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131A - 유체흐름 검사기 - Google Patents

유체흐름 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131A
KR20170075131A KR1020150184270A KR20150184270A KR20170075131A KR 20170075131 A KR20170075131 A KR 20170075131A KR 1020150184270 A KR1020150184270 A KR 1020150184270A KR 20150184270 A KR20150184270 A KR 20150184270A KR 20170075131 A KR20170075131 A KR 20170075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rate
opening
flow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엔씨 filed Critical (주)에프엔씨
Priority to KR102015018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131A/ko
Publication of KR2017007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01F1/2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 G01F1/2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with magnetic or electr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흐름 검사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유체흐름 검사기는, 유체가 흐르는 유량측정유로를 구비하며 유량측정유로가 유체 유입구에서 유체 배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 형성되는 본체와, 유체의 유입을 위하여 유체 유입구에 결합되며, 유체배관과 연결되는 제1배관 연결구와, 유체의 배출을 위하여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며, 유체배관과 연결되는 제2배관 연결구와, 유량측정유로를 개폐하도록 유량측정유로에 삽입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유량측정유로에서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유량측정유로가 개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도록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흐름 검사기{DEVICE FOR CONFIRMING FLOW OF FLUID}
본 발명은 유체흐름 검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유입구에서 유체 배출구측으로 갈수록 유로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하여 유량의 측정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체흐름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는 각종 산업현장이나 공장의 산업설비에 이르기까지 냉각수공급라인 또는 오일공급라인 등에 적용된다. 이러한 관로는 탱크로부터 목적지인 기계장비에 이르기까지 2개 이상의 관들을 서로 관이음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관로의 관에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각종밸브 내지 계기가 설치되게 마련이다.
상기와 같은 관로의 관들은 모두 그 내부가 들여다보이지 않는 불투명한 금속관, 다시 말해서 강관 내지 주철관 등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관로를 이루는 밸브가 잠겨있거나 스트레이너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래서 유체이송 배관에는 유체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유체흐름 확인용 연결구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유체흐름 확인용 연결구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직선으로 형성되므로, 유량의 측정범위가 저하됨은 물론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연결되는 유량표시부의 실링을 위하여 유량표시부에 실링부재가 설치되므로, 개폐부재의 움직임이 미세할 경우 실링부재로 인하여 유량표시부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9686호(등록일:2014년12월01일)에는 "유체흐름 확인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유량의 측정을 위하여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량측정유로의 크기를 유체 유입구에서 유체 배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형성함으로써, 유량의 측정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체흐름 검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량에 따라 유량측정유로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이 개폐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부를 비접촉식으로 연동시켜 개폐부재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유량표시부가 작동하는 유체흐름 검사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는, 유체가 흐르는 유량측정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유량측정유로가 유체 유입구에서 유체 배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 형성되는 본체와, 유체의 유입을 위하여 상기 유체 유입구에 결합되며, 유체배관과 연결되는 제1배관 연결구와, 유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배관과 연결되는 제2배관 연결구와, 상기 유량측정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유량측정유로에 삽입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유량측정유로에서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유량측정유로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유량측정유로를 통해 이송하는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부가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이동시 상기 유량표시부의 포인터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포인터 작동마그네틱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제2배관 연결구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배관 연결구는, 상기 탄성지지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스프링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프링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유량의 측정을 위하여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량측정유로의 크기를 유체 유입구에서 유체 배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시켜 유량의 측정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부를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방식으로 연동시켜 개폐부재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유량표시부가 작동하므로, 미세한 유체의 흐름도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럼으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100)는, 유체가 흐르는 유체배관(10)에 설치되며, 유체배관(10)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표시한다.
이러한, 유체흐름 검사기(100)는, 본체(110)와, 유체배관(10)과 본체(110)를 연결하도록 본체(110)에 결합되는 제1배관 연결구(120) 및 제2배관 연결구(130)와, 유체의 흐름에 따라 본체(11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40)와, 개폐부재(140)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유체흐름 검사기(100)는 본체(110)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표시하도록 본체(110)에 결합되는 유량표시부(160)를 더 포함한다. 유량표시부(160)는 사용자가 유량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100)는 유량의 측정범위를 증가 시킴은 물론 미세한 개폐부재(140)의 움직임도 유량표시부(160)에 표시될 수 있다.
본체(110)는 사각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유체가 이송하는 유량측정유로(111)가 형성되고, 유량측정유로(111)의 양측에 유체 유입구(113) 및 유체 배출구(115)가 각각 형성된다. 즉, 본체(110)는 유체 유입구(113)와 유체 배출구(115)가 유량측정유로(111)에 의해 연통된다.
또한, 본체(110)는 유량측정유로(111)의 내부에 개폐부재(140) 및 탄성지지부(150)가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유량측정유로(111)를 개폐하게 된다.
유량측정유로(111)는 내부에 개폐부재(14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지지부(150)의 탄성을 통해 개폐부재(140)가 이동하여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더하여 유량측정유로(111)는 유체 유입구(113)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 압력에 의해 개폐부재(140)가 탄성지지부(150)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부를 개방하게 된다.
특히, 유량측정유로(111)는 내부를 흐르는 유량을 증가시켜 유량의 측정범위를 보다 넓게 할 수 있도록 내부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량측정유로(111)는 유체 유입구(113)에서 유체 배출구(115)로 갈수록 그 내경이 확장 형성된다.
유체 유입구(113)에는 제1배관 연결구(120)가 결합된다. 이때 유체 유입구(113)는 제1배관 연결구(1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제1배관 연결구(120)는, 유체의 유입을 위하여 유체 유입구(113)에 결합되며, 유체배관(10)과 연결된다. 또한 제1배관 연결구(120)는 유체 유입구(113)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실링부재를 통해 유체 유입구(113)와 긴밀하게 실링처리된다.
유체 배출구(115)에는 제2배관 연결구(130)가 결합된다. 이때, 유체 배출구(115)의 내면에는 제2배관 연결구(130)의 결합을 위하여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제2배관 연결구(130)는 유체배관(10)이 연결됨은 물론 개폐부재(140)와 탄성지지부(15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2배관 연결구(130)는 유체 배출구(115)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도록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실링부재를 통해 유체 배출구(115)와 긴밀하게 실링처리된다.
특히, 제2배관 연결구(130)는 탄성지지부(150)가 보다 안정되게 지지됨은 물론 유체의 흐름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도록 스프링안착홈부(131)가 형성된다. 스프링안착홈부(131)는 제2배관 연결구(130)의 내면에 단차를 가지도록 확장형성된다.
개폐부재(140)는 유량측정유로(11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유량측정유로(111)에서 이동하여 유량측정유로(111)를 개방시킨다. 또한, 개폐부재(140)는 유량측정유로(111)에 유체가 흐르지 않으면 탄성지지부(15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유량측정유로(111)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개폐부재(140)는 유체 배출구(115)측에서 유량측정유로(111)로 삽입되며, 탄성지지부(150)에 의해 유체 유입구(113)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유량측정유로(111)를 밀폐하게 된다. 더하여, 개폐부재(140)는 탄성지지부(150)가 보다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탄성지지부(15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프링결합돌부(141)가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140)는 테프론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150)는 개폐부재(140)와 제2배관 연결구(130) 사이에 위치되어 개폐부재(140)를 유체 유입구(113)측으로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탄성지지부(150)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제2배관 연결구(130)의 스프링안착홈부(131)에 삽입되고 타단부에 개폐부재(140)의 스프링결합돌부(141)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탄성지지부(150)는 유체흐름 검사기(100)가 수직 또는 기울어지게 설치되어도 개폐부재(140)를 정확한 밀폐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하여 유체의 흐름이 없을 때 포인터(161)의 "0"점 복귀가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100)는 개폐부재(140)의 움직임에 따라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부(160)의 포인터(161)가 정확하게 움직임은 물론 개폐부재(140)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반응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유체흐름 검사기(100)는 포인터(161)의 작동을 위한 작동마그네틱(170)을 더 포함한다.
작동마그네틱(170)은 포인터(161)를 비접촉방식으로 개폐부재(140)와 연동시켜 개폐부재(140)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유량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마그네틱(170)은 개폐부재(140)에 결합되는 제1마그네트(171)와, 포인터(161)에 결합되는 제2마그네트(1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마그네트(171)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마그네트(173)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마그네트(171)는 개폐부재(140)에 형성되는 자석결합홈(143)에 결합된다. 제2마그네트(173)는 포인터(161)에 결합되어 본체(110)의 자석안착홈(117)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작동마그네틱(170)은 개폐부재(140)와 함께 이동하는 제1마그네트(171)와 제2마그네트(173)의 자력에 의해 제2마그네트(173)가 회전하면서 포인터(161)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흐름 검사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1배관 연결구(120) 및 제2배관 연결구(130)가 유체배관(10)에 결합되도록 유체가 흐르는 유체배관(10)상에 유체흐름 검사기(100)를 설치한다. 이때, 본체(110)의 유량측정유로(111)는 유체배관(10)과 연통하고, 개폐부재(140)에 의해 밀폐된다.
개폐부재(140)는 탄성지지부(150)의 탄성력에 의해 유체 유입구(113)측으로 이동되어 유량측정유로(111)를 긴밀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개폐부재(140)가 탄성지지부(15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개폐부재(140)가 유량측정유로(111)를 밀폐하는 정확한 밀폐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유체흐름 검사기(100)가 수직 또는 기울지게 설치되어도 개폐부재(140)의 자중에 의해 유량측정유로(111)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포인터(161)의 "0"이 정확하게 표시된다.
또한, 유체배관(10)으로 유체가 흐름에 따라 유체의 압력이 개폐부재(140)에 가해지면 개폐부재(140)가 유체 배출구(115)측으로 이동하면서 유량측정유로(111)가 개방된다. 그리고 개폐부재(140)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171)의 이동에 따른 자력의 변화로 인하여 제2마그네트(173)가 회전하면서 포인터(161)를 작동시킨다.
이후,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면 개폐부재(140)가 탄성지지부(150)의 탄성을 통해 이동하여 유량측정유로(111)가 다시 밀폐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유체흐름 검사기 110 : 본체
111 : 유량측정유로 113 : 유체 유입구
115 : 유체 배출구 120 : 제1배관 연결구
130 : 제2배관 연결구 131 : 스프링안착홈부
140 : 개폐부재 150 : 탄성지지부
160 : 유량표시부 170 : 작동마그네틱
171 : 제1마그네트 173 : 제2마그네트

Claims (3)

  1. 유체가 흐르는 유량측정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유량측정유로가 유체 유입구에서 유체 배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 형성되는 본체;
    유체의 유입을 위하여 상기 유체 유입구에 결합되며, 유체배관과 연결되는 제1배관 연결구;
    유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배관과 연결되는 제2배관 연결구;
    상기 유량측정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유량측정유로에 삽입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유량측정유로에서 이동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유량측정유로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흐름 검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유량측정유로를 통해 이송하는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부가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이동시 상기 유량표시부의 포인터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포인터 작동마그네틱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흐름 검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제2배관 연결구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2 배관 연결구는, 상기 탄성지지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스프링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프링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흐름 검사기.
KR1020150184270A 2015-12-22 2015-12-22 유체흐름 검사기 KR20170075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270A KR20170075131A (ko) 2015-12-22 2015-12-22 유체흐름 검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270A KR20170075131A (ko) 2015-12-22 2015-12-22 유체흐름 검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131A true KR20170075131A (ko) 2017-07-03

Family

ID=5935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270A KR20170075131A (ko) 2015-12-22 2015-12-22 유체흐름 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1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454B1 (ko) * 2020-07-01 2020-12-30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탄성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방수압력 측정장치
KR102258925B1 (ko) 2020-07-29 2021-06-01 (주)동진테크 유체 이물질 확인용 점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454B1 (ko) * 2020-07-01 2020-12-30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탄성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방수압력 측정장치
KR102258925B1 (ko) 2020-07-29 2021-06-01 (주)동진테크 유체 이물질 확인용 점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8550C (en) No-drip check valves
KR20170075131A (ko) 유체흐름 검사기
JP6297255B2 (ja) 弁装置を有する分岐管及びその使用方法
EP3692308B1 (en) A valve for controlling fluid flow, a fluid distribution system and a method for measuring differential pressure
EP2818776A1 (en) Bypass valve
US9310235B2 (en) Double isolation for double chamber differential pressure meter
KR20160072771A (ko) 음료 공급 장치의 전자 밸브
US10317003B2 (en) Double block and bleed system for an orifice fitting
KR20160136822A (ko) 유체 확인용 사이트 글라스
JP2002513901A (ja) 制御弁内のピストン用封入インジケータ
US20160153571A1 (en) Bypass valve
JP2009014153A (ja) 定流量弁
KR101238177B1 (ko) 일방향 개폐밸브
CN217082203U (zh) 用于管、管道或导管的多功能配件和仪表组
US20220341809A1 (en) Pressure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using same
RU178656U1 (ru) Расходомер вихревой
JP4432032B2 (ja) 戸別給水配管設備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EP2116654A2 (en) Water device
KR20130056720A (ko) 압력차를 이용한 내부 압력표시 스톱밸브
JP2018059561A (ja) 管継手および逆流防止器ユニット
KR20150090567A (ko) 밸브 일체형 유량계
TH86472B (th) วาล์วสำหรับวัดที่ประกอบด้วยท่อตัวในอยู่กับที่และปลอกตัวนอกเคลื่อนตัวได้
ITBS20110039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rilevare e misurare microflussi di fluid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