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917Y1 - 포도 줄기 지지구 - Google Patents
포도 줄기 지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7917Y1 KR200427917Y1 KR2020060019625U KR20060019625U KR200427917Y1 KR 200427917 Y1 KR200427917 Y1 KR 200427917Y1 KR 2020060019625 U KR2020060019625 U KR 2020060019625U KR 20060019625 U KR20060019625 U KR 20060019625U KR 200427917 Y1 KR200427917 Y1 KR 2004279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m
- grape
- wire
- groov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2—Cultivation of hops or v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도 덩쿨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포도 줄기의 중단을 걸어 고정시켜 지지하는 포도 줄기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는 기둥들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에 포도 줄기를 고정시키는 지지 수단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와이어 걸림홈과 포도 줄기가 걸리는 줄기 걸림홈이 서로 반대측 단부에 굽혀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와이어 걸림홈과 줄기 걸림홈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 걸림홈에는 그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는 걸림턱을 더 형성하고, 상기 줄기 걸림홈은 서로 다른 굵기의 포도 줄기가 고정되어 매달릴 수 있도록 "V"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포도 줄기, 지지구, 철사 고정홈, 줄기 고정홈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에 의해 매달린 포도 줄기의 성장 과정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을 도시한 것,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와이어 걸림홈
11 : 걸림턱
2 : 줄기 걸림홈
100 : 기둥
200 : 와이어
본 고안은 포도 줄기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도 줄기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포도 줄기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넝쿨형의 포도 줄기의 중단을 자유롭게 지지하여 포도 줄기가 원활하게 자랄 수 있으므로 포도 줄기의 생육을 방해하지 않고, 포도 줄기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포도 줄기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즉, 줄기 걸림홈을 "V"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줄기가 굵어짐에 따라 줄기가 줄기 걸림홈의 넓은 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줄기 걸림홈에 매달릴 수 있고, 줄기가 자유롭게 방치?? 상태가 됨으로 줄기가 길이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줄기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는 포도 줄기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넝쿨 식물들은 뻗어나가는 넝쿨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고 넝쿨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지들을 소정의 지지 수단에 매달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넝쿨 식물들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들은 다수의 기둥과 기둥들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기둥과 기둥 사이에 와이어 또는 봉을 설치하고, 이러한 와이어나 봉에 포도의 줄기를 끈 등의 고정 수단으로 매달아 줄기가 일정한 높이에서 옆으로 뻗어나가게 함으로서 포도가 다른 포도와 엉키지 않게 하여 포도가 손상되지 않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포도가 일정한 높이에 매달리게 함으로서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포도 줄기를 와이어나 봉에 매다는 수단으로 끈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렇게 끈을 사용할 경우 이를 묶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지지 수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포도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고리 형상으로 구성된 줄기 고정 고리가 있다.
줄기 고정 고리는 원형 링 형상의 고리 중단에 와이어가 끼워져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절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구성된 줄기 고정 고리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를 와이어에 끼우고 줄기를 중앙의 큰 구멍에 놓여지게 한 후 반원형의 고리를 서로 결합하여 원형 고리가 되게 함에 의해 줄기가 고정된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줄기 고정용 고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절단된 두 부분 사이에 줄기가 놓여지게 한 후 두 부분의 절단된 부분에 형성된 걸림턱이 반대측에 형성된 구멍에 걸리게 하는 방법으로 줄기에 고정되고 이렇게 줄기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고리가 줄기의 껍질을 손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일이 고리를 펼친 후 줄기에 고정시켜야 함으로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줄기가 고정되는 구멍이 한정되어 있어 줄기가 굵어질 경우 줄기보다 작게 형성된 구멍에 의해 줄기가 눌려 손상되거나 또는 줄기를 잡아주는 구멍이 너 무 커 줄기가 충분히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도 줄기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포도 줄기 지지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넝쿨로 뻗어가는 포도 줄기의 중단을 자유롭게 지지하여 포도 줄기가 원활하게 자랄 수 있으므로 포도 줄기의 생육을 방해하지 않고, 포도 줄기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포도 줄기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줄기가 굵어져도 줄기의 양측 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줄기의 성장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굵기의 줄기를 매달아 지지할 수 있는 포도 줄기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는 기둥들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에 포도 줄기를 고정시키는 지지 수단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와이어 걸림홈과 포도 줄기가 걸리는 줄기 걸림홈이 서로 반대측 단부에 굽혀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와이어 걸림홈과 줄기 걸림홈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 걸림홈에는 그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는 걸림턱을 더 형성하고, 상기 줄기 걸림홈은 그 바닥으로부터 입구측을 향하면서 점차 넓어지게 "V"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에 의해 매달린 포도 줄기의 성장 과정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포도 줄기 지지구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나 급속 등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도 줄기 지지구는 단부가 서로를 향한 방향으로 굽혀져 일측 단부에는 와이어 걸림홈(1)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줄기 걸림홈(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걸림홈(1)과 줄기 걸림홈(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굽혀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 또는 포도 줄기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 걸림홈(1)을 형성하기 위해 굽혀진 부분이 줄기 걸림홈(2)을 형성하기 위해 굽혀진 부분과 서로 반대로 형성됨으로서 포도 줄기와 와이어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끼워지게 하여 이들이 서로 같은 방향에서 끼워질 때 서로 엉키거나 만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와이어 걸림홈(1)은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200)에 걸리는 홈으로서 아래를 향해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줄기 걸림홈(2)은 포도 줄기가 걸리는 홈으로서 위를 향해 파여져 있으며, 포도 줄기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깊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걸림홈(1)의 입구에는 지지구가 와이어(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와이어(200)가 걸리는 걸림턱(11)을 형성하여 입구의 폭이 와이어(200)의 굵기보다 좁게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와이어 걸림홈(1)의 입구의 폭이 와이어(200)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나 자체가 탄성을 가지므로 와이어(200)에 설치할 때 억지끼움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줄기 걸림홈(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개방된 홈으로서 포도 줄기의 굴기와 무관하게 다양한 지름의 줄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V"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줄기 걸림홈(2)은 포도 줄기의 굵기와 관계없이 포도 줄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V"형상으로 형성되어 포도 줄기가 성장함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도 줄기를 지지하는 부분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포도 줄기가 굵어져도 포도 줄기를 누르지 않아 줄기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성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줄기가 줄기 걸림홈(2)의 내부에 자유롭게 방지된 상태로 매달림으로 서 줄기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줄기의 길이 방향 성장도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 줄기 걸림홈(2)은 도시한 바와 같이 포도 줄기가 충분히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으며, 그 깊이가 충분히 깊어 포도 줄기가 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줄기 걸림홈(2)은 그 양 가장 자리를 날카롭지 않게 모따기하여 둥그렇게 형성함으로서 포도 줄기가 손상되지 않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도 줄기 지지구는 도시한 바와 같이 봉체를 굽혀 형성한 형상을 갖거나 판체를 굽혀 형성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봉체를 굽힌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그 폭이 좁아 와이어 걸림홈(1)을 와이어(200)에 끼워 넣어 설치하거나 포도 줄기를 줄기 걸림홈(2)에 끼워 포도 줄기를 매달기가 용이하나 그 폭이 너무 좁을 경우 포도 줄기를 지지하는 부분의 폭이 좁아 포도 줄기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넓은 판체를 굽혀 형성한 것과 같이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포도 줄기 지지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200)의 중단에 와이어 걸림홈(1)이 끼워지게 설치하여 고정되고, 줄기 걸림홈(2)에 포도 줄기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포도 줄기가 상방이 개방된 줄기 고정홈(2)에 얹혀지는 형상으로 지지되나 포도 줄기는 통상 와이어(200)의 밑에 놓여진 상태이므로 바람이 불어도 줄기가 줄기 고정홈(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제시되는 본 고안의 범주와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도 줄기 지지구는 와이어 걸림홈에 와이어를 끼워 넣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도 줄기 역시 상부로 개방된 줄기 걸림홈에 끼워 올려 놓는 것만으로 걸어 줄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넝쿨형의 포도 줄기의 중단을 자유롭게 지지하여 포도 줄기가 원활하게 자랄 수 있으므로 포도 줄기의 생육을 방해하지 않고 포도 줄기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해서만 제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4)
- 기둥(100)들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200)에 포도 줄기를 고정시키는 지지 수단에 있어서,상기 와이어(200)에 걸리는 와이어 걸림홈(1)과 포도 줄기가 걸리는 줄기 걸림홈(2)이 서로 반대측 단부에 굽혀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줄기 지지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걸림홈(1)과 줄기 걸림홈(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줄기 지지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걸림홈(1)에는 그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200)가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는 걸림턱(11)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줄기 지지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 걸림홈(2)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포도 줄기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입구를 향하며 점차 넓어지게 "V"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줄기 지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9625U KR200427917Y1 (ko) | 2006-07-20 | 2006-07-20 | 포도 줄기 지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9625U KR200427917Y1 (ko) | 2006-07-20 | 2006-07-20 | 포도 줄기 지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7917Y1 true KR200427917Y1 (ko) | 2006-10-02 |
Family
ID=4177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9625U KR200427917Y1 (ko) | 2006-07-20 | 2006-07-20 | 포도 줄기 지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791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9036A (ko) * | 2019-07-16 | 2021-01-26 | 정현승 | 식물줄기용 고정끈 홀딩부재 |
-
2006
- 2006-07-20 KR KR2020060019625U patent/KR20042791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9036A (ko) * | 2019-07-16 | 2021-01-26 | 정현승 | 식물줄기용 고정끈 홀딩부재 |
KR102314400B1 (ko) * | 2019-07-16 | 2021-10-19 | 정현승 | 식물줄기용 고정끈 홀딩부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6229B1 (ko) | 고추작물용 지지대 | |
JP5934740B2 (ja) | 農作物の枝固定支持具 | |
KR101332951B1 (ko) | 과수 지지 및 유인구 | |
KR200427917Y1 (ko) | 포도 줄기 지지구 | |
KR20060012040A (ko) | 식물 고정용 집게 | |
KR101242345B1 (ko) | 줄기작물의 성장안내장치 | |
KR101840861B1 (ko) | 식물 지지용 클립 | |
KR100997245B1 (ko) | 식물의 가지 지지구 | |
JP4931473B2 (ja) | 誘引紐吊り具 | |
KR101685969B1 (ko) | 화분용 식물지지대 | |
KR20170017858A (ko) |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 |
JP2010246415A (ja) | 植物栽培用吊りフックおよび植物栽培方法 | |
KR200476475Y1 (ko) | 구조가 간편하고 회수가 용이한 줄기작물용 가지 받침대 | |
KR20160011317A (ko) |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 |
KR20170130048A (ko) |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 |
KR20220000637U (ko) | 작물 성장 유도용 줄 연결구 | |
JP4931966B2 (ja) | 果菜茎等支持具 | |
KR20110005021U (ko) | 작물 고정용 유인고리 | |
KR101493929B1 (ko) | 농작물 고정타이 | |
JP3127656U (ja) | 果菜茎等支持具 | |
KR102584132B1 (ko) | 농작물 유인줄 고정구 | |
KR102427311B1 (ko) | 고추끈 결속장치 | |
KR200401881Y1 (ko) | 가지유인구 | |
CN219536959U (zh) | 一种可调节的蔓生植物绑蔓夹 | |
KR200309794Y1 (ko) | 고추나무용 묶음 지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