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83A -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83A
KR20110004783A KR1020100062737A KR20100062737A KR20110004783A KR 20110004783 A KR20110004783 A KR 20110004783A KR 1020100062737 A KR1020100062737 A KR 1020100062737A KR 20100062737 A KR20100062737 A KR 20100062737A KR 20110004783 A KR20110004783 A KR 2011000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hin film
conductive
adhesive layer
conduc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제 장
중워이 차이
쯔성 우
쟈슝 쩡
Original Assignee
치메이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메이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치메이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0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 표면에 형성되며,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의 상기 기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포함하는 복합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을 제공한다. 그리고, 그 도전판의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A CONDUCTIVE PL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전성 박막을 가지는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도전성 박막(TCF)은, 투명성 및 도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종 평면표시장치(FPD), 터치패널, 전자기파 방지 및 태양전지(Solar Cells)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도전성 박막의 재료로서는,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인듐주석(ITO)은 고투광성(高透光性) 및 우수한 도전성(導電性)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종 광전제품의 도전성 전극으로 사용되고 있다.
ITO 투명도전성 박막은, 진공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해 유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기판에 형성된다. 그러나, ITO 본질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기판을 선택할 때 일정한 제한을 받는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기판으로서는 유리기판, PET기판이 있다. 만일 여타 재료의 기판을 사용한다면, 아직 많은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ITO 투명도전성 박막이 도전성을 가지므로, 상기 ITO 투명도전성 박막을 가지는 유리기판 또는 PET기판을 도전판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상기 도전판은, 기판이 만곡될 때, 그 인장(引張)에 의해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ITO 투명도전성 박막이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ITO 투명도전성 박막의 파손을 초래한다. 또한, 상기 ITO 투명도전성 박막을 가지는 도전판에 있어서, 상기 ITO 투명도전성 박막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인듐의 저장량의 결핍을 초래하며, 독성(毒性)을 갖고, 수소 플라즈마(hydrogen plasma)와 용이하게 환원반응을 일으키므로, 도전판의 코스트를 절약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ITO를 대체할 수 있는 투명도전성 재료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기판이 만곡될 때, 기판에 있어서의 투명도전성 박막의 인장에 의한 파손을 회피하는 한편, 코스트를 절약할 수 있는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 표면에 형성되며,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의 상기 기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포함하는 복합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을 제공한다.
또한,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제공하는 단계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접착제층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상기 기판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접착제층을 통해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기판에 설치함으로써,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구비하는 기판이 도전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구비하는 도전판의 제조에 있어서의 각 공정의 구조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의 제조방법의 표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있어서의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의 단면도이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구비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도시하는 구조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도전판의 제조방법의 제1공정에서는, 기판(100)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100)은, 투명기판 또는 불투명기판일 수 있다.
상기 투명기판은, 유리기판 또는 고분자 투명기판이다. 상기 고분자 투명기판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기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기판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기판 등이다. 그러나, 상기 고분자 투명기판은 상술한 기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투명기판은, 금속 기판, 반도체 기판, 인쇄회로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등이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자신이 색채를 가지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고, 또는 투명기판에 색채를 도포한 플라스틱 기판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판의 제조방법의 제2공정에서는, 접착제층(200)을 상기 기판(100) 위에 형성한다.
상기 접착제층(200)은 인쇄도포(塗布), 회전도포 또는 적정(滴定)도포 등과 같은 방식에 의해 상기 기판(100) 위에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층(200)은, 고화방식에 따라 광고화(光固化) 접착제, 열고화 접착제 또는 광-열고화 접착제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광고화 접착제란, 특정한 파장영역의 빛을 받아 고화되는 접착제(예를 들면, 자외선고화 접착제)를 가리키고, 상기 열고화 접착제란, 어떤 특정한 온도 이상의 환경에서 고화되는 접착제를 가리키며, 상기 광-열고화 접착제란, 어떤 특정한 온도 이상의 환경에서 특정한 파장영역의 빛을 받아 고화되는 접착제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200)은, 도전성 접착제(예를 들면, 도전성 고분자 접착제)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전판의 제조방법의 제3공정에서는, 상기 접착제층(200)에 의해 전기이방성(異方性)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을 상기 기판(100)에 접착시킨다. 즉,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을 상기 접착제층(200)의 상기 기판(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을 상기 기판(100)에 접착한 경우, 상기 접착제층(200)은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과 상기 기판(10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전기이방성(도전이방성 또는 저항이방성이라고도 함)이란, 다른 방향에서 다른 도전성(또는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가리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의 단면도이다.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의 제조방법의 제1공정에서는, 기재(500) 위에 복수개의 나노유닛(301)으로 구성된 나노 구조체를 형성한다.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의 제조방법의 제2공정에서는, 상기 나노 구조체를 박막구조로 변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개의 나노유닛(301) 중의 하나의 나노유닛(301)이 외부의 인장력을 받아 상기 기재(500)에서 떨어질 때, 상기 하나의 나노유닛(301)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나노유닛(301)도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 force)의 힘에 의해 상기 하나의 나노유닛(301)과 함께 상기 기재(500)에서 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재(500) 위의 복수개의 나노유닛(301)이 외부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기재(500)에서 떨어질 때, 상기 복수개의 나노 유닛(301)은 각각 끝과 끝이 연접해서 선상 나노유닛(31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기재(500) 위의 복수개의 나노유닛(301)은 인장처리에 의해 복수개의 선상 나노유닛(310)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선상 나노유닛(310)은 특정한 방향(X)에 따라 배열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선상 나노유닛(310)은 거의 평행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개의 선상 나노유닛(310)이 평행으로 배열되어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을 형성한다.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의 국부의 확대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은 복수개의 선상 나노유닛(310)을 포함하고, 각각의 선상 나노유닛(310)은 복수개의 나노유닛(301)이 각각 끝과 끝이 연접해서 형성된다. 복수개의 선상 나노유닛(310)이 특정한 방향(X)에 따라 배열되어 형성된 도전성 박막(300)에 있어서는, 상기 특정한 방향(X)에 따른 도전성 박막(300)의 저항이 비교적 작고, 상기 특정한 방향(X)에 수직한 방향에 따른 도전성 박막(300)의 저항은 비교적 크므로, 상기 도전성 박막(300)은 전기이방성을 가진다.
각각의 나노유닛(301) 자신도 전기이방성을 가질 수 있으며, 모든 나노유닛(301)은 거의 평행으로 배열되어 특정한 배향을 형성한다.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나노유닛(301)은 이방성 형상을 갖고 있다. 이방성 형상을 갖고 있는 나노유닛은, 탄소 나노튜브, 나노입자 등과 같은 길이와 폭이 다른 나노유닛이다.
상기 도전성 박막(300)은 복수개의 선상 나노유닛(310)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박막(300)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성 박막(300)을 상기 기판(100) 위에 설치하기 전에 먼저 상기 도전성 박막(300)에 대하여 열처리를 진행한다. 상기 열처리에 의한 에너지에 의해 상기 도전성 박막(300)의 성질이 변한다. 즉, 상기 도전성 박막(300)의 두께가 얇아진다. 열처리로서는, 플라즈마 가열, 적외선 가열, 자외선 가열 또는 레이저 가열 등과 같은 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이저 가열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판의 제조방법의 제4공정에서는, 상기 도전성 박막(300)을 상기 기판(100)에 적재한 후, 상기 접착제층(200)을 고화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제층(200)이 광고화 접착제이면, 상기 접착제층(200)을 특정한 파장영역의 광선으로 조사(照射)하여 상기 접착제층(200)을 고화시키고, 상기 접착제층(200)이 열고화 접착제이면, 상기 접착제층(200)을 어떤 특정한 온도 이상의 환경에 놓아 상기 접착제층(200)을 고화시키며, 상기 접착제층(200)이 광-열고화 접착제이면, 상기 접착제층(200)을 어떤 특정한 온도 이상의 환경에 놓고 특정한 파장영역의 광선으로 조사(照射)하여 상기 접착제층(200)을 고화시킨다.
상기 접착제층(200)이 고화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접착제층(200) 위의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에 상기 접착제가 스며들어 상기 도전성 박막(300)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상기 접착제층(200)으로 침입(浸入)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층(200)이 완전히 고화된 후, 상기 접착제층(200)과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이 혼합되어 복합구조체(400)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박막(300)은,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위에 설치되는 복합구조체(400)을 구비한다. 상기 복합구조체(400)는 접착제층 (200)과 상기 접착제층(200)의 일측 표면에 배치된 도전성 박막(300)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구조체(400)의 두께는 0㎛ ~ 15㎛이고,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의 두께는 0nm ~ 300nm이다.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300)은 상기 복합구조체(400)의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위치한다. 상기 도전성 박막(300)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상기 접착제층(200)으로의 침입은, 상기 도전성 박막(300)이 응용되는 제품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합구조체(400)에 있어서의 도전성 박막(300)의 두께가 0nm ~ 300nm이므로, 상기 도전성 박막(300)에 있어서의 나노유닛(301)의 두께도 0nm ~ 300nm이며, 상기 나노유닛(301)도 상기 복합구조체(400)의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접착제층에 의해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기판에 설치함으로써,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구비하는 기판이 도전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판 200 --- 접착제층
300 --- 도전성 박막 301 --- 나노유닛
310 --- 선상 나노유닛 400 --- 복합구조체
500 --- 기재

Claims (21)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 표면에 형성되며,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의 상기 기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포함하는 복합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구조체의 두께는 0㎛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의 두께는 0nm ~ 3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은 복수개의 나노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나노유닛은 이방성 형상의 나노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나노유닛은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나노유닛의 두께는 0nm ~ 3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광고화 접착제, 열고화 접착제 또는 광-열고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재료는,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재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
  12.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제공하는 단계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접착제층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을 상기 기판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박막은, 인장처리에 의해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에 대해 열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성 박막에 대해 레이저 가열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이방성을 가지는 도전판은, 복수개의 나노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광고화 접착제, 열고화 접착제 또는 광-열고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재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재료는,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도전성 박막을 상기 기판에 배치한 후, 상기 접착제층을 고화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판의 제조방법.
KR1020100062737A 2009-07-08 2010-06-30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047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304130.3 2009-07-08
CN2009103041303A CN101944403A (zh) 2009-07-08 2009-07-08 导电板及其制作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83A true KR20110004783A (ko) 2011-01-14

Family

ID=4275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737A KR20110004783A (ko) 2009-07-08 2010-06-30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05819A1 (ko)
EP (1) EP2273511A1 (ko)
JP (1) JP2011016356A (ko)
KR (1) KR20110004783A (ko)
CN (1) CN1019444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4471B2 (en) 2014-07-31 2017-10-31 Samsung Display Co., Ltd Passive matrix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2843B2 (en) * 2011-03-07 2014-09-0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N102819340B (zh) * 2011-06-09 2016-03-02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摸屏面板的制备方法
CN102750061A (zh) * 2012-06-20 2012-10-24 格林精密部件(惠州)有限公司 一种基于纳米碳管传感器的电容触控屏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7894B2 (en) * 2002-03-25 2006-12-12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Method for assembling nano objects
US7150801B2 (en) * 2003-02-26 2006-12-1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cold field-emission cathodes
US20050209392A1 (en) * 2003-12-17 2005-09-22 Jiazhong Luo Polymer binders for flexible and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containing carbon nanotubes
CN105696139B (zh) * 2004-11-09 2019-04-16 得克萨斯大学体系董事会 纳米纤维纱线、带和板的制造和应用
CN101280161B (zh) * 2007-04-06 2013-01-09 清华大学 导电胶带及其制造方法
GB0708293D0 (en) * 2007-04-28 2007-06-06 Q Flo Ltd An enhancement of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fib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4471B2 (en) 2014-07-31 2017-10-31 Samsung Display Co., Ltd Passive matrix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5819A1 (en) 2011-01-13
CN101944403A (zh) 2011-01-12
JP2011016356A (ja) 2011-01-27
EP2273511A1 (en)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7193B2 (en) Conductive plate
CN103440896B (zh) 铜纳米线和聚(3,4-亚乙二氧基噻吩)-聚(苯乙烯磺酸)复合柔性透明电极及其制备方法
KR101444132B1 (ko)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909636B1 (ko) 투명한 점착제층을 가지는 편광 필름 적층체 및 표시 패널
JP5460153B2 (ja) タッチパネルを利用した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US20110005815A1 (en) Conductive plate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US20140293161A1 (en) Polarizer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ouch screen using the same
KR20110004783A (ko) 도전판 및 그의 제조방법
US11716818B2 (en) Embedded-type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1154202A (ja) 電気泳動表示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21425A (ko) 투명 발광소자 디스플레이용 매립형 전극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5473440B2 (ja) タッチパネルを利用した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20110885A (ko) 편광판 일체형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9585507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401050B1 (ko)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082234A (ko) 자성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및 이를 사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CN104423746A (zh) 触摸屏的制备方法
Anisimov et al. 16.3: Printed Touch Sensors Using Carbon NanoBud® Material
JP2013222590A (ja) 導電パターン形成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78853B (zh) 易分离的电子装置
JP2014078461A (ja) 導電積層体の製造方法
US20150060251A1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572452B2 (ja) 導電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73674A (ja) 導電性パターンシートの製造方法、導電性パターンシート、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4002249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