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57U - 자력식 차압계 - Google Patents

자력식 차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57U
KR20110004757U KR2020090014444U KR20090014444U KR20110004757U KR 20110004757 U KR20110004757 U KR 20110004757U KR 2020090014444 U KR2020090014444 U KR 2020090014444U KR 20090014444 U KR20090014444 U KR 20090014444U KR 20110004757 U KR20110004757 U KR 201100047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agnet
outlet
inlet
differenti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864Y1 (ko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2020090014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86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8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01L13/06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14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volving the displacement of magnets, e.g. 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가 흐르는 라인에 설치된 필터(filter), 각종 밸브(valve), 스트레이너(strainer) 등과 같은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이들 장치에 연결된 유체 라인의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부와 유출부의 압력 차이를 자력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자력식 차압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필수적인 공차인 슬라이드유닛과 슬라이드공의 틈새로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여 차압 측정의 신뢰성을 높이고, 장기 사용시에도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높인 자력식 차압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게이지 케이스; 상기 슬라이드공에 인접되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는 회전자석과, 상기 회전자석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게이지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지침을 포함하는 회전유닛;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슬라이드공에 삽입되어 유입구와 유출구의 압력차에 의해 슬라이드공에서 이동되고,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자석이 자력으로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자석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드유닛의 바디와 슬라이드자석 사이에는 유입구와 유출구의 압력차에 의해 직경이 가변되는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력식, 차압계, 실링부재, 확장부, 회전유닛, 슬라이드유닛

Description

자력식 차압계{Differential pressure gauge using magnetic force}
본 고안은 유체가 흐르는 라인에 설치된 필터(filter), 각종 밸브(valve), 스트레이너(strainer) 등과 같은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이들 장치에 연결된 유체 라인의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부와 유출부의 압력 차이를 자력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자력식 차압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필수적인 공차인 슬라이드유닛과 슬라이드공의 틈새로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여 차압 측정의 신뢰성을 높이고, 장기 사용시에도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높인 자력식 차압계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체(예;LPG, LNG) 라인에 설치되는 필터, 밸브, 스트레이너 등의 유체장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기능이 저하된다. 그 이유는 유체가 유체장치의 내부를 흐르는 동안에 유체 중의 불순물이 유체장치 내부의 부품에 쌓이거나 유체장치의 부품들이 노화되기 때문이다.
유체 라인에 설치되는 각종 유체장치는 유체를 공급, 차단거나 불순물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기능이 저하되는 때에는 즉시 보수 또는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
각종 유체장치의 기능저하, 즉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보수 또는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장치 중의 하나가 차압계이다. 차압계의 설치는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다.
자력식 차압계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995-7461호 "자력식 차압계"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 알 수 있듯이, 자력식 차압계는
유입구와 유출구, 그리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공에 배치되어 유입구와 유출구의 압력차에 의해 슬라이드공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드유닛과,
상기 슬라이드공에 인접하여 몸체에 내삽되고, 슬라이드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 정도(즉, 유입구와 유출구의 압력차)를 눈금으로 표시하여 주는 게이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드유닛과 회전유닛에는 각각 자석이 구비되어 있어, 슬라이드유닛과 회전유닛은 상호 자력이 작용하여 연동하여 운동(이동과 회전)을 하게 된 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력식 차압계는 슬라이드유닛이 압력차에 의해 슬라이드공에서 직진운동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그에 따라 슬라이드공과 슬라이드유닛은 공차를 필수적으로 가져야 한다. 즉, 슬라이드공의 내경은 슬라이드유닛의 외경 보다 길어야 한다.
한편, 슬라이드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즉, 직진운동)을 위해 공차가 필수적이지만, 이 공차를 통해 유체가 누설되면 안된다. 유체가 누설되면 슬라이드유닛의 좌우, 즉, 유입구측과 유출구측의 압력차가 줄어들거나 소멸하여 유체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이상 유무를 정확히 감지해낼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슬라이드유닛의 이동을 위해서 공차는 필수적이면서도, 정확한 차압 측정을 위해서는 공차가 없어야 한다. 즉, 공차를 통해 유체가 누설되지 않아야 한다. 통상 슬라이드유닛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는 공차가 2/100 mm는 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공차를 통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여 차압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 상기 실용신안 공개공보를 포함하여 종래의 자력식 차압계는 이러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리하여 설치 초기에는 어느 정도는 신뢰성 있게 차압을 측정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유체 라인에 설치되어 있을 뿐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자력식 차압계에서 필수적으로 존재하는 공차를 통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여 차압 측정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고,
실링부재로 인해 슬라이드유닛의 원활한 이동이 방해받지 않고, 실링부재가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의 실링부재와 슬라이드유닛을 구비한 자력식 차압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게이지 케이스;
상기 슬라이드공에 인접되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는 회전자석과,
상기 회전자석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게이지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지침을 포함하는 회전유닛;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슬라이드공에 삽입되어 유입구와 유출구의 압력차에 의해 슬라이드공에서 이동되고,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자석이 자력으로 상기 회전유닛 의 회전자석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드유닛의 바디와 슬라이드자석 사이에는 유입구와 유출구의 압력차에 의해 직경이 가변되는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구비되는 'U'자 형상의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확장부는 홈부가 상기 유입구를 향하고 돌출부가 상기 유출구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단부는 상기 바디와 슬라이드자석을 연결하는 표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바디 또는 슬라이드자석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슬라이드유닛 바디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원주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유출구에 결합된 체결볼트에 구비된 영점조절볼트에 타측이 지지되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는 실링부재가 슬라이 공의 내벽과 슬라이드유닛 사이의 공차(틈새)를 차단하여 유체가 틈새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압 측정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높다.
그리고 실링부재의 확장부는 유입구와 유출구의 압력차가 있을 때에만 확장되어(즉, 직경이 길어져) 공차를 차단하므로 슬라이드유닛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거나 쉽게 마모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에 대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는 몸체(10), 게이지 케이스(20), 회전유닛(30), 슬라이드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공(11)의 양측에는 유체 라인이 연결되는 체결볼트(51)가 스크류 체결되어 유체가 유입, 유출되는 유입구(11a)와 유출구(11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회전자석(31)이 내삽되는 삽입공(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3)은 회전자석(31)과 슬라이드자석(41) 간에 자력이 작용하 도록 상기 슬라이드공(11)과 인접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게이지 케이스(20)가 볼트결합되는 볼트공 다수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a)와 유출구(11b)에 각각 스크류 체결되는 체결볼트(51)에는 패킹(55)이 구비되어 결합틈새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유출구(11b)에 체결되는 체결볼트(51)에는 돌출길이가 조절되는 영점조절볼트(53)가 구비된다.
상기 게이지 케이스(20)는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배치되고, 게이지 케이스(2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유닛(30)의 지침(35)이 배치된다.
상기 게이지 케이스(20)는 눈금과 압력수치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회전유닛(30)의 회전핀(36)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있는 다이얼케이스(21)와,
상기 다이얼케이스(21)와 결합되어 내측에 상기 지침(35)과 회전핀(36)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호케이스(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호케이스(23)에는 외측에서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기준핀(26)이 결합되고, 상기 기준핀(26)의 내측 단부에는 기준지침(25)이 결합되어 상기 보호케이스(23)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기준지침(25)은 통상 유체라인(3)에 설치되는 유체장치(1)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임계치 차압을 가리키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전유닛(30)은 회전자석(31), 회전핀(36), 지침(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자석(31)은 상기 몸체(10)의 삽입공(13)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어 상기 슬라이드공(11)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드자석(41)과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상기 회전핀(36)은 상기 회전자석(31)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고, 단부에는 상기 지침(35)이 결합된다.
상기 지침(35)은 상기 회전핀(36)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자석(31)과 일체로 회전하여, 회전자석(31)의 회전량, 즉, 유입구(11a)와 유출구(11b)의 압력차를 눈금을 통해 표시해 준다.
상기 슬라이드유닛(40)은 상기 슬라이드공(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슬라이드유닛(40)의 좌우측, 즉 유입구(11a)와 유출구(11b)의 압력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드유닛(40)은 슬라이드자석(41), 바디(43), 스프링(45), 실링부재(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자석(41)은 상기 회전유닛(30)의 회전자석(31)과 상호 자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드자석(41)의 이동량만큼 회전자석(31)을 회전시킨다.
상기 바디(43)는 상기 슬라이드자석(41)과 결합되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원주홈(433)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수용홈(4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주홈(433)은 바디(43)가 슬라이드공(11)의 내벽에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슬라이드유닛(40)이 원활하게 슬라이드공(11)에서 직진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론적으로는 접촉면적은 마찰력의 크기와 상관 없지만, 실제로는 접촉면적이 작으면 마찰력의 작아진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435)에는 코일 스프링(45)의 일측이 수용된다.
그리고 바디(43)의 슬라이드자석(41)과의 결합부위에는 실링부재(47)의 확장부(473)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4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45)은 상기 바디(43)의 수용홈(435)에 일측에 수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유출구(11b)에 결합된 체결볼트(51)에 구비된 영점조절볼트(53)와 접촉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45)은 돌출길이가 조절되는 영점조절볼트(53)에 의해 탄성력이 조절되고, 조절된 탄성력으로 바디(43)와 슬라이드자석(41)을 밀어 회전유닛(30)의 지침(35)을 게이지 케이스(20)의 눈금 0점에 맞춘다.
참고로, 상기 영점조절볼트(53)는 상기 체결볼트(51)에 스크류결합되어 돌출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외측에는 드라이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47)는 상기 슬라이드자석(41)과 바디(43)의 결합부위에 개재되고, 그 직경이 가변 된다.
그리하여 유입구(11a)의 압력이 유출구(11b)의 압력 보다 큰 경우에는 직경이 확장되어(길어져) 슬라이드공(11)의 내벽에 밀착되어 슬라이드공(11)과 슬라이드유닛(40)의 공차(g)(즉, 틈새)를 차단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참고로, 유체라인(3)에 설치되는 유체장치(1)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유입구(11a)의 압력이 유출구(11b)의 압력과 같거나 크다. 즉, 유체가 흐르는 평상시의 정상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유닛(40)이 양측의 압력 평행으로 정지해 있거나 유출구(11b)의 방향으로 힘(압력)을 받아 이동한다.
상기 실링부재(47)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각각 슬라이드자석(41)과 바디(43)가 밀착되어 결합되는 평면부(471)와, 상기 평면부(471) 가장자리에 일체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U'자 형상의 확장부(4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슬라이드자석(41)과 바디(43)를 결합고정시키는 고정볼트(57)가 상기 평면부(471)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드자석(41)과 바디(43)를 잡아당겨 평면부(471)는 이들에 밀착결합된다.
상기 확장부(473)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드자석(41)과 바디(43)의 표면에서 돌출된다. 확장부(473)의 돌출길이는 압력차가 없는 상태에서 슬라이드공(11)의 내벽에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되더라도 선접촉되는 선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U'자 형상의 확장부(473)에서 홈부(473a)는 유입구(11a)를 향하고, 돌출부(473b)는 유출구(11b)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 구(11a)의 압력이 유출구(11b)의 압력과 같거나 큰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확장부(473)의 돌출부(473b)는 상기 바디(43)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431)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확장부(473)는 지지부(431)에 수용되어 지지됨으로써 유입의 압력이 크더라도 유출구(11b)쪽으로 젖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참고로, 슬라이드자석(41)은 유입구(11a) 측에 배치되고, 바디(43)는 유출구(11b) 측에 배치된 것으로 도면을 도시하고, 설명을 하였으나, 슬라이드자석(41)과 바디(43)는 위치를 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는 코일 스프링(45)은 유출구(11b) 측에 배치되므로 슬라이드자석(41)에 결합될 것이고, 확장부(473)의 돌출부(473b)를 지지하는 지지부(431)는 슬라이드자석(41)에 형성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자력식 차압계의 작동원리를 이하에서 도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는 유체라인(3)에 설치된 유체장치(1)의 양측 유체라인(3)에 각각 유입구(11a)와 유출구(11b)가 연결된다. 그리하여 유입구(11a)와 유출구(11b)에는 각각 유체장치(1)의 양측, 즉, 유체라인(3)의 유입관(3a)과 유출관(3b)에 흐르는 유체의 일부가 각각 유입된다. 즉, 차압계 유입구(11a)의 압력은 유체장치(1) 유입관(3a)의 압력과 같고 차압계 유출구(11b)의 압력은 유체장치(1) 유출관(3b)의 압력과 같은 상태가 되어, 차압계는 유체장치(1)의 유입관(3a)과 유출관(3b)의 압력차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유입구(11a)와 유출구(11b)를 통해 슬라이드유닛(40)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슬라이드공(11)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같은 때에는 슬라이드유닛(40)은 양측의 압력이 평행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동을 하지 않고,
양측의 슬라이드공(11)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다를 때에는 슬라이드유닛(40)은 압력이 작은 쪽으로 힘을 받아 이동을 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유닛(40)의 슬라이드자석(41)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자석(31)은 자력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을 하고, 회전자석(31)이 회전함에 따라 지침(35)이 회전하여 회전자석(31)의 회전량(즉, 유입구(11a)와 유출구(11b)의 압력차)을 게이지 케이스(20)에 표시된 눈금과 수치를 지시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유입구(11a)와 유출구(11b)롱 유입된 유체는 각각 슬라이드자석(41)과 바디(43)를 밀게 되는데, 유입구(11a)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이 유출구(11b)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 보다 큰 때에는, 유입구(11a)로 유입된 유체는 공차(g)(슬라이드공(11)의 내벽과 슬라이드유닛(40)의 틈새)를 통해 유출구(11b)로 이동을 한다. 이때 공차(g)를 통한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지 못하면 양측의 압력차는 줄어들고 심할 때에는 압력차가 없어진다.
공차(g)를 통해 유입구(11a)에서 유출구(11b)를 향해 이동하는 유체는 실링부재(47)의 확장부(473) 홈부(473a)에 부딪히고, 부딪히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확장부(473)는 확장되어 직경이 늘어나 슬라이드공(11) 내벽에 접촉되어 공차(g)(틈새)를 막아 유체가 유출구(11b)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이때 유체의 압 력이 클 수록 확장부(473)는 더욱 확장되어 슬라이드공(11)에 보다 큰 면적이 보다 강하게 밀착되어 틈새를 완전히 막아 버린다.
확장부(473)가 공차(g)를 막게 되므로 유입구(11a)의 압력은 계속해서 유출구(11b)의 압력보다 크게 되므로 슬라이드유닛(40)은 유출구(11b)를 향해 이동을 한다. 그리고 이동시에는 'U'자형 확장부(473)의 돌출부(473b)가 유출구(11b)를 향하고 있으므로 확장부(473)가 슬라이드공(11) 내벽에 밀착되더라도 슬라이드유닛(40)의 이동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확장부(473)는 연질의 재질을 갖되 마찰력은 작은 물질을 이용하면 공차(g)를 훌륭하게 막으면서 슬라이드유닛(40)의 이동을 거의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슬라이드유닛(40)이 유출구(11b) 쪽으로 이동한 후에 양측의 압력차가 같아지거나 유출구(11b)의 압력이 보다 커진 때에는 실링부재(47)의 확장부(473)는 직경이 작아져 슬라이드공(11) 내벽에서 접촉이 떨어지게 되고, 코일 스프링(45)의 탄성령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유닛(40)은 유입구(11a)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자력식 차압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의 사시도.
도 2 는 도1에 도시된 차압계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력식 차압계의 단면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몸체 11 : 슬라이드공
13 : 삽입공 20 : 게이지 케이스
30 : 회전유닛 31 : 회전자석
33 : 지침 35 : 회전핀
40 : 슬라이드유닛 41 : 슬라이드자석
43 : 바디 431 : 지지부
45 : 스프링 47 : 실링부재
471 : 평면부 473 : 확장부

Claims (4)

  1.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게이지 케이스;
    상기 슬라이드공에 인접되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는 회전자석과,
    상기 회전자석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게이지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지침을 포함하는 회전유닛;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슬라이드공에 삽입되어 유입구와 유출구의 압력차에 의해 슬라이드공에서 이동되고,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자석이 자력으로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자석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드유닛의 바디와 슬라이드자석 사이에는 유입구와 유출구의 압력차에 의해 직경이 가변되는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차압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구비되는 'U'자 형상의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차압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확장부는 홈부가 상기 유입구를 향하고 돌출부가 상기 유출구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단부는 상기 바디와 슬라이드자석을 연결하는 표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바디 또는 슬라이드자석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차압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유닛 바디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원주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유출구에 결합된 체결볼트에 구비된 영점조절볼트에 타측이 지지되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자력식 차압계.
KR2020090014444U 2009-11-06 2009-11-06 자력식 차압계 KR200458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44U KR200458864Y1 (ko) 2009-11-06 2009-11-06 자력식 차압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44U KR200458864Y1 (ko) 2009-11-06 2009-11-06 자력식 차압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57U true KR20110004757U (ko) 2011-05-13
KR200458864Y1 KR200458864Y1 (ko) 2012-03-15

Family

ID=4762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444U KR200458864Y1 (ko) 2009-11-06 2009-11-06 자력식 차압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8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923A (ko) 2015-03-19 2016-09-28 한기원 충전식 휴대형 압력용기의 밸브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7435U (ko) * 1985-05-15 1986-11-21
KR950007461Y1 (ko) * 1993-02-05 1995-09-11 이유성 자력식 차압계
KR19990006278U (ko) * 1997-07-25 1999-02-18 양재신 가스 스프링 텔게이트의 실링구조
KR100291603B1 (ko) * 1998-06-15 2001-11-22 김광수 차압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923A (ko) 2015-03-19 2016-09-28 한기원 충전식 휴대형 압력용기의 밸브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864Y1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8423B2 (ja) 電子的にモニタされた空気バルブ及びピストンを有する往復ポンプ
KR100866350B1 (ko) 유압엑츄에이터의 에프에이솔레노이드밸브 진단 테스트블록및 방법
BRPI0900975B1 (pt) corpo medidor volumétrico de fluido e pistão livre
CN112262277B (zh) 用于控制流体流动的装置
MX2014004424A (es) Graduador de baja temperatura y metodo.
US8875733B2 (en) Check valve in backflow prevention device
KR200458864Y1 (ko) 자력식 차압계
JP6618123B2 (ja) 流量制御装置
KR101938164B1 (ko) 이중 체크 밸브의 누설 테스트장치 및 방법
WO2015029494A1 (ja) ピストンプルーバ
KR102333020B1 (ko) 유량 제어 장치
US8887756B2 (en) Shutoff valve in backflow prevention device
CN205228537U (zh) 孔口装置
KR101102247B1 (ko)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KR101495033B1 (ko) 발전소 솔레노이드밸브의 테스트 블록장치 및 방법
US8915115B2 (en) Piston prover
KR100436972B1 (ko) 유량계의 표준화 교정용 기체유량측정장치
EP2082185B1 (en) Head for checking linear dimensions of mechanical pieces
KR20170075131A (ko) 유체흐름 검사기
JPH11201310A (ja) 流量測定機能付き逆止弁
KR950007461Y1 (ko) 자력식 차압계
KR20000001874A (ko) 차압계
US8844562B2 (en) Access cover in backflow prevention device
KR100817310B1 (ko) 바이패스 유량계
CN210566442U (zh) 流量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