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656A - 해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해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656A
KR20100138656A KR1020090057287A KR20090057287A KR20100138656A KR 20100138656 A KR20100138656 A KR 20100138656A KR 1020090057287 A KR1020090057287 A KR 1020090057287A KR 20090057287 A KR20090057287 A KR 20090057287A KR 20100138656 A KR20100138656 A KR 20100138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haitai
drying
dehumidifi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근희
Original Assignee
백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근희 filed Critical 백근희
Priority to KR102009005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8656A/ko
Publication of KR2010013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태를 건조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재사용하여 해태를 신속하게 건조함은 물론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김발장에 펼쳐진 해태를 건조하기 위한 해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김발장(16)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5)가 내부에 설치된 제1몸체부(10)와; 상기 제1몸체부(10)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송풍기(25)가 설치된 제2몸체부(20)와; 상기 제2몸체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부(10)에 제1순환관(35)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습장치(30)와; 상기 제습장치(3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송풍기(25)에 연결되는 제2순환관(40)과; 상기 제습장치(3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제2몸체부(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관(50)과; 상기 제2몸체부(2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기가 데워진 상태로 인입되게 하는 히터장치(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태, 건조장치, 제습장치, 폐열, 순환

Description

해태 건조장치{LAYER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태를 건조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재사용하여 해태를 신속하게 건조함은 물론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른 김은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엽체를 잘게 세절하여 물에 혼합하여 발장에 얇게 펼쳐 건조한 후 마른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생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장에 얇게 펼쳐진 해태를 건조시 사용되는 건조기를 보면, 일반적으로 히터장치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로 상기 해태를 건조시키고, 상기 해태를 건조한 후의 공기는 상기 건조기에 별도로 마련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조기로 투입되는 해태를 한번 건조시킬 경우 고온의 공기 생성을 위해 상기 히터장치를 가동하여야하고, 해태를 건조한 후 고온의 공기는 외부로 유출되고, 또 다시 상기 히터장치를 가동하여 상기 해태를 건조시키기 위한 고온의 공기를 생성해야 하는 반복적인 과정이 수행됨에 따라 히터장치의 가동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이 많아지고, 해태를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됨으로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태를 건조한 후 토출되는 공기를 재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물기가 있는 해태를 건조하므로 해태 건조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해태 건조시간을 더욱 단축시켜 더욱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해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김발장에 펼쳐진 해태를 건조하기 위한 해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김발장(16)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5)가 내부에 설치된 제1몸체부(10)와; 상기 제1몸체부(10)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송풍기(25)가 설치된 제2몸체부(20)와; 상기 제2몸체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부(10)에 제1순환관(35)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습장치(30)와; 상기 제습장치(3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송풍기(25)에 연결되는 제2순환관(40)과; 상기 제습장치(3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제2몸체부(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관(50)과; 상기 제2몸체부(2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기가 데워진 상태로 인입되게 하는 히터장치(60)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태를 건조한 후 토출되는 공기를 재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물기가 있는 해태를 건조함으로 해태 건조에 따른 에너지가 절감되고, 해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태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는 김발장에 펼쳐진 해태를 건조하기 위한 해태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1몸체부,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에 설치되는 제습장치, 제2순환관, 배출관, 히터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0)는 상기 김발장(16)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5)가 내부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몸체부(10)의 일측에서 상기 컨베이어(15)가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에서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처음 인입된 방향으로 되돌아 오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부(10)의 상측면에는 후술되는 제1순환관(35)의 일측이 연결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후술되는 송풍기(25), 히터장 치(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20)는 상기 제1몸체부(10)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송풍기(25)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몸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0)의 외측 벽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몸체부(2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송풍기(25)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습장치(30)는 상기 제2몸체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부(10)에 제1순환관(35)을 매개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데워진 공기가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에서 컨베이어에 의해 유동되는 해태를 건조시킨 후 상기 제1순환관(35)을 거쳐 상기 제습장치(30)로 유입되면, 공기에 혼합된 습기를 상기 제습장치(30)를 통해 제거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순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순환관(40)은 상기 제습장치(3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송풍기(25)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습장치(30)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상태의 공기가 상기 송풍기(25)로 유동되는 관로이다.
여기서, 상기 제2순환관(40)에는 상기 송풍기(25)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팬(4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습장치(30)에서 분류된 습기는 상기 배출관(50)을 통해 상기 제2몸체부(20)의 외측으로 보내진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50)은 상기 제습장치(3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 이 상기 제2몸체부(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관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장치(60)는 상기 제2몸체부(2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기가 데워진 상태로 인입되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습장치(30)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25)에 의해 상기 제2몸체부(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히터장치(60)를 거쳐 상기 제1몸체부(10)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습장치(30)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물기가 있는 해태를 건조하기에는 낮은 온도이므로 상기 히터장치(60)를 통해 공기가 상기 물기가 있는 해태를 건조하기 위한 적정한 온도로 데우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부(10)를 거친 공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상기 히터장치(60)에서 더욱 데워진 상태로 상기 제1몸체부(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몸체부(10)에 온도센서부(11)를 설치하여 상기 온도센서부(11)에서 상기 히터장치(60)를 거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7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히터장치(60)의 구동을 멈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컨베이어(15)를 통해 제1몸체부(10)로 이동되는 물기가 있는 해태는 히터장치(60)에서 데워진 상태로 상기 제1몸체부(10)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되고, 상기 해태를 건조시킨 후 습기를 포함한 공기는 상기 제1몸체부(10)의 상측으로 유동되어 제1순환관(35)을 통해 제2몸체부(20)에 설치된 제습장치(30)로 유입된다.
습기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제습장치(30)로 유입되어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제2몸체부(20)에 설치된 송풍기로 유동된다.
그런 후,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상기 히터장치(60)를 거쳐 상기 제1몸체부(10)로 재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몸체부(10)에 설치된 온도센서부(11)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온도센서부(11)의 신호를 상기 제1몸체부(10)의 외측에 설치된 제어부(70)에서 감지하여 상기 히터장치(60)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기가 있는 해태를 건조한 후 배출되는 폐열을 다시 재사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히터장치(60)를 작동하여 일정온도로 올리기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고, 히터장치(60)에 의해 공기의 가열시간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해태의 건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몸체부 11: 온도센서부
15: 컨베이어 16: 김발장
20: 제2몸체부 25: 송풍기
30: 제습장치 35: 제1순환관
40: 제2순환관 45: 팬
50: 배출관 60: 히터장치
70: 제어부

Claims (1)

  1. 김발장에 펼쳐진 해태를 건조하기 위한 해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김발장(16)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5)가 내부에 설치된 제1몸체부(10)와;
    상기 제1몸체부(10)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송풍기(25)가 설치된 제2몸체부(20)와;
    상기 제2몸체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부(10)에 제1순환관(35)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습장치(30)와;
    상기 제습장치(3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송풍기(25)에 연결되는 제2순환관(40)과;
    상기 제습장치(3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제2몸체부(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관(50)과;
    상기 제2몸체부(2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기가 데워진 상태로 인입되게 하는 히터장치(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장치.
KR1020090057287A 2009-06-25 2009-06-25 해태 건조장치 KR20100138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87A KR20100138656A (ko) 2009-06-25 2009-06-25 해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87A KR20100138656A (ko) 2009-06-25 2009-06-25 해태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56A true KR20100138656A (ko) 2010-12-31

Family

ID=4351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287A KR20100138656A (ko) 2009-06-25 2009-06-25 해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86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5929A (ja) * 2014-07-09 2016-02-01 株式会社イツワ工業 海苔製造機
CN116473252A (zh) * 2023-04-24 2023-07-25 连云港市质量技术综合检验检测中心 一种紫菜加工用的烘干机与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5929A (ja) * 2014-07-09 2016-02-01 株式会社イツワ工業 海苔製造機
CN116473252A (zh) * 2023-04-24 2023-07-25 连云港市质量技术综合检验检测中心 一种紫菜加工用的烘干机与方法
CN116473252B (zh) * 2023-04-24 2023-11-10 连云港市质量技术综合检验检测中心 一种紫菜加工用的烘干机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696B1 (ko) 열회수 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산업용 건조기 및 건조 방법
CN207197130U (zh) 一种节能电热鼓风干燥箱
CN105297372A (zh) 一种衣物烘干系统及烘干方法、洗衣干衣一体机、干衣机
KR20150145995A (ko) 에어 스피드 건조대
ATE516400T1 (de) Wäschetrocknung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JP2010227307A (ja) 浴室暖房乾燥機
CN105972968A (zh) 一种纺织布料烘干机
KR20100138656A (ko) 해태 건조장치
CN106017060A (zh) 一种余热再利用的智能化纺织烘干机
KR101150949B1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300364A (ja) 顕熱交換器付き熱風通気乾燥機の排熱回収利用装置および排熱回収利用方法
CN109205990A (zh) 一种蒸汽除湿污泥干化装置及其控制系统
KR101710101B1 (ko) 건조기시스템
PL2108730T3 (pl) Pralka/suszarka i odpowiedni cykl działania
JP2010259490A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KR20110031852A (ko) 에너지 절약형 저온건조 시스템
ATE492679T1 (de) Ablufttrockner mit wärmerückgewinnung und kondensatwanne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KR100964015B1 (ko) 김 건조장치
CN102227530A (zh) 衣物烘干机
CN204678861U (zh) 适用于小型粮食烘干机的单风机循环式余热回收装置
ATE549447T1 (de) Vorrichtung zum wäschetrocknen
KR200421815Y1 (ko) 농수산물 건조기의 폐열회수장치
KR20070018136A (ko) 고효율 연속 근적외선 건조기
KR100939806B1 (ko) 드럼식 건조기
CN104848677A (zh) 适用于小型粮食烘干机的单风机循环式余热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