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055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055B1
KR101382055B1 KR1020110090780A KR20110090780A KR101382055B1 KR 101382055 B1 KR101382055 B1 KR 101382055B1 KR 1020110090780 A KR1020110090780 A KR 1020110090780A KR 20110090780 A KR20110090780 A KR 20110090780A KR 101382055 B1 KR101382055 B1 KR 10138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heat exchange
air condition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289A (ko
Inventor
김범찬
류병진
장용희
고영환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055B1/ko
Priority to EP12183206.7A priority patent/EP2568247B1/en
Priority to US13/605,703 priority patent/US20130055753A1/en
Publication of KR2013002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66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7/0083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a supplementary heat exchange medium,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units arranged in common flow of supplementary heat exchange medium
    • F28D7/0091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a supplementary heat exchange medium,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units arranged in common flow of supplementary heat exchange medium the supplementary medium flowing in series through th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having a single U-b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28D7/160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change of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5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 F25B2400/054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between the suction tube of the compressor and another part of th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8Optimization, e.g. high integration of refrigeration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과냉각 되도록 하는 과냉각 장치 및 상기 과냉각기를 거친 냉매가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 1 유로; 상기 과냉각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유로와 열교환되도록 작용하며, 상기 압축기로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 2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와 열교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 3 유로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이에 따라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에는 외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가 포함되며, 실내기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공기 조화기는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가 냉방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반면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난방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한편, 공기 조화기에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기 이전에 과냉각되도록 하는 과냉각기가 더 포함된다. 상기 과냉각기는,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메인 냉매와, 상기 메인 냉매로부터 일부 분지되어 팽창된 분지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냉매와 분지 냉매간의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메인 냉매는 과냉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에는,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이용하여 압축기에 흡입될 냉매를 과열하기 위한 과열 열교환기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응축 냉매)와 상기 압축기에 흡입될 냉매(흡입 냉매)는 상기 과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응축 냉매는 과냉되고 상기 흡입 냉매는 과열되어 냉동 시스템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과냉각기에 의하면, 상기 과냉각기와 과열 열교환기를 별도로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지 않고 냉매 배관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과냉각기와 과열 열교환기에 구비되는 배관이 스파이럴 튜브(spiral tube)로 구성되어, 냉매간 열교환 면적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냉매의 충분한 과냉 또는 과열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응축냉매의 과냉각 또는 압축기 흡입냉매의 과열을 통하여 냉동 사이클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과냉각 되도록 하는 과냉각 장치 및 상기 과냉각기를 거친 냉매가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 1 유로; 상기 과냉각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유로와 열교환되도록 작용하며, 상기 압축기로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 2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와 열교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 3 유로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과냉각기가 포함되며, 상기 과냉각기에는, 복수의 냉매배관이 배치되는 과냉각 본체; 상기 과냉각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냉매배관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제 1 유입부; 상기 복수의 냉매배관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냉매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유입부; 및 상기 복수의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유로들을 구획하는 구획부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과냉각 장치의 내부에 다수의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제 1 냉매와 배관 외부를 유동하는 제 2 냉매간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열교환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과냉각 효율이 상승되고, 충분한 과냉을 확보함으로써 냉동 사이클의 운전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을 일방향 및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제 1 냉매의 열교환을 2회에 걸쳐 수행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냉각 장치를 통과한 제 2 냉매를 압축기에 유입(인젝션)시킴으로써 압축기를 순환하는 냉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난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냉각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2회의 열교환 작용이 하나의 과냉각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컴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에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는 냉매의 순환 방향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가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로 흡입되는 냉매 중 액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기액 분리기(40)와, 상기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20)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2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실외 팽창장치(38)와, 팽창된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30)와,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된 냉매의 순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사방 밸브(50) 및 이들 구성을 연결하며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냉매관(6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20) 및 실외 열교환기(30)의 일측에는, 냉매와 열교환 되는 유체(공기)를 불어주기 위한 송풍팬(25,35)이 각각 제공된다. 상기 송풍팬(25,35)에는, 실내팬(25) 및 실외팬(35)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사방 밸브(50)의 제어에 따라 냉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냉매의 순환방향은 위에서 설명한 난방운전에서의 냉매순환 방향과 반대가 된다. 즉, 냉매는 압축기(10) 및 실외 열교환기(30)를 통과한 후 실내 팽창장치(28)에서 팽창되며, 실내 열교환기(20)에서 열교환 된다.
공기 조화기(1)가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냉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30)와 실내 열교환기(20)의 사이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응축된 냉매를 과냉각 하기 위한 과냉각 장치(100, 과냉각기)가 제공된다.
상기 냉매관(60)에는, 상기 과냉각 장치(100)로 메인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메인 유입부(71) 및 상기 과냉각 장치를 거친 메인 냉매의 토출을 가이드 하는 메인 토출부(72)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 냉매는, 상기 냉매관(60)을 유동하는 냉매로서, "제 1 냉매"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에는, 상기 냉매관(60)의 제 1 냉매 중 적어도 일부 냉매가 분지하여 상기 압축기(10)로 인젝션 하기 위한 인젝션 유로(150)가 포함된다. 상기 인젝션 유로(150)는 상기 냉매관(60)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과냉각 장치(100)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냉매에서 분지된 적어도 일부의 냉매를 "제 2 냉매"라 이름한다.
상기 인젝션 유로(150)에는, 분지된 냉매가 상기 과냉각 장치(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인젝션 유입부(151)가 포함된다. 상기 인젝션 유입부(151)는 상기 메인 유입부(71)와는 다른 위치에 규정되는 유입부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인젝션 유로(150)에는, 상기 인젝션 유입부(151)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가 상기 과냉각 장치(100)를 통과한 후 유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인젝션 토출부(152)가 포함된다. 상기 인젝션 토출부(152)는 상기 메인 토출부(72)와는 다른 위치에 규정되는 토출부이며, 상기 인젝션 토출부(152)를 통하여 토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10)로 인젝션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매관(60)을 유동하는 냉매 중 적어도 일부의 냉매를 과냉각 장치(100)에 통과시키고, 이를 상기 압축기(10)에 유입시킴으로써 압축기 또는 냉매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젝션 유로(150)에는, 상기 제 2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인젝션 팽창장치(155)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인젝션 팽창장치(155)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 1 냉매보다 저온 저압으로 변화되며, 상기 과냉각 장치(100)에서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 하면서 상기 제 1 냉매를 과냉시킬 수 있다.
상기 과냉각 장치(100)에서 과냉된 제 1 냉매는 상기 실내 팽창장치(28)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20)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0)에서 증발된 냉매가 상기 과냉각 장치(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과열 흡입부(161) 및 상기 과열 흡입부(161)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가 상기 과냉각 장치(100)에서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 된 후 상기 기액 분리기(40)를 향하여 유출되도록 하는 과열 토출부(162)가 포함된다. 상기 과열 흡입부(161)로 유입되어 상기 과열 토출부(162)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제 3 냉매"라 이름한다.
위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과냉각 장치에서의 냉매 유동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사방변(50)이 조절되어 난방 운전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의 냉매 유동을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실내 열교환기(20)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메인 토출부(72)를 통하여 상기 과냉각 장치(100)로 유입되어 상기 메인 유입부(71)로 유출된다. 그리고, 유출된 제 1 냉매는 상기 실외 팽창장치(38)에서 팽창된 후 상기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증발된다.
한편, 상기 메인 유입부(71)에서 유출된 제 1 냉매 중 일부의 냉매, 즉 제 2 냉매는 상기 인젝션 유로(150)로 분지되며, 상기 인젝션 팽창장치(155)에서 팽창되어 상기 과냉각 장치(100)로 유입된다. 상기 과냉각 장치(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냉매와 제 2 냉매는 열교환되며, 열교환 과정에서 상기 제 1 냉매는 과냉되고 상기 제 2 냉매는 기화되어 상기 압축기(10)로 인젝션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증발된 제 3 냉매는 상기 과열 흡입부(161)를 통하여 상기 과냉각 장치(100)로 유입되며, 상기 과냉각 장치(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 된 후 상기 과열 토출부(162)를 통하여 상기 기액 분리기(40)로 유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과냉각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100)에는,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제 3 냉매가 유동하는 유동 공간(112a,112b)을 형성하는 과냉각 본체(110)가 포함된다. 상기 과냉각 본체(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냉각 본체(110)에는, 제 1 열교환 영역(또는 제 1 배관영역)을 규정하는 제 1 본체(111) 및 제 2 열교환 영역(또는 제 2 배관영역)을 규정하는 제 2 본체(11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본체(111)의 내부에는,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유동 공간(11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본체(115)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냉매 및 제 3 냉매가 유동하는 제 2 유동 공간(1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본체(111)의 내부에는 제 1 냉매가 유동하는 다수의 제 1 냉매배관(131)이 포함되며, 상기 제 2 본체(115)의 내부에는 제 1 냉매가 유동하는 다수의 제 2 냉매배관(132)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2 냉매 배관(131,132)은 모세관(capillary tube)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 영역 또는 제 1 배관영역은 상기 제 1 냉매와 제 2 냉매가 열교환 되는 영역으로서 이해되며, 상기 제 2 열교환 영역 또는 제 2 배관영역은 상기 제 1 냉매와 제 3 냉매가 열교환 되는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31) 및 제 2 냉매배관(132)을 차례로 유동한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을 통과한 후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을 유동하며, 난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을 통과한 후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을 유동하게 된다.
상기 과냉각 장치(100)에는, 상기 제 1 본체(111)의 일측에 제공되며 냉방 운전시 상기 제 1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메인 유입부(71) 및 상기 제 2 본체(115)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냉매의 유출을 가이드 하는 메인 토출부(72)가 포함된다.
상기 과냉각 장치(100)에는, 상기 제 1 본체(111)의 외주면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인젝션 유입부(151) 및 상기 제 1 본체(110)의 외주면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냉매의 유출을 가이드 하는 인젝션 토출부(15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과냉각 장치(100)에는, 상기 제 2 본체(115)의 외주면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3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과열 흡입부(161) 및 상기 제 2 본체(115)의 외주면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3 냉매의 유출을 가이드 하는 과열 토출부(162)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 유입부(71), 인젝션 유입부(151) 및 과열 흡입부(161)는 상기 과냉각 본체(110)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점에서, 각각 "제 1 유입부", "제 2 유입부" 및 "제 3 유입부"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토출부(72), 인젝션 토출부(152) 및 과열 토출부(162)는 상기 과냉각 본체(110)로부터 냉매를 유출시키는 점에서, 각각 "제 1 토출부", "제 2 토출부" 및 "제 3 토출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유입부(71)와 제 1 본체(111)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 유입부(71)를 통하여 유입된 제 1 냉매를 다수의 경로(유로)로 분지시키기 위한 분지부(120)가 포함된다. 상기 분지부(120)는 상기 메인 유입부(71)와 제 1 냉매배관(131)의 사이에 제공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분지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유입부(71)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 1 본체(111)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120)는 중공의 배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분지부(120)에는 상기 메인 유입부(71)와 결합되는 유입 결합부(121) 및 다수의 제 1 배관 결합부(123)가 형성되는 제 1 차폐부(1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차폐부(122)는 상기 제 1 본체(111)로 유입되는 제 2 냉매가 상기 제 1 본체(111)의 외부로 유동(누설)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 1 배관 결합부(122)는 상기 다수의 제 1 냉매배관(13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홀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 1 냉매배관(131)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배관 결합부(123)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냉매가 상기 제 1 본체(11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전달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1 냉매배관(131)과 제 2 냉매배관(132)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열교환 영역 및 제 2 열교환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125,140)가 제공된다. 상기 구획부(125,140)는 중공의 배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획부(125,140)에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에 결합되는 제 1 구획부(125)가 포함된다. 즉, 상기 분지부(120)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구획부(125)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32)의 타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구획부(125)에는, 다수의 제 2 배관 결합부(127)가 형성되는 제 2 차폐부(126)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차폐부(126)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을 유동하는 제 2 냉매가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의 외부로 유동(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차폐부(122)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의 일측 단부를 차폐하며, 상기 제 2 차폐부(126)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의 타측 단부를 차폐하여, 상기 제 2 냉매가 상기 제 1 냉매 또는 제 3 냉매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 배관 결합부(127)에는, 상기 다수의 제 1 냉매배관(131)이 결합된다. 상기 제 1 배관 결합부(123)를 통하여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으로 유입된 제 1 냉매는 상기 제 2 배관 결합부(127)를 통하여 상기 제 1 구획부(125)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구획부(125,140)에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에 결합되는 제 2 구획부(1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획부(140)에는, 다수의 제 3 배관 결합부(142)가 형성되는 제 3 차폐부(141)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차폐부(141)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을 유동하는 제 3 냉매가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의 외부로 유동(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다수의 제 3 배관 결합부(142)에는, 상기 다수의 제 2 냉매배관(132)이 결합된다. 상기 제 2 배관 결합부(127)를 통하여 상기 제 1 구획부(125)으로 유입된 제 1 냉매는 상기 제 2 구획부(140)를 거친 후, 상기 제 3 배관 결합부(142)를 통하여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으로 분지 및 유입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을 유동한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구획부(125) 및 제 2 구획부(140)에서 합지되며, 이 과정에서 제 1 냉매는 골고루 혼합하게 된다. 상기 제 1 냉매에는 과냉각(포화액) 냉매 및 일부 2상 상태의 냉매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혼합작용에 의하여 유동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부(125,140)가 별도의 제 1,2 구획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 구획부(125) 및 제 2 구획부(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본체(115)와 메인 토출부(72)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냉매 배관(132)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제 1 냉매를 합지하는 합지부(145)가 제공된다. 상기 합지부(145)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제 2 냉매 배관(132)이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메인 토출부(72)가 결합된다. 상기 합지부(145)는 중공의 배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합지부(125)에는, 다수의 제 4 배관 결합부(147)가 형성되는 제 4 차폐부(146) 및 상기 메인 토출부(72)에 결합되는 토출 결합부(148)가 포함된다.
상기 제 4 차폐부(146)는 상기 제 2 본체(115)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 3 냉매가 상기 제 2 본체(115)의 외부로 유동(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정리하면, 상기 제 3 차폐부(141)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의 일측 단부를 차폐하며, 상기 제 4 차폐부(146)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의 타측 단부를 차폐하여 상기 제 3 냉매가 상기 제 1 냉매 또는 제 2 냉매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4 배관 결합부(147)는 상기 다수의 제 2 냉매 배관(13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홀의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 3 배관 결합부(142)는 상기 제 2 냉매 배관(132)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4 배관 결합부(147)는 상기 제 2 냉매 배관(132)의 타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냉매가 상기 제 4 배관 결합부(147)를 통하여 상기 합지부(145)에 유입되면, 증가된 유동 공간에 의하여 서로 혼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냉매에는 과냉각(포화액) 냉매 및 일부 2상 상태의 냉매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혼합작용에 의하여 유동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 본체(111)에는, 상기 인젝션 유입부(151)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13) 및 상기 인젝션 토출부(152)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인젝션 유입부(151) 및 인젝션 토출부(152)는 상기 제 1 결합부(113) 및 제 2 결합부(114)로부터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미도시)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인젝션 유입부(151)를 통하여 유입된 제 2 냉매는 상기 제 1 본체(111)의 내부를 유동하며, 유동 과정에서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된 후 상기 인젝션 토출부(152)를 통하여 유출된다.
상기 제 2 본체(115)에는, 상기 과열 흡입부(161)가 결합되는 제 3 결합부(117) 및 상기 과열 토출부(162)가 결합되는 제 4 결합부(118)가 형성된다. 상기 과열 흡입부(161) 및 과열 토출부(162)는 상기 제 3 결합부(117) 및 제 4 결합부(118)로부터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미도시)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과열 흡입부(161)를 통하여 유입된 제 3 냉매는 상기 제 2 본체(115)의 내부를 유동하며, 유동 과정에서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된 후 상기 과열 토출부(162)를 통하여 유출된다.
상기 과냉각 본체(110)의 내부에는, 제 1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유로(171)와, 제 2 냉매가 유동하는 제 2 유로(172) 및 제 3 냉매가 유동하는 제 3 유로(17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유로(171)는 제 1 냉매가 상기 메인 유입부(71)에서 유입되어 상기 메인 토출부(72)를 통하여 유출될 때까지 유동하는 경로로서 이해되며, 상기 제 1 냉매배관(131) 및 제 2 냉매배관(132)의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유로(172)는 상기 제 2 냉매가 상기 인젝션 유입부(151)에서 유입되어 상기 인젝션 토출부(152)를 통하여 유출될 때까지 유동하는 경로로서 이해되며, 상기 제 1 본체(111) 중 상기 제 1 냉매 배관(131)의 외측 공간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유로(173)는 상기 제 3 냉매가 상기 과열 흡입부(161)에서 유입되어 상기 과열 토출부(162)를 통하여 유출될 때까지 유동하는 경로로서 이해되며, 상기 제 2 본체(115) 중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의 외측 공간이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유로(17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1 차폐부(122)에 의하여 규정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제 2 차폐부(126)에 의하여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유로(173)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3 차폐부(141)에 의하여 규정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제 4 차폐부(146)에 의하여 규정된다.
정리하면, 상기 과냉각 본체(110)에 복수의 냉매유로가 규정되고, 상기 복수의 냉매유로 중 제 1 유로(171)는 냉매 배관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 2 유로(172) 및 제 3 유로(173)는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에 형성됨으로써 열전달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제 1 냉매와 제 2 냉매의 열교환 면적 또는 제 1 냉매와 제 3 냉매의 열교환 면적은 상기 다수의 냉매 배관(131,13)의 외주면(둘레)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압축기(10)로의 인젝션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인젝션 팽창장치(155)는 개방되어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인젝션 유로(150)로 유동되어 팽창되며, 상기 인젝션 유입부(151)를 통하여 상기 제 1 본체(111)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메인 유입부(71)를 통하여 상기 제 1 냉매배관(131)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냉매와 제 2 냉매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31)의 내측 및 외측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냉매는 1차 과냉각되고 상기 제 2 냉매는 기화된다.
그리고, 증발기를 통과한 제 3 냉매는 상기 과열 흡입부(161)를 통하여 상기 제 2 본체(115)로 유입된다. 상기 제 2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과냉각된 제 1 냉매는 상기 구획부(125,140)를 통하여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 1 냉매와 제 3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32)의 내측 및 외측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냉매는 2차 과냉각되고 상기 제 3 냉매는 과열된다.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과냉각 장치(100)에서 토출된 후 실내 팽창장치(28) 또는 실외 팽창장치(38)를 통하여 팽창되고, 증발기에서 증발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냉방 운전의 경우에 상기 제 1 냉매가 상기 제 2 냉매 및 제 3 냉매와 차례로 열교환 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난방 운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 1 냉매가 상기 제 3 냉매 및 제 2 냉매와 차례로 열교환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2회 열교환 작용에 의하여 과냉될 수 있으므로 증발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압축기에 냉매를 인젝션 할 수 있어 시스템 냉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압축기에 흡입될 냉매를 과열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상기 압축기(10)로의 인젝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인젝션 팽창장치(155)는 폐쇄되어 상기 제 2 냉매의 유동은 제한된다.
그러나, 상기 과냉각 장치(100)에서는, 상기 제 1 냉매와 증발기를 통과한 제 3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냉매는 과냉을 확보하고, 상기 제 3 냉매는 과열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냉매가 압축기로 인젝션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상기 제 1 냉매의 과냉이 확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유로에는, 모세관과 같은 직경이 작은 배관이 포함되어 제 1 냉매의 유속(또는 열 유속)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열전달 계수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열전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응축된 제 1 냉매가 상기 제 1,2 냉매 배관(131,132)의 내부로 유동되고, 2상 상태의 제 2 냉매 또는 제 3 냉매가 상기 제 1,2 냉매 배관(130)의 외측에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유동 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냉매 또는 제 3 냉매가 상기 제 1,2 냉매 배관(131,132)의 내부로 유동되는 경우, 다수의 냉매 배관(131 또는 132) 중 일 냉매 배관에는 액상의 냉매가 유동되고 타 냉매 배관에는 기상의 냉매가 유동됨으로써 2상 냉매의 균등한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 손실이 감소함으로써 냉매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 공기 조화기 10 : 압축기
20 : 실내 열교환기 28 : 실내 팽창장치
30 : 실외 열교환기 38 : 실외 팽창장치
40 : 기액 분리기 50 : 사방변
60 : 냉매관 71 : 메인 유입부
72 : 메인 토출부 100 : 과냉각 장치
110 : 과냉각 본체 111 : 제 1 본체
115 : 제 2 본체 120 : 분지부
122: 제 1 차폐부 125 : 제 1 구획부
126 : 제 2 차폐부 131 : 제 1 냉매배관
132 : 제 2 냉매배관 140 : 제 2 구획부
141 : 제 3 차폐부 145 : 합지부
146 : 제 4 차폐부 151 : 인젝션 유입부
152 : 인젝션 토출부 161 : 과열 흡입부
162 : 과열 토출부

Claims (12)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과냉각 되도록 하는 과냉각 장치 및 상기 과냉각 장치를 거친 냉매가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 장치에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부 및 상기 메인 유입부에서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이 구비되는 과냉각 본체;
    상기 과냉각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 중 일부가 분지되어 유입되는 인젝션 유입부;
    상기 과냉각 본체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기 전 유입되는 과열 흡입부;
    상기 과냉각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매배관의 냉매와 상기 인젝션 유입부에서 유입된 상기 냉매배관 외측의 냉매가 열교환되는 제 1 열교환영역;
    상기 제 1 열교환영역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냉매배관의 냉매와 상기 과열 흡입부에서 유입된 상기 냉매배관 외측의 냉매가 열교환되는 제 2 열교환영역; 및
    상기 제 1 열교환영역과 제 2 열교환영역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열교환영역과 제 2 열교환영역을 분리하는 구획부가 포함되며,
    상기 메인 유입부에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 1 열교환영역 및 제 2 열교환영역에서 각각 열교환 된 후 상기 과냉각 본체에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관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인젝션 유입부에서 유입된 냉매와, 상기 과열 흡입부에서 유입된 냉매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냉매배관이 결합되는 배관 결합부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 본체에는,
    상기 메인 유입부에서 유입된 냉매를 상기 복수의 냉매배관으로 분지하는 분지부; 및
    상기 복수의 냉매배관을 통과한 냉매를 합지하는 합지부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관의 냉매는,
    상기 인젝션 유입부에서 유입된 냉매 및 상기 과열 흡입부에서 유입된 냉매 중 하나의 냉매와 1차 열교환한 후, 다른 냉매와 2차 열교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관에는,
    상기 구획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냉매배관; 및
    상기 구획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 냉매배관이 포함되며,
    상기 구획부의 내부에서는, 상기 제 1 냉매배관 또는 제 2 냉매배관으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관에는, 모세관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110090780A 2011-09-07 2011-09-07 공기 조화기 KR10138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80A KR101382055B1 (ko) 2011-09-07 2011-09-07 공기 조화기
EP12183206.7A EP2568247B1 (en) 2011-09-07 2012-09-05 Air conditioner
US13/605,703 US20130055753A1 (en) 2011-09-07 2012-09-06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80A KR101382055B1 (ko) 2011-09-07 2011-09-07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289A KR20130027289A (ko) 2013-03-15
KR101382055B1 true KR101382055B1 (ko) 2014-04-04

Family

ID=4817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780A KR101382055B1 (ko) 2011-09-07 2011-09-07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578A (ko) * 2018-11-21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32B1 (ko) * 2015-04-24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6540872B1 (ja) 2018-01-15 2019-07-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製氷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390A (ja) * 1999-10-08 2001-04-20 Usui Internatl Ind Co Ltd 多管式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54282A (ko) * 2002-12-18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0090131A (ko) * 2003-04-16 200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과냉각용 열교환 장치
KR20110004157A (ko) * 2009-07-07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390A (ja) * 1999-10-08 2001-04-20 Usui Internatl Ind Co Ltd 多管式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54282A (ko) * 2002-12-18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0090131A (ko) * 2003-04-16 200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과냉각용 열교환 장치
KR20110004157A (ko) * 2009-07-07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578A (ko) * 2018-11-21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102125094B1 (ko) * 2018-11-21 2020-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289A (ko) 201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5409B2 (ja) 空気調和装置
JP6644154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146460B1 (ko) 냉매시스템
US20130219943A1 (e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CN107074071B (zh) 车辆用空调的制冷循环
KR101737365B1 (ko) 공기조화기
KR20180104416A (ko) 공기조화시스템
JP2007163013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170459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JP2006003022A (ja) 冷凍装置及び中間圧レシーバ
KR101382084B1 (ko) 공기 조화기
EP2568247B1 (en) Air conditioner
KR101382055B1 (ko) 공기 조화기
KR101714459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708642B1 (ko) 공기조화기의 쿨링리시버 및 공기조화기
KR102250000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136878B1 (ko) 공기 조화기
CN107499089A (zh) 一种电动汽车热泵空调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075459B1 (ko) 가스 히트펌프 시스템
KR101387854B1 (ko) 공기 조화기
KR102014441B1 (ko)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KR102087677B1 (ko)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CN106949670B (zh) 制冷系统及控制方法
KR101146783B1 (ko) 냉매시스템
KR20120090538A (ko) 이중관형 내부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