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701A -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 Google Patents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701A
KR20130092701A KR1020120014130A KR20120014130A KR20130092701A KR 20130092701 A KR20130092701 A KR 20130092701A KR 1020120014130 A KR1020120014130 A KR 1020120014130A KR 20120014130 A KR20120014130 A KR 20120014130A KR 20130092701 A KR20130092701 A KR 2013009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hoe
band member
shoela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975B1 (ko
Inventor
강태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레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레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레저
Priority to KR102012001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975B1/ko
Priority to PCT/KR2013/001124 priority patent/WO2013122382A1/ko
Publication of KR2013009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적으로 갑피의 개구된 상부를 조이고, 신발끈과 연결되는 제1밴드부재에 의해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을 2차적으로 조일 수 있으며,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나 피로감을 줄이고, 발목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SHOES WITH DUAL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적으로 갑피의 개구된 상부를 조이고, 신발끈과 연결되는 제1밴드부재에 의해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을 2차적으로 조일 수 있으며,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나 피로감을 줄이고, 발목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산화, 작업화 등의 각종 신발을 착용할 때 신발끈을 조여 매듭을 지은 후 작업, 운동, 등산 등 보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운동과 활발한 활동을 하거나 등산과 같이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활동하는 경우에는 신발과 발의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발의 피로도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게 된다. 즉 신발과 발이 충분한 정도로 밀접하게 압착되지 않으면 유격공간에서 발이 헛돌아 발목 부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11759호(공개일:2011.12.21.)에는 신발의 발등 양측에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신발끈이 상기 삽입공으로 교호 삽입되며 신발끈을 매듭지으며 착용하는 공지의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삽입공을 따라 교호 삽입 결속하며 최종단에 착용자의 발에 맞도록 신발끈을 조여주되, 신발 발등의 중앙지점에 중앙조임유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신발끈의 최종단이 위치되는 신발 외피 상단 양측으로는 최종조임유지구를 각각 형성하여 신발끈의 조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최종조임유지구측으로 결속되는 신발끈의 위치에 착탈 가능한 결속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25920호에는 좌우 신발 갑피의 상단 첫번째 아이릿과 상단 두번째 아리릿에 연속적으로 끼워지는 신발끈을 이용하여 신발 갑피 상단에 V자형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당김끈 고리부를 마련하고, 상부 아이릿을 거쳐 좌우 아이릿에 교차되게 끼워져 하단 아이릿에 이른 상기 신발끈의 단부에 매듭을 형성하며, 신발 갑피 외측에는 상기 V자형 당김끈 고리부를 반대편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한쌍의 걸림쇠를 각각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모두 신발의 상부 개구된 부위를 간편하게 결속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신발의 하부 또는 뒤꿈치 영역을 조이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지 않고, 발과 신발의 밀접한 조임구조를 형성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적으로 갑피의 개구된 상부를 조이고, 신발끈과 연결되는 제1밴드부재에 의해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을 2차적으로 조임으로써, 발과 신발 사이의 유격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착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 통상 신발끈을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도 신발 갑피와 밑창을 발과 밀접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상부, 신발 하부 및 뒤꿈치에 골고루 장력이 가해지므로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나 피로감을 줄이고, 발목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끼움판 내에 제1밴드부재를 끼워 설치할 수 있어, 밴드끼움판을 신발의 선호도를 높이는 디자인적 요소로서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제1밴드부재의 손상 내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끼움판과 밴드부재를 하나의 부품처럼 사용할 수 있어 제조공정의 간소화 내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복수의 신발끈 고정부재에 걸리거나 끼워진 신발끈을 당겨 갑피의 개구된 상부가 조여지는 구조의 신발에 있어서, 일단부에는 상기 신발끈이 고정되는 신발끈 걸이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밴드끼움부가 형성되는 전방 밴드고정구, 상기 갑피의 뒤꿈치 영역에 위치하는 후방 밴드고정구, 및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신발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 및 후방 밴드고정구에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1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에 끼워진 신발끈을 당기면 상기 제1밴드부재가 연쇄적으로 당겨져 상기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까지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일단은 상기 갑피의 뒤꿈치 영역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밴드고정구에 고정되는 제2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발끈이 당겨지면 상기 제1밴드부재를 통해 상기 제2밴드부재로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상기 갑피의 뒤꿈치 영역이 전방 쪽으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제2밴드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갑피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밴드부재가 끼워지도록 세 변에 각각 관통로 및 개구홈이 형성되는 삼각형 구조의 밴드끼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밴드끼움판은 가연성폴리우레탄(Thermo Poly-Urethane, TPU)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 변의 내측은 개방되며,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에 인접하는 두 변의 근위 단부는 장력이 작용하면 이동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밴드끼움판의 세 꼭지점 중에서 최하부에 위치한 꼭지점 영역, 상기 제1밴드부재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갑피와 밑창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복수의 신발끈 고정부재에 걸리거나 끼워진 신발끈을 당겨 갑피의 개구된 상부가 조여지는 구조의 신발에 있어서, 일단부에는 상기 신발끈이 고정되는 신발끈 걸이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밴드끼움부가 형성되는 전방 밴드고정구, 상기 갑피의 뒤꿈치 영역에 위치하는 고리 형상의 후방 밴드고정구, 상기 갑피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밴드부재가 끼워지도록 세 변에 각각 관통로 또는 개구홈이 형성되는 삼각형 구조의 밴드끼움판 및 상기 밴드끼움판의 관통로 또는 개구홈에 순차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 및 후방 밴드고정구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삼각형 구조로 설치되는 제1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에 끼워진 신발끈이 당겨지면 상기 제1밴드부재에 연쇄적으로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까지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에 따르면, 1차적으로 갑피의 개구된 상부를 조이고, 신발끈과 연결되는 제1밴드부재에 의해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을 2차적으로 조임으로써, 발과 신발 사이의 유격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에 따르면, 신발 착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 통상 신발끈을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도 신발 갑피와 밑창을 발과 밀접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에 따르면, 신발의 상부, 신발 하부 및 뒤꿈치에 골고루 장력이 가해지므로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나 피로감을 줄이고, 발목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에 따르면, 밴드끼움판 내에 제1밴드부재를 끼워 설치할 수 있어, 밴드끼움판을 신발의 선호도를 높이는 디자인적 요소로서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제1밴드부재의 손상 내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에 따르면, 밴드끼움판과 밴드부재를 하나의 부품처럼 사용할 수 있어 제조공정의 간소화 내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을 도시하는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밴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을 도시하는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밴드부재 및 제2밴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끼움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밴드부재 및 제2밴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밴드부재 및 제2밴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을 도시하는 후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밴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복수의 신발끈 고정부재(40)에 걸리거나 끼워진 신발끈(30)을 당겨 1차적으로 갑피(10)의 개구된 상부가 조여지고, 상기 신발끈(30)과 연결되는 제1밴드부재(120)에 의해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을 2차적으로 조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신발 하부는 갑피(10)의 하부에서 밑창(20)까지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뒤꿈치 영역은 밑창(20) 및 갑피(10)의 뒤쪽 부분을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일단부에는 상기 신발끈(30)이 고정되는 신발끈 걸이부(101)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밴드끼움부(103)가 형성되는 전방 밴드고정구(100), 상기 갑피(10)의 뒤꿈치 영역에 위치하는 후방 밴드고정구(110) 및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신발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100) 및 후방 밴드고정구(110)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1밴드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전방 밴드고정구(100), 후방 밴드고정구(110) 및 제1밴드부재(120)는 신발의 구조 또는 용도 등을 고려하여 갑피(10)의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신발끈(30)을 잡아당길 때 좌·우측으로 가해지는 힘의 균형 및 신발 외형의 변형 방지를 고려할 때 신발 좌·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밴드고정구(100)는 일단부에는 상기 신발끈(30)이 고정되는 신발끈 걸이부(101)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밴드끼움부(103)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100)는 신발끈(30)에 작용하는 힘(장력)을 제1밴드부재(120) 또는 후술할 제2밴드부재(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방 밴드고정구(100)는 신발끈(30)을 잡아당길 때 작용하는 힘을 지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100)는 신발끈(30)과 제1밴드부재(120)를 함께 걸어 고정할 수 있다면 설치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신발 착용자가 신발끈을 전방 밴드고정구에 건 상태에서 당기는 데 불편이 없고 신발 제조상 효율을 고려할 때 상기 신발끈 고정부재들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끈 걸이부(101)는 신발끈(30)을 걸고 빼는 것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밴드끼움부(103)는 상기 신발끈 걸이부(101)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밴드부재(12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전방 밴드고정구(100)는 신발끈 걸이부(101)와 밴드끼움부(103)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신발 착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 일반적인 신발끈(30)을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도 신발 갑피(10)와 밑창(20)을 발과 밀접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발은 등산화, 운동화, 작업화 및 구두 등 다양한 신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지고 굴곡진 지면에서 착용하는 등산화의 경우에 발과 등산화 사이에 유격 공간이 많을수록 발의 피로도가 커지고, 발목 부위 등의 부상을 초래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발에 설치된 신발끈(30)과 제1밴드부재(120)에 의하여 등산화의 상부는 물론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까지 조여줌으로써, 편안하고 안정된 산악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밴드고정구(110)는 갑피(10)의 뒤꿈치 영역을 신발의 전방 쪽으로 조여줄 수 있도록 갑피(10)의 뒤꿈치 영역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밴드부재(120)는 상기 후방 밴드고정구(1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고정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밴드고정구(110)는 갑피(10)의 뒤꿈치 영역 좌우에 각각 부착되는 고리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밴드고정구(110)는 갑피(10)의 뒤꿈치 중앙에 좌우 양측의 제1밴드부재(120)를 한번에 끼울 수 있도록 중앙이 구분된 고리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밴드부재(120)는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신발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100) 및 후방 밴드고정구(1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한다.
즉, 삼각형 구조로 설치되는 제1밴드부재(120)는 세 꼭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이 각각 전방 밴드고정구(100), 후방 밴드고정구(110)에 걸리거나 끼워지고, 신발의 하부에 고정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신발끈(30)을 당길 때, 제1밴드부재(120)에는 상측으로 작용하는 힘(A)과,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구체적으로 갑피의 뒤꿈치에서 신발 전방 쪽으로 작용하는 힘, C)과, 초기에 상측으로 작용하다가 후방 밴드고정구를 기준으로 C와 합쳐지는 힘(B)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제1밴드부재(120)에는 A, B 및 C의 힘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므로,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을 골고루 조이거나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밴드부재(120)에 의한 압착감을 최소화하면서 신발을 효율적으로 조일 수 있으므로,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밴드부재(120)는 유연하고 인장강도가 우수한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는 물론, 탄성이 있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소재도 사용할 수 있으며, 폭은 좁고 길이가 긴 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을 도시하는 후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밴드부재 및 제2밴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제2밴드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밴드부재(130)의 일단은 상기 갑피(10)의 뒤꿈치 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밴드고정구(11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밴드고정구(110)는 갑피(10)의 뒤꿈치 영역 좌우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고리 형상이고, 고리의 일측에는 제1밴드부재(120)가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지고, 타측에는 제2밴드부재(130)가 고정된다. 따라서 도 2의 (a)와 비교할 때, 도 5의 (a)는 신발끈을 잡아당기면 후방 밴드고정구(110)도 함께 이동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서는, 상기 후방 밴드고정구가 갑피의 뒤꿈치 영역에 위치하되, 제2밴드부재(130)의 일단은 갑피(10)의 뒤꿈치 영역 중앙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좌우 대칭으로 고정되는 2개의 제2밴드부재(130)를 한번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1개의 제2밴드부재(130)를 이용하여 신발의 좌우 양측으로 인출되어 후방 밴드고정구(11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의 (b)는 도 2의 (b)와 비교할 때, 신발의 다양한 모양 내지 형상에 따라 후방 밴드고정구(110) 및 제2밴드부재(130)의 위치를 변경 설계할 수 있는 구조의 다양성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신발의 발목부(50)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 있어서, 도 2의 (b)는 제1밴드부재(120)의 일부가 발목부(50)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후방 밴드고정구(110)가 뒤꿈치 영역의 하측에 고정되어야 하는 반면에, 도 5(b)에서는 제1밴드부재(12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거나 제2밴드부재(130)의 일단이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2밴드부재(130)는 신발 뒤꿈치에 작용하는 힘(C, D)이 증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이때 후방 밴드고정구(110)는 그 위치에 따라 A,B,C 및 D의 힘을 집중시키거나 분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제2밴드부재(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길이조절구는 일반적으로 가방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끼움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밴드부재 및 제2밴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밴드끼움판(150)은 갑피(1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밴드부재(120)가 끼워지도록 세 변에 각각 관통로(151) 및/또는 개구홈(153)이 형성되는 삼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끼움판(150)의 소재에는 가죽, 섬유, 금속, 수지 등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탄성이 있고, 성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천연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지 소재는 가공성이 특히 우수하여 다양한 디자인적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용이하고, 신발의 전체적인 형상과 조화될 수 있는 색상과 로고 등을 새겨넣기 쉬워 신발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밴드끼움판은 수지 소재 중에서도 가연성폴리우레탄(Thermo Poly-Urethane, TPU)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밴드끼움판(150)의 세 변의 내측은 개방되도록 하여 통기구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100)에 인접하는 두 변의 근위 단부(155)는 장력이 작용하면 이동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끼움판(150)은 제1밴드부재(120)의 손상 내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밴드부재(120)에 작용하는 장력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관통로(151)는 제1밴드부재(120)가 끼워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이동방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개구홈(153)은 상기 관통로(151)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되어 제1밴드부재(12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관통로(151)는 도 8의 (a)와 같이 밴드끼움판(150)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상측으로 요입되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도 8의 (b)와 같이 상부 및 하부가 밀폐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밴드끼움판(150)의 세 꼭지점 중에서 최하부에 위치한 꼭지점 영역, 상기 제1밴드부재(120)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갑피(10)와 밑창(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밴드부재(120)에 여러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특히 신발 하부에 고정되는 일단 및 타단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작용하여 고정된 부분이 떨어지거나 손상될 확률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밴드부재(120)에서 신발과 고정되는 일단 및 타단은 갑피(10)와 밑창(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재봉, 본드 등으로 고정하게 되고, 아울러 밴드끼움판(150)과도 일체로 재봉하여 부착력 내지 내구성 등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의 제1밴드부재 및 제2밴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은 일단부에는 상기 신발끈(30)이 고정되는 신발끈 걸이부(101)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밴드끼움부(103)가 형성되는 전방 밴드고정구(100), 상기 갑피(10)의 뒤꿈치 영역에 위치하는 고리 형상의 후방 밴드고정구(110), 상기 갑피(10)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밴드부재(120)가 끼워지도록 세 변에 각각 관통로(151) 또는 개구홈(153)이 형성되는 삼각형 구조의 밴드끼움판(150); 및 상기 밴드끼움판(150)의 관통로(151) 또는 개구홈(153)에 순차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100) 및 후방 밴드고정구(110)에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삼각형 구조로 설치되는 제1밴드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100)에 끼워진 신발끈이 당겨지면 상기 제1밴드부재(120)에 연쇄적으로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까지 조여지게 된다. 이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밴드부재(13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제2밴드부재(1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밴드끼움판(150)의 세 꼭지점 내지 세 변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신발 하부 또는 뒤꿈치 영역에 미치는 힘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밴드부재(120), 제2밴드부재(130) 및 밴드끼움판(150)을 하나의 부품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신발 제조과정을 거친 신발에 제1밴드부재, 제2밴드부재 및 밴드끼움판을 설치할 수 있어 제조공정의 간소화 내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밴드부재(120) 및 밴드끼움판(150) 등이 손상 내지 훼손된 경우에 신발 갑피(10)와 밑창(20)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교체하거나 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갑피 20 : 밑창
30 : 신발끈 40 : 신발끈 고정부재
50 : 발목부 100 : 전방 밴드고정구
101 : 신발끈 걸이부 103 : 밴드끼움부
110 : 후방 밴드고정구 120 : 제1밴드부재
130 : 제2밴드부재 150 : 밴드끼움판
151 : 관통로 153 : 개구홈
155 : 근위 단부

Claims (7)

  1. 복수의 신발끈 고정부재에 걸리거나 끼워진 신발끈을 당겨 갑피의 개구된 상부가 조여지는 구조의 신발에 있어서,
    일단부에는 상기 신발끈이 고정되는 신발끈 걸이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밴드끼움부가 형성되는 전방 밴드고정구;
    상기 갑피의 뒤꿈치 영역에 위치하는 후방 밴드고정구; 및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신발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 및 후방 밴드고정구에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1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에 끼워진 신발끈을 당기면 상기 제1밴드부재가 연쇄적으로 당겨져 상기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까지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갑피의 뒤꿈치 영역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밴드고정구에 고정되는 제2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발끈이 당겨지면 상기 제1밴드부재를 통해 상기 제2밴드부재로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상기 갑피의 뒤꿈치 영역이 전방 쪽으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밴드부재가 끼워지도록 세 변에 각각 관통로 및 개구홈이 형성되는 삼각형 구조의 밴드끼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끼움판은 가연성폴리우레탄(Thermo Poly-Urethane, TPU)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 변의 내측은 개방되며,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에 인접하는 두 변의 근위 단부는 장력이 작용하면 이동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끼움판의 세 꼭지점 중에서 최하부에 위치한 꼭지점 영역, 상기 제1밴드부재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갑피와 밑창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7. 복수의 신발끈 고정부재에 걸리거나 끼워진 신발끈을 당겨 갑피의 개구된 상부가 조여지는 구조의 신발에 있어서,
    일단부에는 상기 신발끈이 고정되는 신발끈 걸이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밴드끼움부가 형성되는 전방 밴드고정구;
    상기 갑피의 뒤꿈치 영역에 위치하는 고리 형상의 후방 밴드고정구;
    상기 갑피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밴드부재가 끼워지도록 세 변에 각각 관통로 또는 개구홈이 형성되는 삼각형 구조의 밴드끼움판; 및
    상기 밴드끼움판의 관통로 또는 개구홈에 순차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 및 후방 밴드고정구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삼각형 구조로 설치되는 제1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밴드고정구에 끼워진 신발끈이 당겨지면 상기 제1밴드부재에 연쇄적으로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신발 하부와 뒤꿈치 영역까지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1020120014130A 2012-02-13 2012-02-13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10134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30A KR101344975B1 (ko) 2012-02-13 2012-02-13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PCT/KR2013/001124 WO2013122382A1 (ko) 2012-02-13 2013-02-13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30A KR101344975B1 (ko) 2012-02-13 2012-02-13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701A true KR20130092701A (ko) 2013-08-21
KR101344975B1 KR101344975B1 (ko) 2013-12-24

Family

ID=4898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130A KR101344975B1 (ko) 2012-02-13 2012-02-13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4975B1 (ko)
WO (1) WO20131223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133A (ko) * 2013-07-27 2016-04-08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스포츠용 신발
KR20180069796A (ko) * 2015-10-07 2018-06-25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운동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0237A (zh) * 2016-08-31 2019-06-14 势飞特鞋业有限责任公司 双拉动件方形绳鞋子封闭系统
KR102369072B1 (ko) 2021-10-18 2022-03-02 (주)지패션코리아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07480U1 (de) * 1993-05-28 1994-10-06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mit einem Zentraldrehverschluß
KR970002512B1 (ko) * 1994-04-11 1997-03-05 정민우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JP2001211903A (ja) * 1999-11-25 2001-08-07 Mizuno Corp シューズの緊締構造
JP2009089902A (ja) * 2007-10-09 2009-04-30 Kurebu:K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133A (ko) * 2013-07-27 2016-04-08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스포츠용 신발
KR20180069796A (ko) * 2015-10-07 2018-06-25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운동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2382A1 (ko) 2013-08-22
KR101344975B1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92535B (zh) 具有带边缘的编织鞋面的鞋类制品
US10159310B2 (en) Rear closing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ront zipper to rear cord connection
US998053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tensioning system
CA2227783C (en) Article of footwear
JP6072345B2 (ja) 引張構造体を有する履物物品
US7444768B2 (en) Footwear and other systems including a flexible mesh or braided closure system
EP0746214B1 (en) Shoe having lace tubes
CN201563688U (zh) 运动便鞋
JP6088067B2 (ja) 履物保持システム
CN110381764A (zh) 带有允许轻松穿脱的闭合机构的鞋类
US11116279B2 (en) Sports shoe for cycling exercise
CN101674741A (zh) 具有外形配合闭合结构的鞋
KR20150110627A (ko) 엑세스가 용이한 신발류 물품
CN102970889A (zh) 具有可拆下的包裹物的鞋类物品
US8516722B2 (en) Shoe tongue centralizer
AU2013263096A1 (en) Tongueless footwear with a canopy
US9706812B2 (en) Footwear lac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344975B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US20130318829A1 (en) Running Sandal
KR20040077699A (ko) 신발
KR890000901B1 (ko) 스포츠화
CN110913807B (zh) 用于鞋类的速率相关系统
KR102369072B1 (ko)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KR20130068228A (ko) 신발 장신구
KR200266696Y1 (ko) 신발의 신발끈 조임 및 이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