의 단순한 치환과 같은 변형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실시예>
첨부되는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센서세정모듈의 구성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에서 상부로 본 단면도이고, 도4는 A-A'선에서 하부로 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5는 센서세정모듈의 동작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세정모듈은 다양한 수처리 설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대표적으로는 선박평형수, 오폐수의 처리를 위한 설비에서 방류전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와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의 센서세정모듈은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자 센서를 포함한 센서가 설치되는 챔버 내부에 대한 세척 및 세척 후 챔버 내부에 잔류물이 남지 않도록 구성토록 함에 특징을 둔다.
주요한 구성요소들로 해수나 오폐수가 유입되는 챔버(100)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센서(200)가 설치되고 하방에 유출관(300)이 형성되어 측정이 완료된 오폐수 등은 배출이 이루어진다.
소정량의 오폐수가 챔버(100)로 유입되어 측정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챔버(100)의 구조에 주요한 특징을 두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0) 상부로부터 연결되어 해수 또는 오폐수를 공급하는 제1유입관(400)이 형성되며, 측정을 위한 화학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시료가 투입될 수 있는 제2유입관(500)이 구비되고 청수가 공급되는 제3유입관(600)도 마련된다. 그리고 챔 버(100) 외측에는 콘트롤부(700)가 갖추어져 센서세정모듈의 자동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센서세정모듈의 동작 간격이나 동작순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오폐수 등에 대한 수질 측정이 이루어진 후에 유출관(300)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챔버(100)의 하부에는 독특한 구조의 안내로(150)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로(150)는 최종적으로는 유출관(300)과 연결이 되나 챔버(100)의 하부 형상을 특정하게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서의 안내로(150)는 독특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측정 완료 후 오폐수의 배출시나 청수만을 이용하여 세척 후 상기 청수의 배출시에 챔버(100) 내부에 존재하는 부착물이나 각종 이물질들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착물이나 이물질등이라 함은 챔버(100)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 자체에 섞여있었던 입자상 물질이나 부유물 혹은 화학반응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부산물 등을 의미한다.
상기 안내로(150)는 챔버(100) 내부의 액체가 배출될 시에 와류를 형성하면서 유출관(30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자 나선형을 이루면서 기울어지는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하며 오목한 U 자 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즉, 챔버(100) 하부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형을 이루면서 점차 하향 곡선을 이루는 형상인 것으로 하는데, 따라서 상기 안내로(150) 사이 영역은 주변보다 높게 솟아 돌출부(160)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센서세정모듈에서는 초음파 진동자(800)가 챔버(100) 내부에 설치 되어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센서(200)와 챔버(100) 내부에 대한 세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800)는 안내로(150)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부(160)에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초음파 진동자(800)는 챔버(100) 내부에 수직하게 상부로부터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는 센서(200)와 마주보도록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센서(200)를 이용한 수질 측정에서 정확도와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센서(200) 및 챔버(100) 내부에 대한 세정뿐 만이 아니라 챔버(100) 내부에 가급적 불순물이 잔류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챔버(100)의 하부 구조를 나선형의 안내로(150)로 하여 상기 안내로(150)가 유출관(300)과 연결되게 하였고 상기 챔버(100) 내부에 초음파 진동자(800)를 두어 음파에 의한 진동으로 챔버(100) 내부 벽면이나 센서(200)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물이나 이물질을 떨어지게 한 후 상기 안내로(150)에 의한 와류 형성으로 원활하게 유출관(300)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내로(150)는 U 자 형상과 같은 단면으로 오목한 형태로 하는데 상기 안내로(150)는 첨부되는 도6과 같이 복선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선 형태로 안내로(150)가 구비되는 경우 그 각각을 소안내로(151)라 부르며 상기 소안내로(151)가 인접하여 두개 혹은 3개 이상으로 복선화되어 안내로(150)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센서세정모듈에는 청수를 챔버(1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3유입관(600)이 구비되는데, 센서(200)의 세정을 위해 청수만을 챔버(100) 내부로 투입하여 초음파 진동자(800)를 작동시켜 세정이 이루어지게 한 후 유출관(300)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수에 의한 세척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장시간 운전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는 경우와 같이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청수가 공급되어 세정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청수의 공급을 통한 세정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수질 측정전에 전처리로서 투입되어 세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챔버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되는 횟수가 누적될수록 센서 및 챔버 내부의 오염정도는 증가되며 이러한 상태로 매회 측정을 한다면 그 결과값을 신뢰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질적인 수질 측정전에 챔버(100) 내부로 청수만을 투입하여 센서 세정을 한 후 상기 센서(200)를 통한 수질 측정을 하여 초기값을 얻도록 하며, 그 초기값은 다음번 청수의 유입이 이루어질 때까지 콘트롤부(700)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 측정이 완료된 청수는 배출시키며 이후 측정해야될 해수나 오폐수를 챔버 내부로 투입하고 화학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한 시료도 투입하여 수질을 측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측정된 값이 실측값이 되며 콘트롤부에서는 상기 초기값과 실측값의 차이로써 보정값을 계산하여 수질의 상태를 비교 판단하도록 한다.
센서세정모듈에서의 수질 측정의 주기가 짧을 경우에는 매번 측정시마다 청수를 유입시켜 세정 후 오폐수를 공급하여 실측값을 얻도록 하는 것은 비합리적일 수 있는 바, 이러한 측정주기를 고려하여 초기값의 획득 간격을 적당히 조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최초 획득된 초기값을 이용하여 적당 횟수만큼 오폐수에 대한 실측값을 얻어 보정값을 얻었다면 다음번 실측값을 얻기에 앞서 새롭게 청수만을 공급하여 신규의 초기값을 얻어 메모리에 저장되었던 구초기값을 대체하도록 한다. 이처럼 새로운 초기값을 얻은 후에는 다시 측정될 오폐수를 공급하여 실측값을 얻도록 하는 과정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의 센서세정모듈은 오프셋기능이 구비되어 일정횟수 또는 일정시간을 정해두고서 가장 최신의 초기값이 업데이트되어 수질의 상태 판단을 보다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센서세정모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 처리 장치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수 또는 오폐수는 제1유입관(400)을 통해 챔버(100) 내부로 유입되며 콘트롤부(700)에 의해 제1콘트롤밸브(450)가 제어되어 일정량 만큼 주입되고 대략 센서 부분이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정도로 주입한다. 챔버(100)로 주입된 오폐수와 반응하기 위한 화학시료는 제2유입관(500)을 통해 공급되며 그 양은 제2콘트롤밸브(550)를 제어하여 조절한다. 챔버(100)로 공급된 오폐수와 화학시료는 상호 반응하게 되며 이후 센서(200)에 의한 수질 측정이 이루어진다.
측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그 측정값은 콘트롤부(700)의 메모리로 전송되고 유출관(300)을 통해 챔버(100) 외부로 배출된다. 유출관(300)에는 그 개폐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4콘트롤밸브(350)가 형성된다. 측정이 완료된 오폐수를 배출하기 전에 챔버(100) 내부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800)를 작동시켜서 센서(200)나 챔버(100) 내면에 부착될 수 있는 이물질을 떨어지게 한 후 유출관(300)을 열어 배출되게 할 수 도 있다. 즉, 오폐수의 배출전에 초음파 진동자의 작동여부는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이 완료된 오폐수의 배출시에는 안내로(150)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면서 유출관(300)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챔버(100)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 부착물, 침전물 등이 와류의 영향으로 잔류되지 않고 함께 원활하게 배출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유출관(300)을 통한 오폐수의 배출이 이루어진 후 제4콘트롤밸브(350)는 폐쇄되며 보다 확실하게 센서(200) 및 챔버(100) 내부에 대한 세정을 위해 제3콘트롤밸브(650)가 작동하여 제3유입관(600)으로 청수가 공급된다. 청수라 함은 깨끗한 물을 의미하며 세척액 등이 함유된 것일 수도 있다. 소정량의 청수가 챔버(100) 내부로 공급된 후 초음파 진동자(800)를 가동시켜서 음파에 의한 진동으로 센서(200) 및 챔버(100) 내면에 부착되었던 이물질 등을 분리시켜 청수에 포함되도록 한다. 이후 센서(200)에 의한 청수에 대한 수질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음으로 청수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이때에도 안내로(150)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면서 유출관(300)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챔버(100)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들을 보 다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청수에 의한 세정작업은 오폐수에 대한 측정전이나 측정 완료 후 혹은 장시간 정지되었다가 재 가동되는 경우에 청수를 공급하여 초음파 진동으로 이물질을 떨어지게 한 후 배출시킴으로써 챔버 내부 및 센서 표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수질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수작업에 의한 센서 등에 대한 청소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센서세정모듈에서는 오프셋기능이 있어 지속적으로 청수에 의한 초기값과 오폐수에 대한 실측값이 저장되어 모니터링 되기 때문에 초기값이나 실측값의 급격한 이상 등이 인식되는 경우에는 센서의 고장이나 오작동 또는 심각한 오염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어 유지관리의 측면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세정모듈은 선박평형수나 각종 오폐수 처리와 같은 수처리 설비에 설치되어 보다 정확하게 수질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관리도 편리한 바 다양한 수처리 설비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센서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에 따른 센서 세정장치에서 센서부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센서세정모듈의 구성도.
도3은 도2의 A-A'선에서 상부로 본 단면도.
도4는 A-A'선에서 하부로 본 단면도.
도5는 센서세정모듈의 동작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6은 또 다른 형태의 안내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챔버 150 : 안내로
151 : 소안내로 160 : 돌출부
200 : 센서 300 : 유출관
350 : 제4콘트롤밸브 400 : 제1유입관
450 : 제1콘트롤밸브 500 : 제2유입관
550 : 제2콘트롤밸브 600 : 제3유입관
650 : 제3콘트롤밸브 700 : 콘트롤부
800 : 초음파진동자

Claims (7)

  1.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것으로,
    해수나 오폐수가 챔버 내부로 유입되어 센서에 의한 수질의 측정이 이루어진 후 챔버의 하부를 이루는 안내로를 따라 유출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되,
    상기 챔버 내부에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로는 나선형의 하향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이루어져 해수나 오폐수의 배출시 와류가 발생됨에 따라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는,
    챔버의 하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시작되어 나선형을 이루면서 점차 하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되되 단면 형상은 오목한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는,
    두개 이상의 소안내로가 복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챔버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센서와 마주보도록 나선형을 이루는 안내로 사이의 돌출부에 설치되어 세정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세정모듈은,
    챔버 내부와 연결되어 해수 또는 오폐수를 공급하는 제1유입관,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시료가 투입되는 제2유입관 및 청수가 투입되는 제3유입관이 구비되며, 센서세정모듈의 자동운전을 위한 콘트롤부가 챔버 외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세정모듈은,
    챔버 내부와 연결되어 해수 또는 오폐수를 공급하는 제1유입관,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시료가 투입되는 제2유입관 및 청수가 투입되는 제3유입관이 구비되며, 센서세정모듈의 자동운전을 위한 콘트롤부가 챔버 외측에 형성되고,
    해수 또는 오폐수의 수질 측정전에 청수만을 챔버로 투입하여 센서 세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세정모듈은,
    챔버 내부와 연결되어 해수 또는 오폐수를 공급하는 제1유입관,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시료가 투입되는 제2유입관 및 청수가 투입되는 제3유입관이 구비되며, 센서세정모듈의 자동운전을 위한 콘트롤부가 챔버 외측에 형성되고,
    해수 또는 오폐수의 수질 측정전에 청수만을 챔버로 투입하여 센서 세정을 한 후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을 초기값으로 한 후 배출시킨 다음 해수나 오폐수 및 시료를 투입한 후 측정된 실측값을 획득하여 초기값과 실측값의 차이로써 보정값을 얻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KR1020090062876A 2009-07-10 2009-07-10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KR20110005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876A KR20110005376A (ko) 2009-07-10 2009-07-10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876A KR20110005376A (ko) 2009-07-10 2009-07-10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76A true KR20110005376A (ko) 2011-01-18

Family

ID=4361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876A KR20110005376A (ko) 2009-07-10 2009-07-10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3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18B1 (ko) * 2011-02-28 2013-04-19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수질 측정 센서 및 가스 농도 측정 센서를 이용한 수질 오염 측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18B1 (ko) * 2011-02-28 2013-04-19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수질 측정 센서 및 가스 농도 측정 센서를 이용한 수질 오염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5146B2 (ja) 膜ろ過装置及び膜ろ過装置の膜損傷検知方法
JP4533238B2 (ja) 水質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WO2014159327A1 (en) Rotary disc filter with automatic integrated backwash and chemical cleaning system
CN104661576B (zh) 具有除垢/除钙系统的器皿洗涤机以及方法
CN108473341A (zh) 净化液体的方法
KR20110005376A (ko) 수처리를 위한 센서세정모듈
KR100949349B1 (ko) 막 여과장치 및 이의 막 세정방법
JP5695727B2 (ja) 自己洗浄槽保有型膜ろ過装置
JP2000164552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JP5230074B2 (ja) 水処理装置の流量制御方法
JP5370231B2 (ja) pH計洗浄装置およびpH計の洗浄方法
WO2019239515A1 (ja) 酸化装置、水処理装置、水処理方法、オゾン水生成方法、および、洗浄方法
US7824554B2 (en) Automated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controlled shutdown and start-up for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4385936A (en) Method for cleaning a process monitoring probe
KR101958754B1 (ko) 폐수 중화 장치
KR20160066098A (ko) 역세척수 잔류염소 모니터링 및 역세척 배출수의 잔류염소 제거가 가능한 분리막 역세척 장치 및 방법
KR101936733B1 (ko) 직수식 정수장치 및 직수식 정수장치의 디스케일 방법
EP392473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leaning a sensor
JP5821349B2 (ja) 水処理設備の制御装置
KR102575469B1 (ko)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KR20070025159A (ko) 폐수 처리 공정의 온라인 pH 시스템
CN217367901U (zh) 一种膜在线化学清洗实时监测系统
KR100701395B1 (ko) 오토스트레이너의 약품세정 장치 및 방법
CN103459325B (zh) 净水装置
KR200420293Y1 (ko) 역류를 이용한 필터 자동 세척 및 유체 온도 유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