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28A -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 Google Patents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28A
KR20110005128A KR1020090062671A KR20090062671A KR20110005128A KR 20110005128 A KR20110005128 A KR 20110005128A KR 1020090062671 A KR1020090062671 A KR 1020090062671A KR 20090062671 A KR20090062671 A KR 20090062671A KR 20110005128 A KR20110005128 A KR 20110005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thread
measuring tool
coup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962B1 (ko
Inventor
황창순
심기봉
박동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9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매식체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숫나사부와 상기 숫나사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매식체의 테이퍼 형태의 홀에 수용되는 결합지지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숫나사부는, 횡방향 절삭에 의하여 불완전 나사산이 형성된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불완전 나사산에 의하여 임플란트용 매식체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는 매식체와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하지만 매식체로부터 미세응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매식체의 축 경사도와 시술될 인공치아 등의 높이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매식체의 위치변형을 야기하지 않는다.
임플란트, 나사, 불완전 나사, 높이, 축 경사도

Description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Easily separable measuring tool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측정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의미하거나 나사 형상의 매식체(fixture)를 치조골에 고정시켜 일정기간 동안 뼈와 융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어버트먼트와 인공치아인 크라운 등의 보철물을 고정시킴으로써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시술을 말한다.
임플란트 시술은 먼저 매식체가 들어갈 부분의 잇몸을 열고, 치조골에 기공을 형성하여 매식체를 넣고 골 융합이 일어나도록 안정화 기간이 지나면 인공치아를 넣을 수 있도록 잇몸 밖으로 어버트먼트를 연결한다. 그리고 잇몸이 완전히 나아 매식체가 뼈에 고정된 것이 확인되면 어버트먼트에 부착되도록 미리 제작된 인공치아를 결합시켜 완성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음식물의 저작시 발생하는 수직력에는 강하지만 수평력에는 자연치아보다 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매식체, 어버트먼트와 인공치아의 위치는 임플란트의 수명과 시술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정확한 시술을 위해 종래에는, 치조골에 매식된 매식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어버트먼트와 인공치아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하여 매식체를 식립하기 전에 가이드 핀(guide pin)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매식체의 식립방향 또는 위치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가이드 핀 등의 도구들은 매식체에 직접 체결되지 아니하여 축 경사각 등을 확인하는데 오차를 야기하고, 매식체가 골융합되면서 발생하는 추가적 변형요인을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임플란트 시술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정교한 시술의 어려움으로 이어져 불규칙적인 저작압에 의한 임플란트 보철물의 파절 내지 수명단축의 문제를 야기시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식체에 어버트먼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매식체와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하지만 매식체로부터 미세응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매식체의 축 경사도와 시술될 인공치아 등의 높이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매식체의 위치변형을 야기하지 않는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매식체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숫나사부와 상기 숫나사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매식체의 테이퍼 형태의 홀에 수용되는 결합지지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숫나사부는, 횡방향 절삭에 의하여 불완전 나사산이 형성된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불완전 나사산에 의하여 임플란트용 매식체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지지부는 숫나사부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몸통부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통부 중 결합지지부와 연결되는 쪽에는 임플란트용 치아의 높이를 설 정하기 위한 마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의 말단쪽에는 그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는, 매식체에 어버트먼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매식체와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하지만, 그 결합이 숫나사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불완전 나사산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식체로부터 미세응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분리시 매식체의 위치변형을 야기하지 않는다. 또한, 어버트먼트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매식체와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의 중요한 변수인 매식체의 축 경사도 및 인공치아(또는 어버트먼트)의 높이 측정 등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가 매식체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 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체결부(120)와 몸통부(140)로 구성된다.
체결부(120)는 결합지지부(124)와 숫나사부(122)로 구성되며,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지지부(124)는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의 테이퍼 형태의 홀(210)에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일단부가 몸통부(140)와 결합되며, 몸통부(140)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를 갖는다. 숫나사부(122)는 결합지지부(124)의 몸통부(140) 반대 쪽에 연결된다.
숫나사부(122)의 선단부는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의 내부 안쪽에 형성된 내부나사산(23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숫나사의 횡방향 절삭에 의해서 형성된 불완전 나사산(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횡방향이란 숫나사의 종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종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불완전 나사산이란 단면이 삼각형(일반적으로)을 이루는 완전한 형태의 나사산 형태가 일부 절삭되어 형성된 나사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숫나사부의 선단부는 상기 불완전 나사산(123)에 의하여 매식체(200)의 내부나사산(230)과 1회전 미만, 바람직하게는 0.5회전 미만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숫나사부의 선단부 중 일측(도2의 오른쪽: B)만이 매식체(200)의 내부나사산(230)과 결합되고 타측(도2의 왼쪽: A)은 결합을 형성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되지 않은 타측(A)을 매식체(200)의 테이퍼형태의 홀(210)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들어올리면 상기 숫나사부의 결합이 풀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숫나사부(122)의 선단부는 횡방향 절삭에 의해서 숫나사의 종방 향을 기준으로 마루 이하 부분만 남은 불완전 나사산(123)에 의하여 매식체(200)의 내부나사산(23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완전 나사산과 결합되는 매식체(200)의 내부나사산(230)도 불완전 나사산 형태인 경우, 분리가 더욱 용이해 질 수 있다.
결합지지부(124)는 몸통부(140)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체결부(120)와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의 결합시 결합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한다. 결합지지부(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의 내부에 형성된 테이퍼 형태의 홀(210)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임플란트용 측정도구가 매식체(200)와 결합되면서 작용되는 힘은 결합지지면(124)과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의 테이퍼 형태의 홀(210)이 접촉되는 부분을 통해 사방으로 고루 분산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가 매식체(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지지부(124)는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의 내부에 형성된 테이퍼 형태의 홀(210)의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부(140)는 체결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상부에는 그립부(14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마킹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140)는 체결부(120)의 회전축방향으로 긴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140) 직경은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몸통부(140)의 하부에는 마킹부(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킹부(142)는 매식체(200)에 결합될 인공치아(또는 어버트먼트)의 높이설정을 위한 표식으로, 다수개의 홈(142)을 파서 구성할 수 있다. 다수개의 홈(142)은 높이 측정을 위한 표식이라면 그 형상을 불문할 것이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4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구성하면 어느 방향에서도 용이하게 높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더욱 좋다.
몸통부(140)의 상부에 형성된 그립부(144)는 체결부(120)를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에 회전결합시킬 때 사람의 손가락 등이 접하는 면으로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마찰계수를 갖는 마찰면(예: 요철 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는 고온·고압의 살균, 자외선 살균 등이 가능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재질 등으로 구성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가 임플란트용 매식체(200)로부터 미세응력에 의하여도 용이하게 분리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는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의 내부나사산과 불완전하게 결합된다. 임플란트 측정도구의 숫나사부(122)의 선단부에는 불완전 나사산이 형성되고, 숫나사부(122)와 결합되는 임플란트 매식체(200)의 내부나사산의 시작 부분도 불완전 나사산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나사부(122) 선단부의 한쪽(도 2에서 오른쪽: B)은 내부나사산의 골에 반정도 물려있지만, 다른 쪽(도 2에서 왼쪽: A)은 내부나사산의 플링크면(220)에 접촉만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불완전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체결부(120)의 결합지지부(124)와 임플란트용 매식체(200)의 테이퍼 형태의 홀(210)이 서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에 작용하는 힘은 사방으로 분산된다. 따 라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는 매식체(200)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자는 임플란트용 측정도구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을 측정함으로써 매식체(200)의 축 경사도를 알수 있고, 마킹부(142)를 활용하여 시술될 인공치아의 높이를 설정하는 등의 측정이 가능하다.
측정이 완료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는 미세한 응력만으로도 임플란트용 매식체(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의 오른쪽(A)을 매식체(200)의 테이퍼형태의 홀(210)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들어올리면,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는 임플란트용 매식체(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나사부(122) 선단부의 왼쪽(A)은 매식체(200)의 내부나사산의 플링크면(220)에 얹어져 있는 형상이므로 위로 쉽게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숫나사부(122) 끝단의 오른쪽(B)은 내부나사산의 골에 반정도 결합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공간을 활용하여 쉽게 결합이 풀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임플란트용 측정도구는 회전력이 아닌 미세한 응력만 으로도 용이하게 분리가능하므로 측정이 완료된 이후, 임플란트용 측정도구가 제거되면서 매식체(200)에 작용하는 변형력은 무시할 수 있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정확한 수치를 기초로 성공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매식체(200)의 내부나사산(230)과 결합되지 않는 숫나사부(122)의 선단부의 일측(도2의 A)은 특정한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식체의 내부나사산(230)과 결합을 형성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상에서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시 본 발명에 따른 측정도구가 적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고 기타 정형외과적 임플란트 시술에도 활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도구와 매식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체결부 122: 숫나사부
123: 불완전 나사산 124: 결합지지부
140: 몸통부 142: 마킹부
142a: 홈 144: 그립부
200: 매식체 210: 테이퍼 형태의 홀
220: 플링크면 230: 내부 나사산

Claims (4)

  1. 임플란트용 매식체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숫나사부와 상기 숫나사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매식체의 테이퍼 형태의 홀에 수용되는 결합지지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숫나사부는, 횡방향 절삭에 의하여 불완전 나사산이 형성된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불완전 나사산에 의하여 임플란트용 매식체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부는 숫나사부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몸통부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중 결합지지부와 연결되는 쪽에는 임플란트용 치아의 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말단쪽에는 그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KR1020090062671A 2009-07-09 2009-07-09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KR10112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71A KR101123962B1 (ko) 2009-07-09 2009-07-09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71A KR101123962B1 (ko) 2009-07-09 2009-07-09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28A true KR20110005128A (ko) 2011-01-17
KR101123962B1 KR101123962B1 (ko) 2012-03-23

Family

ID=4361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71A KR101123962B1 (ko) 2009-07-09 2009-07-09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19B1 (ko) * 2018-08-24 2019-07-02 주식회사 올뎃덴탈 임플란트용 교합측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53B1 (ko) 2005-02-15 2006-06-30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0788240B1 (ko) 2006-12-04 2007-12-27 장경삼 왼나사로 된 치과용 임플란트 추출유니트
KR100840352B1 (ko) 2007-04-23 2008-06-20 (주) 코웰메디 매식체 식립을 위한 마운팅장치
KR100943508B1 (ko) * 2008-07-01 2010-02-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식위치 가이드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962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3419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ドリルジグ
KR101479186B1 (ko) 뼈 조직에 치과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디바이스, 수술용 템플릿 제조방법 및 뼈 조직에 치과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방법
CN106659550B (zh) 临时假体系统及其使用方法
KR1007993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BR112012018070B1 (pt) pilar para um implante dentário e combinação de um implante dentário e de um pilar
JP2012501217A (ja) 歯科用固定装置および方法
US20100151421A1 (en) Dental implant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US20150173864A1 (en) Abutment assembly for dental implants
US20160199161A1 (en) Attachment for denture
KR101707905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385882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US20080171301A1 (en) Depth gauge for use in dental implants
US20090291414A1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implant
KR20140067053A (ko) 치과용 임플란트 - 주문형 교각치 및 임플란트 상사형의 리플리카
WO2011018851A1 (ja) ボーンキャリパー
KR101476698B1 (ko) 치과용 보철물과 그 연결방법
ITRM20130047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perni personalizzati in fibra di vetro o di carbonio.
KR100611946B1 (ko)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1123962B1 (ko)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측정도구
KR10105635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US20120135380A1 (en) Implant analog
KR102125419B1 (ko)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GB2439926A (en) Dental gauge
KR101653359B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용 스캔바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