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857A -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 Google Patents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857A
KR20130115857A KR1020120038586A KR20120038586A KR20130115857A KR 20130115857 A KR20130115857 A KR 20130115857A KR 1020120038586 A KR1020120038586 A KR 1020120038586A KR 20120038586 A KR20120038586 A KR 20120038586A KR 20130115857 A KR20130115857 A KR 2013011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infant
portable
bedding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자
Original Assignee
박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자 filed Critical 박미자
Priority to KR102012003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857A/ko
Publication of KR2013011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가 어깨에 메고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저귀용 가방과 담요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는 매트와, 체결수단과, 어깨끈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는 전면에 유아를 눕힐 수 있도록 머리부와 몸통부와 다리부의 3부분으로 구분되도록 2줄의 박음질이 되고 상기 몸통부와 다리부의 내부에 이불속이 저장되고 상기 머리부에 베개속이 저장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일단이 상기 매트의 후면의 일측에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신축가능한 고정끈과, 상기 고정끈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매트의 전면을 안으로 말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매트의 후면의 타측에 고정된 체결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어깨끈은 상기 매트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말아지면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매트의 좌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매트의 우측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깨끈을 구비한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함으로인하여 보호자는 유아용 침구를 말아서 어깨에 메고 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자는 유아를 안거나 다른 준비물을 들고서 유아용 침구를 휴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Portable bedclothes for infant}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가 어깨에 메고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저귀용 가방과 담요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에 대한 것이다.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에 대해서는 다수의 발명이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 출원되어 있다.
이중 공개특허 제10-2009-0090144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061호는 매트를 격벽형태로 구성하여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유아용 침구에 대한 것이다.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는 보호자가 유아를 데리고 외출하여 야외에서 유아를 눕히거나 쉬게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 공개된 유아용 침구는 말아서 휴대할 수는 있지만 보호자가 직접 침구를 손에 들고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유아용 침구를 휴대할 경우에는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보호자가 유아를 데리고 외출시 만약 넘어지는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아니하여 대형 사고로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자가 유아를 데리고 야외로 외출하기 위해서는 기저귀나, 담요, 수유도구 등의 많은 준비물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유아용 침구는 단지 그 침구만을 말아서 휴대할 수 있다. 그래서 기저귀나, 담요 또는 다른 수유도구를 별도의 가방 등에 보관하여 이를 별도로 분리시켜 휴대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아용 침구는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이들 유아용 준비물들을 휴대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호자가 유아를 안은 채로 휴대용 침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어깨에 걸어서 손의 사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용 담요나, 기저귀 등을 함께 수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용 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는 매트와, 체결수단과, 어깨끈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는 전면에 유아를 눕힐 수 있도록 머리부와 몸통부와 다리부의 3부분으로 구분되도록 2줄의 박음질이 되고 상기 몸통부와 다리부의 내부에 이불속이 저장되고 상기 머리부에 베개속이 저장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일단이 상기 매트의 후면의 일측에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신축가능한 고정끈과, 상기 고정끈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매트의 전면을 안으로 말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매트의 후면의 타측에 고정된 체결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어깨끈은 상기 매트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말아지면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매트의 좌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매트의 우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는 상기 매트로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매트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방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에 있어서, 매트는 상기 베개속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의 모서리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은 상기 매트에 누운 유아가 잡으면 소리가 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끈은 상기 일단이 상기 매트의 후면의 몸통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체결단자는 상기 고정끈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매트의 후면의 다리부에 고정된 단추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깨끈을 구비한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함으로인하여 보호자는 유아용 침구를 말아서 어깨에 메고 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자는 유아를 안거나 다른 준비물을 들고서 유아용 침구를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적으로 신축가능한 고정끈을 구비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유아용 침구의 매트에 담요 등을 말아서 휴대할 수 있다. 그래서 보호자는 매트뿐만 아니라 담요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방을 구비한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가방에 기저귀나 젖병 등 유아용 도구를 함께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속을 교체 가능한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매트를 세탁시 베개속을 제거하고 세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베개속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의 일 실시예의 매트의 전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매트의 후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매트를 말아서 체결수단으로 체결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방을 결합시킨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방을 결합시킨 다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매트를 말기 위한 동작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머리부의 지퍼를 확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개속을 분리한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담요를 매트로 감싸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담요를 매트로 감싼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방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는 매트(10)와, 체결수단(20)과, 어깨끈(25)과, 가방(30)을 포함한다.
매트(10)는 전면(14)에 유아를 눕힐 수 있으며, 머리부(11)와 몸통부(13)와 다리부(15)의 3부분으로 구분되도록 2줄의 박음질(12)이 되어 있다. 몸통부(13) 및 다리부(15)의 내부에는 이불속이 저장된다. 그리고 머리부(11)의 내부에는 유아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베개속(16)이 저장된다. 한편 머리부(11)의 모서리에는 지퍼(17)가 설치되어 베개속(16)의 탈착이 가능하다. 머리부(11)의 모서리에 지퍼(1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머리부(11)는 지갑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보호자가 유아용 침구를 지니고 외출시 머리부(11)의 지퍼(17)를 열고 휴대폰과 같은 간단한 소지품을 머리부(11)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베개속(16)의 탈착이 가능하므로 매트(10)의 세탁시 베개속(16)을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하며, 또한 베개속(16)이 수명을 다하면 교체를 할 수 있다. 매트(10)가 3단으로 구분되므로 몸통부(13)를 중심으로 다리부(15)와 머리부(11)를 포개어서 매트(10)를 접을 수 있다.
체결수단(20)은 매트(10)를 말아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체결수단(20)은 고정끈(21)과 체결단자(23)를 구비한다. 체결단자(23)는 단추로 형성되며, 매트(10)의 후면(18)의 다리부(15)에 고정된다. 고정끈(21)은 탄성적으로 신축가능하게 고무 등으로 형성되며 일단(21a)이 매트(10)의 후면(18)의 몸통부(13)에 고정되고, 타단(21b)이 메트(10)를 말면 체결단자(23)에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끈(21)의 일단(21a)이 노출되지 않게 매트(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끈(21)과 체결단자(23)가 3쌍 부착된다. 몸통부(13)를 중심으로 머리부(11)와 다리부(15)를 접어서 고정끈(21)을 체결단자(23)에 체결시키면 매트(10)는 말아진 채로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끈(21)이 탄성적으로 신축되므로 고정끈(21)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그래서 매트(10)를 말때 매트(10)의 몸통부(13)의 전면(14)에 가방(30)을 놓은 후 매트(10)를 말아서 체결수단(20)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유아를 매트(10)에 눕힐 때 유아를 덮을 담요가 필요하다. 그래서 보호자는 외출시 매트(10)와 함께 담요를 함께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매트(10)의 전면(14)에 담요(35)를 눕힌 후 매트(10)를 말아서 체결수단(20)의 고정끈(21)을 체결단자(23)에 결합시키면 담요(35)를 함께 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끈(21)이 신축가능하므로 매트(10)를 접을 때 매트(10) 내부에 담요(35)를 함께 접을 수 있으며, 담요(35) 이외에 기타 필요한 물품을 매트(10)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그래서 매트(10)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끈(21)의 일단(21a)이 몸통부(13)의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부착된다. 그래서 고정끈(21)을 체결단자(23)에 결합시키면 고정끈(21) 및 체결단자(23)가 말아진 매트(10)의 어느 한쪽 면에만 노출되고 다른 쪽 면에는 노출되지 아니한다. 그래서 말아진 매트(10)는 고정끈(21) 및 체결단자(23)가 노출되지 아니한 면을 사용하여 유아의 수유쿠션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어깨끈(25)은 매트(10)가 체결수단(20)에 의하여 말아지면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일단은 매트(10)의 좌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매트(10)의 우측에 결합된다. 그래서 보호자가 체결수단(20)을 사용하여 매트(10)를 말아서 고정시키면 어깨끈(25)을 어깨에 걸어서 매트(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어깨끈(25)을 어깨에 걸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호자는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손으로 유아를 안을 수도 있으며, 기타 필요한 다른 물건을 들 수도 있다. 한편 유아가 매트(10) 위에 눕혀진 경우 어깨끈(25)을 유아의 얼굴의 앞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유아는 어깨끈(25)을 잡을 수 있다. 이 경우 유아의 손에 어깨끈(25)이 잡히므로 유아의 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어깨끈(25)의 내부에는 유아가 어깨끈(25)을 잡으면 소리가 날 수 있도록 비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아가 어깨근(25)을 잡으면 소리가 나므로 유아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다.
가방(30)은 매트(10)의 몸통부(13)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스냅단추(31)를 사용하여 가방(30)을 매트(10)의 몸통부(13)에 탈착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냅단추(31)를 사용하였으나 벨크로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가방(30)에는 기저귀 등을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유아를 데리고 외출할 때 기저귀 등 필요한 물건을 가방(30)에 보관하고, 가방(30)을 매트(10)의 몸통부(13)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담요(35) 등을 매트(10)의 전면에 위치시킨 후 매트(10)의 머리부(11)와 다리부(15)를 접어서 매트(10)를 말고, 고정끈(21)을 체결단자(23)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어깨끈(25)을 보호자의 어깨에 걸면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자는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아를 안을 수도 있다. 기타 다른 준비물을 손에 들 수도 있다. 한편, 매트(10)에 가방(30) 뿐만 아니라 담요(35) 등을 함께 수납할 수 있으므로 외출 시 유아에 필요한 물건을 함께 운반할 수 있다.
10 : 매트 11 : 머리부
12 : 박음질 13 : 몸통부
14 : 매트의 전면 15 : 다리부
16 : 베개속 17 : 지퍼
18 : 매트의 후면 20 : 체결수단
21 : 고정끈 23 : 체결단자
25 : 어깨끈 30 : 가방
31 : 스냅단추 35 : 담요

Claims (5)

  1. 전면에 유아를 눕힐 수 있도록 머리부와 몸통부와 다리부의 3부분으로 구분되도록 2줄의 박음질이 되고 상기 몸통부와 다리부의 내부에 이불속이 저장되고 상기 머리부에 베개속이 저장된 매트와,
    일단이 상기 매트의 후면의 일측에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신축가능한 고정끈과, 상기 고정끈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매트의 전면을 안으로 말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매트의 후면의 타측에 고정된 체결단자를 구비한 체결수단과,
    상기 매트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말아지면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매트의 좌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매트의 우측에 결합된 어깨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로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매트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3. 제2항에 있어서,
    매트는 상기 베개속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의 모서리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은 상기 매트에 누운 유아가 잡으면 소리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끈은 상기 일단이 상기 매트의 후면의 몸통부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단자는 상기 고정끈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매트의 후면의 다리부에 고정된 단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KR1020120038586A 2012-04-13 2012-04-13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KR20130115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586A KR20130115857A (ko) 2012-04-13 2012-04-13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586A KR20130115857A (ko) 2012-04-13 2012-04-13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57A true KR20130115857A (ko) 2013-10-22

Family

ID=4963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586A KR20130115857A (ko) 2012-04-13 2012-04-13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8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366A (ko) * 2017-04-25 2018-11-02 김영수 휴대용 유아 침구세트.
KR200487965Y1 (ko) * 2018-03-09 2018-11-28 베드메이트코리아 주식회사 유아용 침구세트
KR102009033B1 (ko) * 2018-03-21 2019-08-08 이석호 유아용 겉싸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366A (ko) * 2017-04-25 2018-11-02 김영수 휴대용 유아 침구세트.
KR200487965Y1 (ko) * 2018-03-09 2018-11-28 베드메이트코리아 주식회사 유아용 침구세트
KR102009033B1 (ko) * 2018-03-21 2019-08-08 이석호 유아용 겉싸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775B2 (en) Travel nursing pillow
US8166587B2 (en) Portable breastfeeding and nursing pillow
US20050177939A1 (en) Child's sleeping bag convertible into a tote bag
US6481032B2 (en) Infant prop
KR20130115857A (ko)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침구
CN207220454U (zh) 用于婴幼儿坐躺的一体化多功能出行包
KR101584240B1 (ko)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
US11324338B2 (en) All-inclusive diaper changing and feeding support pillow
JP5923843B2 (ja) 子守帯
KR101196868B1 (ko) 휴대용 유아침대
CN205180699U (zh) 可以展开为婴儿床的背包
JP3185589U (ja) 授乳カバー
KR101777191B1 (ko) 유아용 슬리핑 하우징
US20160235216A1 (en) Multi-Function Infant Pillow and Mat
JP3174171U (ja) 子守帯
CN210076877U (zh) 一种3d便携户外妈咪包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JP3118404U (ja) 布団袋を兼ねた敷布団カバー
CN203828508U (zh) 可折叠婴儿床
CN210902312U (zh) 便携式婴幼儿摇篮床
CN211459563U (zh) 便携式婴儿床中床
KR20140055770A (ko) 휴대시 개는 작업이 용이한 유아용 침구
KR20130009107A (ko) 육아용 침구
AU2013101545A4 (en) A Portable Nursing Bag
AU2007101223B4 (en) Bedl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