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506A - 도로 교통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교통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506A
KR20110004506A KR1020090061951A KR20090061951A KR20110004506A KR 20110004506 A KR20110004506 A KR 20110004506A KR 1020090061951 A KR1020090061951 A KR 1020090061951A KR 20090061951 A KR20090061951 A KR 20090061951A KR 20110004506 A KR20110004506 A KR 2011000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main body
road
traffic safety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진
권희정
Original Assignee
정우진
권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진, 권희정 filed Critical 정우진
Priority to KR102009006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506A/ko
Publication of KR2011000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청각/시각 경보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 상에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30);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차량을 향하여 청각/시각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수단(40); 및 상기 검출수단(30)을 입력단에 경보수단(40)을 출력단에 구비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경보를 처리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로의 사고다발지역에서 자동적으로 청각/시각 경보를 수행하여 졸음운전에서 비롯되는 각종 사고예방에 일조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061951
도로, 졸음, 사고, 청각, 시각, 경보

Description

도로 교통 안전장치{Device for road traffic safety}
본 발명은 도로 교통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사고다발지역에 설치되어 졸음운전에서 비롯되는 각종 사고예방에 일조하는 도로 교통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것처럼, 졸음운전은 위험 상황에 제때 대처하지 못해 일반 교통사고보다 치사율이 3배에서 4배 정도 더 높게 나타는 바, 특히 버스나 트럭의 졸음운전으로 인한 대형사고가 해마다 줄지 않고 있다. 경우에 따라 완충기나 점멸신호기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실질적인 효과가 크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77647호에 의하면 『차량의 전면 하단 좌우측에 설치되어 광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 차선의 존재를 파악하는 차선감지 센서와, 방향지시 램프의 점멸을 감지하는 방향시지램프 점멸감지 수단과, 차량속도가 일정 속도이상이면서 동시에 차선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음 또는 경적 출력을 지령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의 보급이 미흡한 실정이라 가까운 장래에 실효를 기 대하기 곤란하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0786692호에 의하면 『도로상의 사고 다발지역 또는 사고 가능 예상지역에 설치되어 도로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도로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데이터로거부와, 상기 데이터로거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중략) 도로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도로상태정보에 따라 재난 방지 및 구재, 예방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연동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는 도로상의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기압, 강우감지, 강우, 노면상태, 시정, 안개감지, 적설, 지진 등을 감지하여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졸음운전과 같은 인위적 사고를 방지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77647호 "졸음운전 방지 및 무단차선 이탈 방지장치"
[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0786692호 "도로상의 재난 방지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의 사고다발지역에서 자동적으로 청각/시각 경보를 수행하여 졸음운전에서 비롯되는 각종 사고예방에 일조하는 도로 교통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청각/시각 경보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 상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차량을 향하여 청각/시각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을 입력단에 경보수단을 출력단에 구비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경보를 처리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는 표면 상에 야광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출수단은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압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보수단은 에어혼, 경광등, 전자혼, 스피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기는 태양광모듈에 의해 충전 가능한 축전지를 구비하고, 타이머의 신호로 운영시간을 설정하고, 카운터의 신호로 경보 횟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 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 교통 안전장치는 도로의 사고다발지역에서 자동적으로 청각/시각 경보를 수행하여 졸음운전에서 비롯되는 각종 사고예방에 일조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덮개를 개방 및 폐쇄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청각/시각 경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특히 졸음운전과 같은 인위적 요인에 의한 사고가 다발하는 것을 능동적으로 방지하는 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물론 과속, 불법주정차, 역주행 등과 관련되는 제반 교통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일측 상에 설치하기 위한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적어도 전면이 개폐 가능한 밀폐형 상자 구조로서 방수/방폭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하여 일교차가 크게 발생하는 지역에서 높은 단열 성이 요구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30)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차량을 향하여 청각/시각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수단(40)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다. 도 2의 경우 경보수단(40)으로 에어혼(42)과 컴프레서(44)를 나타낸다. 검출수단(30)과 경보수단(40)의 세부구성은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검출수단(30)을 입력단에 경보수단(40)을 출력단에 구비하는 제어기(60)가 설정된 조건으로 경보를 처리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기(60)는 본체(10)의 내부 공간 깊숙한 위치에 설치되고, 도 1처럼 타이머(64)와 카운터(66)에 연계되어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기(60)의 세부구성과 작동은 후술하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기를 전반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도 3처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태양광모듈(25)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 4처럼 상기 본체(10)의 표면 상에 야광판(15)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검출수단(30)은 레이저센서(32), 적외선센서(34), 압전센서(3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도 5에서, 레이저센서(32)는 도로상에서 본체(10)가 위치하는 반대편에 반사광판을 두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적외선센서(34)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나누어지는데 일측을 도로상에서 본체(10)가 위치하는 반대편에 둔다. 압전센서(36)는 본체(10)에 도달하기 전의 위치에서 도로의 주행차선 상에 매설한다. 이와 같은 레이저센서(32), 적외선센서(34), 압전센서(36)는 어느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지만, 2개 이상의 복수로 사용하면 검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보수단(40)은 에어혼(42), 경광등(46), 전자혼(52), 스피커(5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에어혼(42)은 컴프레서(44)에 축적된 공압을 밸브로 단속하여 작동한다. 경광등(46)은 도 6처럼 본체(10)의 상측에 경찰신호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한다. 에어혼(42), 전자혼(52), 스피커(55)에 의한 경고음은 100-120dB, 바람직하게는 110dB에 부합하게 하고, 인식범위를 25m 정도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기(60)는 태양광모듈(25)에 의해 충전 가능한 축전지(25)를 구비하고, 타이머(64)의 신호로 운영시간을 설정하고, 카운터(66)의 신호로 경보 횟수를 설정한다. 제어기(60)는 도로상에 전력선으로 유도되는 전원을 사용하지만 보조적으로 축전지(20)를 구비한다. 축전지(20)는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태양광모듈(25)로부터 충전되도록 한다. 마이컴회로(62)는 검출수단(30)에서 입력받고 경보수단(40)에 출력하는 다양한 시컨스를 저장한다. 타이머(64)와 카운터(66)는 마이컴회로(62)의 입력부에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차량이 본체(10)에 접근하면 검출수단(30)에서 신호를 발생하고, 제어기(60)의 마이컴회로(62)는 차량의 접근을 인식하여 설정된 출력을 경보수단(40)에 보내는 시컨스가 수행된다. 타이머(64)로 시간을 설정하여 두면 일정한 시간(예컨대 새벽 2-5시)에 작동할 수 있고, 카운터(66)로 횟수를 설정하여 두면 경보수단(40)이 작동되는 횟수를 변동할 수 있다. 물론 카운터(66)는 작동횟수 대신에 경보수단(40)의 작동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고가 다발하는 지역에서 사고가 다발하는 시간에 적절한 청각/시각 패턴으로 작동되어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덮개를 개방 및 폐쇄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기를 전반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15: 야광판
20: 축전지 25: 태양광모듈
30: 검출수단 32: 레이저센서
34: 적외선센서 36: 압전센서
40: 경보수단 42: 에어혼
44: 컴프레서 46: 경광등
52: 전자혼 55: 스피커
60: 제어기 62: 마이컴회로
64: 타이머 66: 카운터

Claims (5)

  1. 차량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청각/시각 경보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 상에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30);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차량을 향하여 청각/시각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수단(40); 및
    상기 검출수단(30)을 입력단에 경보수단(40)을 출력단에 구비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경보를 처리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표면 상에 야광판(1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30)은 레이저센서(32), 적외선센서(34), 압전센서(3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 안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40)은 에어혼(42), 경광등(46), 전자혼(52), 스피커(5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 안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60)는 태양광모듈(25)에 의해 충전 가능한 축전지(25)를 구비하고, 타이머(64)의 신호로 운영시간을 설정하고, 카운터(66)의 신호로 경보 횟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 안전장치.
KR1020090061951A 2009-07-08 2009-07-08 도로 교통 안전장치 KR20110004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51A KR20110004506A (ko) 2009-07-08 2009-07-08 도로 교통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51A KR20110004506A (ko) 2009-07-08 2009-07-08 도로 교통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06A true KR20110004506A (ko) 2011-01-14

Family

ID=4361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951A KR20110004506A (ko) 2009-07-08 2009-07-08 도로 교통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5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149B1 (ko) * 2020-01-08 2020-05-18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터널의 졸음 방지장치
KR102214560B1 (ko) * 2020-09-29 2021-02-09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도로터널내 졸음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149B1 (ko) * 2020-01-08 2020-05-18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터널의 졸음 방지장치
KR102214560B1 (ko) * 2020-09-29 2021-02-09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도로터널내 졸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87792A1 (en) Early warning system for traffic signals and conditions
CA3071498A1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KR20160129206A (ko)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101027633B1 (ko)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보조시스템
KR101405398B1 (ko) 보행자친화형 안전 알림장치 및 방법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20120107757A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20160092965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CN207602044U (zh) 交通弯道预警系统
KR20190061403A (ko) Iot 방범 골목길 신호등
CN205344684U (zh) 一种车载汽车驾驶疲劳预警设备
CN107199965A (zh) 带有盲区监测的车牌架装置和盲区监测方法
KR101673053B1 (ko) 보행신호 음향안내 보조장치
KR101340755B1 (ko) 속도감응형 차량 감지장치 및 방법
CN107472131A (zh) 汽车开门预警设备、汽车开门预警系统、汽车开门预警方法
CN201659953U (zh) 一种安装在汽车上的行人预警系统
KR20110116929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110004506A (ko) 도로 교통 안전장치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CN205983762U (zh) 一种高速公路驾驶员疲劳驾驶警报系统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CN202042061U (zh) 桥梁隧道电子防撞装置
CN205405892U (zh) 一种交通流警示系统以及公路示警桩
WO2021001588A1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peatones destinado a ser instalado en una entrada de paso de peatones
CN202948572U (zh) 一种事故现场安全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