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785A - 플럭스 디핑 장치 - Google Patents

플럭스 디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785A
KR20110003785A KR1020090061230A KR20090061230A KR20110003785A KR 20110003785 A KR20110003785 A KR 20110003785A KR 1020090061230 A KR1020090061230 A KR 1020090061230A KR 20090061230 A KR20090061230 A KR 20090061230A KR 20110003785 A KR20110003785 A KR 2011000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gee
flux
pair
fixtur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081B1 (ko
Inventor
강규호
박은영
김영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0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럭스 디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럭스 디핑 장치는 상방이 개구되며, 일정 길이를 갖고, 내부에 플럭스가 저장되는 플럭스 저장부와;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하단에 위치되는 스퀴지 고정체; 및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퀴지 고정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바닥면과 일정 유격을 이루는 스퀴지를 갖는 스퀴지 바디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리어런스가 미리 설정되는 스퀴지를 선택적으로 변경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또는 게이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 플럭스가 저장되는 플럭스 저장부의 바닥면과 스퀴지의 하단면과의 클리어런스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럭스 디핑 장치{APPARATUS FOR DIPPING FLUX}
본 발명은 플럭스 디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공구 또는 게이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 플럭스가 저장되는 플럭스 저장부의 바닥면과 스퀴지의 하단면과의 클리어런스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플럭스 디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부품 실장기는 테이퍼 피더 등의 부품 공급 장치로부터 전자 부품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자 부품은 반도체 패키지의 형상에 따라서 여러 종류일 수 있으며, 그 하나의 예를 들면, 전자 부품이 복수의 범프(bump)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범프들이 인쇄회로기판의 범프 결 합부와 플립칩 본딩(flip chip bonding)된다.
이 경우, 상기 범프가 인쇄회로기판 상에 확실하게 접합되기 위하여,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하는 공정 전에 상기 전자 부품의 범프 상에 페이스트상의 플럭스를 전사할 필요가 있다. 상기 플럭스는 범프의 표면 산화를 방지하거나, 범프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 산화막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범프의 접합을 위하여 상기 범프에 열을 가하는 경우 상기 플럭스가 범프의 융점을 낮추어서 이웃하는 범프간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범프들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한 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97744호에는 "전자 부품용 플럭스 딥핑 장치"가 개재된다.
이의 개략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하에 걸쳐 결합된 이동 가이드와, 회전 디스크 및 상기 회전 디스크를 둘러싸는 펜스를 구비하여, 플럭스를 담는 플럭스 저장부와,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측에 배치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장착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의 높이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와, 상기 프레임 및 이동 블록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 블록을 지지하며 탄성력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힌지 부재를 구비한다.
특히, 이의 종래 발명에서는 블레이드의 하단과 플럭스 저장부의 바닥면과의 클리어런스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정 스크류와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블레이드 유닛을 상하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클리어런스를 변경하여 실시할 때마다, 다이얼 게이지를 육안으로 참조하여 조정 스크류를 조절하여 실시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클럭스의 높이 또는 클리어런스를 변경하기 위하여 매번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클리어런스를 변경 후에 정확하게 변경이 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하고, 이에 따르는 클리어런스 변경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으로 전자 부품의 일면에 플럭스 막이 형성되지 못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공구 또는 게이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 플럭스가 저장되는 플럭스 저장부의 바닥면과 스퀴지의 하단면과의 클리어런스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플럭스 디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플럭스 디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럭스 디핑 장치는 상방이 개구되며, 일정 길이를 갖고, 내부에 플럭스가 저장되는 플럭스 저장부와;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하단에 위치되는 스퀴지 고정체; 및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퀴지 고정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바닥면과 일정 유격을 이루는 스퀴지를 갖는 스퀴지 바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퀴지 고정체는,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저부에 위치되며 그 양단이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양측부로 돌출되는 베이스와,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양측부에서 세워져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양측부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퀴지 바디의 양단과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퀴지 바디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 상단부는 서로 볼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신축되 는 축을 갖는 한 쌍의 엑츄에이터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엑츄에이터 각각의 축은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의 하단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퀴지 고정체는 이동 유닛과 연결된다. 상기 이동 유닛은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스퀴지 고정체를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퀴지 고정체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퀴지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스퀴지 고정체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퀴지 바디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퀴지는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하방을 따라 서로 벌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유닛과 상기 한 쌍의 엑츄에이터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유닛을 왕복 이동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왕복 이동 동작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엑츄에이터의 축을 교차로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일측에는 외부에 저장되는 플럭스를 상기 플럭스 저장부에 공급할 수 있는 플럭스 공급 노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퀴지 고정체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 또는 게이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 플럭스가 저장되는 플럭스 저장부의 바닥면과 스퀴지의 하단면과의 클리어런스를 미리 클리어런스가 설정되는 스퀴지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어런스를 변경하는 경우에 변경된 후 재차 확인함에 따르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클리어런스 변경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어런스 변경의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자 부품의 일면에 정상적으로 플럭스 막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럭스 디핑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럭스 디핑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부재와 스퀴지 바디와의 탈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고정 부재의 교차 승강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럭스 저장부 상에 위치되는 스퀴지 바디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스퀴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한 쌍의 스퀴지의 제 1구동 방향으로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한 쌍의 스퀴지의 제 2구동 방향으로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플럭스 디핑 장치는 일정 길이의 플럭스 저장부(100)를 갖는다.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는 파레트의 형상을 갖고, 상방이 개구되고 평평한 바닥면(110)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110)을 에워싸는 측벽(1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플럭스가 공급되어 저장된다.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의 하단 측에는 스퀴지 고정체(210)가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퀴지 고정체(210)는 제 1스퀴지 고정체(210)의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스퀴지 고정체(210)의 구성은 하기에 언급되는 제 2스퀴지 고정체(220)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제 1스퀴지 고정체(210)는 그 양단이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의 양측부로 돌출되는 제 1베이스(211)와,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의 양측부에서 세워져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베이스(211)의 양측부 상단에 배치되며 제 1스퀴지 바디(310)의 양단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의 상단은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 보다 일정 높이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베이스(211)의 양단부에는 제 1엑츄에이터(4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엑츄에이터(410)는 하기에 기술되는 제어부(7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방으로 신축되는 축(411)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축(411)은 상기 제 1베이스(211)의 양단부 상방을 따라 신축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제 1베이스(211)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엑츄에이 터(410) 각각의 축(411)은 제 1베이스(211) 양단부 상단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의 하단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축(411)의 신축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고정 부재(212)는 상방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스퀴지 고정체(210)는 한 쌍의 탄성 부재(9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 부재(900)의 일단은 상기 제 1베이스(211)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의 상단에는 제 1스퀴지 바디(310)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스퀴지 바디(31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의 상단과 볼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의 상단에는 조절홀(2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스퀴지 바디(310)의 양단에는 관통홀(31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스퀴지 바디(310)는 그 양단이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되고, 이때, 상기 제 1스퀴지 바디(310)에 형성되는 관통홀들(310a)은 제 1고정 부재(212)의 상단에 형성되는 조절홀(212a)과 그 위치가 일치된다. 여기서, 조절 볼트(500)를 사용하여 조절 볼트(500)의 몸체(510)를 관통홀(310a)을 통하여 조절홀(212a)에 스크류 결합시키고, 이때 조절 볼트(500)의 머리부(520)는 관통홀(310a)의 주위에 걸치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스퀴지 바디(310)의 양단이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의 상단과 볼트 체결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스퀴지 바디(310)의 하단에는 플럭스 저장부(100)의 바닥 면(110)과 일정 유격을 이루는 제 1스퀴지(311)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지 고정체(210,220)는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스퀴지 고정체(210)와 제 2스퀴지 고정체(22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스퀴지 고정체(210)는 제 1스퀴지 바디(310)와 결합되고, 상기 제 2스퀴지 고정체(220)는 제 2스퀴지 바디(32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스퀴지 고정체(220) 및 제 2스퀴지 바디(320)는 상기 제 1스퀴지 고정체(210) 및 제 1스퀴지 바디(310)와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 2스퀴지 고정체(220)는 제 2베이스(221)와, 제 2고정 부재(222)와, 조절홀(222a)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2스퀴지 바디(320)는 제 2스퀴지(321)를 갖는다. 그리고, 제 2엑츄에이터(420)는 신축 가능한 축(421)을 갖는다.
특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제 1스퀴지 바디(310)의 제 1스퀴지(311)와 이와 마주 보는 제 2스퀴지 바디(320)의 제 2스퀴지(321)는 서로 하방을 따라 벌어지는 경사면(S)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2스퀴지 고정체(210,220)는 이동 유닛(600)과 연결된다. 상기 이동 유닛(600)은 상기 제 1,2스퀴지 고정체(210,220)를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유닛(600)은 상기 제 1,2스퀴지 고정체(210,220)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유닛(6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플럭스 저장부(100)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일정 길이의 볼 스크류(610)와, 제어부(7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볼 스크류(610)를 회전시키는 모터(6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2플럭스 고정체(210,220)는 상기 볼 스크류(610)와 스크류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620)에 의하여 회전되는 볼 스크류(6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1,2플럭스 고정체(210,220)의 이동 방향(제 1구동 방향 또는 제 2구동 방향)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동 유닛(600)과 상기 한 쌍의 제 1,2엑츄에이터(410,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동 유닛(600)을 왕복 이동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왕복 이동 동작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 1,2엑츄에이터(410,420)의 축(411,421)을 교차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의 일측에는 외부에 저장되는 플럭스를 상기 플럭스 저장부(100)에 공급할 수 있는 플럭스 공급 노즐(1000)이 배치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먼저, 플럭스 저장부(100)의 바닥면(110)과 스퀴지 간의 클리어런스를 일정 간격으로 설정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이 클리어런스는 한 쌍의 제 1,2고정 부재(212,222)에 이미 설정되는 제 1,2스퀴지(311,321)를 갖는 제 1,2스퀴지 바디(310,32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선택되는 스퀴지 바디 여기서, 제 1,2스퀴지 바디(310,320)는 미리 설정되는 클리어런스를 갖는 제 1,2스퀴지(311,312)를 갖는다. 따라서, 제 1스퀴지 바디(310)는 제 1스퀴지 고정체(210)에 설치하고, 제 2스퀴지 바디(320)는 제 2스퀴지 고정체(220)에 설치한다.
상기 제 1스퀴지 바디(310)는 한 쌍의 제 1고정 부재(212)의 상단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2스퀴지 바디(320)는 한 쌍의 제 2고정 부재(222)의 상단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스퀴지(311,321)는 플럭스 저장부(100)의 바닥면(110)과 일정 유격의 클리어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플럭스 저장부(100)에는 일측에 배치되는 플럭스 공급 노즐(1000)에 의하여 일정량의 플럭스가 공급되어 저장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700)는 이동 유닛(600)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이동 유닛(600)은 상기 제 1,2스퀴지 고정체(210,220)를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동 유닛(600)은 리니어 모터일 수도 있고, 볼 스크류(610)와 이 볼 스크류(610)를 회전시키는 모터(6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아울러, 제어부(700)는 제 1,2엑츄에이터(410,420)를 교차적으로 작동시키어 제 1,2고정부재(212,222)를 교차 승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 유닛(600)에 의하여 제 1,2스퀴지 고정체(210,220)가 제 1구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는 제 2엑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제 2고정 부재(222)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제 2고정 부재(222)의 상단에 고정된 제 2스퀴지 바디(320)는 일정 높이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스퀴지 바디(3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2스퀴지(321)는 플럭스 저장부(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제 1스퀴지(311)는 플럭스 저장부(100)의 바닥면과 미리 설정된 클리어런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 1구동 방향을 따라 플럭스 저장부(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플럭스 막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700)는 이동 유닛(600)을 사용하여 제 1,2스퀴지 고정체(210,220)를 제 2구동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이동 유닛(600)에 의하여 제 1,2스퀴지 고정체(210,220)가 제 2구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는 제 1엑츄에이터(410)를 사용하여 제 1고정 부재(212)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제 1고정 부재(212)의 상단에 고정된 제 1스퀴지 바디(310)는 일정 높이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스퀴지 바디(3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1스퀴지(311)는 플럭스 저장부(100)의 바닥면(110)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승되어 있던, 제 2스퀴지 고정체(320)는 원위치로 하강되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스퀴지(321)는 플럭스 저장부(100)의 바닥면(110)과 미리 설정된 클리어런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 2구동 방향을 따라 플럭스 저장부(100)의 바닥면(110)에 플럭스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 1,2스퀴지 고정체(210,22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 부품을 그립함과 아울러 플럭스 저장부(100)의 내측으로 승 강될 수 있는 그립퍼 또는 헤드에 의하여 전자 부품의 일면은 플럭스에 일부 디핑되고 상기 전자 부품의 일면에는 플러스 막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A'는 헤드의 디핑 영역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 신안 등록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 신안 등록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럭스 디핑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부재와 스퀴지 바디와의 탈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고정 부재의 교차 승강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럭스 저장부 상에 위치되는 스퀴지 바디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스퀴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한 쌍의 스퀴지의 제 1구동 방향으로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한 쌍의 스퀴지의 제 2구동 방향으로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0 : 플럭스 저장부
210 : 제 1스퀴지 고정체
220 : 제 2스퀴지 고정체
500 : 조절 볼트
600 : 이동 유닛
700 : 제어부
800 : 플럭스 공급 노즐
900 : 탄성 부재

Claims (10)

  1. 상방이 개구되며, 일정 길이를 갖고, 내부에 플럭스가 저장되는 플럭스 저장부;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하단에 위치되는 스퀴지 고정체; 및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퀴지 고정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바닥면과 일정 유격을 이루는 스퀴지를 갖는 스퀴지 바디를 포함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 고정체는,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저부에 위치되며 그 양단이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양측부로 돌출되는 베이스와,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양측부에서 세워져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양측부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퀴지 바디의 양단과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 바디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 상단부는 서로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신축되는 축을 갖는 한 쌍의 엑츄에이터가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엑츄에이터 각각의 축은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의 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 고정체는 이동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스퀴지 고정체를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 고정체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퀴지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스퀴지 고정체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퀴지 바디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퀴지는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하방을 따라 서로 벌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과 상기 한 쌍의 엑츄에이터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유닛을 왕복 이동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왕복 이동 동작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엑츄에이터의 축을 교차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 저장부의 일측에는 외부에 저장되는 플럭스를 상기 플럭스 저장부에 공급할 수 있는 플럭스 공급 노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 고정체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 장치.
KR1020090061230A 2009-07-06 2009-07-06 플럭스 디핑 장치 KR101594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230A KR101594081B1 (ko) 2009-07-06 2009-07-06 플럭스 디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230A KR101594081B1 (ko) 2009-07-06 2009-07-06 플럭스 디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85A true KR20110003785A (ko) 2011-01-13
KR101594081B1 KR101594081B1 (ko) 2016-02-16

Family

ID=4361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230A KR101594081B1 (ko) 2009-07-06 2009-07-06 플럭스 디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0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44B1 (ko) * 2013-07-19 2015-01-28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플럭스 디핑장치
KR200477522Y1 (ko) * 2015-02-06 2015-06-17 박영섭 납잔여물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핑기
CN115351381A (zh) * 2022-09-01 2022-11-18 协讯电子(吉安)有限公司 一种自动蘸刷助焊剂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210A (ja) * 1996-08-30 1998-03-24 Shibuya Kogyo Co Ltd フラックス供給装置
JPH1092866A (ja) * 1996-09-10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
JP2000228575A (ja) * 1999-02-05 2000-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ラックスの転写装置および転写方法
JP2005153444A (ja) * 2003-11-28 2005-06-16 Newlong Seimitsu Kogyo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スキージ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210A (ja) * 1996-08-30 1998-03-24 Shibuya Kogyo Co Ltd フラックス供給装置
JPH1092866A (ja) * 1996-09-10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
JP2000228575A (ja) * 1999-02-05 2000-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ラックスの転写装置および転写方法
JP2005153444A (ja) * 2003-11-28 2005-06-16 Newlong Seimitsu Kogyo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スキージホルダ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44B1 (ko) * 2013-07-19 2015-01-28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플럭스 디핑장치
KR200477522Y1 (ko) * 2015-02-06 2015-06-17 박영섭 납잔여물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핑기
CN115351381A (zh) * 2022-09-01 2022-11-18 协讯电子(吉安)有限公司 一种自动蘸刷助焊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081B1 (ko)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77081A (ko) 다이-본딩 장치
KR101759465B1 (ko) 보이드 방지형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장치
KR20110003785A (ko) 플럭스 디핑 장치
KR101251559B1 (ko)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KR200463702Y1 (ko) 스크린 프린터의 스퀴지장치
KR100404248B1 (ko) 반도체칩용 언더필 장치
KR101407983B1 (ko) 솔더볼 어태치용 플럭스 공급툴
KR20080073666A (ko) 전기 부품의 접속 장치
JP3125578B2 (ja) 半田ボールの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ボンディング方法
JP4233190B2 (ja) はんだボールの搭載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682031B2 (ja) 半田付装置
JPH1187419A (ja) 導電性ボールの移載装置および移載方法
KR20190012420A (ko) 자동납땜장치
KR100399894B1 (ko) 플럭스 돗팅장치
KR20070097744A (ko) 전자 부품용 플럭스 딥핑 장치
JP3341632B2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
KR20040082528A (ko) 반도체 칩 패키지 이송용 픽커
JPH09270442A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および搭載方法
CN220290779U (zh) 一种中转台、校准装置及固晶机
KR200168360Y1 (ko) 인쇄회로기판의 지지장치
CN214351985U (zh) 一种to芯片对中夹具
CN220759818U (zh) 一种双工位视觉点胶固化一体设备
KR101486744B1 (ko) 플럭스 디핑장치
JP2010287702A (ja) 電子部品実装機およびその融剤転写装置
KR101137739B1 (ko) 솔더 범프 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