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157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157A
KR20110004157A KR1020090061813A KR20090061813A KR20110004157A KR 20110004157 A KR20110004157 A KR 20110004157A KR 1020090061813 A KR1020090061813 A KR 1020090061813A KR 20090061813 A KR20090061813 A KR 20090061813A KR 20110004157 A KR20110004157 A KR 2011000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or
evaporator
heat exchanger
circula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2121B1 (ko
Inventor
조은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121B1/ko
Priority to PCT/KR2010/003722 priority patent/WO2011004970A2/ko
Priority to EP10797244.0A priority patent/EP2453187B1/en
Priority to US13/382,854 priority patent/US9581366B2/en
Publication of KR2011000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25B31/004Lubrication oil recircul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정상적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열역학적 사이클을 구동하는 제1순환유로와, 상기 제1순환유로 중 응축기의 출구단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냉매에 섞인 오일을 압축기로 회수하되 과냉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2순환유로와, 상기 제1순환유로 중 증발기로부터 직접 분지되어 상기 압축기로 회수하되 상기 과냉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3순환유로로 구성되어 상기 압축기의 습압축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압축기의 신뢰성을 상승시키고 열교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61813
과냉 열교환기, 오일, 압축기, 공기조화기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적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열역학적 사이클을 구동하는 제1순환유로와, 상기 제1순환유로 중 응축기의 출구단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냉매에 섞인 오일을 압축기로 회수하되 과냉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2순환유로와, 상기 제1순환유로 중 증발기로부터 직접 분지되어 상기 압축기로 회수하되 상기 과냉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3순환유로로 구성되어 상기 압축기의 습압축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압축기의 신뢰성을 상승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그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장치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기구-증발기로 이루어져 냉매를 순환시키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장치로서, 이를 위 해 필수적으로 오일이 미립자 형태로 냉매와 혼합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혼합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로 유입될 경우 그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 배관 표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증발기 내에서의 냉매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팽창기구를 거쳐서 상기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기 전에 그 냉매를 더욱 냉각시키도록 상기 응축기와 상기 팽창기구 사이에 과냉 열교환기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과냉 열교환기는 상기 증발기 내에서의 냉매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냉매와 열교환 후 상기 과냉 열교환기로부터 방열되는 열은 그냥 버려지는 열이 되는 바, 결과적으로 상기 과냉 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에너지의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열역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의 제1순환유로가 과냉 열교환기를 거치도록 배치시키되, 응축기의 출구단으로부터 분지된 제2순환유로 및 상기 증발기로부터 직접 분지된 제3순환유로가 상기 과냉 열교환기를 교차하여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과냉 열교환기로부터 버려지는 열을 이용하여 냉매 및 오일을 과열시켜 압축기로 회수시킴으로써 증발기 내부에서의 냉매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 과냉 열교환기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어 응축된 냉매 중 일부를 냉각시키는 과냉 열교환기와, 상기 과냉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상기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매 순환형 냉동 사이클로 구동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는 제1연결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팽창기구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과냉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제1중간배관 및 상기 과냉 열교환기와 상기 팽창기구를 연결하는 제2중간배관을 포함하는 제2연결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팽창기구와 상기 증발기는 제3연결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는 제4연결배관으로 연결되는 제1순환유로와, 상기 제1중간배관으로부터 분지되고, 상기 제1순환유로에 대하여 상기 과냉 열교환기 내부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로 연결되는 제2순환유로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분지되고, 상기 제1순환유로에 대하여 상기 과냉 열교환기 내부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로 연결되는 제3순환유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순환유로에는 상기 제1중간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과냉 팽창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순환유로는 상기 제1중간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유입되는 오일 및 냉매를 상기 냉매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제4연결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순환유로는 상기 제1중간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유입되는 오일 및 냉매를 상기 냉매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압축기의 중간부에 연통되게 설치된 냉매 및 오일 연결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증발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쉘과, 상기 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쉘에서 냉매와 열교환되도록 물이 통과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쉘 및 튜브 타입 증발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순환유로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회수된 오일이 상기 압축기로 유동되는 오일 회수 유로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오일 회수 유로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회수된 오일이 상기 냉매 열교환기를 거쳐 과열된 후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4연결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2순환유로와 제3순환유로를 이용하여 오일을 압축기로 곧바로 회수시킴으로써 증발기 내부의 열교환 성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2순환유로 및 상기 제3순환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는 오일을 과냉 열교환기를 통하여 과열시킴으로써 상기 압축기의 습압축을 방지할 수 있어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에어 핸들링 유닛(1)과 칠러(3)와 냉각 탑(5)을 포함하고, 에어 핸들링 유닛(1)과 칠러(3)는 수배관(6)으로 연결되며, 칠러(3)와 냉각 탑(5)은 냉각수 배관(7)으로 연결된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 유닛으로서,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비환기 공조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은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 구성될 경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흡입하되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를 실외로 배출하고, 나머지 실내 공기를 실외 공기와 혼합하며, 혼합 공기를 냉수 코일 등의 냉수 수요처(이하, 냉수 코일이라 칭함)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공급하고, 비환기 공조 유닛으로 구성될 경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수 코일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공급한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은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를 갖는 냉수 코일과, 상기 냉수 코일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혼합 공기 또는 실내 공기를 순환 송풍시키는 송풍팬(27)(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은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 구성될 경우,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건물이나 가옥 중에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이 공조시키는 실내와 별도로 마련된 공조실이나 기계실 등에 설치되거나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은 비환기 공조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이 공조시키는 실내에 설치되고, 실내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냉수 코일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직접 토출하는 팬 코일 유닛(FCU : Fan Coil Unit)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칠러(3)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냉수 코일로 냉수를 공급하는 일종의 냉수 공급 유닛으로서, 지하실 등의 기계실이나 실외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에 수배관(6)이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에 냉각수 배관(7)이 연결된다.
상기 수배관(6)은 상기 칠러(3)의 냉수가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으로 공급되는 냉수 유출관(6A)과,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을 통과한 냉수가 상기 칠러(3)로 회수되는 냉수 회수관(6B)을 포함한다.
상기 수배관(6)에는 냉수를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수 코일로 순환시키는 냉수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배관(7)은 상기 냉각 탑(5)의 냉각수가 상기 칠러(3)의 응축기 로 유입되는 냉각수 입수 배관(7A)과, 상기 칠러(3)의 응축기에서 유출된 냉각수가 상기 냉각 탑(5)으로 회수되는 냉각수 출수 배관(7B)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 배관(7)에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 탑(5)과 상기 칠러(3)의 응축기를 순환되게 냉각수를 펌핑시키는 냉각수 펌프(8)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측면도이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은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가지고, 실내 공기 흡입부(22A)와, 실내 공기 토출부(22B)와, 실외 공기 흡입부(22C)와, 공조 공기 토출부(22D)가 형성된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22)와,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27)(28)과,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조 공기 토출부(22D)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키는 상기 냉수 코일(4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에는 실내의 공기가 상기 실내 공기 흡입부(22A)를 통해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22)로 흡입되도록 실내와 상기 실내 공기 흡입부(22A)를 연통시키는 환기 덕트(22E)가 연결되고, 상기 실내 공기 흡입부(22A)를 통해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22)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일부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실내 공기 토출부(22B)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배기 덕트(22F)가 연결되며,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 공기 흡입부(22C)를 통해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22) 내부로 흡입되도록 실외와 상기 실외 공기 흡입부(22C)를 연통시키는 외기 덕트(22G)가 연결되며,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22)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상기 공조 공기 토출부(22D)와 실내를 연통시키는 급기 덕트(22H)가 연결된다.
상기 환기 덕트(22E)는 상기 실내 공기 흡입부(22A)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 덕트(22F)는 상기 실내 공기 토출부(22B)에 연결되며, 상기 외기 덕트(22G)는 상기 실외 공기 흡입부(22C)에 연결되고, 상기 급기 덕트(22H)는 상기 공조 공기 토출부(22D)에 연결된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상기 실내 공기 흡입부(22A)로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실내 공기 토출부(22B)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고, 나머지가 상기 실외 공기 흡입부(22C)로 흡입된 실외 공기와 혼합되며, 혼합된 공기가 상기 냉수 코일(40)과 열교환된 후 상기 공조 공기 토출부(22D)와 상기 급기 덕트(22H)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게 구성되는 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냉수 코일(40) 이전에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 챔버(26)(Mixing Chamber)가 위치된다.
상기 송풍팬(27)(28)은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실내 공기 흡입부(22A)와 상기 실내 공기 토출부(22B)의 사이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22) 내부로 흡입하여 송풍하는 리턴 팬(27)과, 혼합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냉수 코일(40)과 상기 공조 공기 토출부(22D)의 사이에 위치되어 혼합 공기를 상기 냉수 코일(40)로 흡입시킨 후 상기 공조 공기 토출부(22D)를 향해 송풍시키는 공급 팬(28)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27)(28)은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량 가변형 송풍팬으로서, 블로워(29)와, 상기 블로워(29)를 둘러싸고 공기 흡입구(30)와 공기 토출구(31)가 형성된 하우징(32)과, 상기 블로워(29)를 회전시키는 블로워 구동원(33)을 포함한다.
상기 블로워 구동원(33)은 상기 블로워(29)의 회전 중심에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블로워(29)의 회전 중심에 연결된 샤프트(34)와, 하우징(32) 외부에 위치되게 설치된 모터(35)와, 상기 모터(35)의 구동력을 상기 샤프트(34)로 전달하는 구동풀리(36)와, 벨트(37)와, 종동풀리(38)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35)는 풍속이 가변되는 인버터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수 코일(40)은 혼합 공기와 냉수가 열교환되어 혼합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일종의 실내 열교환기로서, 상기 혼합 챔버(26)와 상기 공급 팬(28)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은 혼합 공기 중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댐퍼(43)(44)(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43)(44)(45)는 실내 공기 토출부(22B)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배기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43)와, 상기 실외 공기 흡입부(22C)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 흡입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44)와, 상기 혼합 챔버(26)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중 상기 혼합 챔버(26)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혼합 댐퍼(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칠러(3)의 개략 구성도이다.
상기 칠러(3)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칠러(3)는 압축기(50)와 응축기(52)와 과냉 열교환기(53)와 팽창기구(54)와 증발기(55)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50)와 응축기(52)와 과냉 열교환기(53)와 팽창기구(54)와 증발기(55)는 하나의 칠러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다.
상기 압축기(50)는 냉매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압축 용량이 가변되는 용량 가변식 압축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압축 용량이 고정인 정속 압축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왕복동식 압축기, 로터리 압축기, 인버터 압축기, 스크류 압축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압축기(50)는 냉매가 압축되는 제1압축기와, 상기 제1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압축되는 제2압축기의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도 당연하다.
상기 응축기(5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냉각 탑(5)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매가 응축되게 하는 것으로서, 냉매와 물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쉘(52a)과, 상기 쉘(52a)의 양단을 막는 복수개의 칸막이(미도시)와, 상기 쉘(52a)의 양단을 덮는 복수개의 캡(52b)(52c)과, 냉매와 물 중 다른 하나가 통과하며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를 관통하여 상기 캡(52b)(52c) 내부와 연통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너 튜브(미도시)를 포함하는 쉘-튜브형 열교환기로서, 이하, 물이 상기 복수개의 캡(52b)(52c)과 상기 이너 튜브를 통과하고, 냉매가 상기 쉘(52a)과 상기 복수개의 이너 튜브 사이를 통과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응축기(52)에는 상기 쉘(52a)에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54d)와 상기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 유출구(54e)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52)에는 상기 냉매 유입구(54d)에 상기 압축기(50)와 응축기(52)를 연결하는 제1연결배관(6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52)에는 상기 냉매 유출구(54e)에 상기 응축기(52)와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를 연결하는 제1중간배관(63)과,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와 상기 팽창기구(54)를 연결하는 제2중간배관(64)으로 구성된 제2연결배관(63)(64)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52)는 상기 복수개의 캡(52b)(52c) 중 적어도 하나에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배관(7) 중 상기 냉각수 출수 배관(7B)이 연결되는 냉각수 유출구(52f)와 상기 냉각수 배관(7) 중 상기 냉각수 입수 배관(7A)이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구(52g)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응축기(5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냉각수 펌프(8)의 구동시, 상기 냉각 탑(5)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상기 응축기(52)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5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킨 후 상기 냉각 탑(5)으로 순환되고, 냉매는 응축된 상태로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1중간배관(63)으로 흐른다.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는 상기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 중 일부가 통과하면서 더욱 냉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냉 열교환기(53) 내부에서 냉매가 냉각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팽창기구(54)는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에서 냉각된 냉매가 팽창 되는 것으로서, 캐필러리 튜브나 전자팽창밸브(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s)로 이루어진다.
상기 팽창기구(54)는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와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2중간배관(64)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팽창기구(54)에 의하여 팽창된 냉매는 상기 팽창기구(54)와 상기 증발기(55)를 연결하는 제3연결배관(65)을 통해 상기 증발기(55)로 유입된다.
상기 증발기(55)는 상기 팽창기구(54)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면서 물을 냉각시키는 일종의 물 쿨러(Water Cooler)로서,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가 열교환부재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상기 증발기(55)는 냉매와 물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쉘(55a)과, 상기 쉘(55a)의 양단을 막는 복수개의 칸막이(미도시)와, 상기 쉘(55a)의 양단을 덮는 복수개의 캡(55b)(55c)과, 냉매와 물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며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를 관통하여 상기 캡(55b)(55c) 내부와 연통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너 튜브(미도시)를 포함하는 쉘-튜브형 열교환기로서, 이하, 물이 상기 복수개의 캡(55b)(55c)과 상기 이너 튜브를 통과하고, 냉매가 상기 쉘(55a)과 상기 복수개의 이너 튜브 사이를 통과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증발기(55)에는 상기 쉘(55a)에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55d)와,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 유출구(55e)가 형성된다.
상기 증발기(55)는 상기 냉매 유입구(55d)가 상기 팽창기구(54)와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2중간배관(64)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증발기(55)는 상기 복수개의 캡(55b)(55c) 중 적어도 하나에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수배관(6) 중 냉수 유출관(6A)과 연결되는 냉수 유출구(55f)가 형성되고, 상기 수배관(6) 중 냉수 회수관(6B)이 연결되는 냉수 회수구(55g)가 형성된다.
즉, 상기 증발기(55)는 냉매에 의해 차가워진 냉수가 도 1에 참조된 상기 수배관(6)을 통해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1)으로 공급된 후 상기 증발기(55)로 순환되고, 냉매는 증발된 상태로 상기 증발기(55)와 상기 압축기(50)를 연결하는 제4연결배관(66)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50)로 이동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압축기(50)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응축기(52)와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와 상기 팽창기구(54) 및 상기 증발기(55)를 거쳐 다시 상기 압축기(50)로 냉매가 순환되는 유로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제1순환유로(100)"라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1순환유로(100)는, 상기 압축기(50)로부터 고온/고압으로 냉매가 압축되어 상기 제1연결배관(62)을 통해 상기 응축기(52)로 전달되고, 상기 응축기(52)에 의하여 냉매는 방열되면서 어느 정도 냉각되어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1중간배관(63)을 통해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를 통과하면서 과냉되며,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2중간배관(64)을 통해 상기 팽창기구(54)를 거치면서 저압의 액냉매의 상태로 상기 제3연결배관(65)을 통해 상기 증발기(55)로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55)로 유입된 액냉매는 기냉매로 상변화되면서 다시 상기 제4연결배관(66)을 통해 상기 압축기(50) 로 순환되는 유로이다.
그런데, 상기 압축기(50)는 상기 증발기(55)에 의하여 증발된 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아 다시 이를 고압의 기상의 냉매(이하, 기냉매라 약칭함)로 바꾸어주는 장치인데, 압축을 위한 실제 작동부의 원활한 작동 및 내구를 위하여 오일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50) 내에서 오일이 사용되면 오일은 상기 냉매와 섞여서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냉매와 함께 그대로 유동하게 된다.
그러나, 오일이 섞인 냉매가 상기 증발기(55) 또는 응축기(52)로 유입되면 일종의 열교환기 역할을 하는 상기 증발기(55) 및 응축기(52)의 열교환 성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증발기(55) 및 응축기(52)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쉘(52a)(55a)에 차있는 냉매 사이를 물이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열교환 배관(미도시)이 배치되는데, 오일이 상기 냉매와 섞여 있다가 상기 쉘(52a)(55a)에서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 배관에 부착됨으로써 냉매와 물간 열교환 성능을 저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특히, 상술한 제1순환유로(100) 외에 상기 증발기(55)에 유입되기 전에 오일을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50)로 다시 회수하는 제2순환유로(200)와, 상기 증발기(55)로부터 직접 오일을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50)로 다시 회수하는 제3순환유로(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순환유로(200)는,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로 냉매가 유입되기 전의 냉매 유로인 상기 제1중간배관(63)으로부터 분지되고, 상기 제1순환유로(100)에 대하여 상기 과냉 열교환기(53) 내부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50)로 연결되는 유로이다.
여기서, 상기 제2순환유로(200)를 따라 유동하는 물질은 오일이 섞여 있는 상태의 냉매가 될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제2순환유로(200)에는 상기 제1중간배관(63)으로부터 분지되어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과냉 팽창기(6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냉 팽창기(68)는 상기 제2순환유로(200)를 경유하는 오일이 섞인 냉매를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로 유입시키기에 앞서 팽창시키는 기구로서, 상기 제1순환유로(100) 상에 설치된 상기 팽창기구(54)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 과냉 열교환기(53) 내부에서 상기 제1순환유로(100)와 상기 제2순환유로(200)를 경유하는 냉매간 열교환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과냉 열교환기(53) 내부에서 상기 제1순환유로(100)와 상기 제2순환유로(200)가 교차되면서 상기 제1순환유로(100)의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아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경유하는 냉매는 과냉시키는 반면, 상기 제2순환유로(200)를 경유하는 냉매는 과열된다.
상기 제1순환유로(100)의 냉매가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에 의하여 과냉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순환유로(100)의 냉매가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를 통과하면서 과냉되면 상기 증발기(55)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위로부터 빼앗는 열이 많아지므로 상기 증발기(55)의 상기 쉘(55a)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 배관의 열교환 성능이 크게 향상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순환유로(200)의 냉매가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에 의하여 과열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1중간배관(63)으로부터 분지된 오일이 섞인 냉매는 1차적으로 상기 과냉 팽창기(68)에 의하여 팽창되고, 2차적으로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경유하는 냉매가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에서 과냉되면서 생성하는 버려지는 열과 열교환되어 과열된다. 이처럼 과열된 오일이 섞인 냉매는 상기 과냉 팽창기(68)에서 팽창되면서 상기 팽창기구(54)에 의하여 팽창되는 효과를 얻게 되고,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에 의하여 과열되면서 상기 증발기(55)에 의하여 증발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때, 오일이 섞인 냉매는 저온/저압의 기냉매이므로 상기 제4연결배관(66)을 통하여 상기 압축기(50)로 유입되더라도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동안 습압축이 발생될 우려가 적으므로 상기 압축기(50)의 습압축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도 얻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55)로 유입되는 오일을 사전에 상기 압축기(50)로 바이패스(bypass) 시킴으로써 상기 증발기(55)의 열교환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1중간배관(63)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제2순환유로(200)를 형성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경유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도록 함으로써 동시에 전체적으로 제품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경유하여 상기 증발기(55)로 유입되는 냉매에도 오일이 섞여 있는 것은 당연하며, 따라서 상기 증발기(55)로부터 오일을 회 수하는 오일 회수 수단(미도시)이 마련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상기 오일 회수 수단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55)로부터 회수된 오일은 별도로 마련된 오일 회수 탱크(미도시)를 경유하거나 오일 냉각 수단을 경유하도록 하여 다시 상기 압축기(50)로 유입시켜 재사용한다.
그런데, 이때 회수된 오일에는 냉매도 포함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순환유로(300)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순환유로(300)는, 상기 증발기(55)로부터 직접 분지되고, 상기 제1순환유로(100)에 대하여 상기 과냉 열교환기(53) 내부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50)로 연결되는 오일의 유동 경로이다.
그러나, 상기 제3순환유로(300)를 경유하여 반드시 오일만이 유동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3순환유로(300)를 따라 유동하는 물질에는 액냉매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순환유로(300)는, 상기 오일 회수 수단에 의하여 회수된 오일이 섞인 냉매가 상기 증발기(55)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수되어 상기 과냉 열교환기(53) 내부에서 교차되도록 통과하면서 상기 제1순환유로(100)의 냉매로부터 방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과열된다.
이처럼, 상기 제3순환유로(300)를 경유하는 냉매를 관찰하면, 상술한 상기 제2순환유로(200)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제3순환유로(300)를 경유하는 오일을 관찰하면, 상기 과냉 열교환기(53) 내부에서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경유하는 냉매와 교차 열교환됨으로써 오일의 온도가 상승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일 냉각 수단을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오일을 냉각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50)에서의 오일 재사용에 크게 문제되는 점이 없다.
한편, 상기 제3순환유로(300)는,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에 의하여 과열된 오일이 섞인 냉매가 상기 제2순환유로(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4연결배관(66)의 중간 부분을 통해 상기 압축기(50)로 유입되는 유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칠러(3)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제2순환유로(200)가 제4연결배관으로 연결된 경우와 압축기로 직접 연결된 경우의 압축기의 압축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2순환유로(200)가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2중간배관(64)으로부터 분지되고,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에서 상기 제1순환유로(100)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압축기(50)로 직접 연결되는 냉매 순환유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50)에는 상기 제4연결배관(66)이 연결되는 연결포트 외에 상기 제2순환유로(200)가 상기 압축기(50)로 직접 연결되는 직결포트(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압축기(50)에 직접 형성된 상기 직결포트(50')에 상기 제2순환유로(200)가 연결되면, 오일이 상기 압축기(50)의 직결포트(50')를 통하여 공급되 므로,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50)의 압축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형성하는 냉매의 일반적인 유동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칠러(3)가 작동되면, 냉매는 상기 압축기(50)에 의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축됨과 아울러 상기 제1연결배관(62)을 통하여 상기 응축기(52)로 유동된다. 여기서, 냉매는 오일이 섞여있는 기냉매의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응축기(52)로 유동된 기냉매는 상기 응축기(52)에서 상변화하면서 액냉매로 바뀌게 되고, 열을 외부로 방열하게 된다. 이때, 액냉매의 중온/고압의 상태이다.
다음으로, 중온/고압의 액냉매는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1중간배관(63)을 통해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를 통과하면서 과냉되고,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2중간배관(64)을 통해 상기 팽창기구(54)로 전달된다. 이때, 액냉매는 과냉되므로 저온/고압의 상태로 상기 팽창기구(54)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55)에서의 열교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팽창기구(54)로 전달된 저온/고압의 액냉매는 상기 팽창기구(54)에 의하여 저온/저압의 액냉매로 팽창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온/저압의 액냉매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제3연결배관(65)을 통해 상기 증발기(55)로 전달되고, 상기 증발기(55)에서 액냉매는 증발되는 과정동안 기냉매로 상변화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55)에 의하여 증발된 상태의 저온/저압의 기냉매는 열역학 사이클 내에서 압축되어 재사용되기 위해 상기 제4연결배관(66)을 통해 다시 상기 압축기(50)로 전달되고, 상기 압축기(50)는 상술한 냉매의 초기 상태인 고온/고압의 기냉매 상태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냉매의 유동 과정은 앞서 설명한대로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형성하는 유로가 될 것이다.
이하, 상기 제2순환유로(200)를 형성하는 냉매 및 오일의 유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 상기 압축기(50) 및 상기 응축기(52)를 거치는 냉매 및 오일은 상기 제2연결배관(63)(64) 중 상기 제1중간배관(63)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과냉 팽창기(68)를 거치면서 압력이 낮아진 액냉매 및 오일 상태로 되어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를 교차하도록 통과한다.
이때,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의 내부에는 상술한 상기 제1순환유로(100)가 배치되는 바, 상기 제2순환유로(200)를 경유하는 냉매는 상기 제1순환유로(100)의 냉매가 과냉되면서 발산하는 열을 이용하여 과열되면서 기냉매 및 미립자의 오일 형태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과열된 냉매 및 오일은 기냉매 및 미립자의 오일 형태로 바뀌어 상기 증발기(55)와 상기 압축기(50)를 연결하는 상기 제4연결배관(66)을 통하여 상기 압축기(50)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압축기(50)의 습압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50)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응축기(52)와 상기 과냉 팽창기(68) 및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를 통하여 다시 상기 압축기(50)로 흐르는 냉매 및 오일의 유로가 상기 제2순환유로(200)가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제3순환유로(300)를 형성하는 냉매 및 오일의 유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 상기 압축기(50)에 의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 및 오일은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따라 상기 증발기(55)까지 유동된다.
상기 증발기(55)로 유입된 상기 냉매 및 오일은 상기 증발기(55)에 설치된 미도시의 오일 회수 수단에 의하여 오일이 분리된 후 상기 증발기(55)로부터 직접 분지되어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로 유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의 내부에는 상술한 상기 제1순환유로(100)가 배치되는 바, 상기 제3순환유로(300)를 경유하는 냉매 및 오일은 상기 제1순환유로(100)의 냉매가 과냉되면서 발산하는 열을 이용하여 과열되면서 기냉매 및 미립자의 오일 형태로 바뀌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로 유입되는 냉매는 이미 상기 증발기(55)에 의하여 저온/저압의 상태인 바, 별도의 팽창기구(54)가 필요없다.
이와 같이 상기 과냉 열교환기(53)를 통과하면서 기냉매 및 미립자의 오일 형태로 바뀐 냉매 및 오일은 상기 증발기(55)와 상기 압축기(50)를 연결하는 상기 제4연결배관(66)을 통하여 상기 압축기(50)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압축기(50)의 습압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과냉 열교환기(53)에 의하여 상기 제1순환유로(100)를 경유하는 냉매를 과냉시키면서 버려지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제2순환유로(200) 및 상기 제3순환유로(300)를 경유하는 냉매를 과열시켜 다시 상기 압축기(50)로 유입시킴으로써 제품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기(50)의 습압축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핸들링 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칠러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칠러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제2순환유로가 제4연결배관으로 연결된 경우와 압축기로 직접 연결된 경우의 압축기의 압축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에어 핸들링 유닛(AHU) 3: 칠러
5: 냉각 탑 7: 냉각수 배관
8: 냉각수 펌프 22A: 실내 공기 흡입부
22B: 실내 공기 토출부 22C: 실외 공기 흡입부
22D: 공조 공기 토출부 22E: 환기 덕트
22F: 배기 덕트 22G: 외기 덕트
22H: 급기 덕트 26: 혼합 챔버
27,28: 송풍팬 40: 냉수 코일
50: 압축기 52: 응축기
53: 과냉 열교환기 54: 팽창기구
55: 증발기 62: 제1연결배관
63: 제2연결배관,제1중간배관 64: 제2연결배관,제2중간배관
65: 제3연결배관 66: 제4연결배관
100: 제1순환유로 200: 제2순환유로
300: 제3순환유로

Claims (7)

  1.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어 응축된 냉매 중 일부를 냉각시키는 과냉 열교환기와, 상기 과냉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상기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매 순환형 냉동 사이클로 구동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는 제1연결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팽창기구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과냉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제1중간배관 및 상기 과냉 열교환기와 상기 팽창기구를 연결하는 제2중간배관을 포함하는 제2연결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팽창기구와 상기 증발기는 제3연결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는 제4연결배관으로 연결되는 제1순환유로와;
    상기 제1중간배관으로부터 분지되고, 상기 제1순환유로(100)에 대하여 상기 과냉 열교환기 내부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로 연결되는 제2순환유로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분지되고, 상기 제1순환유로에 대하여 상기 과냉 열교환기 내부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로 연결되는 제3순환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유로에는 상기 제1중간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과냉 팽창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유로는 상기 제1중간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유입되는 오일 및 냉매를 상기 냉매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제4연결배관으로 연결되는 오일 및 냉매 유로인 공기조화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유로는 상기 제1중간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유입되는 오일 및 냉매를 상기 냉매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압축기에 직접 설치된 직결포트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증발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쉘과, 상기 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쉘에서 냉매와 열교환되도록 물이 통과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쉘 및 튜브 타입 증발기인 공기조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순환유로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회수된 오일이 상기 압축기로 유동되는 오일 회수 유로인 공기조화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일 회수 유로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회수된 오일이 상기 냉매 열교환기를 거쳐 과열된 후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4연결배관에 연결된 공기조화기.
KR1020090061813A 2009-07-07 2009-07-07 공기조화기 KR10154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813A KR101542121B1 (ko) 2009-07-07 2009-07-07 공기조화기
PCT/KR2010/003722 WO2011004970A2 (ko) 2009-07-07 2010-06-10 공기조화기
EP10797244.0A EP2453187B1 (en) 2009-07-07 2010-06-10 Air conditioner
US13/382,854 US9581366B2 (en) 2009-07-07 2010-06-10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813A KR101542121B1 (ko) 2009-07-07 2009-07-0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157A true KR20110004157A (ko) 2011-01-13
KR101542121B1 KR101542121B1 (ko) 2015-08-05

Family

ID=4342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813A KR101542121B1 (ko) 2009-07-07 2009-07-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81366B2 (ko)
EP (1) EP2453187B1 (ko)
KR (1) KR101542121B1 (ko)
WO (1) WO201100497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055B1 (ko) * 2011-09-07 201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700222B1 (ko) * 2016-01-28 2017-02-13 하이에어공조 주식회사 만액식 열교환기가 설치된 해수열원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운전방법
CN106766385A (zh) * 2016-12-21 2017-05-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多联空调的多重交叉回油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405411QA (en) * 2014-09-02 2016-04-28 Cyclect Electrical Engineering Pte Ltd Heat recovery system and method
CN104963872B (zh) * 2015-07-27 2017-09-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油分桶、螺杆压缩机及空调机组
CN107576096A (zh) * 2017-09-12 2018-01-12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压缩机单元及空调系统
CN109442778B (zh) * 2018-11-30 2024-04-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
US11441809B2 (en) * 2019-02-15 2022-09-13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Auxiliary economizer for an HVAC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196A (en) * 1986-04-11 1987-12-29 Diesel Kiki Co., Ltd. Oil returning mechanism of evaporator for air conditioner
US5761914A (en) * 1997-02-18 1998-06-09 American Standard Inc. Oil return from evaporator to compressor in a refrigeration system
JP2002156161A (ja) * 2000-11-16 2002-05-31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2004170048A (ja) 2002-11-22 2004-06-17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US7114349B2 (en) * 2004-12-10 2006-10-03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system with common economizer and liquid-suction heat exchanger
WO2007046332A1 (ja) 2005-10-17 2007-04-26 Mayekawa Mfg. Co., Ltd. Co2冷凍機
KR100883600B1 (ko) 2007-03-08 200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863351B1 (ko) 2008-02-26 2008-10-15 정인식 냉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055B1 (ko) * 2011-09-07 201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700222B1 (ko) * 2016-01-28 2017-02-13 하이에어공조 주식회사 만액식 열교환기가 설치된 해수열원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운전방법
CN106766385A (zh) * 2016-12-21 2017-05-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多联空调的多重交叉回油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4970A3 (ko) 2011-03-31
EP2453187A4 (en) 2014-03-26
WO2011004970A2 (ko) 2011-01-13
US9581366B2 (en) 2017-02-28
EP2453187B1 (en) 2018-03-14
US20120174615A1 (en) 2012-07-12
EP2453187A2 (en) 2012-05-16
KR101542121B1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881B2 (en) HVAC system with powered subcooler
US9243827B2 (en) Chiller system including an oil separator and ejector connection
KR101542121B1 (ko) 공기조화기
CN106061777A (zh) 用于车辆的热泵系统
US20120131935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2947402B1 (en) Heat pump
CN103237991A (zh) 电机冷却系统
EP2453186B1 (en) Air conditioner
US11698198B2 (en) Isothermal-turbo-compressor-expander-condenser-evaporator device
JP5871681B2 (ja) 冷凍サイクル及び冷凍ショーケース
KR101275921B1 (ko) 밀폐형 압축기
JP5895662B2 (ja) 冷凍装置
KR20050043089A (ko) 히트 펌프
JP2004116930A (ja) 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JP4279511B2 (ja) 冷凍サイクルを用いた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CN100432552C (zh) 空调机
KR20040090129A (ko) 빌딩용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
WO2020136797A1 (ja) 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220011975A (ko) 칠러
KR101187286B1 (ko) 공조 시스템
KR200143512Y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장치
KR101286597B1 (ko) 공기조화기
KR20110083029A (ko) 공기조화장치
JP2000283593A (ja) 複合式冷房システム及び複合式冷房方法
KR20030093376A (ko) 냉동 사이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