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41B1 -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41B1
KR102014441B1 KR1020120125576A KR20120125576A KR102014441B1 KR 102014441 B1 KR102014441 B1 KR 102014441B1 KR 1020120125576 A KR1020120125576 A KR 1020120125576A KR 20120125576 A KR20120125576 A KR 20120125576A KR 102014441 B1 KR102014441 B1 KR 10201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outdoor
air conditioning
unit
refriger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007A (ko
Inventor
최재혁
곽태희
유윤호
하도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복합 공조시스템에는, 제 1 압축기 및 공조측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조부; 제 2 압축기 및 냉각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부; 실외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실외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팬이 포함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는, 상기 공조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 1 열교환부; 및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 2 열교환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A combined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 냉장 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조 시스템이란, 열교환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와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실내공간을 냉난방하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 시스템이란, 열교환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와 실외공기간의 열교환, 그리고 냉매와 소정 공간과의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소정 공간에 식품등의 냉각(냉동 또는 냉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공조 시스템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냉매와 실내외 공기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시스템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응축하는 실외 열교환기 및 냉매를 증발시키는 냉장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조 시스템과 냉각 시스템은 유사한 냉매 시스템이 구동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공조 시스템과 냉각 시스템이 별도로 구동되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실외 열교환기와,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별도의 케이스 내에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송풍팬을 별도로 제공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설치 면적이 증대되는 문제점 있었다.
그리고, 공조 및 냉각시스템에 실외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각각 구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조 및 설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공조 및 냉장 시스템의 실외 열교환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공조 냉장 복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냉장 복합시스템에는, 제 1 압축기 및 공조측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조부; 제 2 압축기 및 냉각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부; 실외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실외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팬이 포함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는, 상기 공조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 1 열교환부; 및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 2 열교환부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측 실외열교환기와 냉장측 실외열교환기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구비되고, 하나의 송풍팬에 의하여 상기 실외열교환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실외열교환기의 설치 면적이 감소하고 제조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측 실외열교환기가 공조측 실외열교환기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어 공기와의 열교환이 먼저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조측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게 되므로, 난방의 증발열량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결국, 공조측 냉동사이클의 성능계수가 향상되고,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조 냉장 복합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복합 공조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조 냉장 복합시스템(10, 이하 공조시스템)에는, 공조부(100) 및 냉각부(200)가 포함된다. 상기 공조부(100)는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하여 운전되는 시스템이며, 상기 냉각부(200)는 쇼케이스 내의 물품을 냉장 또는 냉동하기 위하여 운전되는 시스템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공조부(100)에는, 제 1 압축기(110) 및 상기 제 1 압축기(110)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조측 실내열교환기(120) 또는 실외 열교환기(300) 측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전환부(115)가 포함된다. 상기 유동 전환부(115)에는, 사방 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공조부(100)의 냉방 운전에서, 상기 압축기(110)에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유동 전환부(115)를 통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로 유동한다. 반면에, 상기 공조부(100)의 난방 운전에서, 상기 압축기(110)에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유동 전환부(115)를 통하여 상기 공조측 실내열교환기(120)로 유동한다.
상기 공조부(100)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의 일측에서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으로서의 실외팬(350)이 포함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에는, 상기 공조부(100)에서 순환되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 1 열교환부(310)가 포함된다.
상기 공조측 실내열교환기(120)의 입구측에는,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제 1 팽창부(131)가 제공된다. 상기 공조부(100)가 냉방 운전할 때, 상기 제 1 팽창부(131)에서 감압된 냉매는 상기 공조측 실내열교환기(120)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의 입구측에는,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제 2 팽창부(132)가 제공된다. 상기 공조부(100)가 난방 운전할 때, 상기 제 2 팽창부(132)에서 감압된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200)에는, 제 2 압축기(210) 및 제 3 압축기(212)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압축기(210)는 상기 냉각부(200)의 냉매를 압축하는 메인 압축기일 수 있고, 상기 제 3 압축기(212)는 상기 제 2 압축기(210)의 운전이 제한될 때, 일례로 상기 제 2 압축기(210)가 고장났을 때, 운전될 수 있는 백업 압축기일 수 있다.
상기 냉각부(200)에는, 상기 제 2 압축기(210) 또는 제 3 압축기(212)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 2 열교환부(320)가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300)가 포함된다. 상기 압축된 냉매는 상기 제 2 열교환부(320)를 통과하면서 응축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의 출구측에는, 상기 냉각부(200)의 냉매가 상기 공조부(100)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는 냉매 열교환기(400)가 제공된다.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에는, 상기 공조부(100)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유로(410) 및 상기 냉각부(200)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 2 유로(42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유로(410)와 제 2 유로(420)의 접촉에 의하여 냉매간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의 출구측에는, 냉각부(200)의 냉매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리시버(240)가 포함된다. 상기 리시버(240)에 저장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냉각부(200)를 순환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240)의 출구측에는, 냉각부(200)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냉각 열교환기(220)가 제공된다. 상기 냉각 열교환기(220)는, 상기 냉각부(200)의 실내 열교환기라 이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공조측 실내열교환기(120)를 "제 1 실내열교환기", 상기 냉각 열교환기(220)를 "제 2 실내열교환기"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각 열교환기(220)에서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 2 압축기(210) 또는 제 3 압축기(212)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 열교환기(220)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냉기는 물품을 냉장 또는 냉동하는 케이스(쇼 케이스) 내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조부(100)와 냉각부(200)의 운전모습에 따라 냉매 유로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조부(100)는 운전되지 않고, 상기 냉각부(200)가 운전되는 경우, 상기 공조측 실내열교환기(120) 또는 실외열교환기(300)의 제 1 열교환부(310)에는 냉매가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조부(100)가 냉방 운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공조측 실내열교환기(120)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의 입구측에는, 공조부(100)의 냉매를 팽창하기 위한 제 3 팽창부(133)가 제공된다. 상기 제 3 팽창부(133)에서 감압된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410)로 유입되어 냉각부(200)의 냉매와 열교환 되고, 상기 제 1 압축기(1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부(320)의 출구측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제 4 팽창부(231)가 제공된다. 상기 제 4 팽창부(231)에서 팽창된 냉매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로 유입되고 상기 제 2 유로(420)를 지나면서 과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 열교환기(220)의 입구측에는, 제 5 팽창부(235)가 제공된다.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에서 과냉각 된 냉매는 상기 제 5 팽창부(235)에서 감압된 후 상기 냉각 열교환기(220)에서 증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부(200)를 순환하는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를 바이패스 하여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200)에서 요구되는 냉각 부하가 크지 않을 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를 바이패스 하여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부(200)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의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의 출구측으로 연장되는 바이패스 유로(230)가 제공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에는,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동조절부(233)가 제공된다. 상기 유동조절부(233)는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제 2 압축기(210) 또는 제 3 압축기(212)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유동조절부(233)를 통하여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400)에서 응축되고, 상기 제 5 팽창부(235)에서 감압된 후 상기 냉각 열교환기(220)에서 증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는 상기 공조부(100)의 냉매가 순환하는 제 1 열교환부(310) 및 상기 냉각부(200)의 냉매가 순환하는 제 2 열교환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와 제 2 열교환부(320)는 일체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실외 열교환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스템(10)에는,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30)가 포함된다.
상기 실외기(30)에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301)와, 상기 케이스(301)의 측면에 형성되는 흡입부(305) 및 상기 케이스(301)의 상면에 형성되는 토출부(307)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301)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입부(305)는 상기 케이스(301)의 4개의 측면 중 3개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305)는 상기 측면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3개의 측면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의 형상, 즉 절곡되어 3면을 가지는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토출부(307)의 상측에는, 실외팬(350)이 제공된다. 상기 실외팬(350)은 회전되어, 상기 흡입부(305)로부터 상기 토출부(307)를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흡입부(305)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301)의 측방에서 유입되고,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 공간을 유동한 후 상기 토출부(307)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301)의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310) 및 제 2 열교환부(320)의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부(310) 및 제 2 열교환부(320)는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열교환부(310) 및 제 2 열교환부(320)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30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330) 및 냉매배관(330)에 결합되어 냉매와 공기간의 열교환 면적을 넓혀주는 열교환 핀(33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는, 상기 공조부(100)의 냉매가 순환하는 제 1 열교환부(310) 및 상기 냉각부(200)의 냉매가 순환하는 제 2 열교환부(3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와 제 2 열교환부(320)는 일체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와 제 2 열교환부(320)는 각각, 상기 냉매배관(330) 및 열교환 핀(332)으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실외 열교환부(300)는 가로 방향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 1 열교환부(310) 및 제 2 열교환부(320)를 구성한다. 즉,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와 제 2 열교환부(320)는 상기 흡입부(30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차례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305)의 내측에 가로 방햐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와 제 2 열교환부(320)는 절곡되어, 각각 ⊂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열교환부(320)는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열교환부(310)는 상기 제 2 열교환부(3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은, 상기 흡입부(305)에 가까운 방향을 의미하며, "내측"은 상기 흡입부(305)로부터 멀리 이격된 방향으로서 규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열교환부(310)는 상기 제 2 열교환부(320)보다 상기 흡입부(305)로부터 더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2 열교환부(320)는 상기 흡입부(305)와 제 1 열교환부(31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부(305)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열교환부(320)를 통과한 후 상기 제 1 열교환부(310)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30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열교환부(320)를 먼저 통과하고, 이후 상기 제 1 열교환부(310)를 통과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열교환부(320)를 통과하면서 가열(+Q)되어 온도 상승된 냉매가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의 열교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조부(100)가 난방 운전할 때, 상기 냉각부(200)의 냉매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제 2 열교환부(320)를 통하여 공기에 전달될 수 있고, 흡열한 공기는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의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온도 상승된 공기가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의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증발열량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결국, 시스템의 운전효율이 개선되고,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301) 내에 복수의 열교환부(310,320), 즉 공조부의 열교환부(310) 및 냉각부의 열교환부(320)가 배치되고, 하나의 송풍팬(350)을 통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실외기(3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실외기 제작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에는,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에 연통되어 공조부(100) 냉매의 흡입 또는 토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입출부(341) 및 냉매를 분지하여 상기 제 1 열교환부(310)의 냉매배관으로 유입시키는 제 1 분배기(3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에는, 상기 제 2 열교환부(320)에 연통되어 냉각부(200) 냉매의 흡입을 가이드 하는 흡입부(345) 및 냉매를 분지하여 상기 제 2 열교환부(320)의 냉매배관으로 유입시키는 제 2 분배기(347)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500)에는, 케이스 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열교환부(510) 및 제 2 열교환부(520)가 포함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부(300)는 세로 방향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 1 열교환부(310) 및 제 2 열교환부(320)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510)는 상기 제 2 열교환부(52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열교환부(510) 및 제 2 열교환부(520)는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 냉매배관(530)이 열교환핀(53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510)의 일측에는, 냉매가 상기 제 1 열교환부(510)측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제 1 열교환부(510)로부터 유출되는 제 1 입출부(541)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열교환부(520)의 일측에는, 냉매가 상기 제 2 열교환부(520)측으로 유입되는 흡입부(545)가 제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열교환부(510)의 상측에는, 실외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실외팬(350)이 제공된다. 상기 실외팬(350)의 구동에 의하여, 케이스의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열교환부(510) 및 제 2 열교환부(520)를 동시에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510)가 상기 제 2 열교환부(520)보다 상기 실외팬(350)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510)가 상기 실외팬(350)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열교환부(510)의 주변에 발생하는 공기 유동이 상기 제 2 열교환부(520) 주변의 공기 유동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열교환부(520)에 비하여, 상기 제 1 열교환부(510)에서 발생되는 열교환량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결국, 상기 공조부(100)의 부하가 상기 냉각부(200)의 부하보다 클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부(510)를 상기 제 2 열교환부(520)보다 상기 실외팬(350)에 가깝게 배치시키면, 요구되는 부하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열교환부(510)가 상기 제 2 열교환부(5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 2 열교환부(520)가 상기 제 1 열교환부(51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열교환부(520)가 상기 실외팬(350)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2 열교환부(520)의 주변에 발생하는 공기 유동이 상기 제 1 열교환부(510) 주변의 공기 유동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열교환부(510)에 비하여, 상기 제 2 열교환부(520)에서 발생되는 열교환량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결국, 상기 냉각부(200)의 부하가 상기 공조부(100)의 부하보다 클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부(520)를 상기 제 1 열교환부(510)보다 상기 실외팬(350)에 가깝게 배치시키면, 요구되는 부하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 복합 시스템(10) 중, 공조부(100)와 냉각부(200)의 요구되는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열교환부(510) 및 제 2 열교환부(5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요구되는 부하가 큰 시스템에서, 실외 열교환기(300)의 열교환량이 클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열교환부(510)와 제 2 열교환부(520)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10 : 복합 시스템 100 : 공조부
110 : 제 1 압축기 120 : 공조측 실내열교환기
200 : 냉각부 210 : 제 2 압축기
212 : 제 3 압축기 220 : 냉각 열교환기
300 : 실외 열교환기 301 : 케이스
305 : 흡입부 307 : 토출부
310 : 제 1 열교환부 320 : 제 2 열교환부
330 : 냉매배관 332 : 열교환 핀
350 : 실외팬 400 : 냉매 열교환기
410 : 제 1 유로 420 : 제 2 유로

Claims (11)

  1. 제 1 압축기 및 공조측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조부;
    제 2 압축기 및 냉각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부;
    실외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실외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팬이 포함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는,
    상기 공조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 1 열교환부; 및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 2 열교환부가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2 열교환부를 향하여 공기를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열교환부와 제 2 열교환부 중 어나 하나는 다른 하나의 상측에 배치된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부와 제 2 열교환부는 일체로 결합되는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의 부하가 상기 냉각부의 부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상기 제 2 열교환기 상측에 배치되는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의 부하가 상기 공조부의 부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열교환기 상측에 배치되는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들은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입부들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로 각각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상기 공조부의 증발기이며,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상기 냉각부의 응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냉각부를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공조부를 순환하는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매 열교환기가 더 포함되는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KR1020120125576A 2012-11-07 2012-11-07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Active KR10201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576A KR102014441B1 (ko) 2012-11-07 2012-11-07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576A KR102014441B1 (ko) 2012-11-07 2012-11-07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007A KR20140059007A (ko) 2014-05-15
KR102014441B1 true KR102014441B1 (ko) 2019-08-26

Family

ID=5088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576A Active KR102014441B1 (ko) 2012-11-07 2012-11-07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473B1 (ko) * 2016-07-20 2018-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791196B2 (ja) * 2018-04-13 2020-11-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ユニッ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087A (ja) 2001-03-16 2002-09-25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2005241090A (ja) * 2004-02-25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複合型空気調和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044B2 (ja) * 1991-07-23 2000-08-2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639814B1 (ko) * 2009-11-20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 및 냉동 복합 공조시스템
KR101250100B1 (ko) * 2011-01-24 2013-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매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087A (ja) 2001-03-16 2002-09-25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2005241090A (ja) * 2004-02-25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複合型空気調和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007A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814B1 (ko) 냉장 및 냉동 복합 공조시스템
JP6723354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10401067B2 (en) Air conditioner
EP2947402B1 (en) Heat pump
WO2014181399A1 (ja) 二元冷凍装置
KR101146460B1 (ko) 냉매시스템
WO2018051408A1 (ja) 空気調和装置
KR102170459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2014441B1 (ko)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KR20130027287A (ko) 공기 조화기
KR101382084B1 (ko) 공기 조화기
KR101382055B1 (ko) 공기 조화기
KR102087677B1 (ko)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KR101173736B1 (ko) 냉장 및 냉동 복합 공조시스템
KR101166655B1 (ko) 냉매 순환 장치
KR101118137B1 (ko) 공냉식 히트펌프 시스템
JP2007240040A (ja) 冷凍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14457B1 (ko)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KR102174385B1 (ko) 냉장고
JP2004293889A (ja) 氷蓄熱ユニット、氷蓄熱式空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20120090538A (ko) 이중관형 내부 열교환기
KR101146783B1 (ko) 냉매시스템
JP2007100987A (ja) 冷凍システム
JP4660334B2 (ja) 冷凍システム
JP2007051788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