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677U -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 Google Patents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677U
KR20110004677U KR2020090014344U KR20090014344U KR20110004677U KR 20110004677 U KR20110004677 U KR 20110004677U KR 2020090014344 U KR2020090014344 U KR 2020090014344U KR 20090014344 U KR20090014344 U KR 20090014344U KR 20110004677 U KR20110004677 U KR 201100046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oelaces
shoes
shoela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철
Original Assignee
홍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철 filed Critical 홍종철
Priority to KR2020090014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677U/ko
Publication of KR20110004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6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는, 신발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아름답고 예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도구나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신발의 착용부위에 고정시키도록 일정크기로 구부러진 모양으로 형성되는 양단의 걸고리부재와; 상기 걸고리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발에 무리를 주지 않는 정도의 세기를 가지며 중앙으로 가압시키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이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해 줄 뿐만아니라, 다양하면서도 예쁘고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신발, 신발끈, 운동화, 등산화, 악세사리, 밴드, 고리, 고정쇠

Description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Convenient separating and fixing hang device for shoe}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아름답고 예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를 제시한 것이다.
발을 보호해주기 위해 기본적으로 차고 다니는 신발이 각종 기능성과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계속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신발끈을 묶어 착용하게 된다.
신발을 묶는 신발끈은 끈구멍의 위치 등이 각 메이커나 신발의 기능에 따라 다르며, 신발끈 메는 법에 따라 착용감도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신발끈은 너무 길지 않고 미끄럽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길면 잘라내고 미끄러우면 중간에 매듭을 만들어 미끄럽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신발을 착용하는 데 있어 신발끈을 매는 것이 쉽지가 않다. 또한 신발끈을 매기 위한 많은 수의 구멍을 하나하나 끼워 신발 착용감이 좋도록 적당한 탄력을 유지시키는 것 자체가 손이 자주가는 번거로운 일이다.
끈이 있는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하는 것과 관련된 종래 기술의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39133호 '밴드형 신발끈'이 있으며, 도 1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39133호 '밴드형 신발끈'에 대한 도면이다.
이러한 종래의 '밴드형 신발끈'은 유연하며 탄성을 갖는 원통형 밴드(10)와, 상기 밴드(10)에 걸리는 링형고리레일(20)과, 상기 고리레일(20)에 걸리는 구멍(31)이 형성된 연결고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신발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신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며, 발의 크기에 맞게 신발을 적절하게 조여 줌으로 편안하게 신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끈이 있는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하는 것과 관련된 또다른 종래 기술의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86105호 '신발끈'이 있으며,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86105호 '신발끈'에 대한 도면이다.
이 종래의 '신발끈'은, 신발을 구성하는 한 쌍의 발등커버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끈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발등커버를 상호 구속하는 신발끈에 있어서, 신축재질의 신축띠와; 각각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나란하게 배치된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구속기둥과 상기 구속판을 상기 바닥판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끈체결공이 상기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사이영역을 진입하여 상기 구속기둥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신축띠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신발끈의 장착작업이 용이해 지고 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끈이 있는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하는 것과 관련된 또다른 종래 기술의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64923호 '신발끈 고정쇠'가 있으며, 도 3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64923호 '신발끈 고정쇠'에 대한 도면이다.
이 종래의 '신발끈 고정쇠'는, 체결공이 뚫린 타단에 신발끈 걸이판을 U 형상으로 절곡한 형태로서, 신발끈 걸이판의 중간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간격의 신발끈 협삽용 절개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등산화 등의 아이렛 최상단에 리벳팅하여 끈구멍을 통해 끼워 조인 신발끈을 결속하지 않고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끈이 있는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하는 것과 관련된 종래 기술 들에 있어서도, 최초 목적하였던 신발의 편리한 착용에 대해서는 미흡한 부분이 많다.
먼저 첫 번째 종래기술 '밴드형 신발끈'의 경우는 신발끈을 사용하지 않고 통형 밴드에 다수의 연결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하여 끈구멍에 거는 형태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중앙의 밴드 구조로 인해 각 연결고리를 거는 것이 쉽지 않으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신발끈의 모양으로도 멋까지 연출하고 싶은 점 또한 있으나 그러한 연출은 수행이 불가능 하는 등, 보다 세련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두 번째 종래기술 '신발끈'의 경우 신발의 끈구멍에 체결하는 부분에 대한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쉽지 않으며, 실제 착용할 시에도 신발의 끈구멍 부위를 끼워 넣어야 하는 등의 문제도 뒤따른다.
세 번째 종래기술 '신발끈 고정쇠'의 경우는 신발끈 대용품 등을 통해 편리하게 착용하는 것보다는 신발끈 자체를 이용하면서 신발끈의 매듭 상태를 편리하는 것에 가까운 것으로, 이 경우도 신발끈의 사용으로 인한 근본적인 불편함 등은 여전한 상태이다.
아울러 종래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 이외에도 신발의 착용을 편리하게 하고 신발의 멋까지도 낼 수 있는 구조나 용품이라면 사용자들도 크게 바라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서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의 착용부위에 고정시키도록 일정크기로 구부러진 모양으로 형성되는 양단의 걸고리부재와; 상기 걸고리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발에 무리를 주지 않는 정도의 세기를 가지며 중앙으로 가압시키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이음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미감과 착용감을 살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교환 및 탈고정시켜 신발을 착용케하는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있어, 상기 걸고리부재는 신발에 형성된 신발착용용 구멍 이나 신발착용용 고리를 고정시키며; 상기 이음부재는 악세사리 형태의 거치용 거치보조재를 상기 이음부재에 끼우거나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에 대한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때의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신발 착용자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세사리 형태와 접목하므로써 더욱 다양하면서도 예쁘고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의 사용 및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신발로서 일반적인 운동화를, (b)는 운동화에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를 적용시킨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를 걸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에 적용하여 착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는, 걸고리부재(510)와, 이음부재(520)가 구성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이 이음부재(520)에 거치보조재(530)가 거치되어 보다 아름답고 예쁘게 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먼저 걸고리부재(510)는 신발의 착용부위에 고정시키도록 일정크기로 구부러진 모양으로 형성되는 구성부이다.
그리고 이음부재(520)는 걸고리부재(510)의 사이에 위치하고 발에 무리를 주지 않는 착용감 좋은 적합한 정도의 세기로 중앙으로 가압시키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구성부이다.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편화된 신발의 하나로서 운동화(60)에는 운동화끈으로 매어 발에 착용감이 좋은 상태로 묶기 위한 고리구멍(60h)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고리부재(510) 사이에는 이음부재(520)가 위치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음부재(520)는 걸고리부재(5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쪽의 걸고리부재(510)를 중앙으로 수축시키도록, 고무나 밴드 등 신축성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에 있어, 걸고리부재(5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낚시 바늘처럼 그 끝이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또한 이음부재(520)와 달리 경화되고 강도가 있어 수축력에도 견딜 수 있는 재료, 예컨대 철이나 금속, 용수철(스프링), 베나 천, 고무밴드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걸고리부재(510)를 끼워 걸게 되므로써 중앙으로 수축시키며, 이때 수축되는 정도는 발에 무리를 주지 않고 착용감 좋도록 알맞은 정도의 세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에 있어, 이러한 걸고리부재(510)를 운동화(60)의 고리구멍(60h) 수를 메꾸어 가며 다양하게 걸어줌으로써, 결국 종래의 끈을 묶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어 운동화(60)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고리구멍(60h)에 걸어 착용하는 걸고리부재(510)는 그 끝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구멍(60h)에 걸어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할 때 발이나 발등이 아프거나 박히지 않도록 걸고리부재(510)를 비교적 납작하게 형성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을 배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6은 도 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를 걸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에 적용하여 착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의 한 종류로서 등산화(60')에 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가 적용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가 어디에 적용될 수 있는 가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화(60)에서의 고리구멍(60h) 뿐만 아니라 등산화(60') 등에 있어 걸고리(60j)에도 걸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는 끈으로 묶어 착용하거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걸고리에 걸게 되는 운동화, 등산화, 구두, 부츠 등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의 신발에 적용하여 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 ~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로는 다양한 모양으로 편리하게 연출이 가능하다. (a)와 같이 평범하게 기본적으로 일자형태로 할 수도 있으며,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일자형태 뿐만 아니라 나머지 부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의 길이가 긴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 제작시 그 길이를 약간씩일지라도 서로 달리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후술하겠지만 이음부재(520)의 재질이나 형상에 따른 신축성 정도에 따라 그 길이가 서로 같을 지라도 신발(60)을 착용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1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는 중앙의 이음부재(520)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음부재(520)에 끼우거나 부착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거치보조재(530)를 추가시켜 더욱 아름답고 예쁜 형태로 제작해 낼 수 있다.
이러한 거치보조재(530)는 통상 악세사리와 같은 형태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운데,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을 예쁘고 아름다우면서도 다양하게 형 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거치보조재(530)는 수지, 금속판, 천이나 베, 법랑 등 다양한 소재로 그 형태, 색상 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50)는 신발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아름답고 예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39133호 '밴드형 신발끈'에 대한 도면.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86105호 '신발끈'에 대한 도면.
도 3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64923호 '신발끈 고정쇠'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의 사시도.
도 5는 도 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의 사용 및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를 걸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에 적용하여 착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의 신발에 적용하여 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510 : 걸고리부재
520 : 이음부재
530 : 거치보조재
60 : 운동화 60' : 등산화
60h : 고리구멍 60j : 걸고리

Claims (3)

  1. 신발 착용시의 고정을 위한 수단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착용부위에 고정시키도록 일정크기로 구부러진 모양으로 형성되는 양단의 걸고리부재와;
    상기 걸고리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발에 무리를 주지 않는 정도의 세기를 가지며 중앙으로 가압시키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이음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미감과 착용감을 살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교환 및 탈고정시켜 상기 신발을 착용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부재는
    상기 신발에 형성된 신발착용용 구멍이나 신발착용용 고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는
    악세사리 형태의 거치용 거치보조재를 상기 이음부재에 끼우거나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KR2020090014344U 2009-11-04 2009-11-0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KR201100046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344U KR20110004677U (ko) 2009-11-04 2009-11-0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344U KR20110004677U (ko) 2009-11-04 2009-11-0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677U true KR20110004677U (ko) 2011-05-12

Family

ID=4929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344U KR20110004677U (ko) 2009-11-04 2009-11-04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6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477A1 (ko) * 2013-11-25 2015-05-28 주식회사 쿨에버 신발 결속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477A1 (ko) * 2013-11-25 2015-05-28 주식회사 쿨에버 신발 결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07673A1 (en) Securement Strap For A Sandal
US20080086917A1 (en) Shoe supported jewelry article
JP2015519949A (ja) キャノピ付き無タン履物
US20130326907A1 (en) Removable ankle strap system for use with high heeled shoes
WO2001064066A2 (en) Footwear including a locking component
EP3075278A1 (en) Lacing system for shoe
WO2016086292A1 (en) Sandal with self-anchoring sole structure
US20070039207A1 (en) Pant protector
US20150282553A1 (en) Sandal With Adjustable Strap
KR20110004677U (ko) 신발 탈고정 간편 끈걸이구
US20150296925A1 (en) Shoe fastener
US20130239436A1 (en) Shoe strapping system
JP3154088U (ja) パンプス用ホルダー
US20160007688A1 (en) Shoe strapping system
US20200368045A1 (en) Prosthetic leg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130092701A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EP2810578A2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KR101075895B1 (ko) 신발 끈 조임구
JP6346874B2 (ja)
NL2010943C2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KR20130068228A (ko) 신발 장신구
KR200285205Y1 (ko) 신발
KR200451902Y1 (ko) 밴드형 신발끈
JP3150983U (ja) バックストラップ用ホルダー
KR101902109B1 (ko) 신발끈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