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943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943A
KR20110003943A KR1020090061470A KR20090061470A KR20110003943A KR 20110003943 A KR20110003943 A KR 20110003943A KR 1020090061470 A KR1020090061470 A KR 1020090061470A KR 20090061470 A KR20090061470 A KR 20090061470A KR 20110003943 A KR20110003943 A KR 2011000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generator
air
intake duct
open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5418B1 (ko
Inventor
황동우
김두훈
박상규
한중만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4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온발생기를 보다 쉽게 분리하고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여 수리 및 부품의 교체시에 정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테이크 덕트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인테이크 덕트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이온(Ion)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하며, 이온발생기는 이온 방전전극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블로어의 상류측 인테이크 덕트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내부에 상기 이온발생기의 이온 방전전극이 장착되어 인테이크 덕트의 내부로 연장되며; 블로어의 작동시, 개구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이온발생기와 개구부의 사이에 공기흡입유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발생기를 보다 쉽게 분리하고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수리 및 부품 교체시에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를 냉, 난방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10)는, 일반적으로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패널(Instrument Panel) 내측에 설치되며, 블로어(20)를 갖추고 있다.
블로어(20)는, 블로어팬(22)과, 블로어팬(22)을 구동시키는 블로어모터(24)를 구비한다. 이러한 블로어(20)는 공조케이스(10)의 인테이크 덕트(12)를 통해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 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4)로 송풍한다.
한편, 블로어팬(22)의 상류측에는 에어필터(26)가 설치된다. 에어필터(26)는 블로어팬(22)으로 흡입되는 내,외기 속의 오염물질을 여과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인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4)에 설치되는 증발기(30)를 구비한다.
증발기(30)는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다수의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내부통로(14)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각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증발기(3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한다.
이온발생기(40)는, 공조케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본체(42)와, 본체(42)로부터 내부통로(14)를 향해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4)과 양이온 방전전극(46)을 구비한다.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4, 46)은,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4)의 공기 중에 직접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온발생기(40)는, 발생된 음,양이온 입자를 증발기(30)에 도입시킨다. 따라서, 증발기(30)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제균 및 탈취 처리한다. 이로써, 차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인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이온발생기(40)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공조케이스(10)로부터 분리 및 조립해야 할 경우, 이온발생기(40)의 분리 및 조립작업이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공조케이스(10)는,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패널 내측에 설치되므로, 주변의 여유 공간이 매우 좁고 협소하다. 특히, 이온발생기(40)가 설치되는 공조케 이스(10)의 상측으로는 대쉬보드(Dash Board)(16)가 절곡된 상태로 배열되므로, 이온발생기(40)의 상측으로는 매우 협소한 공간만이 남게 된다. 따라서, 공구의 투입이 어려워 이온발생기(40)의 체결나사(40a)를 풀기도 어렵고, 체결나사(40a)를 풀어서 분리하더라도 공조케이스(10)로부터 이온발생기(40)를 상부로 들어올려 탈거하기에도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종래의 이온발생기(40)는 공조케이스(10)로부터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고 힘들며, 또한, 분리작업 후, 이를 다시 공조케이스(10)에 조립하기에도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온발생기를 공조케이스로부터 보다 쉽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온발생기의 분리 및 조립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인테이크 덕트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이온(Ion)을 방 출하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는 이온 방전전극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의 상류측 인테이크 덕트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상기 이온발생기의 이온 방전전극이 장착되어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블로어의 작동시, 상기 개구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발생기와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공기흡입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이온발생기가 차실내측 방향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측 방향의 인테이크 덕트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로 차실내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가 차실내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에어필터와 블로어 사이의 인테이크 덕트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에어필터와 블로어 사이의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이온발생기를 실내측 방향의 인테이크 덕트부분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실내측 방향에서 공구 등을 투입하여 이온발생기를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발생기의 분리와 조립이 매우 쉽고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온발생기의 분리와 조립이 매우 쉽고 간편하므로, 이온발생기의 수리 및 교체를 신속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최대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온발생기를 블로어의 상류측 부분에 설치하므로,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음,양이온이 블로어에 흡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음,양이온의 송풍효율이 최대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음,양이온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될 수 있게 하므로, 음,양이온의 흡입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킨다. 따라서, 이온발생기의 음, 양이온이 손실없이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로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음,양이온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구조이므로, 공조장치의 작동시, 일정량의 내기가 보조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냉각 또는 가열된 차량의 실내기를 재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실내의 냉, 난방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는 블로어(20)를 갖 추고 있다.
블로어(20)는, 블로어팬(22)과, 블로어팬(22)을 구동시키는 블로어모터(24)로 구성된다. 이러한 블로어(20)는 공조케이스(10)의 인테이크 덕트(12)를 통해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 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4)로 송풍한다.
한편, 블로어팬(22)의 상류측에는 에어필터(26)가 설치된다. 에어필터(26)는 블로어팬(22)으로 흡입되는 내,외기 속의 오염물질을 여과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4)에 설치되는 증발기(30)를 구비한다.
증발기(30)는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다수의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내부통로(14)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각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하되, 상기 이온발생기(40)는 공조케이스(10)의 인테이크 덕트(12) 부분에 설치된다.
인테이크 덕트(12)에는, 이온발생기(40)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5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50)는 블로어팬(22)의 상류측 부분, 특히, 에어필터(26)와 블로어팬(22) 사이의 측벽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실내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인테이크 덕트(12)의 개구부(50)는, 가급적 차실내측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발생기(40)를 차실내측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함이며, 그래야만, 차실내측 방향에서 손쉽게 공구 등을 투입하여 이온발생기(40)를 분리 및 조립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구부(50)가 에어필터(26)를 교환하기 위한 에어필터 착탈부(26a)(도 5참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A/S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인테이크 덕트(12)의 개구부(50)에는, 이온발생기(40)가 설치된다. 이온발생기(40)는 본체(42)와, 본체(42)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4)과 양이온 방전전극(46)을 구비한다.
본체(42)는, 둘레의 체결편(42a)들을 구비하며, 이들 체결편(42a)들은 인테이크 덕트(12)에 나사(42b)로 체결된다. 따라서, 이온발생기(40)를 인테이크 덕트(12)의 외면에 고정시킨다.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4, 46)은, 개구부(50)를 관통하여 인테이크 덕트(12)의 내부로 수용된다. 특히, 에어필터(26)와 블로어팬(22) 사이의 부분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4, 46)은, 고전압 펄스를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따라서, 발생된 음이온과 양이온이 블로어팬(22)에 흡입되면서 증발기(30)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제균 및 탈취 처리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4, 46)에 인접한 인테이크 덕트(12)의 내부에는 가이드 부재(12a)가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12a)는, 인테이크 덕트(12)의 내벽으로부터 블로어 팬(22)의 상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2a)는,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4, 46)에서 발생된 음이온과 양이온을 블로어 팬(22)의 상류측으로 가이드 한다. 따라서, 발생된 음이온과 양이온이 블로어(20) 상부에 정체되지 않게 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온발생기(40)의 본체(42)는, 인테이크 덕트(12)의 개구부(50)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개구부(50)와 소정의 갭(Gap)(G)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갭(G)은, 개구부(50)로부터 이온발생기(40)의 본체(42)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통해 형성된다.
이격수단은, 이온발생기(40)의 본체(42)를 개구부(50)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인테이크 덕트(12)의 지지부(60)로 구성된다.
지지부(60)는, 인테이크 덕트(1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온발생기(40)의 체결편(42a)들과 나사체결됨과 아울러 이온발생기(40)의 본체(42)를 개구부(50)로부터 이격시킨다.
따라서, 이온발생기(40)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온발생기(40)의 본체(42)와 인테이크 덕트(12)의 개구부(50) 사이에 소정의 갭(G)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이온발생기(40)와 개구부(50)의 사이에 공기흡입유로(52)가 형성될 수 있게 한 다.
이러한 이격수단은, 이온발생기(40)의 본체(42)와 인테이크 덕트(12)의 개구부(50)의 사이에 공기흡입유로(52)가 형성될 수 있게 함으로써, 형성된 공기흡입유로(5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흡입된 공기와 이온발생기(40)의 음, 양이온이 함께 흡입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음,양이온의 흡입효율을 높인다. 그 결과, 이온발생기(40)의 음, 양이온이 손실없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격수단은, 형성된 공기흡입유로(52)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공조장치의 작동시, 일정량의 내기가 보조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미리 냉각 또는 가열된 차량의 실내기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차실내의 냉, 난방성능을 향상시킨다.
한편, 이러한 이격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개구부(50)의 둘레로부터 돌출되어 이온발생기(40)의 본체(42)에 지지되는 복수의 간격유지편(62)들을 더 구비한다.
간격유지편(62)들은, 개구부(50)의 둘레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이온발생기(40)의 본체(42)에 지지되므로, 개구부(50)와 이온발생기(40)의 본체(42) 사이에 갭(G)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온발생기(40)와 개구부(50)의 사이에 공기흡입유로(52)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이온발생기(40)가 실내측 방향의 인테이크 덕트(12)부분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실내측 방향에서 공구 등을 투입하여 이온발생기(40)를 분리 및 조립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발생기(40)의 분리와 조립이 매우 쉽고 간편하다.
또한, 이온발생기(40)의 분리와 조립이 매우 쉽고 간편하므로, 이온발생기(40)의 수리 및 교체를 신속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최대한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온발생기(40)를 블로어(20)의 상류측 부분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이온발생기(40)에서 발생된 음,양이온이 블로어(20)에 흡입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온발생기(40)에서 발생된 음,양이온의 송풍효율이 최대한 향상된다.
또한, 이온발생기(40)에서 발생된 음,양이온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므로, 음,양이온의 흡입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킨다. 따라서, 이온발생기(40)의 음, 양이온이 손실없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4)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온발생기(40)에서 발생된 음,양이온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구조이므로, 공조장치의 작동시, 일정량의 내기가 보조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미리 냉각 또는 가열된 차량의 실내기를 재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실내의 냉, 난방성능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도 8과 도 9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이온발생기(40)를 인테이크 덕트(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착탈하기 위한 착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착탈장치는, 개구부(50)에 갭(G)을 두고 조립된 이온발생기(40)를 받쳐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70)들을 구비한다.
받침부(70)들은, 인테이크 덕트(12)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온발생기(40)의 네 모서리를 받쳐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착탈장치는, 받침부(70)에 지지된 이온발생기(40)가 차실내측 방향과 엔진룸측 방향 사이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다.
가이드 수단은, 이온발생기(40)의 상면(40b)과 하면(40c)을 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네 개의 가이드 리브(72)들로 구성된다.
가이드 리브(72)는, 인테이크 덕트(12)로부터 돌출되며, 이온발생기(40)의 상면(40b)과 하면(40c)을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 리브(72)는, 이온발생기(40)의 상면(40b)과 하면(40c)을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하므로, 이온발생기(40)가 차실내측 방향과 엔진룸측 방향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가이드한다.
특히, 엔진룸측의 "장착위치"(X)에서 차실내측의 "탈거위치"(Y)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가이드하고, 차실내측의 "탈거위치"(Y)에서 엔진룸측의 "장착위치"(X)로 슬라이딩운동할 수 있게 가이드 한다.
이러한 가이드 수단은, 이온발생기(40)를 차실내측의 "탈거위치"(Y)와 엔진룸측의 "장착위치"(X) 사이에서 슬라이딩시키는 구조이므로, 이온발생기(40)를 인테이크 덕트(12)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착탈장치는, "탈거위치"(Y)에서 "장착위치"(X)로 슬라이딩하는 이온 발생기(40)를 "장착위치"(X)에서 저지하는 스토퍼(74)를 구비한다.
스토퍼(74)는, 양쪽의 가이드 리브(72)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며, "장착위치"(X)로 슬라이딩한 이온발생기(40)를 저지한다. 따라서, 이온발생기(40)를 "장착위치"(X)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착탈장치는, "장착위치"(X)에 배치된 이온발생기(40)의 일측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고정수단은, 이온발생기(40)의 일측부분에 형성되는 고정편(80)과, "장착위치"(X)로 이동한 이온발생기(40)의 고정편(80)을 인테이크 덕트(12)에 체결하는 체결스크류(82)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장착위치"(X)로 운동한 이온발생기(40)를 인테이크 덕트(12)에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장착위치"(X)의 이온발생기(40)를 인테이크 덕트(12)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이온발생기(40)의 고정편(80)은, 가급적 차실내측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고정편(80)이 차실내측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야만, 차실내측에서 공구 등을 투입하여 고정편(80)에 체결된 체결스크류(82)를 손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착탈장치는, 이온발생기(40)의 타측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고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보조 고정수단은, 이온발생기(40)의 타측부분에 형성되는 보조 고정편(90)과, "장착위치"(X)로 이동한 이온발생기(40)의 보조 고정편(9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인테이크 덕트(12)에 형성되는 결합홈(9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고정편(90)과 결합홈(92)은, 상기 이온발생기(40)가 "장착위치"(X)로 이동할 경우,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장착위치"(X)로 이동한 이온발생기(40)의 타측부분을 인테이크 덕트(1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과 함께 이온발생기(40)의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고정시킨다.
또한, 보조 고정편(90)과 결합홈(92)은, 상기 이온발생기(40)가 "탈거위치"(Y)에서 "장착위치"(X)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이온발생기(40)의 타측부분을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체결스크류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상기 이온발생기(40)를 인테이크 덕트(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체결스크류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체결스크류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공구의 투입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이온발생기(40)의 장착 및 탈거가 매우 쉽다.
한편, 보조 고정수단의 보조 고정편(90)과 결합홈(92)은, 고정수단의 고정편(80)에 대해 대각선(對角線)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온발생기(40)의 부분 중, 서로 대각되는 부분을 인테이크 덕트(12)에 고정시켜서 인테이크 덕트(12)에 대한 이온발생기(40)의 결합력을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온발생기를 인테이크 덕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착탈하기 위한 착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이온발생기 착탈장치의 작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온발생기가 인테이크 덕트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이온발생기 착탈장치의 작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온발생기가 인테이크 덕트로부터 탈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조케이스 12: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
14: 내부통로 20: 블로어(Blower)
22: 블로어팬(Blower Fan) 24: 블로어모터(Blower Motor)
30: 증발기 40: 이온발생기
42: 본체 44: 음이온 방전전극
46: 양이온 방전전극 50: 개구부
52: 공기흡입유로 60: 지지부
62: 간격유지편 70: 받침부
72: 가이드 리브(Guide Rib) 74: 스토퍼(Stopper)
80: 고정편 82: 체결스크류
90: 보조 고정편 92: 결합홈

Claims (11)

  1. 인테이크 덕트(12)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12)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2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이온(Ion)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40)는 이온 방전전극(44,46)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20)의 상류측 인테이크 덕트(12) 부분에 개구부(5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0)의 내부에 상기 이온발생기(40)의 이온 방전전극(44, 46)이 장착되어 상기 인테이크 덕트(12)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블로어(20)의 작동시, 상기 개구부(50)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발생기(40)와 상기 개구부(50)의 사이에 공기흡입유로(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50)는,
    상기 이온발생기(40)가 차실내측 방향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측 방향의 인테이크 덕트(12)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50)로 차실내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50)가 차실내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2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에어필터(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50)는 상기 에어필터(26)와 블로어(20) 사이의 인테이크 덕트(12)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이온발생기(40)의 이온 방전전극(44)은 상기 개구부(50)로부터 상기 에어필터(26)와 블로어(20) 사이의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40)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2)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60)에 체결됨에 따라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이온발생기(40)를 상기 개구부(50)로부터 갭(G)을 두고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50)가 상기 에어필터(26)를 교환하기 위한 에어필터 착탈 부(26a)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방전전극(44, 46)에서 발생된 이온을 상기 블로어(20)의 상류측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1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40)를 차실내측의 탈거위치(Y)에서 엔진룸측의 장착위치(X)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장착하고, 상기 엔진룸측의 장착위치(X)에서 상기 차실내측의 탈거위치(Y)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탈거할 수 있는 착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이온발생기(40)가 상기 탈거위치(Y)와 상기 장착위치(X)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장착위치(X)로 이동한 상기 이온발생기(40)의 일측부분을 상기 인테이크 덕트(12)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온발생기(40)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인테이크 덕트(12)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온발생기(40)의 일측부분에 형성되는 고정편(80)과, 장착위치(X)로 이동한 상기 이온발생기(40)의 고정편(80)을 상기 인테이크 덕트(12)에 체결하는 체결스크류(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90061470A 2009-07-07 2009-07-07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5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70A KR101515418B1 (ko) 2009-07-07 2009-07-0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70A KR101515418B1 (ko) 2009-07-07 2009-07-0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43A true KR20110003943A (ko) 2011-01-13
KR101515418B1 KR101515418B1 (ko) 2015-04-27

Family

ID=4361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470A KR101515418B1 (ko) 2009-07-07 2009-07-0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359A (ko) 2012-12-26 2014-07-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생산성이 향상된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한 복합 친환경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1890A (ko) * 2021-11-30 2023-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캐빈필터 장착형 공기 살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316B1 (ko) 2007-04-13 2009-06-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장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359A (ko) 2012-12-26 2014-07-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생산성이 향상된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한 복합 친환경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1890A (ko) * 2021-11-30 2023-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캐빈필터 장착형 공기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418B1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4477B2 (en) Ionizer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30026262A (ko) 카울크로스 구조
CN101311011A (zh) 用于公共汽车的车顶空调
JPH09112944A (ja) 空気調和機のモーター取り付け装置
KR101166379B1 (ko) 공기조화기
US10414238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11000394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70036669A (ko) 차량용 이중 팬 환기 조립체
JP4714029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90331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장착장치
KR20160014736A (ko) 가열, 방출 및 공기 조화 송풍기
KR10242876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08589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60970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0351314A (ja) 分解可能な電動換気装置を含む自動車用暖房又は空調装置
KR10157480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장착구조
JP2000264056A (ja) 車両用空調装置の通風ユニット
JP4971628B2 (ja) 送風機取付構造
KR20200069894A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EP3103663B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 for conditioning an air flow, with at least one air treatment device and a housing for such an heating unit
KR2019005960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09430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이온발생기 장착 구조
KR100749062B1 (ko) 공기조화기
JP568708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40079766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