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936A - 충전식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충전식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936A
KR20110000936A KR1020090058279A KR20090058279A KR20110000936A KR 20110000936 A KR20110000936 A KR 20110000936A KR 1020090058279 A KR1020090058279 A KR 1020090058279A KR 20090058279 A KR20090058279 A KR 20090058279A KR 20110000936 A KR20110000936 A KR 20110000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blower
inlet
main bod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1150B1 (ko
Inventor
김현성
김지현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김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김현성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1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창틀과 문틈에 싸여 흡입되지 않는 먼지를 비산시켜 흡입시키기 용이한 상태로 만드는 진공청소기와 진공청소기의 충전지를 충전시키고 야간에는 실내를 밝힐 수 있는 실내등이 구비된 충전기로 구성된 충전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구의 저면에 흡입구 방향으로 먼지를 비산시키는 블로워, 블로워가 개방될 때 본체에 구비된 배출구를 폐쇄하는 차폐판 및 차폐판이 배출구를 폐쇄시킬 때 블로워를 개폐시키는 덮개를 개방시키는 링크가 포함된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가 놓이는 안치대 및 안치대의 전면에 구비되는 실내등으로 구성된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고, 가구의 틈새와 같은 곳에 쌓인 작은 먼지를 비산시킴과 동시에 흡입시킴으로 인해 먼지가 구석에 쌓이지 않게 함으로 먼지로 인한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내를 더욱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공청소기, 충전지, 블로워, 배출구, 차폐판, 덮개, 토출구, 안치대, 실내등

Description

충전식 진공청소기{RECHARGEABLE TYPE VACUUM-CLEANER}
본원 발명은 전선이 없는 충전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과 문틈에 싸여 흡입되지 않는 먼지를 비산시켜 흡입시키기 용이한 상태로 만드는 진공청소기와 진공청소기를 보관하는 한편, 진공청소기의 충전지를 충전시키고 야간에는 실내를 밝힐 수 있는 실내등이 구비된 충전기로 구성된 충전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모터로 흡입팬을 가동시켜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수집하는 것으로서, 모터를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을 전선으로 공급받는 방식과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충전지를 내장시켜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외부로부터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의 진공청소기는 모터의 출력이 높은 것을 사용하여 흡입력이 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용전원을 사용함으로 장시간의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충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전지의 용량에 따라 모터의 출력이 제한된다는 문제와 장시간의 청소작업에 사용하기에는 충전지의 용량의 한계로 인해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전선을 통해 상용전원에 연결되는 진공청소기의 경우에는 전선의 길이에 따라 청소할 수 있는 범위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으나, 충전지를 사용한 진공청소기는 충전지에서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청소구역의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 가정에서는 전선으로 상용전원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의 진공청소기와 충전지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청소하는 구역 및 청소 범위에 따라 두 방식의 진공청소기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특히, 충전지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의 경우에는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게 제작된다. 이는 대용량의 먼지나 쓰레기를 청소할 때에는 흡입력이 강한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전지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는 적은 양의 먼지나 쓰레기 등을 청소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충전지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는 책상과 같은 곳의 위에 설치해 놓고 공부방의 작은 먼지 등을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공부를 하는 도중 지우개와 같은 것을 자주 사용하게 되면 적은 양의 지우개 이물질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진공청소기가 작으면 신속하게 청소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책상에는 진공청소기 이외에도 스탠드와 같은 물건들이 많아 장소가 협소한 문제가 있으며, 공부하는 도중에 지우개를 사용하여 발생된 먼지와 이물질이 책상이나 가구의 사이나 기타의 틈새로 유입되는 경우 이러한 작은 먼지나 이물질은 작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만은 제거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평소에는 청소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물질에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책상의 주변이 오염되면 책상에 앉아 공부를 하는 사람의 건강에도 이롭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대청소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역시, 무거운 가구를 들어내면서 청소를 진행해야하므로 자주 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먼지로 인해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면서도 책상과 가구 및 문틈과 같은 곳의 먼지를 방치하는 것이 현실이었다.
또한, 진공청소기의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기 역시 상기 충전기를 충전시키는 것 이외에는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공간을 차지하는 물건에 지나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정에서 발생되는 먼지가 가구의 틈새에 삽입되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틈새에 쌓인 먼지를 비산시켜 청소할 수 있는 충전식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의 배기 되는 공기를 사용해 먼지를 비산시키는 것과 동시에 흡입구를 통해 비산된 먼지를 흡입시킴으로 비산되는 먼지가 다른 곳으로 옮겨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진공청소기의 충전지를 충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충전기에 실내등을 구비시킴으로 인해 책상과 같은 좁은 장소에서 별도의 스탠드 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안출된 본원 발명에 따른 충전식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수집함,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기체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및 상기 진공청소기의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로 구성된 충전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저면에 흡입구 방향으로 먼지를 비산시키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가 개방될 때 상기 본체에 구비된 배출구를 폐쇄하는 차폐판 및 상기 차폐판이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킬 때 상기 블로워를 개폐시키는 덮개를 개방시키는 링크가 포함된 진공청소기 및 상기 진공청소기가 놓이는 안치대 및 상기 안치대의 전면에 구비되는 실내등으로 구성된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블로워는 상기 흡입구의 배면에 토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의 저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경사는 20 내지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폐판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본체의 측면에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덮개는 블로워의 유입구 측면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며, 상기 차폐판과 덮개는 서로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유입구가 폐쇄되고 상기 배출구가 폐쇄될 때에는 상기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기는 전면에 실내등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충전식 진공청소기는 가구의 틈새와 같은 곳에 쌓인 작은 먼지를 비산시킴과 동시에 흡입시킴으로 인해 먼지가 구석에 쌓이지 않게 함으로 먼지로 인한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내를 더욱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산되는 먼지를 바로 흡입하여 제거하므로 인해 먼지가 다른 곳으로 옮겨져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의 충전지를 충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충전기에 실내등을 구비시킴으로 인해 책상과 같은 좁은 장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식 진공청소기의 진공청소기와 충전기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진공청소기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공청소기의 배출구, 차폐판 및 블 로워를 상세히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블로워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와 충전기의 연결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진공청소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진공청소기(10)는 진공청소기(10)와 상기 진공청소기(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20)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청소기(10)를 자세히 살펴보면, 진공청소기(10)는 외부를 구성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는 흡입구(110),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수집함(12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110)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팬(130)과 상기 흡입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140),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먼지 및 이물질과 함께 흡입된 기체를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50), 상기 모터(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160) 및 상기 흡입구(11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켜 틈새의 먼지를 비산시키는 블로워(2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진공청소기(10)의 외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사출성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에는 손잡이(190)와 작동스위치(미 도시됨)가 구비된다. 이러한 본체(100)의 전면 외부에는 먼지나 이물질 등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1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 등이 보관되는 수집함(12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집함(120)의 배면에는 상기 흡입구(110)로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팬(130)과 상기 흡입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140)가 구비된다.
또한, 수집함(12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팬(130)과 연통 되는 곳에 필터(121)가 구비되어 수집함(120) 내부의 먼지가 흡입팬(13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청소기(10)는 모터(140)를 통해 흡입팬(130)의 작동으로 발생된 흡입력이 흡입구(110)에 작용하여 흡입구(110)에 인접한 곳의 외기를 빨아들임과 동시에 이물질과 먼지 등을 흡입하게 되고, 상기 이물질과 먼지 등은 본체(100) 내부의 수집함(120)에 쌓이게 되며, 수집함(120)에 유입된 공기는 필터(121)를 통해 먼지 등이 제거되어 정화된 뒤 모터(140)와 흡입팬(130)이 구비된 관로(180)로 유입되고,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된 배출구(15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에서 모터(140)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전력은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충전지(160)에서 공급되고, 충전지(160)는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충전기(2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본체(100)의 내부에는 본체(100) 전면에 구비된 흡입구(110)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블로워(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200)는 별도의 공기 공급부를 갖는 것이 아니라 본체(100)에 구비된 흡입팬(130)이 회전되면서 배출구(150)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바꾸어 이용하는 것으로서, 배출구(150)로 배출되어야 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00)와 상기 흡입구(110)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210) 및 상기 유입구(200)를 개폐시키는 덮개(230)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200)는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기 용이하게 배출구(150) 인근에 구비되며 개폐가능하게 덮개(230)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230)는 유입구(2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231)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유입구(200)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블로워(200)의 유입구(200)가 개방될 때에는 배출구(150)를 폐쇄시켜 배출구(1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모두 블로워(200)의 유입구(20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체(100)에는 배출구(150)를 폐쇄할 수 있는 차폐판(170)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배출구(150)와 차폐판(170)은 차폐판(170)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조금만 이동하여도 모두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배출구(150)는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일정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51)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폐판(170)은 상기 장공(151)을 폐쇄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공(151)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장공(151)이 이격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장공(15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격판(17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차폐판(170)은 상기 배출구(150)의 장공(151)이 형성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서, 배출구(150)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격판(171)이 장공(151)과 장공(15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배출구(150)가 폐쇄될 때에는 각각의 장 공(151)의 상부에 각각 대응되는 격판(171)이 놓이게 되어 배출구(150)가 폐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구(150)의 차폐판(170)과 블로워(200)의 덮개(230)는 서로 연동 되어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 번의 조작으로 배출구(150)를 폐쇄하면서 동시에 블로워(200)를 개방하는 것이 작업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판(170)과 덮개(230)의 사이는 링크(300)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300)는 상기 차폐판(170)과 덮개(230)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측 단부는 상기 차폐판(17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덮개(23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배출구(150)를 폐쇄시키기 위해 차폐판(170)을 이동시키면 상기 차폐판(170)의 이동에 따라 링크(300)도 이동하게 되고, 상기 링크(300)가 이동하면 링크(300)와 연결된 덮개(230)는 상기 차폐판(17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로워(200)의 유입구(200)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출구(150)가 폐쇄되고 블로워(200)의 유입구(200)가 개방되면 흡입팬(130)에 의해 관로(180)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150)로 배출되지 못하는 대신 블로워(200)의 유입구(200)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로워(200)의 유입구(200)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금 블로워(200)의 토출구(210)를 통해 본체(100)의 흡입구(110) 배면에서 흡입구(110) 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에서 토출구(210)는 흡입구(110)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흡입구(110)의 저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되, 경사각은 2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유 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토출구(21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비산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다른 곳으로 비산되지 않고 흡입구(110) 쪽으로 비산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블로워(200)가 작동되면 진공청소기(10)는 블로워(200)를 통해 틈새의 먼지를 비산시킴과 동시에 비산된 먼지를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할 수 있음으로 종래 청소하기 곤란했던 곳의 먼지 및 이물질 등도 모두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산된 먼지를 신속하게 흡입구(110)로 흡입시킴으로 비산된 먼지가 다른 곳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청소기(10)를 다시금 평소와 같이 블로워(200)를 폐쇄하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배출구(150)의 장공(151)을 덮고 있는 격판(171)이 장공(151)과 장공(151)의 사이에 놓이도록 차폐판(170)을 이동시키면 차폐판(170)과 링크(300)로 결합되어 있던 블로워(200)의 덮개(230)가 다시금 블로워(200)의 유입공으로 회동되면서 유입공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입공이 차단된 블로워(200)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블로워(200)가 작동되지 않는 진공청소기(10)는 유입공을 통해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흡입하고 유입된 공기는 다시금 배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바닥과 같이 개방된 곳을 청소할 때에는 먼지나 이물질이 비산되지 않은 상태로 머물게 하여 신속하게 청소를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청소기(10)는 별도로 구비된 충전기(20)에 의해 충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기(20)는 진공청소기(10)가 놓이는 안치대(400)와 상기 안치대(4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실내등(500)으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안치대(4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충전지(160)에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변환된 뒤 충전지(160)에 공급되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지(160)에 공급되는 전력은 안치대(400)에 구비된 출력단자(410)에 의해 공급된다. 상기에서 출력단자(410)는 상기 진공청소기(10)에 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진공청소기(10)에는 상기 출력단자(410)와 접하는 입력단자(161)가 상기 안치대(400)의 출력단자(410)와 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10)를 상기 안치대(400)에 올려놓는 것만으로 진공청소기(10)의 충전지(160)는 충전되게 된다.
상기 실내등(500)은 상기 안치대(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야간에 실내를 밝히는 간접조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원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식 진공청소기의 진공청소기와 충전기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진공청소기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공청소기의 배출구, 차폐판 및 블로워를 상세히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블로워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와 충전기의 연결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공청소기 20: 충전기
100: 본체 110: 흡입구
120: 수집함 121: 필터
130: 흡입팬 140: 모터
150: 배출구 151: 장공
160: 충전지 161: 입력단자
170: 차폐판 171: 격판
180: 관로 200: 블로워
210: 토출구 220: 유입구
230: 덮개 231: 회전축
300: 링크 400: 안치대
410: 출력단자 500: 실내등

Claims (5)

  1.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수집함,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및 상기 진공청소기의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로 구성된 충전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저면에 흡입구 방향으로 먼지를 비산시키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가 개방될 때 상기 본체에 구비된 배출구를 폐쇄하는 차폐판 및 상기 차폐판이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킬 때 상기 블로워를 개폐시키는 덮개를 개방시키는 링크가 포함된 진공청소기; 및
    상기 진공청소기가 놓이는 안치대 및 상기 안치대의 전면에 구비되는 실내등으로 구성된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블로워는 상기 흡입구의 배면에 토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의 저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진공청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경사는 20도 내지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진공청소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본체의 측면에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덮개는 블로워의 유입구 측면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며, 상기 차폐판과 덮개는 서로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유입구가 폐쇄되고 상기 배출구가 폐쇄될 때에는 상기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연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진공청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전면에 실내등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진공청소기.
KR1020090058279A 2009-06-29 2009-06-29 충전식 진공청소기 KR101021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79A KR101021150B1 (ko) 2009-06-29 2009-06-29 충전식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79A KR101021150B1 (ko) 2009-06-29 2009-06-29 충전식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36A true KR20110000936A (ko) 2011-01-06
KR101021150B1 KR101021150B1 (ko) 2011-03-14

Family

ID=4360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279A KR101021150B1 (ko) 2009-06-29 2009-06-29 충전식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648B1 (ko) * 2012-12-27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1350806B2 (en) 2020-01-03 2022-06-07 Techtronic Cordless Gp Handheld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64B2 (ja) * 1986-01-24 1995-03-08 日立工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443414B1 (ko) 2002-04-23 2004-08-11 장성완 안전등을 구비한 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648B1 (ko) * 2012-12-27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1350806B2 (en) 2020-01-03 2022-06-07 Techtronic Cordless Gp Handheld vacuum cleaner
US11672389B2 (en) 2020-01-03 2023-06-1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Handhel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150B1 (ko) 201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800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CN111432704B (zh) 机器人清洁器
US7412748B2 (en) Robot cleaning system
US8732901B2 (en) Robot cleaner
US20090056060A1 (en) Stick type vacuum cleaner
GB2441300B (en) A collecting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AU2014351014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and docking assembly for connecting to a central vacuum system
JP2007097810A (ja)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EP2529653A3 (en) Hand-held vacuum cleaner
TW202139907A (zh) 停靠站及包含該停靠站的除塵系統
KR101021150B1 (ko) 충전식 진공청소기
CN101242770A (zh) 真空清洁器的过滤器安装结构
JP4163554B2 (ja) 電気掃除機
CN214804491U (zh) 清洁基站、清洁机器人以及清洁系统
CN108185909A (zh) 一种地面清洁器
JP2001137056A (ja) 集塵装置つき家具
CN101653344B (zh) 自动打开底盖的集尘桶
DK2921094T3 (en) Mobile vacuum cleaner
KR20200072335A (ko) Usb 충전식 진공청소기
CN203074566U (zh) 空气清净机单元
JP6850409B2 (ja) 空気清浄機
CN111317397A (zh) 手持式吸尘设备及尘筒组件
JP2000333886A (ja) 電気塵取り機
JP2016109317A (ja) 空気清浄機
KR20120032496A (ko) 로봇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