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636A - 부재 조립체 - Google Patents

부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636A
KR20110002636A KR1020090060205A KR20090060205A KR20110002636A KR 20110002636 A KR20110002636 A KR 20110002636A KR 1020090060205 A KR1020090060205 A KR 1020090060205A KR 20090060205 A KR20090060205 A KR 20090060205A KR 20110002636 A KR20110002636 A KR 20110002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ocket
module
locking lever
cuto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047B1 (ko
Inventor
정연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0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66Comprising two pivoting levers
    • H01R13/62972Wherein the pivoting levers are two lever plat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조립체는 공간이 형성된 제 1 부재 및 제 1 부재의 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부재와 기계적으로 체결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부재의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측벽의 내면에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제 1 부재의 제 1 및 제 2 측벽에 인접한 양 측벽의 양 종단에는 제 1 및 제 2 록킹 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제 2 부재의 2개의 모서리부에는 제 1 부재의 절개부와 각각 대응하는 록킹 그루브가 각각 형성되어, 각 록킹 레버의 회전시 록킹 레버의 선단부가 제 1 부재의 절개부 및 제 2 부재의 록킹 그루브 내에 수용되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부재의 제 1 및 제 2 측벽에 각각 설치된 회전축은 제 1 부재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각 록킹 레버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연장부 및 연장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각 록킹 부재에 대응하는 2개의 절개부는 록킹 레버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 1 절개부와 록킹 레버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제 2 절개부로 이루어진다.
모듈, 소켓, 조립체

Description

부재 조립체 {Member assembly}
본 발명은 부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 부재의 견고한 결합 및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고 외부에서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부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 1 부재 및 제 1 부재의 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는 제 2 부재에는 체결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구성 부재인 모듈은 소켓 내에 장착되며, 이 모듈과 소켓에는 체결 수단(록킹 수단)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카메라의 구성 부재인 모듈 및 모듈이 장착, 결합되는 소켓의 분리 사시도로서, 소켓(10)에는 상단이 개방된 소정 체적의 공간(S)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부 측벽,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11, 12)에는 2개의 록킹 핀(13)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각 록킹 핀(13)은 상단이 소켓(10)의 측벽(11, 12)에 고정되며, 그 하부는 공간(S)의 내측 및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한편, 록킹 핀(13)이 장착된 측벽(11, 12)의 상부에는 하향 연장된 안내 홈(14 및 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에 전자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모듈(20)은 소켓(10)의 공간(S)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켓(10)과 기구적으로 체결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듈(20)의 외벽 일부, 예를 들어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외벽면(21, 22) 양단에는 하향 연장된 2개의 록킹 그루브(2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는 외벽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안내 돌기(24, 2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모듈(20)을 소켓(10)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듈(20)과 소켓(10)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모듈(20)과 소켓(10)이 체결(조립)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모듈(20)을 소켓(1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모듈(20)을 소켓(10)의 공간(S)으로 삽입시킨다. 모듈(20)의 삽입 과정에서, 모듈(20)의 하단 에지가 이 소켓(10)의 각 록킹 핀(13)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모듈(20)이 소켓(10)의 공간(S) 내에 완전히 수용되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각 록킹 핀(13)은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모듈(20)의 외벽면(21, 22)에 형성된 대응 록킹 그루브(23) 내에 수용된다 (도 2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소켓(10)의 각 록킹 핀(13)의 탄성력이 모듈(20)의 록킹 그루브(23)를 구성하는 측벽면에 작용하게 되어 모듈(20)이 소켓(10)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모듈(20)과 소켓(10)이 기계적으로 결합되면, 모듈(20)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의 패드(도시되지 않음)와 소켓(10)에 형성된 콘택트 핀(19)이 접촉하여 양 부재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위와 같은 결합 과정에서 모듈(20)에 형성된 안내 돌기(24 및 25)는 소켓(10)에 형성된 안내 홈(14, 15)에 수용되어 양 부재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모듈(20)과 소켓(10)의 결합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1) 소켓(10)과 모듈(20)의 정확한 체결을 위해서는 소켓(10)의 측벽(11 및 12)에 장착된 4개의 록킹 핀(13)과 모듈(20)의 외벽면(21 및 22)에 형성된 4개의 록킹 그루브(23)는 각각 정확하게 대응되어야 한다. 만일, 모듈(20)이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날 경우, 소켓(10)의 록킹 핀(13)이 모듈(20)의 대응 록킹 그루브(23) 내에 완전하게 수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소켓(10)과 모듈(20)은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소켓(10)의 콘택트 핀(19)과 모듈(20)의 인쇄회로기판 패드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모듈(20)이 소켓(10)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2)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과 모듈(20)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소켓(10)의 록킹 핀(23)은 소켓(10)의 측벽(11 및 12) 내면과 모듈(20)의 외벽(21 및 2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모듈(20)을 소켓(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지그(jig)를 이용하여 모든 록킹 핀(23)을 가압한 상태에서 모 듈(20)의 록킹 그루브(23)로부터 이탈시켜야만 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모듈(20)을 소켓(10)으로 분리할 수 있다.
3)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10)과 모듈(20)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소켓(10)의 록킹 핀(13)은 소켓(10)의 측벽(11 및 12) 내면과 모듈(20)의 외벽면(21, 2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록킹 핀(13)이 록킹 그루브(23) 내에 정확하게 수용되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소켓(10)과 모듈(20)이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록킹 핀이 장착된 제 1 부재와 록킹 그루브가 형성된 제 2 부재의 체결 과정 및 체결 후에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 부재를 정확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부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조립체는 공간이 형성된 제 1 부재 및 제 1 부재의 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부재와 기계적으로 체결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부재의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측벽의 내면에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 착되며, 제 1 부재의 제 1 및 제 2 측벽에 인접한 양 측벽의 양 종단에는 제 1 및 제 2 록킹 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제 2 부재의 2개의 모서리부에는 제 1 부재의 절개부와 각각 대응하는 록킹 그루브가 각각 형성되어, 각 록킹 레버의 회전시 록킹 레버의 선단부가 제 1 부재의 절개부 및 제 2 부재의 록킹 그루브 내에 수용되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결합된다.
한편, 제 1 부재는 제 3 및 제 4 측벽의 내면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포함하며, 제 2 부재는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의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 돌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결합시 안내 돌기가 대응하는 안내 홈에 수용됨으로서 양 부재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기로는 제 1 부재의 제 3 측벽에 형성된 안내 홈의 개수와 제 4 측벽에 형성된 안내홈의 개수는 서로 다르다.
또한, 제 1 부재의 제 1 및 제 2 측벽에 각각 설치된 회전축은 제 1 부재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함께 각 록킹 레버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연장부 및 연장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각 록킹 부재에 대응하는 2개의 절개부는 록킹 레버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 1 절개부와 록킹 레버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제 2 절개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록킹 레버의 헤드부의 선단에는 연장부를 향하여 절곡된 후크가 형성되며, 제 2 절개부의 하부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 각 록킹 레버의 헤드부가 제 2 절개부에 수용될 때 후크가 요부 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조립체는 제 1 부재에 장착된 록킹 레버를 단순히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체결(조립)된 상태에서 록킹 레버가 제 1 부재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단순히 록킹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양 부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소켓과 모듈의 체결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육안으로 록킹 레버의 위치 및 상태를 판단하여 양 부재의 정확한 체결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조립체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부재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 1 부재로서는 카메라 구성 부재인, 콘택트 핀이 형성된 소켓을, 제 2 부재로서는 소켓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이 장착된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조립체를 구성하는 카메라용 모듈 및 소켓의 분리 사시도이다.
카메라용 소켓(100)에는 상단이 개방된 소정 체적의 육면체 공간(100S)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부 벽면, 예를 들어 바닥면에는 다수의 콘택트 핀(P)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100)의 서로 마주보는 제 3 및 제 4 측벽(130 및 140)의 양 종단에는 소정 폭 및 깊이의 제 1 및 제 2 절개부(131-1, 131-2 및 141-1, 14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측벽(110 및 120)의 내면에는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180 및 19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록킹 레버(180 및 190)는 헤드부(181 및 191) 및 헤드부보다 작은 두께(폭)의 연장부(182 및 192)로 구분되며, 회전축(H)을 통하여 소켓(100)의 제 1 및 제 2 측벽(110 및 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제 1 록킹 레버(180)는 소켓(100)의 제 1 측벽(110)에 고정된 회전축(H)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기 전의 상태(도 3의 상태)에서는 제 1 록킹 레버(180)의 연장부(182)가 제 4 측벽의 종단부에 형성된 제 1 절개부(141-1) 내에 위치하며, 회전한 후에는 헤드부(181)가 제 3 측벽의 종단부에 형성된 제 2 절개부(131-2) 내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록킹 레버(190)는 소켓(100)의 제 2 측벽(120)에 고정된 회전축(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기 전의 상태(도 3의 상태)에서는 제 2 록킹 레버(190)의 연장부(192)가 제 3 측벽(130)의 종단부에 형성된 제 1 절개부(131-1) 내에 위치하며, 회전한 후에는 헤드부(192)가 제 4 측벽의 종단부에 형성된 제 2 절개부(141-2)에 형성된다.
여기서, 각 록킹 레버(180, 190)의 헤드부(181, 191)는 그 폭이 제 3 및 제 4 측벽(130 및 140)에 형성된 제 2 절개부(131-2 및 141-2)의 폭과 동일하다.
한편,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180, 190)는 초기 상태(즉, 소켓과 모듈의 결 합 전 상태) 및 최종 상태(즉, 소켓과 모듈의 결합 후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180, 190)의 회전축인 힌지 축을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180, 19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소켓(100)의 제 3 및 제 4 측벽(130 및 140)의 상부 내면에는 소정 폭 및 깊이의 안내 홈(132 및 1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3 및 제 4 측벽(130 및 140)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안내 홈(132 및 142)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나, 소켓(100)의 콘택트 핀(P)과 후술한 모듈(200)의 인쇄회로기판 패드의 정확한 접촉을 위하여 제 3 측벽(130)에 형성된 안내 홈(132)의 개수와 제 4 측벽(140)에 형성된 안내 홈(142)의 개수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에 전자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모듈(200)은 소켓(100)의 공간(100S)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켓(100)과 기구적으로 체결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듈(200)의 폭은 소켓(100)의 제 1 록킹 레버(180)의 내면과 제 2 록킹 레버(190)의 내면 간의 거리와 동일하다.
한편, 모듈(200)의 대각선 상의 제 1 및 제 3 코너부(즉, 소켓(100)의 제 2 절개부(131-2 및 141-2)와 대응하는 코너부)에는 소정 폭의 하향 연장된 2개의 록킹 그루브(281 및 29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록킹 그루브(281 및 291)에는 소켓(100)의 록킹 레버(180, 190)의 헤드부(181-1, 191-1)의 일부가 수용된다.
한편, 모듈(200)의 제 3 및 제 4 외면(230 및 240)의 상부에는 소정 폭 및 높이의 안내 돌기(232 및 242)가 외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및 제 4 외면(230 및 240)에 형성된 안내 돌기(232 및 242)의 개수는 소켓(100)의 제 3 및 제 4 측벽(130 및 140)의 상부 내면에 형성된 안내 홈(132 및 142)의 개수와 각각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모듈을 소켓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듈(200)과 소켓(100)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모듈(200)을 소켓(10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 (도 3의 상태)에서 모듈(200)을 소켓(100)의 공간(100S) 내로 위치시킨다 (도 4의 상태).
이때, 모듈(200)의 록킹 그루브(281 및 291)는 소켓(100)의 제 2 절개부(131-2, 141-2)에 각각 대응한다.
모듈(200)이 소켓(100)의 공간(100S) 내로 위치하는 과정에서, 모듈(200)의 제 3 및 제 4 외면(230 및 240)에 형성된 안내 돌기(232 및 242)는 소켓(100)의 제 3 및 제 4 측벽(130 및 140) 내면에 형성된 안내 홈(132 및 142)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모듈(200)의 록킹 그루브(281 및 282)와 소켓(100)의 제 2 절개부(131-2 및 141-2)가 각각 대응된 상태에서 모듈(200)은 소켓(100)의 공간(100S) 내로 안내되어 정확하게 위치한다.
한편, 도 4의 상태에서는, 모듈(200)의 제 1 및 제 2 외면(210 및 220)과 소켓(100)의 록킹 레버(190 및 180)의 표면은 서로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이후, 록킹 레버(190 및 180)를 도 4에 도시된 화상표 방향, 즉 각 록킹 레버(190 및 180)의 헤드부(181 및 191)를 회전축(H)을 중심으로 소켓(100)의 제 2 절개부(131-2 및 141-2)를 향하여 회전시키며, 최종적으로 각 록킹 레버(190 및 180)의 헤드부(181 및 191)를 소켓(100)의 제 2 절개부(131-2 및 141-2)에 삽입시킨다 (도 5의 상태).
도 5의 상태에서는, 록킹 레버(180 및 190)의 헤드부(181-1 및 191-1)는 소켓(100)의 제 2 절개부(131-2 및 141-2) 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그 일부가 모듈(200)의 록킹 그루브(281 및 291) 내에 각각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 레버(180 및 190)의 헤드부(181-1 및 191-1)의 폭이제 2 절개부(131-2 및 141-2)의 폭과 동일하기 때문에 록킹 레버(180 및 190)의 헤드부(181-1 및 191-1)는 소켓(100)의 제 2 절개부(131-2 및 141-2) 내에 억지끼워맞춤 형태로 삽입된다.
또한, 모듈(200)의 폭이 소켓(100)의 제 1 록킹 레버(180)의 내면과 제 2 록킹 레버(190)의 내면 간의 거리와 동일하고, 록킹 레버(180 및 190)의 헤드부(181-1 및 191-1)의 일부가 모듈(200)의 록킹 그루브(281 및 291) 내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조건에 의하여 모듈(200)과 소켓(100)은 견고하게 체결(조립)될 수 있다.
한편, 각 록킹 레버(180 및 190)의 헤드부(181 및 191)의 선단에는 연장부(182 및 192)를 향하여 절곡된 후크(181-1 및 191-1)가 형성되며, 제 2 절개부(131-2 및 141-2)의 하부에는 소정 깊이의 요부(141-3; 제 2 절개부(131-2)에 형 성된 요부는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각 록킹 레버(180 및 190)이 회전하여 헤드부(181 및 191)가 제 2 절개부(131-2 및 141-2) 내에 삽입될 때, 후크(181-1 및 191-1)는 이 요부(141-3) 내에 각각 수용되며, 따라서 의도되지 않은 외력이 록킹 레버(180 및 190)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록킹 레버(180 및 190)는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소켓(100)에 장착된 모듈(200)을 제거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서 소켓(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록킹 레버(180 및 190)의 헤드부(181 및 191)를 잡고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록킹 레버(180 및 190)의 헤드부(181 및 191)는 소켓(100)의 제 2 절개부(131-2 및 141-2) 그리고 모듈(200)의 록킹 그루브(281 및 292)로부터 이탈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모듈(200)을 소켓(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용 모듈 및 소켓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듈과 소켓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모듈 및 소켓의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듈과 소켓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7)

  1. 공간이 형성된 제 1 부재 및 제 1 부재의 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부재와 기계적으로 체결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부재 조립체에 있어서,
    제 1 부재의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측벽의 내면에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제 1 부재의 제 1 및 제 2 측벽에 인접한 양 측벽의 양 종단에는 제 1 및 제 2 록킹 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제 2 부재의 2개의 모서리부에는 제 1 부재의 절개부와 각각 대응하는 록킹 그루브가 각각 형성되어,
    각 록킹 레버의 회전시 록킹 레버의 선단부가 제 1 부재의 절개부 및 제 2 부재의 록킹 그루브 내에 수용되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결합되는 부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는 제 3 및 제 4 측벽의 내면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포함하며, 제 2 부재는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의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 돌기를 포함하여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결합시 안내 돌기가 대응하는 안내 홈에 수용되는 부재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의 제 3 측벽에 형성된 안내 홈의 개수는 제 4 측벽에 형성된 안내홈의 개수와 다른 부재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의 제 1 및 제 2 측벽에 각각 설치된 회전축은 제 1 부재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록킹 레버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부재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록킹 레버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연장부 및 연장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각 록킹 부재에 대응하는 2개의 절개부는 록킹 레버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 1 절개부와 록킹 레버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제 2 절개부인 부재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록킹 레버의 헤드부의 선단에는 연장부를 향하여 절곡된 후크가 형성되며, 제 2 절개부의 하부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 각 록킹 레버의 헤드부가 제 2 절개부에 수용될 때 후크가 요부 내에 위치하는 부재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는 카메라의 구성 부재인 소켓이며, 제 2 부재는 소켓에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인 부재 조립체.
KR1020090060205A 2009-07-02 2009-07-02 부재 조립체 KR10159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205A KR101591047B1 (ko) 2009-07-02 2009-07-02 부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205A KR101591047B1 (ko) 2009-07-02 2009-07-02 부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36A true KR20110002636A (ko) 2011-01-10
KR101591047B1 KR101591047B1 (ko) 2016-02-02

Family

ID=4361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205A KR101591047B1 (ko) 2009-07-02 2009-07-02 부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0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047B1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250B2 (en) Connector guide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51534B1 (ko) 소켓과 헤더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록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JP4752705B2 (ja) コネクタ
CN101331654B (zh) 板安装连接器
EP3076503A1 (en) Clip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EP2665131B1 (en) Attachment structure of an electronic device
JP5874513B2 (ja) 基板の固定構造
KR101213371B1 (ko) 커넥터
JP6689063B2 (ja) コネクタ
JP2009163908A (ja) コネクタ
US9444166B2 (en) Connector for flat cable
JP5482499B2 (ja) コネクタ
US20100248502A1 (en) Board connecting connector
JP4173155B2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ー
JP472330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7200624A (ja) コネクタ
JP2008251311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6190582A (ja)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を方形に半田実装する方法
KR20110002636A (ko) 부재 조립체
JP4887778B2 (ja) コネクタの挿抜機構
JP2009266667A (ja) コネクタ
JP2008058743A5 (ko)
JP4063265B2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装置
JP4885181B2 (ja) 電気接続部材
KR20130105069A (ko) 인쇄회로기판 조립 구조가 형성된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