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021U - 파이프 커플러 - Google Patents

파이프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021U
KR20110004021U KR2020090013524U KR20090013524U KR20110004021U KR 20110004021 U KR20110004021 U KR 20110004021U KR 2020090013524 U KR2020090013524 U KR 2020090013524U KR 20090013524 U KR20090013524 U KR 20090013524U KR 20110004021 U KR20110004021 U KR 201100040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aw
coupler
holder
jaw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645Y1 (ko
Inventor
박병옥
Original Assignee
박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옥 filed Critical 박병옥
Priority to KR2020090013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64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0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6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retaining members associated with the pack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 체결을 위해 파이프의 단부에 나사탭을 가공하는 등의 어떠한 가공작업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고, 체결 후에도 파이프가 움직이지 않고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파이프를 삽입 체결하는 연결하는 파이프 커플러에 있어서, 몸체의 파이프삽입구에 삽입되는 조오홀더;와, 상기 조오홀더의 방사상으로 천공된 구멍에 삽입 되되, 몸체 내부의 조오경사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소정 개수의 조오;와,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오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조오홀더의 외면과 몸체의 단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조오홀더가 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몸체 내부의 오링경사면에 위치되도록 삽입되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이프, 커플러, 체결, 조오

Description

파이프 커플러 {Pipe coupler}
본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 체결을 위해 파이프의 단부에 나사탭을 가공하는 등의 어떠한 가공작업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고, 체결 후에도 파이프가 움직이지 않고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선단부 외주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큰 직경의 파이프에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삽입하고 절개부의 외측을 커플링을 감싼 채 커플링을 볼트와 너트로 조여주어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방법과, 단순히 작은 직경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큰 직경의 파이프 외주연에 너트를 용접한 후 볼트로 조이는 방법 등이 사용도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큰 직경의 파이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커플링으로 조임할 때 힘이 많이 들어 완전한 조임이 어렵고, 큰 직경의 파이프에 밀착시킬 때 큰 직경의 파이프가 파손될 우려가 매우 크며, 아울러 커플링 조합 또는 너트 용접공 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임이 많이 들고 외관도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용접 후 파이프의 용접부위는 용접시 열을 받지 않는 부분과 열 균열을 초래할 수 있고 특히 구경이 작거나 얇은 파이프의 경우에는 너트의 용접으로는 파이프를 연결할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다 진일보적으로 개선된 『실용신안등록 제220136호 명칭 파이프연결구』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등록고안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와 파이프(1)를 연결할 경우 파이프 연결구(2) 양측 끼움부(3)에 설치된 조오커플링(4)에 파이프(1)의 단부를 밀어 끼우면 결합이 이루어지고, 파이프 연결구(2)에서 파이프(1)를 분리시에는 조오커플링(4)을 내향으로 누르면 고정조오(5)가 파이프(1)를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는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로서 배관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고안은 시공 후 관계자의 부주의 또는 실수로 조오커플링(4)을 누르면 파이프 내부의 유체 압력에 의해 파이프가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하기가 쉽고, 파이프가 축방향으로 고정은 되지만 작은 힘 또는 진동에도 파이프가 회전되므로 시간이 흐르면서 조금씩 파이프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파이프 체결을 위해 파이프의 단부에 어떠한 가공작업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고, 파이프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체결 후에도 파이프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플러에서 빠지거나 커플러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이프를 삽입 체결하는 연결하는 파이프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단부에 삽입되는 조오홀더;와, 상기 몸체의 방사상으로 천공된 구멍에 삽입 되되, 몸체 내부의 조오경사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소정 개수의 조오;와,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오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조오홀더의 외면과 몸체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오홀더가 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몸체 내부의 오링경사면에 위치되도록 삽입되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오홀더에 체결된 각각의 조오 사이의 조오홀더에는 회전방지조오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조오의 양측인 조오홀더측과 몸체 내부측에 고정톱니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조오의 몸체 내부측 고정톱니는 몸체 내부의 조오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오홀더의 단부에는 홀더캡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세 개 이상의 파이프삽입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파이프 체결을 위해 파이프의 단부에 어떠한 가공작업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고, 파이프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체결 후에도 파이프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플러에서 빠지거나 커플러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커플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회전방지조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파이프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커플러(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몸체(101) 양측에 홀더캡(103)이 구비된 파이프삽입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1) 양측의 파이프 삽입구(102)에 파이프를 삽입하면 커플러(100)가 삽입된 파이프를 체결 고정하여 두 개의 파이프 내부가 연통되도록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커플러(100)의 내부 구성을 살펴 보면 도 3과 같다.
원통형태의 몸체(101) 내부에는 도 3과 같이 코일 스프링(111), 조오홀더(104) 및 스토퍼(105)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101) 내부에는 파이프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108)이 구성되되, 상기 오링(108)은 몸체(101)의 오링경사면(113)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11)의 일측 단부는 몸체(101) 내부의 단턱부(112)에 지지되고 스프링(111)의 타측 단부는 조오홀더(104)의 돌기에 지지됨으로써 스프링(111)이 조오홀더(104)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오홀더(104)는 방사상으로 천공된 구멍에 조오(106)가 번갈아가며 삽입되고, 상기 조오홀더(104)가 몸체(10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105)가 조오홀더(104) 외측과 몸체(101)의 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조오홀더(104)의 단부에는 홀더캡(103)이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오(106)는 조오홀더(104)에 체결되어 몸체(101)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몸체(101) 내부의 조오경사면(110)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오홀더(104)에 방사상으로 체결된 각각의 조오(106) 사이에는 회전방지조오(107)가 삽입 체결된다. 상기 회전방지조오(10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방지조오(107)의 양측면(조오홀더의 내측면방향 및 조오홀더의 외측면방향)에 고정톱니(114)가 형성되고, 회전방지조오(107)의 외측면방향 고정톱니(114)는 상기 조오경사면(110)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파이프 커플러(100)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체결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커플러(100)의 양측 파이프삽입구(102)에 힘을 가하여 파이프를 삽입하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가 커플러(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르면 유체의 유압에 의해 파이프가 커플러(100)로부터 빠져 나오려고 하게 되는데 이때, 몸체(101) 내부의 오링(108)이 파이프 외측면과 몸체(101)의 오링경사면(113)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압력에 의해 오링(108)이 오링경사면(113)의 꼭지점측으로 일정거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파이프 외주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유체가 커플러(1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파이프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이 크면 클수록 오링(108)이 파이프 외주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유체가 새어나오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또는 인위적으로 커플러(100)에 삽입된 파이프를 당기더라도 조오홀더(104)에 체결된 조오(106)가 파이프를 압착하여 파이프가 빠지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11)이 조오홀더(104)를 탄성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오(106)의 일측면은 몸체(101) 내부의 조오경사면(110)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파이프를 인위적으로 빼려고 하거나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면 조오(106)가 조오경사면(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오(106)는 더욱 강하게 파이프를 압착하게 된다. 조오(106)의 파이프를 압착하고 있는 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가 빠지지 않고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오홀더(104)에 체결된 각각의 조오(106) 사이에는 회전방지조오(107)가 체결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방지조오(107)는 파이프의 축방향이동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고 커플러(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파이프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방지조오(10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에 접하는 면과 몸체(101)의 조오경사면(110)에 접하는 면에 고정톱니(114)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커플러(100)에 파이프가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방지조오(107)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톱니(114)는 각각 파이프의 외주면과 몸체(101) 내부의 조오경사면(110)을 압착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조오(107)의 양 측면에 형성된 고정톱니(114)의 톱니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101)의 조오경사면(110)에 접하는 톱니(114)는 조오경사면(110)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방지조오(107)가 조오경사면(110)으로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파이프를 더욱 강하게 압착 고정한다.
그리고, 조오홀더(104)에 방사상으로 체결되는 회전방지조오(107)는 파이프에 접하는 회전방지조오(107)의 톱니 방향이 번갈아 가면서 반대방향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이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모두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커플러(100)에 파이프가 체결된 상태에서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거나, 유지 보수 중에 실수로 파이프를 당기더라도 커플러(100)가 파이프가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설치공사가 마무리된 후 조오홀더(104)의 단부에 체결된 홀더캡(103)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자가 실수로 홀더캡(103)을 눌러 파이프가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실제로 작업중 실수로 홀더캡(103)을 누르거나 밟게 되면 유압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파이프가 유압에 의해 쉽게 해체되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본 고안은 파이프 체결후 홀더캡(103)을 제거함으로써 상기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커플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1)에 세 개 이상의 파이프삽입구(102)를 구성함으로써 한 개의 커플러(100)로 여러 개의 파이프를 동시에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커플러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커플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커플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회전방지조오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파이프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커플러
101 : 몸체
102 : 파이프삽입구
103 : 홀더캡
104 : 조오홀더
105 : 스토퍼
106 : 조오
107 : 회전방지조오
108 : 오링
109 : 돌기
110 : 조오경사면
111 : 스프링
112 : 단턱부
113 : 오링경사면
114 : 고정톱니

Claims (6)

  1. 파이프를 삽입 체결하는 연결하는 파이프 커플러에 있어서,
    몸체(101)의 파이프삽입구(102)에 삽입되는 조오홀더(104);와,
    상기 조오홀더(104)의 방사상으로 천공된 구멍에 삽입 되되, 몸체(101) 내부의 조오경사면(110)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소정 개수의 조오(106);와,
    상기 몸체(101)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오홀더(104)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11);과,
    상기 조오홀더(104)의 외면과 몸체(101)의 단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조오홀더(104)가 몸체(10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05);와,
    상기 몸체(101) 내부의 오링경사면(113)에 위치되도록 삽입되는 오링(10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오홀더(104)에 체결된 각각의 조오(106) 사이의 조오홀더(104)에는 회전방지조오(107)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조오(107)의 양측인 조오홀더(104)측과 몸체(101) 내부측에 고정톱니(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조오(107)의 몸체 내부측 고정톱니(114)는 몸체(101) 내부의 조오경사면(110)과 대응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오홀더(104)의 단부에는 홀더캡(103)이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는 세 개 이상의 파이프삽입구(1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러.
KR2020090013524U 2009-10-16 2009-10-16 파이프 커플러 KR200457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24U KR200457645Y1 (ko) 2009-10-16 2009-10-16 파이프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24U KR200457645Y1 (ko) 2009-10-16 2009-10-16 파이프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021U true KR20110004021U (ko) 2011-04-22
KR200457645Y1 KR200457645Y1 (ko) 2011-12-28

Family

ID=4420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524U KR200457645Y1 (ko) 2009-10-16 2009-10-16 파이프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64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43B1 (ko) * 2011-05-24 2013-06-07 주식회사 고리 배관 보수용 연결관
KR101326079B1 (ko) * 2013-04-15 2013-11-07 우지현 파이프 연결장치
KR101497283B1 (ko) * 2014-09-25 2015-02-27 정병재 누설 방지용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KR101634506B1 (ko) * 2015-12-03 2016-06-30 김진성 개량형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KR20180003206U (ko) * 2016-03-11 2018-11-13 에드워즈 리미티드 퀵 커넥터
CN114088247A (zh) * 2021-11-19 2022-02-25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便携移动式变压器温度计快速除湿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17B1 (ko) * 2012-11-29 2014-02-20 박병춘 파이프 커플러의 고무링 지지구조
KR101358043B1 (ko) 2012-12-11 2014-02-05 조봉균 수지관의 신속 연결기구
KR101432945B1 (ko) * 2013-11-08 2014-08-21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329805B1 (ko) 2013-02-27 2013-11-15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WO2014133253A1 (ko) * 2013-02-27 2014-09-04 (주)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240002463A (ko) 2022-06-29 2024-01-05 박병옥 파이프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97Y1 (ko) 2001-05-22 2001-10-15 고은진 파이프 연결구
JP2006105269A (ja) 2004-10-05 2006-04-20 Benex Corp 管継手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43B1 (ko) * 2011-05-24 2013-06-07 주식회사 고리 배관 보수용 연결관
KR101326079B1 (ko) * 2013-04-15 2013-11-07 우지현 파이프 연결장치
CN104100787A (zh) * 2013-04-15 2014-10-15 禹智现 管连接装置
KR101497283B1 (ko) * 2014-09-25 2015-02-27 정병재 누설 방지용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KR101634506B1 (ko) * 2015-12-03 2016-06-30 김진성 개량형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KR20180003206U (ko) * 2016-03-11 2018-11-13 에드워즈 리미티드 퀵 커넥터
CN114088247A (zh) * 2021-11-19 2022-02-25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便携移动式变压器温度计快速除湿器
CN114088247B (zh) * 2021-11-19 2023-11-10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便携移动式变压器温度计快速除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645Y1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645Y1 (ko) 파이프 커플러
KR102212313B1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JP2012177473A (ja) 張力クランプ
RU2016147931A (ru) Фитинг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с компонентами, приспособленными для облегчения сборки
AU2004203467B2 (en) Pipe Clamp
GB2466681A (en) Quick coupling pipe connector
RU151727U1 (ru) Система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в холодильных установках
US20100170578A1 (en) Separable faucet
KR20120002435U (ko) 파이프 커넥터
US20100170577A1 (en) Separable faucet using plastic control valve
US7712795B2 (en) Pipe connection
KR200416932Y1 (ko) 파이프 연결구조
JP2007247855A (ja) 管継手
KR200242197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90042771A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US8826929B2 (en) Cutter assembly
KR101365617B1 (ko) 파이프 커플러의 고무링 지지구조
JP4514053B2 (ja) ヘッダー及びヘッダーの止水方法
KR20190083934A (ko) 금속파이프의 연결부속
JP2012087845A (ja) 樹脂管用継手
JP4567648B2 (ja) 配管接続用アダプタ及び耐震継手への仮設配管の接続方法
JP4691671B2 (ja) ガス管接続装置
JP6116156B2 (ja) 圧力管路のための接続装置
CN219102325U (zh) 一种软管卡箍
JP2011256945A (ja) 拡管式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