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351B1 - 냉동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351B1
KR100863351B1 KR1020080017535A KR20080017535A KR100863351B1 KR 100863351 B1 KR100863351 B1 KR 100863351B1 KR 1020080017535 A KR1020080017535 A KR 1020080017535A KR 20080017535 A KR20080017535 A KR 20080017535A KR 100863351 B1 KR100863351 B1 KR 100863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umulator
refrigerant
compressor
evaporato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식
Original Assignee
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1533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633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식 filed Critical 정인식
Priority to KR102008001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기로 투입되기 전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여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 잔류하는 액상의 냉매의 증발에 따른 기화열을 통해 예비 냉각될 수 있도록 형성된 냉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동장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제1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2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교축부와, 상기 교축부와 연결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관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가 폐회로를 형성하며, 상기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를 구비하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축부 또는 상기 제2 연결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의 액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상기 교축부 또는 상기 제2 연결관을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를 구비한다.
어큐뮬레이터, 냉각

Description

냉동장치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기로 투입되기 전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여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 잔류하는 액상의 냉매의 증발에 따른 기화열을 통해 예비 냉각될 수 있도록 형성된 냉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매순환식 냉동장치는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폐회로를 순환한다. 즉 저압 기상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다음 고압 기상으로 응축기로 전달되어, 여기서 열을 방출함으로써 액상으로 응축된다.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를 거치면서 감압 팽창되어 증발기로 공급되고, 냉매는 증발기에서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 후 압축기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냉동장치는 응축기에서 냉매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냉매가 팽창기를 거쳐 증발기로 유입됨으로써 증발기에서 증발되는 냉매가 증발기 주위로부터 충분한 열량을 흡수할 수 없게 되어 냉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에서 냉매의 증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냉매의 건도가 낮은 상태로 압축기에 유입됨으로써 압축기에서 냉매를 습압축하게 되어 압축기에 캐비테이션 등이 발생하여 압축기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 제2001-0060533호에 개시된 냉동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130)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230)와, 응축기(130)로부터 증발기(230)를 향해 유동하는 냉매를 감압 팽창하는 팽창기(150)와, 팽창기(150)를 나온 냉매와 증발기(230)를 나온 냉매를 상호 열교환하는 내부열교환기(170)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열교환기(170)는 밀폐용기 형태의 케이싱(190)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싱(190) 내에는 응축기(130)로부터의 냉매가 통과하는 열전도성 코일도관(210)이 수용되어 있고, 케이싱(190)에는 증발기(230)로부터의 냉매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190a)와 유출구(190b)가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동장치는 사이클을 구성하는 필수구성요소인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기 이외에 케이싱과 코일도관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열교환기를 더 설치하여야 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단가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컴팩트화를 구현하기 어려워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기에 유입되기 전,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면서 예비 냉각됨으로써 증발기에서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냉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장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제1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2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교축부와, 상기 교축부와 연결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관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가 폐회로를 형성하며, 상기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를 구비하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축부 또는 상기 제2 연결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의 액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상기 교축부 또는 상기 제2 연결관을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교축부는 모세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모세관의 일부구간이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여 형성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모세관의 열교환구간은 열교환 면적의 확장을 위해 코일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발기는 각각 냉매가 유입되어 증발함으로써 주변을 냉각시키는 제1, 제2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연결관은 제1, 제2 냉각부의 출구로부터 연장되 는 분할관과, 상기 분할관이 하나로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이송관을 포함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입구와 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3 연결관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를 통과하는 모세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방열핀이 형성된 열교환탱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장치는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서 액상의 냉매가 증발하는 기화열을 통해 증발기에 공급되는 냉매를 예비 냉각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동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장치(10)는 압축기(11)와, 압축기(11)와 제1 연결관(12)에 의해 연결되는 응축기(13), 응축기(13)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결관(14)과 연통되는 교축부, 교축부와 연결되는 증발기(16) 및 증발기(16)와 압축기(11)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관(17)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18)와 어큐뮬레이터(18)의 내부에서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예냉하기 위한 열교환부(19)를 구비한다.
상기 압축기(11)와 응축기(13), 교축부 및 증발기(16)는 제1 내지 제3 연결 관(12,14,17)들에 의해 폐회로를 형성하며 냉매가 이 폐회로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16)에서 증발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증발기(16)에서 기화된 냉매는 제3 연결관(17) 및 제3 연결관(17)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18)를 통과하여 압축기(11)로 이동한다.
어큐뮬레이터(18)는 증발기(16)에서 기화되지 못한 액상의 냉매가 압축기(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어큐뮬레이터(18)는 일측에 증발기(16)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입구(18a)가 마련되어 있으며, 기화된 후 냉매가 배출되는 증발기(16)의 배출구와 상기 어큐뮬레이터(18)의 입구(18a)는 제3 연결관(17)의 전방연결부(17a)에 의해 냉매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18)의 타측에는 기체상태의 냉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출구(18b)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출구(17a)와 압축기(11)는 제3 연결관(17)의 후방연결부(17a)에 의해 기체상태의 냉매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11)에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면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캐비테이션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압축기(11)의 파손 또는 냉각효율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16)에서 배출된 냉매 중 기화되지 않은 액상의 냉매는 압축기(11)로 바로 유입되지 않고 어큐뮬레이터(18)의 내부에서 증발된 후, 기체 상태로 압축기(11)에 공급된다.
압축기(11)는 증발기(16)에서 기화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 냉매가 압축기(11)를 통과하면서 고압의 기체가 된다. 압축된 기체는 제1 연결관(12)을 통해 응축기(13)로 이동하고, 응축기(13)에서는 냉매의 냉각이 이루어지며, 냉매는 응축기(13)를 통과하면서 액화된다.
액화된 냉매는 제2 연결관(14)을 통해 증발기(16)를 향해 이송되며, 제2 연결관(14)의 단부에는 교축부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교축부는 응축기(13)를 통과한 냉매를 감압 팽창시켜 증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축부로서 모세관(15)이 적용되었다. 응축기(13)를 통과한 냉매는 모세관(15)이 제2 연결관(14)에 비해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이러한 관로 직경의 축소에 따른 압력강하로 인해 교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축부로서 모세관(15)이 적용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교축부는 교축밸브와 같이 냉매를 감압 팽창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축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열교환부(19)는 응축된 냉매가 증발기(16)에 공급되기 전 예비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열교환부(19)는 모세관(15)이 후방연결부(17b)의 일측을 통해 제3 연결관(17)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 관로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18)의 출구(18b)와 입구(18a)를 통해 어큐뮬레이터(18)의 내부를 통과한 후, 전방연결부(17a)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큐뮬레이터(18)의 내부에서는 증발기(16)에서 기화되지 않은 냉매의 증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터(18)의 내부에서 냉매가 증발할 때, 모세관(15)을 통과하여 증발기(16)에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써 냉매는 예비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증발기(16)에서 냉매가 증발할 때 주변의 열을 더욱 많이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냉각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세관(15)의 일부 구간이 어큐뮬레이터(18)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연장됨으로써 열교환부(19)가 형성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제2 연결관(14)의 일부 구간이 어큐뮬레이터(18)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연장시켜 냉매가 제2 연결관(14)을 통과할 때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장치(2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냉동장치(20)는 증발기(21)가 각각 냉매가 증발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제1, 제2 냉각부(22,23)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냉장고의 경우 냉장실과 냉동실을 따로 구비하고 있으며,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가 각각 다르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제2 냉각부(22,23)를 구비하기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27)에서 압축된 후 제1 연결관(34)을 통해 응축기(24)에 공급된 냉매는 응축된 다음 제2 연결관(25)을 통해 응축기(24)로부터 배출되며, 제2 연결관(25)의 단부에는 냉매의 교축을 위한 교축부(2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교축부(26)는 제1, 제2 냉각부(22,23)로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모세섹세관(26a,26b)을 포함한다.
제3 연결관(28)은 제1, 제2 냉각부(22,23)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압축기(27)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를 제공하는데, 상기 제1, 제2 냉각부(22,23)의 배출구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분할관(29)과, 상기 분할관(29)들이 하나로 결합되는 결합부재(30)와, 결합부재(30)의 토출홀(30b)과 어큐뮬레이터(32)의 입구(32a)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유동부(34)와, 어큐뮬레이터(32)의 출구(32b)와 상기 압축기(27)를 연결하는 제2 유동부(35)를 포함하는 이송관(31)을 구비한다.
결합부재(30)는 'Y'자 형태로 형성되어 두 개의 체결홀(30a)과 하나의 토출홀(30b)을 갖는다. 양 체결홀(30a)은 각각 제1, 제2 냉각부(22,23)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이송되는 분할관(29)과 연결되어 있고, 토출홀(30b)은 제1 유동부(34)과 연결되어 있어서, 각각의 분할관(29)으로부터 유입된 냉매는 결합부재(30)에서 합쳐진 후 제1 유동부(34)를 통해 어큐뮬레이터(32)에 유입되고, 기체상태의 냉매만 어큐뮬레이터(32)에서 제2 유동부(35)를 통해 압축기(27)로 전달된다.
어큐뮬레이터(32)와 결합부재(3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관(31) 및 분할관(29) 역시 각각 압축기(27) 및 제1, 제2 냉각부(22,23)와 연결되는 연결지점의 일부구간에 형성된 구리부분(29b,31b)을 제외하고 모두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냉매가 이송되는 냉매관이나 어큐뮬레이터는 구리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알루미늄은 구리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냉동장치(20)는 종래의 냉동장치에 비해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알루미늄이 구리에 비해 값이 싸므로 제조 비용의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제2 연결관(25)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제2 모세관(26a,26b)은 이송관(31)의 알루미늄부분(31a)과 구리부분(31b)의 연결지점을 통해 두 개 모두가 제2 유동부(35)의 내부로 삽입되어 어큐뮬레이터(32)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제1, 제2 모세관은 결합부재(30)에서 분할되어 하나씩 각각의 분할관(29)의 내부를 통과하며, 각 분할관(29)의 알루미늄부분(29a)과 구리부분(29b)의 연결지점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어큐뮬레이터(32)를 통과한 제1, 제2 모세관(26a,26b)은 제1, 제2 냉각부(22,23)로 각각 연결되어 어큐뮬레이터(32)의 내부에서 예비냉각된 냉매가 제1, 제2 냉각부(22,23)에 각각 공급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축부(26)가 이송관(31) 및 분할관(29)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응축된 냉매가 교축부(26)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증발기(21)에서 배출된 냉매에 의해 예비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열교환부(33)는 제1, 제2 냉각부(22,23)로 연결되는 교축부(26) 즉 제1, 제2 모세관(26a,26b)이 어큐뮬레이터(32) 및 제3 연결관(28)의 관로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므로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예비 냉각이 더욱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모세관(26a,26b)이 어큐뮬레이터(32)의 내부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어큐뮬레이터(32)의 내부에서 냉매가 기화될 때, 이 기화열을 통해 교축부(26)를 통과하는 냉매의 냉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어큐뮬레이터(32)를 통과하는 제1, 제2 모세관(26a,26b)의 일부 구간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열교환부(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열교환부(40)는 어큐뮬레이터(41)의 내부를 통과하는 모세관(42)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열교환탱크(43)를 구비한다.
열교환탱크(43)는 모세관(42)에 비해 내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열교환탱크(43)의 내부에서는 모세관(42)을 통과할 때보다 냉매의 이동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따라서 동일 거리의 모세관(42)을 통과할 때보다 열교환탱크(43) 내부에서의 냉매의 체류시간이 더 길어지게 된다.
열교환탱크(43)의 외주면에는 방열핀(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방열핀(44)에 의해 열교환탱크(43) 내부의 냉매의 열 방출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냉동장치(10)의 나머지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와는 달리 증발기가 두 개가 설치되어 증발기로 연결되는 모세관이 두 개인 경우, 열교환탱크 역시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어큐뮬레이터, 제3 연결관 및 모세관을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어큐뮬레이터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열교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종래 냉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Claims (5)

  1.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제1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2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교축부와, 상기 교축부와 연결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관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가 폐회로를 형성하며, 상기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를 구비하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와, 기체상태의 냉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3 연결관은 상기 증발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의 배출구와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입구를 상호 연결하는 전방연결부와, 상기 어큐뮬레이터에서 기화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출구와 상기 압축기를 상호 연결하는 후방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축부 또는 상기 제2 연결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상기 후방연결부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출구와 입구를 통해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연결부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의 액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상기 교축부 또는 상기 제2 연결관을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축부는 모세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출구가 상기 입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며, 액상의 냉매가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각각 냉매가 유입되어 증발함으로써 주변을 냉각시키는 제1, 제2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연결부는 상기 제1, 제2 냉각부의 배출구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분할관들과, 상기 분할관들이 하나로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연장되는 하나의 이송관을 포함하며,
    상기 교축부는 상기 제2 연결관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후방연결부와 상기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이송관을 통과한 후 상기 결합부재에서 상기 각각의 분할관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나씩 분할되어 상기 제1, 제2 냉각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모세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입구와 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3 연결관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5.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제1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2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과 연결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관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가 폐회로를 형성하며, 상기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를 구비하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응축된 액상의 냉매가 분할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두 개가 상기 제2 연결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두 개의 모세관으로부터 각각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제2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와, 기체상태의 냉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3 연결관은 상기 제1, 제2 냉각부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제2 냉각부와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분할관과, 상기 두 개의 분할관과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체결홀과, 상기 각각의 분할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가 하나로 합쳐진 후 배출되는 하나의 토출홀을 갖는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토출홀과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입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유동부와,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출구와 상기 압축기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유동부를 갖는 이송관을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분할관과 상기 제2 유동부는 각각 상기 제1, 제2 냉각부의 냉매출구 및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소정길이의 구리부분과, 상기 구리부분과 연결되어 각각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홀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출구로 연장되는 알루미늄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모세관이 상기 제2 유동부의 구리부분과 알루미늄 부분의 연결지점을 통해 상기 제2 유동부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출구와 입구를 통해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유동부의 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재를 통과하면서 상기 두 개의 분할관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각각 분할된 다음 상기 분할관의 알루미늄부분과 상기 구리부분의 연결지점을 통해 상기 분할관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의 액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상기 교축부 또는 상기 제2 연결관을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KR1020080017535A 2008-02-26 2008-02-26 냉동장치 KR100863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535A KR100863351B1 (ko) 2008-02-26 2008-02-26 냉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535A KR100863351B1 (ko) 2008-02-26 2008-02-26 냉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351B1 true KR100863351B1 (ko) 2008-10-15

Family

ID=4015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535A KR100863351B1 (ko) 2008-02-26 2008-02-26 냉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70A3 (ko) * 2009-07-07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3194690A (zh) * 2021-05-11 2021-07-30 翟维友 一种散热装置及制冷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525A (ja) * 2002-06-28 2004-01-29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アキュム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
KR200401543Y1 (ko) * 2005-09-07 2005-11-21 박재정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525A (ja) * 2002-06-28 2004-01-29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アキュム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
KR200401543Y1 (ko) * 2005-09-07 2005-11-21 박재정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70A3 (ko) * 2009-07-07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9581366B2 (en) 2009-07-07 2017-02-28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13194690A (zh) * 2021-05-11 2021-07-30 翟维友 一种散热装置及制冷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391A (en) Refrigerant circulation apparatus utilizing two evaporators operating at different evaporating temperatures
JP2008281326A (ja) 冷凍装置及び該冷凍装置に用いる熱交換器
KR102255799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
US20130111943A1 (en) Non-azeotropic mixed refrigerant cycle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JP2007218459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保冷庫
KR20110071167A (ko) 냉장고
KR101173157B1 (ko) 수냉식 응축기 및 과냉각용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JP2000055488A (ja) 冷凍装置
TWI571606B (zh) A refrigeration unit using a triple tube heat exchanger
KR101649193B1 (ko) 이원 냉동 사이클 시스템
US20170307265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heat exchanging element
JP2007001485A (ja) 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0266198A (ja) エジェクタ式冷凍サイクル
KR100863351B1 (ko) 냉동장치
KR200359861Y1 (ko) 냉동장치의 액열기
JP2011117685A (ja) 冷凍冷蔵庫
CN207416491U (zh) 车辆的空调系统及车辆
KR20070048510A (ko)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KR100805424B1 (ko) 이중 유로 응축기 및 이를 이용한 냉동장치
JP2008089252A (ja) 冷却装置
KR102019925B1 (ko) 고효율 냉동시스템
JP2014132217A (ja) 三重管式熱交換器を用いた冷凍装置
KR101610252B1 (ko) 건조도를 줄인 에너지 절약형 냉동·냉장 장치
KR910002808Y1 (ko) 교축식 과냉각기
JP2003279197A (ja) 冷凍冷蔵庫システム・凝縮用熱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330

Effective date: 2011121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