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461Y1 - 자력식 차압계 - Google Patents

자력식 차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461Y1
KR950007461Y1 KR2019930001504U KR930001504U KR950007461Y1 KR 950007461 Y1 KR950007461 Y1 KR 950007461Y1 KR 2019930001504 U KR2019930001504 U KR 2019930001504U KR 930001504 U KR930001504 U KR 930001504U KR 950007461 Y1 KR950007461 Y1 KR 950007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guide
outlet
inle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101U (ko
Inventor
이유성
전명복
Original Assignee
이유성
전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성, 전명복 filed Critical 이유성
Priority to KR2019930001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461Y1/ko
Publication of KR940021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14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volving the displacement of magnets, e.g. electromag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력식 차압계
제1도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얼케이스 2 : 다이얼
4 : 회동자석 5 : 지침
10 : 실린더 11 : 스플
12 : 슬라이드 자석 14 : 스프링
18 : 영점조절볼트
본 고안은 가스라인의 필터(Filter) 각종 밸브(Valve), 스트레이너(Strainer)등의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의 압력 차이를 측정함으로서 이들의 작동상태를 점검할수 있도록 하는 자력식 차압계(差壓計)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체(流體)라인에 설치된 밸브나 연료장치에 설치된 스트레이너(이하 "유체기구"라함)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그 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서, 그 이유로는 유체가 유체기구의 내부를 흐르는 동안에 유체중의 불순물이 유체기구 내부의 부품에 부착되어 쌓이거나 부품자체가 마찰등에 의하여 노화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유체 기구의 기능이 저하될때에는 유체 기구내의 부품을 보수하거나 교환하여야만이 유체의 흐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유체기구의 작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지 않아 유체기구를 적당한 시기에 보수 및 교환하는 것이 곤란하였던 것이다.
본고안은 다이얼 케이스(1)의 상, 하에 커버(8)와 다이얼(2)이 각각 고정되고 다이얼(2)상에는 지침(5)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침(5)의 중심핀(3)에는 회동자석(4)을 고정하고, 다이얼(2)의 하부에는 유입구(100)와 유출구(10E)가 형성된 실린더(10)를 고정하되,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자석(12)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장한 구성으로하여 실린더의 유입구와 유출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차압(差壓) 만큼 슬라이드 자석이 변위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회동자석이 지침과 함께 슬라이드 자석의 변위량(變位量)만큼 회동하도록 된 것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는 유체기구의 유입부와 유출부의 차압을 측정하므로서 유체기구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수단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이얼 케이스(1)의 하부에는 눈금과 압력수치가 기재된 다이얼(2)이 고정되어 있으며 다이얼(2)에는 중심핀(3)에 고정된 링형의 회동작석(4)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심핀(3)에는 지침 (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침(5)의 상부에는 지침(5)과 이격되게 자력차단편(6)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피봇축수(6)는 고정구(6a,6b)로서 다이얼(2)에 고정되어 있고, 피봇축수(6)에는 최고지침(7)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봇축수(6)는 지침(5)의 중심핀(3)에 고정된 회동자석(4)의 자력이 최고지점(7)에 까지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 케이스(1)의 상부에는 투명한 커버(8)가 조립되어 이쪽 커버(8)에는 최고지침(7)을 다이얼(2)의 0점으로 리셋(reset)시키기 위한 리셋노브(9)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다이얼(2)의 저면에는 고정구(10a,10b)로서 실린더(10)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실린더(10)는 그 내부에 가이드로(10C)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로 (10C)와 연통하여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유입구(10D)와 유출구(10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로(10C)는 양성단부에 나사부(N1,N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로(10c)내에는 스플(11,Spoal)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스플(11)은 그 외주에 다수개의 원주홈(11A)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유출구(10E)쪽)부에는 조립핀부(1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이 조립핀부(11B)에 슬라이드자석(12)과 스프링 와셔(13)와 스프링(14)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로(10C)에 형성된 일측의 나사부(N1)에는 패킹(15)와 함께 고정캡(16)이 조립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의 나사부(N2)에는 패킹(17)과 함께 영점조절볼트(18)가 조립되어 있다.
영점 조절볼트(18)는 상기 스프링(14)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지침(5)을 다이얼(2)의 0점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그 일측면(가이드로(10C)의 외측)에는 너트 조립부(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너트 조립부(19)의 측면에는 공구홈(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조립부(19)에 영점 조절볼트(18)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너트(21)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유입구(10D)에서 유출구(10E)로의 유체의 흐름은 가능한 것이며 회동자석(4)과 슬라이드 자석(12)의 위치관계는 회종자석(4)의 외접선과 슬라이드 자석(12)의 중심축선이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회동자석(4)과 슬라이드자석(12)의 대응극성이 다르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압계의 사용방법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밸브의 유입부와 유출부의 차압을 측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압계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0)의 유입구(10D)와 유출구(10E)를 밸브(V)와 연결된 유입관(L1)과 유출관(L2)에 각각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K1, K2는 연결관 임)
이렇게 차압계를 설치하고 영점조절볼트(18)를 이동하여 지침(5)의 0점을 조절하고 밸브(V)를 개방한 상태에서 유입관(L1)에 유체가 흐르게되면 이 유체는 밸브(V)를 통하여 유출관(L2)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유입관(L1)과 유출관(L2)을 흐르는 유체의 일부는 차압계의 유입구(10D)와 유출구(10E)를 통하여 가이드로(10C)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체가 차압계의 유입구(10D)와 유출구(10E)를 통하여 유입되는 경우는 밸브(V)의 작동상태가 정상이어서 유입관(L1)쪽과 유출관(L2)쪽의 유체의 흐름 압력이 동일한 상태로 가이드로(10C)내에서의 유체의 흐름은 정리상태가 되어 스라이드자석(12)의 변위는 없게 된다.
한편, 밸브(V)내에서의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는 유입관(L1)쪽의 흐름 압력이 유출관(L2)쪽의 흐름 압력보다 크므로 차압계의 유입구(10D)로 유입되는 유체가 가이드로(10C)를 통하여 유출구(10E)로 유출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로(10C)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 압력은 스플(11)의 원주홈(11A)에 적용하여 스플(11)은 슬라이드 자석(12)과 함께 스프링(14)을 압축하면서 저압축(유출구(10E))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지침(5)의 중심핀(3)에 고정된 회동자석(4)은 슬라이드자석(12)과의 저항자력에 의하여 슬라이드자석(12)의 변위량 만큼 회동하게 되므로서 지침(5)은 유입관(L1)과 유출관(L2)을 흐르는 유체의 차압에 해당하는 눈금 및 수치를 지시하게 되고 지침(5)과 함께 회동하는 최고지침(7)은 지침(5)이 가장 크게 변위되었을때의 압력을 지시한 상태로 멈추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고지침(7)이 지시하는 압력치를 측정하므로서 유입라인(L1)과 유출라인(L2)을 흐르는 유체의 최대 압력차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차압계에 따르면 밸브나 스트레이너등과 같은 각종 유체기구의 유입구측과 유출부측의 차압을 측정하므로서 이 압력차로서 유체기구의 정상적인 작동상태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이얼 케이스(1)의 상, 하에 커버(8)와 다이얼(2)이 각각 고정되고 다이얼(2)상에는 지침(5)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침(5)의 중심핀(3)에는 회동자석(4)를 고정하고, 다이얼(2)의 하부에는 유입구(100)와 유출구(10E)가 형성된 실린더(10)를 고정하되,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자석(12)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장한 구성으로하여 실린더의 유입구와 유출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차압(差壓)만큼 슬라이드 자석이 변위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회동자석이 지침과 함께 슬라이드 자석의 변위량(變位量)만큼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차압계.
KR2019930001504U 1993-02-05 1993-02-05 자력식 차압계 KR950007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504U KR950007461Y1 (ko) 1993-02-05 1993-02-05 자력식 차압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504U KR950007461Y1 (ko) 1993-02-05 1993-02-05 자력식 차압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01U KR940021101U (ko) 1994-09-24
KR950007461Y1 true KR950007461Y1 (ko) 1995-09-11

Family

ID=1935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504U KR950007461Y1 (ko) 1993-02-05 1993-02-05 자력식 차압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4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864Y1 (ko) * 2009-11-06 2012-03-15 이정용 자력식 차압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864Y1 (ko) * 2009-11-06 2012-03-15 이정용 자력식 차압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01U (ko) 199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31716A (en) Flow control valves
US7900522B2 (en) Flow meter having rotor with multiple flow channels of different diameter
US3811470A (en) Fluid control device
WO2015074075A2 (en) Spherical automatic flow emergency restrictor (s.a.f.e.r.) valve
US4388835A (en) Fluid flow meter
KR950007461Y1 (ko) 자력식 차압계
US3482591A (en) Pressure regulator valve
KR101679802B1 (ko) 다이얼식 압력조절 및 소음 방지기능을 구비한 감압밸브
US8875733B2 (en) Check valve in backflow prevention device
US6164324A (en) Adjustable quick closing disk check value with flow indicator
JPH07117168B2 (ja) 砲弾型摺動弁頭を内装する流量調整バルブ
US3115892A (en) Flow controller
US3520324A (en) Valve operating simultaneously as intercepting,register and check valve for fluid flows
US4381797A (en) Flow control valve with a non-rising stem
EP0943901B1 (de) Armatur zur hydraulischen Durchflussmessung
RU2493460C1 (ru) Дроссель дискретный регулируемый дисковый
US8887756B2 (en) Shutoff valve in backflow prevention device
US6581457B2 (en) Compound fluid meter with flow distributor
DE3930083A1 (de) Absperr- und regulierventil
KR100246356B1 (ko) 유체의 순간 상승 압력흡수기
US2272170A (en) Fluid meter
EP1691113A2 (de) Verteilerventil
US4346607A (en) Fluid flow meter with improved sealing means
US20070074769A1 (en) Adjustable regulator insert with linear setting/flow characteristic
KR200458864Y1 (ko) 자력식 차압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