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05Y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05Y1
KR200285205Y1 KR2020020013309U KR20020013309U KR200285205Y1 KR 200285205 Y1 KR200285205 Y1 KR 200285205Y1 KR 2020020013309 U KR2020020013309 U KR 2020020013309U KR 20020013309 U KR20020013309 U KR 20020013309U KR 200285205 Y1 KR200285205 Y1 KR 200285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string
strap
sho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경
Original Assignee
김정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경 filed Critical 김정경
Priority to KR2020020013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05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이 개시된다. 신발은 소정 간격을 두고 열을 지어 끈을 걸 수 있게 본체 상에 형성된 다수의 끈 걸이구를 갖고, 본체 상에 끈에 형성된 고리부분을 착탈할 수 있는 끈 착탈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신발에 의하면, 끈의 풀림이 억제되고, 끈의 착탈이 용이하며, 끈의 고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신발에 끈을 결속시킬 수 있어 미관이 깔끔하게 처리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shoes}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끈의 장착 구조가 단순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신체별로 다양한 형태의 발에 맞게 내부 공간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끈에 의해 결속할 수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신발은 매듭형태로 결속되는 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내부 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일정 범위 내에서 가능하게 해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신발구조는 끈 길이를 조정하거나, 끈을 결속 또는 해지시키고자 할 때 끈에 매듭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매듭을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미관을 고려하는 사용자의 경우 끈에 의해 형성된 리본형 매듭의 모양이 원하는 형태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매듭 형성과정을 원하는 형태가 될 때까지 반복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그밖에도 매듭이 쉽게 풀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매듭 형성과정 없이 끈을 신발에 결속시킬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의 조임 조절이 용이한 신발용 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끈 착탈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끈 착탈 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끈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신발 11: 본체
14, 44: 끈 걸이구 20: 끈 착탈장치
21, 25: 제1결합부재 23, 27: 제2결합부재
26: 연결부 30: 끈
31: 고리부분 33: 끼움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은 소정 간격을 두고 열을지어 끈을 걸 수 있게 본체 상에 형성된 다수의 끈 걸이구를 갖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끈에 형성된 고리부분을 착탈할 수 있는 끈 착탈 장치;가 더 구비된다.
상기 끈 착탈 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 탈착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된 제2결합부재;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일측에서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끈 착탈 장치는 상기 끈의 고리부분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끈의 고리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로 단차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용 끈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은 폐쇄형 고리부분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부분으로부터 연장된 끼움핀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끈은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내 보인 사이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발(10)은 본체(11)와, 신발끈(30) 및 끈 착탈 장치(20)를 구비한다.
본체(11)는 요홈 형태를 갖도록 양측에 갑피부분(13a)(13b)이 형성되어 있고, 갑피부분(13a)13b) 내측에는 발등 덥개부분(13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끈(30)을 삽입할 수 있는 링형 끈 걸이구(14)가 요홈 부분에 대해 대향되게 양측 갑피부분(13a)(13b)을 따라 열을 지어 형성되어 있다.
최상단에 형성된 끈 걸이구(14) 상측에 끈 착탈 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끈 착탈 장치(20)는 끈(30)의 폐쇄형 고리부분을 삽입하여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끈 착탈 장치(20)의 일 예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끈 착탈 장치(20a)는 분리형 버튼 결합 형식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제1결합부재(21) 및 제2 결합부재(23)을 구비한다.
제1결합부재(21)는 결합돌기(21a)가 제2결합부재(23)와 대향되게 리벳에 의해 본체(11)와 결합되어 있다. 제1결합부재(21)의 본체(11)와의 결합방식은 리벳이외에도 접착제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결합부재(23)는 제1결합부재(21)의 결합돌기(21a)와 결합되는 결합홈(23a)이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부재(23)는 제1결합부재(21)와 결합된 상태에서 끈(30)의 고리부분(31)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길이의 기둥부분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재(23)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단차져 소정길이 연장된 부분(23b)을 갖게 형성시켜, 단차진 부분(23b)에 고리부분(31)을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르게는, 결합돌기(21a)의 상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결합홈(23a)의 깊이 보다 소정길이 더 길게 형성한다. 또 다르게는 제2결합부재(23)의 외측에 끈(30)의 고리부분(31)이 소정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링형 홈을 형성해도 된다.
제1결합부재(21)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제2결합부재(23)에 결합돌기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합돌기(21a)와 결합홈(23a)은 결합시 소정 강도의 결합력을 갖도록 공지된 결합구조를 적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제1결합부재(21) 및 제2결합부재(23)를 탄성 이완될 수 있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하되, 결합돌기(21a) 상에 약간 돌출되게 리브를 형성시키고, 결합홈(23a)상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대응되는 결합위치에 형성시키면 된다. 이 경우 결합돌기(21a)와 결합홈(23a)은 신축 변형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된다.
또 다르게 금속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공지된 버튼 단추식 결합구조를 적용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재(21)와 제2결합부재(23)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된 끈(30)의 고리부분이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제2결합부재(23)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결합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30)의 단부 부분이 보이질 않아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끈 착탈장치(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결합부재에 제2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끈 착탈장치(20b)의 제1결합부재(25)의 일측에서 연장된 연장부(26)에 제2결합부재(27)가 결합되어 있다.
연장부(26)는 제1결합부재(25)로부터 제2결합부재(27)를 이완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한다.
참조부호 25a는 결합돌기이고, 27a는 결합홈이다.
이러한 일체형 끈 착탈장치(20)는 제2결합부재(27)가 제1결합부재(25)로부터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제1결합부재(25)에 연결되어 있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끈 착탈장치(20)를 갖는 신발에 적용되는 끈은 일 예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30a)의 몸체(32)로부터 연장된 양단에 각각 고리부분(31)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 다르게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분(31)을 갖되 고리부분(31)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끼움핀(33)을 더 형성한다.
여기서 끼움핀(33)은 통상적인 일자형 끈의 양단에 합성수지 소재로 소정길이 피복시켜 형성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르게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의 고리부분(31)을 소정 간격 이격되게 끈(30c)이 형성된다. 이렇게 고리부분(31)을 복수로 형성하는 경우 끈(30c)의 결속 길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신발용 끈(30)의 몸체(32) 및/또는 고리부분(31)은 신축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소재는 고무, 스판, 실리콘 소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끈(30)은 신축될 수 있는 망사 구조의 직물로 된 외피와, 외피 내에 신축성 소재를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신축성 끈의 소재 및 구조는 공지되어 있다.
한편, 도 1의 링형 걸이구(14)와는 다른 형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ㄷ'형 걸이구(43)가 적용된 신발(40)의 본체(11)에도 끈 착탈장치(20) 및 고리부분(31)을 갖는 끈(30)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신발(10)(40)은 끈(30)을 장착시 끼움핀(33)이 있는 경우 끼움핀(33)을 이용해서, 또는 고리부분(3)을 상호 밀착시켜 일자가 되게 유지한 상태에서 끈 걸이구(14)(44)에 지그재그 형식으로 끈을 교차되게 순차적으로 삽입한 다음 고리부분(31)을 제1결합부재(21)(25)에 걸고 제2결합부재(23)(27)를 제1결합부재(21)(25)에 결합하면 끈(30)의 착용이 완료된다.
또한, 결속된 끈(30)을 신발로부터 풀고자 할 때는 제2결합부재(23)(27)를 제1결합부재(21)(25)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고리부분(31)을 제1결합부재(21)(25)로부터 빼내면 된다.
한편, 끈 착탈장치(20)를 갖는 신발(10)(40)은 기존의 일자형 끈에 사용자가 매듭을 형성하여 이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에 의하면, 끈의 풀림이 억제되고, 끈의 착탈이 용이하며, 끈의 고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신발에 끈을 결속시킬 수 있어 미관이 깔끔하게 처리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소정 간격을 두고 열을지어 끈을 걸 수 있게 본체 상에 형성된 다수의 끈 걸이구를 갖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끈에 형성된 고리부분을 착탈할 수 있는 끈 착탈 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 착탈 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착탈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끈의 고리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된 제2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일측에서 상호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 착탈 장치는 상기 끈의 고리부분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끈의 고리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로 단차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양단에 고리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신발용 끈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은 폐쇄형 고리부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분으로부터 연장된 끼움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끈.
KR2020020013309U 2002-05-01 2002-05-01 신발 KR200285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09U KR200285205Y1 (ko) 2002-05-01 2002-05-01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09U KR200285205Y1 (ko) 2002-05-01 2002-05-01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05Y1 true KR200285205Y1 (ko) 2002-08-13

Family

ID=7312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309U KR200285205Y1 (ko) 2002-05-01 2002-05-01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2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238A (ko) * 2002-11-06 2004-05-12 김영래 원터치 신발끈 및 캐릭터 이름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238A (ko) * 2002-11-06 2004-05-12 김영래 원터치 신발끈 및 캐릭터 이름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0171A (en) Shoe fastener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JP2002112804A (ja)
JPH01297001A (ja) 靴用締付け装置
KR19980068855U (ko) 신발끈 결속 장치
US8898936B1 (en) Footwear fastening aid
US5692276A (en) Footwear fasteners
KR200285205Y1 (ko) 신발
KR200306985Y1 (ko) 신발 조임구
KR200450098Y1 (ko) 신발끈 고정장치
KR200357398Y1 (ko) 샌들의 끈 결합구조
KR20130068228A (ko) 신발 장신구
KR200273581Y1 (ko) 와이어 폼 스프링이 부착된 신발끈 고리
KR200451902Y1 (ko) 밴드형 신발끈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JP3137205U (ja) ひも靴カバー
RU2116739C1 (ru) Шнуровая обувь (варианты)
KR100414783B1 (ko)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164923Y1 (ko) 신발끈 고정쇠
KR200323519Y1 (ko) 신발끈 조임구
KR20170123491A (ko) 신발끈 고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US20050125964A1 (en) Fastener for use with shoes
KR200362334Y1 (ko) 신발끈 조임구
JPH0630005Y2 (ja) 履物用留め具
KR200181513Y1 (ko)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