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448U -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448U
KR20110004448U KR2020090014053U KR20090014053U KR20110004448U KR 20110004448 U KR20110004448 U KR 20110004448U KR 2020090014053 U KR2020090014053 U KR 2020090014053U KR 20090014053 U KR20090014053 U KR 20090014053U KR 20110004448 U KR20110004448 U KR 201100044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porous plug
plug
clean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근
김정재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448U/ko
Publication of KR20110004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4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42Features relating to gas inj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6/00Controlling, supervising, not restricted to casting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e.g.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래들(10)의 포러스 플러그(12) 안쪽에서 세척하는 산소를 공급하는 세척관(24)과, 래들(10)의 포러스 플러그(12) 바깥쪽에 연결된 에어 호스(14)와, 상기 에어 호스에 설치된 유량계(16)와, 상기 유량계의 유량에 따라 경보를 울리는 경보수단(2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러스 플러그의 세척 불량에 따른 버블링 불량사고를 방지하고, 포러스 플러그의 수명을 향상하여 원가를 절감하며 세척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Apparatus for Cleaning Porous Plug for Ladle}
본 고안은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강공정시 취련 완료된 용강은 주조 래들(Ladle)에 수강을 실시하여 다음 공정 예를 들어, 정련공정으로 보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래들 내부의 용강은 온도, 성분의 불균일성 혹은 개재물의 부상이라는 점 때문에, 그 청정도가 낮으므로, 래들의 하부 바닥부위에 설치된 다공성 재질인 포러스 플러그(Porous Plug)를 통해 용강 내부로 불활성가스 즉, 아르곤가스 등을 통과시킴으로써, 높은 청정도의 용강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즉, 래들 내에 수강된 용강은 성분 및 온도조정을 위하여 2차 정련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2차 정련은 래들 내부의 용강에 다공질의 내화연와로 된 상기 포러스 플러그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 가스를 취입시킴으로서, 주로 래들 내부의 용강을 환류시키는 작업으로 용강의 미세성분 및 온도 조정을 수행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비철금속의 정련 및 탈가스 방법으로 다공성 재질의 포러스 플러그를 통하여 래들 내 용강 하부로부터 불활성가스인 아르곤 가스를 공급하면, 상 기 취입되는 아르곤가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포가 상부로 부상하면서 버블링(bubbling)을 발생시켜 비철금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산화 환원 및 탈가스 작용을 통하여 제거함으로써, 용강의 성분을 균일화시킨다. 상기 포러스 플러그(Porous Plug)는 콘(cone) 형태로 되어 있다.
한편, 아르곤 가스에 의해 버블링 처리가 수행된 후 연속주조 완료시까지 포러스 플러그는 래들 내에 용강이 담긴 상태에 있게 되므로 다공성의 기공 또는 슬리트 사이로 용강이나 슬래그가 수mm 깊이로 침투하게 되므로, 래들의 연속주조가 완료되면 포러스 플러그의 개공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으로 산소를 이용한 세척 작업이 행해진다. 이때 포러스 플러그의 기공 또는 슬리트 공간에 침투된 용강이나 용융물의 침윤층은 세척작업에 의해 씻겨져 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종래 포러스 플러그를 세척할 때에는 래들의 포러스 플러그 바깥쪽에 에어호스를 연결하고 압력이 걸린 상태에서 래들의 포러스 플러그 안쪽에서 세척관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여 포러스 플러그를 세척하여, 포러스 플러그가 개방되면 에어가 분출되면서 발생하는 스플래쉬(splash)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세척을 종료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포러스 플러그를 세척할 때에는 에어의 스플래쉬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세척을 종료하므로, 세척 상태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포러스 플러그의 세척이 미흡하게 되면 버블링 불량 사고가 발생하고 과세척시에는 포러스 플러그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러스 플러그의 세척상태를 일정하게 하여 버블링 불량사고를 방지하고 포러스 플러그의 수명을 향상하는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는, 래들의 포러스 플러그 안쪽에서 세척하는 산소를 공급하는 세척관과, 래들의 포러스 플러그 바깥쪽에 연결된 에어 호스와, 상기 에어 호스에 설치된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의 유량에 따라 경보를 울리는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관을 통해 세척하는 중에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래들의 입구측에는 보호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 호스에는 에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계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의한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에 의하면, 포러스 플러그의 세척 불량에 따른 버블링 불량사고를 방지하고, 포러스 플러그의 수명을 향상하여 원가를 절감하며 세척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눕혀진 상태의 래들(10)에 구비된 포러스 플러그(12)의 바깥쪽에는 에어 호스(14)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 호스(14)에는 에어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16)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유량계(16)와 병렬로 압력계(18)가 설치된다.
상기 유량계(16)와 압력계(18)는 제어수단(20)을 통해 경보수단(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래들(10)의 포러스 플러그(12) 안쪽에는 포러스 플러그(12)를 세척하는 산소를 공급하는 세척관(24)이 설치되며, 상기 세척관(24)을 통해 세척하는 중에 작업자(M)를 보호하도록 상기 래들(10)의 입구측에는 보호커버(26)가 설치된다.
상기 경보수단(22)은 경광등 및 알람(alarm), 스피커 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26)는 이동대(28)에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26)를 통해 상기 세척관(24)이 걸쳐져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는, 래들의 연속 주조가 완료된 후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들(10)을 눕힌 상태에서 설치되어, 세척관(24)을 통해 산소를 투입하여 포러스 플러그(12)를 세척하게 된다. 이때, 에어 호스(14)에는 약 5 bar의 압력이 걸리게 하고, 세척관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압을 약 10 bar로 하여 세척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26)는 세척작업 중에 래들(10)의 입구로 튀어나오는 분사물로부터 작업자는 보호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에서 유량계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일정 유량(20N㎡/Hr)이 되면 제어수단(20)을 통해 상기 경보수단(22)이 작동하여 알람(alarm)을 울리고 경보등을 깜밖이게 설정하고, 작업자(M)가 상기 경보수단(22)의 작동에 따라 세척작업을 종료하거나 자동으로 산소공급이 차단되어 세척작업이 종료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에 의하면, 포러스 플러그의 개공상태를 에어 호스를 통과하는 유량에 따라 일정한 유량이 되면 세척작업을 종료하므로 포러스 플러그의 세척상태가 일정하게 되어, 세척 불량으로 인한 버블링 불량사고를 방지하고 과세척으로 인한 포러스 플러그의 수명 저하를 방지하며, 세척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들 12 : 포러스 플러그
14 : 에어 호스 16 : 유량계
18 : 압력계 20 : 제어수단
22 : 경보수단 24 : 세척관
26 : 보호커버 28 : 이동대

Claims (3)

  1. 래들의 포러스 플러그 안쪽에서 세척하는 산소를 공급하는 세척관과,
    래들의 포러스 플러그 바깥쪽에 연결된 에어 호스와,
    상기 에어 호스에 설치된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의 유량에 따라 경보를 울리는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관을 통해 세척하는 중에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래들의 입구측에는 보호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호스에는 에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KR2020090014053U 2009-10-29 2009-10-29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KR201100044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53U KR20110004448U (ko) 2009-10-29 2009-10-29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53U KR20110004448U (ko) 2009-10-29 2009-10-29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448U true KR20110004448U (ko) 2011-05-06

Family

ID=4423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053U KR20110004448U (ko) 2009-10-29 2009-10-29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44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470B1 (ko)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JP5910578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03239010A (ja) 取鍋用蓄圧ボンベ式ガス吹込み装置を備えた取鍋。
KR20110004448U (ko)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 세척장치
JP6515388B2 (ja) 連続鋳造用の上ノズル
KR20140145592A (ko) 진공 용융 설비의 작동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 진공 용융 설비
JP2012016720A (ja) 開閉ノズル装置
JP5831163B2 (ja) 高清浄度鋼の製造方法
KR20130101786A (ko) 제강방법 및 이를 위한 버블링장치
KR101225228B1 (ko) 턴디쉬의 용강 개재물 제거장치
KR101310985B1 (ko) 래들 로의 불활성 가스 공급 장치
JPWO2014002252A1 (ja) 溶鋼の供給開始方法
JP2006231397A (ja) アルミキルド鋼の連続鋳造方法
RU2391179C2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струи металла при разливке
KR100817146B1 (ko) 턴디쉬 상부노즐의 개재물 부착 방지장치 및 그 방지방법
JP5781863B2 (ja) 注湯装置と注湯方法
JP5141813B2 (ja) 鋳片の欠陥予測検知方法、鋳片の製造方法、鋳片の欠陥発生予測検知装置、該鋳片の欠陥発生予測検知装置を備えた連続鋳造設備
KR100913920B1 (ko) 래들 슬라그 샘플러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30075950A (ko) 연속주조용 노즐의 막힘 방지방법
JP2017217695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974335B1 (ko) 노즐 주입구 지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노즐 주입구 지금 제거방법
JP2014008529A (ja) 取鍋ノズルの酸素洗浄装置及び方法
JP2012526659A (ja) 溶湯容器内で使用する鋳込み用ノズル
KR101881971B1 (ko) 주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JP4214084B2 (ja) ポーラスプラグの洗浄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