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143U - 묘목 고정용 타이 - Google Patents

묘목 고정용 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143U
KR20110004143U KR2020090013660U KR20090013660U KR20110004143U KR 20110004143 U KR20110004143 U KR 20110004143U KR 2020090013660 U KR2020090013660 U KR 2020090013660U KR 20090013660 U KR20090013660 U KR 20090013660U KR 20110004143 U KR20110004143 U KR 201100041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s
connection
tie
kno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858Y1 (ko
Inventor
김병동
Original Assignee
김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동 filed Critical 김병동
Priority to KR20090013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85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1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묘목 고정용 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묘목의 재식시 묘목과 고정지주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 타이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 타이는 좌,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매듭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매듭은 고정턱과 구멍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구멍으로는 타 측의 연결매듭이 삽입되어 관통되면서 연결부재 부분이 끼워진 후, 고정턱에 걸리는 수단에 의해 고정되면서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묘목과 지주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묘목 고정용 타이에 관한 것이다.
묘목 고정, 묘목 지주, 묘목 고정장치

Description

묘목 고정용 타이{A nursery tree fixing apparatus}
본 고안은 묘목 고정용 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묘목의 재식시 묘목과 고정지주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 타이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 타이는 좌,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매듭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매듭은 고정턱과 구멍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구멍으로는 타 측의 연결매듭이 삽입되어 관통되면서 연결부재 부분이 끼워진 후, 고정턱에 걸리는 수단에 의해 고정되면서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묘목과 지주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묘목 고정용 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묘목은 재식 후에 고정지주에 묶어 주지 않으면, 고사되는 경우가 있어 묘목의 고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묘목주위에 고정지주를 세워 묘목과 고정지주를 끈 등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결속하여 왔다.
한편, 이와 같은 결속 방법은 묘목을 고정지주에 일정간격(약 10cm)을 두고 결속 할 경우, 고정지주 쪽 신초가 흔들려 고정지주에 부딪힘으로써 절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신초가 기형으로 형성되어 수형 구성에 필요한 곁가지를 확보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이로 인해 과실의 수확량이 저하되며, 수확된 과실의 상품성 을 떨어뜨려 재배자의 소득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묘목과 고정지주를 끈으로 결속하여 바람에 의하여 묘목의 유동이 발생하여 묘목의 활착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묘목의 재식시 묘목과 고정지주를 고정하여 묘목이 바람에 의한 유동으로 활착률이 떨어져 묘목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며 과실의 수확량을 높여 재배자의 소득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묘목 고정용 타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묘목의 재식시 묘목과 고정지주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 타이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 타이 몸체 좌,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매듭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매듭은 고정턱과 구멍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구멍으로는 타 측의 연결매듭이 삽입되어 관통되면서 연결부재 부분이 끼워진 후, 고정턱에 걸리는 수단에 의해 고정되면서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묘목과 지주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묘목 고정용 타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묘목과 고정지주의 사이에 연결 타이를 끼워 고정시키므로 인하여 상기 묘목과 고정지주 사이는 이격 및 고정되면서 바람에 의해 묘목이 흔들리는 것 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람 등에 의해 묘목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면서 묘목이 고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과 함께 묘목의 활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묘목과 고정지주 사이를 이격시켜 고정하므로 곁가지를 충분히 확보하여 과실의 수확량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공간이 발생 되므로 작업의 원활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묘목(16)의 재식시 묘목(16)과 고정지주(17)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 타이(10) 몸체(15)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 타이(10) 몸체(15) 좌,우 양측에는 복수의 연결매듭(1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매듭(11)은 각각의 고정턱(12)과 구멍(13)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멍(13)으로는 타 측의 연결매듭(11')이 삽입되어 관통되면서 연결부재(14) 부분이 끼워진 후, 상기 고정턱(12)에 연결매듭(11')이 바로 걸리는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연결매듭(11)의 일 측은 경사부(18)로 형성하여 타 측의 연결매듭(11') 구멍(13)에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경사부(18)는 타 측의 연결매듭(11)(11')에 형성된 구멍(13)에 효율적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가이드의 기능을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연결타이(10) 몸체(15)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매듭(11)과 반대쪽의 연결매듭(11)이 사이에 발생 되는 공간부(19)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묘목(16)과 고정지주(17)를 각각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연결타이(10)를 이루고 있는 몸체(10)와 연결매듭(11)은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매듭(11) 부분은 어느 정도의 탄력성이 갖게 되면서 휘어지거나 비틀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연결매듭(11)에 형성된 구멍(13) 내부에 타 측의 연결매듭(11')을 삽입시킬 때에는 도 2와 같이 연결매듭(11')을 구부린 상태로 구멍(13)을 통과시키게 됨과 아울러 상기 구멍(13)에 연결부재(14)를 위치시켜 묘목(16)과 고정지주(17)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사용되는 묘목 고정용 연결타이(10)의 사용 방법은 토양에 재식되는 묘목(16)과 상기 묘목(16)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고정지주(17)를 일체로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묘목(16)을 토양에 재식하는 공정을 거친 후, 바로 묘목(16)의 주위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지주(17)를 토양에 고정시킨다.
다음, 묘목(16)과 고정지주(17) 사이에 연결타이(10) 몸체(15)를 위치시킨 후, 도 2와 같이 연결매듭(11)에 형성된 구멍(13)에 타 측의 연결매듭(11')을 바로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묘목(16)과 고정지주(17)를 각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구멍(13)으로는 타 측의 연결매듭(11')이 삽입되어 관통되면서 연결부재(14) 부분이 끼워진 후, 상기 고정턱(12)에 연결매듭(11')이 바로 걸리는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연결매듭(11)의 일 측은 경사부(18)로 형성되어 타 측의 연결매듭(11') 구멍(13)에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결타이(10)는 묘목(16)과 고정지주(17)를 도 2 및 도 4와 같이 이격시키면서 완충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바람에 의하여 묘목(16)이 유 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묘목(16)의 활착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묘목(16)과 고정지주(17) 부분이 이격 되어 있으므로 마찰이 최소화 되어 나무 형성 및 과수의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묘목과 고정지주의 사이에 연결 타이를 끼워 고정시키므로 인하여 상기 묘목과 고정지주 사이는 이격 및 고정되면서 바람에 의해 묘목이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람 등에 의해 묘목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면서 묘목이 고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과 함께 묘목의 활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묘목과 고정지주 사이를 이격시켜 고정하므로 곁가지를 충분히 확보하여 과실의 수확량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공간이 발생 되므로 작업의 원활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과실 및 나무 묘목에 사용되어 묘목의 활착률을 높여 재배자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결타이 11,11'. 연결매듭
12. 고정턱 13. 구멍
14, 연결부재 15. 몸체
16. 묘목 17. 고정지주
18. 경사부 19. 공간부

Claims (3)

  1. 묘목과 고정지주를 일체로 잡아주는 묘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묘목 고정장치는 묘목(16)과 고정지주(17)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타이(10) 몸체(15)와;
    상기 연결타이(10) 몸체(15) 좌,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매듭(11)(11')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매듭(11)(11')은 고정턱(12)과 구멍(13)으로 각각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구멍(13)으로는 타 측의 연결매듭(11')이 삽입되어 관통되면서 연결부재(14) 부분이 끼워진 후, 상기 고정턱(12)에 연결매듭(11)이 걸리는 수단에 의해 고정되면서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묘목(16)과 고정지주(17)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고정용 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매듭(11)(11')의 일 측을 경사부(18)로 형성시킴과 함께 상기 경사부(18)는 타 측의 연결매듭(11)(11')에 형성된 구멍(13)에 효율적으로 관통될 수 있게 가이드의 기능을 갖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고정용 타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타이(10)를 이루고 있는 몸체(10)와 연결매듭(11)은 휘어지거나 비틀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고정용 타이.
KR20090013660U 2009-10-20 2009-10-20 묘목 고정용 타이 KR200460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3660U KR200460858Y1 (ko) 2009-10-20 2009-10-20 묘목 고정용 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3660U KR200460858Y1 (ko) 2009-10-20 2009-10-20 묘목 고정용 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143U true KR20110004143U (ko) 2011-04-27
KR200460858Y1 KR200460858Y1 (ko) 2012-06-08

Family

ID=4420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3660U KR200460858Y1 (ko) 2009-10-20 2009-10-20 묘목 고정용 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8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43Y1 (ko) * 2012-08-29 2014-08-06 김화옥 모종 보호기
KR20210017751A (ko) * 2019-08-09 2021-02-17 전명식 인삼재배용 차광부재 고정타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954B1 (ko) 2004-11-05 2006-07-28 김종참 오이 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43Y1 (ko) * 2012-08-29 2014-08-06 김화옥 모종 보호기
KR20210017751A (ko) * 2019-08-09 2021-02-17 전명식 인삼재배용 차광부재 고정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858Y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95241A (ja) 接木苗の生産方法
KR200460858Y1 (ko) 묘목 고정용 타이
US20090049746A1 (en) Method for training ornamental trees
JP2015139401A (ja) 果実保護体
KR20130030414A (ko) 과수 지지 및 유인구
KR20160045885A (ko) 기근을 갖는 난초용 바스켓
KR200422095Y1 (ko) 농작물 고정용 유인고리
KR200457853Y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구
JP3175488U (ja) 苗床
JP2007295843A (ja) 誘引紐吊り具
KR102067357B1 (ko) 노지(露地) 비가림 고추나무 지지장치
JP3123824U (ja) 蔓性植物の栽培装置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ES1129480U (es) Dispositivo de sujeción y guiado para cultivo de frutales en espaldera
JP2008289425A (ja) 取木用ポット
KR20160035429A (ko) 화분용 식물지지대
JP3116383U (ja) 二つに分かれるプランター・植木鉢
KR101393713B1 (ko) 속성 녹화용 마삭줄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속성 녹화방법
KR200445030Y1 (ko) 묘목 고정장치
KR102427311B1 (ko) 고추끈 결속장치
CN208211117U (zh) 一种用于苎麻水培的育苗板组件
KR200427917Y1 (ko) 포도 줄기 지지구
KR200377396Y1 (ko) 과일봉지 결속클립
KR200417654Y1 (ko) 과수나무 고정밴드
KR102359839B1 (ko)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