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962U - 범퍼 침대 - Google Patents

범퍼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962U
KR20110003962U KR2020090013450U KR20090013450U KR20110003962U KR 20110003962 U KR20110003962 U KR 20110003962U KR 2020090013450 U KR2020090013450 U KR 2020090013450U KR 20090013450 U KR20090013450 U KR 20090013450U KR 20110003962 U KR20110003962 U KR 201100039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ed
mat
button
floo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희
Original Assignee
홍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희 filed Critical 홍승희
Priority to KR2020090013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962U/ko
Publication of KR20110003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범퍼침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범퍼에, 이웃 측면 범퍼와의 결합을 위한 싸개단추가 부착되고, 상기 이웃 측면 범퍼에는 상기 싸개단추에 결합되는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싸개단추를 다른 측면 범퍼와의 연결수단으로 채택함으로써, 측면 범퍼를 다른 이웃하는 측면 범퍼로부터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다.
범퍼침대, 침대, 쿠션, 싸개단추

Description

범퍼 침대{BUMPER BED}
본 고안은 범퍼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면 쿠션의 일부가 용이하게 개폐되고, 바닥에 매트가 깔려있는 범퍼침대에 관한 것이다.
아기가 몸을 조금씩 가누기 시작할 때부터는 옆으로 구르거나, 배를 밀어 앞으로 가거나 하는 동작을 수없이 반복하기 때문에, 자칫 보호자가 방심하면 아기가 머리를 다치는 등의 부상을 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가 한정된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아기 침대를 사용하는데, 주로 원목으로 된 침대가 널리 쓰인다. 하지만, 이러한 침대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분리가 불가능하며 가격도 비싸기 때문에 그다지 인기를 끌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 대신, 가격이 저렴하고 조립식인, 푹신한 매트와 그 매트를 사방으로 둘러싸는 측면쿠션으로 구성된 범퍼침대가 아기의 안전과 경제성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범퍼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범퍼침대는 대부분 직사각형으로 두 개의 짧은 측면쿠션 중 하나의 측면쿠션(12)이 끈(15)이나 측면지 퍼(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끈(15)을 사용하는 경우는 측면 쿠션간의 상호 지지력이 약하고 쉽게 풀어지거나 다시 묶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 아기가 직접 끈을 풀 염려도 있었다. 한편 측면지퍼(미도시)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력은 강하나 측면쿠션(12)을 신속하게 개폐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 한편, 바닥 매트(14)가 속싸개가 씌워진 내장재를 수용하는 경우는 청결을 위해 주기적으로 매트 외피를 갈아줘야 하는데, 교체가 용이하도록 매트 외피의 끝단에 고무 밴드(미도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무 밴드는 활동량이 많은 아기의 움직임에 의해 쉽게 상기 속싸개와 매트 외피를 분리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고무 밴드가 오래되어 탄성을 잃게 되면 상기 매트 외피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한 측면 쿠션을 용이하게 개폐시킴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다른 측면 쿠션과 단단히 상호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바닥 매트의 매트 외피를 쉽게 속싸개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싸개단추 또는 지퍼를 이용한 범퍼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범퍼침대는, 측면 범퍼와 바닥 매트로 이루어진 범퍼침대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범퍼가 이웃 측면범퍼와 싸개단추 또는 싸개단추 및 측면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싸개단추가 설치된 측면 범퍼의 이웃하는 다른 측면 범퍼에는 상기 싸개단추에 연결되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싸개단추란 단추에 원단을 씌워 만든 단추를 의미한다. 싸개단추의 크기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지름 약 5cm 정도의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굳이 원단이 없어도 같은 기능을 하면 무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싸개단추를 다른 측면 범퍼와의 연결수단으로 채택함으로써, 측면 범퍼를 다른 이웃하는 측면 범퍼로부터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되는 측면 범퍼의 양 말단에 싸개단추와 더불어 측면지퍼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측면지퍼는 각 측면 점퍼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신속한 개폐가 필요한 경우 싸개단추만을 이용할 수 있고, 아기가 활동이 심한 경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지퍼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바닥 매트는 내장재 또는 내장재를 감싸는 속싸개를 수용하는 매트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 외피를 주기적으로 갈아줌으로써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매트 외피에는 포켓 형태로 내장재를 감싸는 속싸개가 삽입될 수 있다. 또 삽입구에는 매트 지퍼가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트 외피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측면 쿠션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쿠션에는 상기 고리에 상응하는 단추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매트 외피의 내면은 누비 처리하여 포근함을 더할 수 있다. 나아가 오물 세탁이 용이하도록 상기 매트 외피는 태피터(taffeta)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싸개단추 또는 측면지퍼를 다른 범퍼와의 연결수단으로 채택함으로써, 측면 범퍼를 다른 이웃하는 측면 범퍼로부터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폐하거나 단단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범퍼침대에 있어서, 개폐되는 측면쿠션과 이웃하는 측면쿠션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에서, 개폐되는 측면쿠션(12)의 말단에는 싸개단추(21)가 부착되어 있고, 이웃하는 측면쿠션에는 싸개단추(21)에 걸 수 있도록 고리(22)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개폐되는 측면쿠션(12)과 이웃하는 측면쿠션의 말단에 측면 지퍼(24)를 달아 측면쿠션 간에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범퍼침대에 있어서, 바닥 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서, 포켓 형태로 되어 있는 바닥 매트(14)는 한쪽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부분에는 매트 지퍼(35)를 설치하였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장재가 삽입된다. 내장재는 속싸개에 감싸일 수도 있다. 나아가 푹신함을 더하기 위해 바닥 매트(14)는 누비 처리(33)를 더하였으며, 오물 제거가 용이하도록 재질은 방수 태피터를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내장재는 견면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 매트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한 쌍씩 매트 고리(31)가 달려 있어서 인접하는 측면 쿠션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쿠션에는 상기 매트 고리(31)에 상응하는 단추가 설치된다. 또는 단추 대신 끈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니,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닌,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침대의 바닥 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범퍼침대에 있어서, 개폐되는 측면쿠션과 이웃하는 측면쿠션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범퍼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범퍼침대 12: 측면범퍼
14: 바닥 매트 15: 끈
21: 싸개단추 22: 고리
24: 측면 지퍼 31: 매트 고리
33: 누비처리 35: 매트 지퍼

Claims (7)

  1. 측면 범퍼와 바닥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범퍼침대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범퍼에, 이웃 측면 범퍼와의 결합을 위한 싸개단추가 부착되고, 상기 이웃 측면 범퍼에는 상기 싸개단추에 결합되는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매트가 내장재 또는 내장재가 삽입된 속싸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 매트의 한쪽에, 상기 내장재 또는 내장재가 삽입된 속싸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매트 지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침대.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닥 매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측면 범퍼와 연결되도록 하나 이상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침대.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닥 매트의 내면이 누비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침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닥 매트의 재질이 태피터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침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측면 범퍼의 서로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지퍼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두 측면 범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침대.
KR2020090013450U 2009-10-15 2009-10-15 범퍼 침대 KR201100039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450U KR20110003962U (ko) 2009-10-15 2009-10-15 범퍼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450U KR20110003962U (ko) 2009-10-15 2009-10-15 범퍼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62U true KR20110003962U (ko) 2011-04-21

Family

ID=4420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450U KR20110003962U (ko) 2009-10-15 2009-10-15 범퍼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96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34B1 (ko) * 2012-03-29 2014-01-06 임관빈 기능성 매트
KR101371828B1 (ko) * 2012-03-28 2014-03-07 양일석 유아용 범퍼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828B1 (ko) * 2012-03-28 2014-03-07 양일석 유아용 범퍼 침대
KR101347434B1 (ko) * 2012-03-29 2014-01-06 임관빈 기능성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812B1 (en) Infant safety mattress pad
US6823543B2 (en) Quick change bed sheet set with attachable accessories
US9596888B2 (en) Baby wrap
JP2011512951A (ja) ベッド上の子供のための寝具構成の安全性を向上させ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111481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KR20110003962U (ko) 범퍼 침대
KR101584240B1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KR101021482B1 (ko) 다기능 이불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JP3180196U (ja) 乳幼児用寝具
JP3110944U (ja) 縫いぐるみ風寝袋
US20060272094A1 (en) Safety blanket assembly
JP2006230705A (ja) 敷布団カバー
KR20130115857A (ko)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KR200475194Y1 (ko) 유아용 침구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KR101361158B1 (ko) 손가락의 욕창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치매환자용 보호복
KR100931357B1 (ko) 휴대용 침구시트
CN201551011U (zh) 一种带床围的婴儿席
CN105054714A (zh) 一种能二次利用的婴儿定型枕
CN202287336U (zh) 便携式婴儿床
JP2007111483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KR102591553B1 (ko) 영유아용 뒤집기 방지 쿠션
KR20130009107A (ko) 육아용 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