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940A -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940A
KR20100137940A KR1020090056222A KR20090056222A KR20100137940A KR 20100137940 A KR20100137940 A KR 20100137940A KR 1020090056222 A KR1020090056222 A KR 1020090056222A KR 20090056222 A KR20090056222 A KR 20090056222A KR 20100137940 A KR20100137940 A KR 2010013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feed
fermentation
crude
kc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544B1 (ko
Inventor
양철주
배인휴
송경환
이상석
고석영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54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8Baker's yeast; Brewer's yeast
    • C12N1/185Saccharomyces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3Lactobacillus acidophi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 C12R2001/865Saccharomyces cerevisi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내 첨가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도록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녹차발효생균제 등의 첨가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친환경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녹차, 기초사료, 항생제, 발효, 미생물, 한우 송아지

Description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Feed Supplement and method for making Fermented Green Tea Probiotics}
본 발명은 가축의 기초사료에 첨가되는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에 있어 가축질병은 영양학적 소실은 물론 경영상의 많은 문제를 가져오는 것으로 치료 보다는 예방이 중요하다고 인식되어 왔다. 현재까지 항생제는 질병예방과 치료 및 성장촉진을 위해 가축의 사료첨가제로서 널리 이용되어져 왔으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항생물질로는 테트라사이클린계 (Tetracyline)와 페니실린계 (Penicillin) 등이 있다 (Boison 등, 1995). 그러나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과 축산물내에 항생물질의 잔류 등의 문제 때문에 가축의 질병치료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고 있다 (Witte, 2000). 또한 생산된 축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면서 소비자는 안전하고 기능성이 강조되는 안전한 축산물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천연자원으로부터 개발된 항생제 대체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이러한 천연자원의 우수한 기능은 가축의 질병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기능성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현재 우리나라 축산업 중 가장 대표적인 축종은 한우이며, 한우의 전사육기 간 중 송아지 (1일령~5개월령)기간에 급여되는 사료에만 항생제가 첨가되고 있다. 송아지 사육단계에서 항생제를 첨가하는 목적은 질병의 예방과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향후 친환경축산물 인증 및 무항생제 축산물의 생산에 있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최근에는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 기능성 천연물질과 미생물을 이용한 비항생제적 방법들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능성 천연물질을 예를 들면, 녹차 (Green tea), 인진쑥 (Artemisia), 오가피 (Acanthopanax), 마늘 (Garlic)과 감초 (Licorice) 등이 있다 (Yang 등, 2003; Kwon 등, 2005). 동물에 대한 천연물질의 급여 효과는 증체량 (홍 등, 2002)과 사료효율 (최 등, 1996; Gerbert 등, 1999)의 향상, 장내 환경의 개선 (Ushid 등, 2002), 혈청내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는 (최 등, 1996; 홍 등, 2002) 등의 급여효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사료 첨가제로서 미생물제제 (생균제)는 가축의 건강 유지와 생산성 향상 및 항생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첨가하게 된다. 미생물제제 (생균제)는 숙주의 장내 미생물 균총의 균형을 유지시켜 숙주 동물에게 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 사료 첨가제로서 유익한 미생물의 장내 우점을 유도하여 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Fuller, 1989). 미생물제제는 일반적으로 가축에게 급여 되는 생균, 사균, 발효부산물들을 포함하며, 가장 대표적인 것들로는 락토바실러스, 바실러스, 효모, 소화효소제 및 이들의 복합제제가 있다. Scheuermann (1993)은 장내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사료 내 영양소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면역 능력을 향상시켜 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Fuller, 1989). 일라이트 (Illite)는 대표적인 점토광물질로서 가축에 급여 미량 무기물을 비롯한 영양소의 이용률 개선, 장내 유해가스의 흡착 및 연변방지의 효과, 어린 송아지와 육성우의 증체와 사료효율 개선, 설사방지 효과, 육량과 육질 등 생산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Kang 등, 2002). 프로폴리스 (Propolis)는 꿀벌이 유해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목의 수액에 봉납이나 타액을 혼합하여 만든 점착성이 있는 수액상의 천연물질로 황갈색, 호지성 천연화합물이다 (Havsteen, 1983). 주성분은 polyphenol acid, phenolic aldehyde, ketone, 다량의 왁스수지, 발삼, 정유, 화분 등이 있으며, 그 외에 각 종 비타민 및 미네랄 등도 함유되어 있다. 또한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면역조절작용, 항궤양작용, 항고혈압작용, 항산화작용, 간장보호작용, 항암작용 면역력 활성화작용, 세포활성화작용 등이 있으며, 빈혈, 순환기계 질환, 알레르기성 염증, 관절염, 소화기계 염증, 비뇨기 및 생식기계 염증, 신경계 질환 등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Wanscher, 1976; Havsteen, 1983; Dobrowolski 등, 1991; Frenkel 등, 1993; Kujumgiev 등, 1999).
본 발명은 사료 내 첨가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도록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녹차발효생균제 등의 첨가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친환경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조단백질 또는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축의 기초사료에, 첨가되는 0.01~5중량%의 녹차발효생균제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녹차발효생균제는 녹차 10%, 탈지강 60% 및 소맥피 30%로 혼합하여 1차 유산균 발효를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11)),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4)) 균주 2종을 접종한 후, 40℃로 설정된 회전발효기에서 교반 3시간과 무교반 5시간을 반복하여 호기 및 혐기발효를 2일간 진행하여 1차 유산균발효 배양물을 제조한 후, 1차로 제조된 유산균발효 배양물에 2차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Bacillus subtilis (KCTC 3239)),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915)) 균주 2종을 접종시킨 후 2일간 건조과정을 거친 후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초사료로 각각 조단백질 14%, 조지방 2%, 조섬유 20% 및 조회분 12% 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초사료에 첨가되는 사료첨가제에 포함되는 녹 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으로, 녹차 10%, 탈지강 60% 및 소맥피 30%로 혼합하여 1차 유산균 발효를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11)),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4)) 균주 2종을 접종한 후, 40℃로 설정된 회전발효기에서 교반 3시간과 무교반 5시간을 반복하여 호기 및 혐기발효를 2일간 진행하여 1차 유산균발효 배양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그 후, 1차로 제조된 유산균발효 배양물에 2차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Bacillus subtilis (KCTC 3239)),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915)) 균주 2종을 접종시킨 후 2일간 건조과정을 거친 후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기초사료는 조단백질 또는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축의 기초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료 내 첨가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도록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녹차발효생균제 등의 첨가로 항생제를 대체할 수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명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I. 재료 및 방법
1. 공시동물 및 사양관리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이 약 23.3 kg인 한우송아지 총 60두를 공시하여 5개 처리구, 각 처리구별 12두로 임의로 배치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장소는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에 소재한 (주)죽암농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3월까지 5개월간 사양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분만 일정에 따라 각 개체별로 기록하고 시험수행은 포유기 (1~90일령)와 이유기 (91~150일령)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섭취토록 하였고 사양관리는 시험농장의 관행에 따라 관리하였다.
2. 시험설계
본 시험을 위한 시험설계는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어린 송아지용 사료를 기초사료로 하여 대조구, 기초사료에 항생제가 포함된 사료를 항생제구 (기초사료+항생제 네오마이신 110ppm), 기초사료에 프로폴리스 0.05%첨가 프로폴리스 첨가구, 기초사료에 녹차발효생균제 0.5%첨가 녹차발효생균제 첨가구 및 기초사료에 일라이트 2%첨가 일라이트 첨가구로 한 5개 처리구로 시험설계 하였다.
3. 시험사료 (기초사료)
본 시험에 사용한 시험사료 (기초사료)에 대한 조성과 함량은 표 1(기초사료의 성분과 함량)에 나타내었다. 시험사료의 화학적 조성은 조단백질 14%, 조지방 2%, 조섬유 20% 및 조회분 12% 이었다.
Figure 112009038135306-PAT00001
1) calcium phosphate dibasic
2) Provided the folliwing amount of vitamins and trace minerals per kilogram of complete diet: vitamin A, 6,000IU; vitamin D3, 800IU; vitamin E, 20IU; vitamin K3, 2mg; thiamin, 2mg; riboflavin, 4mg; vitamin B6, 2mg; vitamin B12, 1mg; pantothenic acid, 11mg; niacin, 10mg; biotin, 0.02mg; Cu, 21mg; Fe, 100mg; Zn, 60mg; Mn, 90mg; I, 1,0mg; Co, 0.3mg; Se, 0.3mg
3)Calculated values.
4. 시험용 첨가물질의 일반성분
본 시험의 설계에 따른 각 처리구별 첨가된 천연물질 첨가제의 일반성분 결과를 표 2(시험용 천연물질 첨가제의 일반성분 결과)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8135306-PAT00002
5. 시험용 첨가물질의 특성
1) 항생제 (Antibiotics)
본 시험의 기초사료 내 첨가된 항생제는 네오마이신 (Neomycine)으로 사료 내 110ppm이 농도로 첨가되었고 농협중앙회 사료공장에서 판매되는 송아지 전용사료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하였다.
2) 프로폴리스 (Propolis)
본 시험의 기초사료 내 첨가된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유해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목의 수액에 봉납이나 타액을 혼합하여 만든 점착성이 있는 수액상 천연물질로 황갈색의 호지성 천연화합물이다. 주성분은 polyphenol acid, phenolic aldehyde, ketone, 다량의 왁스수지, 발삼, 정유, 화분 등이 있으며, 그 외에 각종 비타민 및 미네랄 등도 함유되어 있다. 또한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면역조절작용, 항궤양작용, 항고혈압작용,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면역력 활성화작용, 세포활성화작용 등이 있으며, 빈혈, 순환기계 질환, 알레르기성 염증, 관절염, 소화기계 염증, 비뇨기 및 생식기계 염증, 신경계 질환 등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 0.03~0.05%, 베타글루칸 25~30% 및 만난올리고당 13~20%가 함유된 프로폴리스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3) 녹차발효생균제 (Fermented Green Tea Probiotics)
본 시험의 기초사료내 첨가된 녹차발효생균제는 본 연구자가 친환경 양돈사료 개발을 위해 연구된 선행특허기술 (제10-0816957호,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녹차미생물제 및 그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과 그로부터 얻어진 돈육)을 송아지용으로 변형시켜 제조되었다. 본 시험에 사용된 녹차발효생균제는 녹차 10%, 탈지강 60% 및 소맥피 30%로 혼합하여 1차 유산균 발효를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11)),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4)) 균주 2종을 접종한 후, 40℃로 설정된 회전발효기에서 교반 3시간과 무교반 5시간을 반복하여 호기 및 혐기발효를 2일간 진행하여 1차 유산균발효 배양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1차로 제조된 유산균발효 배양물에 2차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Bacillus subtilis (KCTC 3239)),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915)) 균주 2종을 접종시킨 후 2일간 건조과정을 거친 후 제조되었다. 녹차발효생균제에 함유된 미생물의 수를 다음 표 3(녹차발효생균제에 함유된 미생물 종류 및 함량)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8135306-PAT00003
4) 일라이트 (Illite)
본 시험의 기초사료내 첨가된 일라이트는 대표적인 점토광물질로서 가축에게 급이시 미량 무기물을 비롯한 영양소의 이용률 개선, 장내 유해가스의 흡착 및 연변방지의 효과, 어린 송아지와 육성우의 증체와 사료효율 개선, 설사방지 효과, 육량과 육질 등 생산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본 시험에서는 SiO2 50%, Al2O2 20% 및 K2O 2.8%가 함유된 사료 보조제를 사용하였다.
6. 조사항목
1) 증체량 및 사료효율
증체량은 출생시 체중 (생시체중)에서 포유기 1~90일령과 이유기 91~150일령에 측정한 체중에서 뺀 값을 각 기간별 증체량으로 계산하였으며, 각 처리구별 증체량을 다시 시험일수로 나누어 일일증체량으로 하였다. 사료효율은 증체량을 사료섭취량으로 나누어서 구하였다.
2) 사료 섭취량
시험설계에 따라 각 처리구별로 시험사료를 전사양시험기간 동안 매일 급여하였다. 매 1일 급여 후, 다음날 사료 급여 전, 사료 잔량을 수거하여 전날 급여량에서 잔량을 뺀 값을 사료섭취량으로 계산하였다. 각 처리구별 총 사료섭취량에서 시험두수를 나눈 것을 두당 일일 사료섭취량으로 간주하였으며, 각 처리구별 시험기간 동안 총 사료섭취량을 일수로 나눈 것을 일일 평균사료섭취량으로 하였다. 이를 다시 시험두수로 나누어 두당 평균사료섭취량으로 계산하였다.
3) 혈액 검사
혈청내 globulin, albumin의 측정을 위하여 포유기 시험기간의 종료일 (90일령)과 이유기 시험기간의 종료일 (150일령)에 각각 처리구당 4두씩 선발하여 송아지의 경정맥에서 vacuum tube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를 이용하여 혈액을 4 ml씩 채취하여 4℃에서 2,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Albumin은 BCG(Brom Cresol Green) 방법으로 자동생화학분석기 (HITACHI 7600-110, Japa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7. 통계처리
본 시험에서 얻은 결과들은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1999) 통계 package의 GLM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하여 분산분석 하였고 Duncan의 다중검정법으로 평균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II. 결과 및 고찰
1.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
전 시험기간 (1~150일)동안 각 처리구별 체중의 변화 및 증체량의 변화는 표 4(시험처리구별 송아지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에 나타내었다.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체중 측정의 결과는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각각 87.58과 83.8 k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폴리스 첨가구에서 73.28 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P<0.05).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증체량의 변화는 체중의 변화와 같은 경향으로 보였으며,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높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일당증체량에서는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각각 0.71과 0.67로 다른 처리구들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체중측정 결과에서는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169.8 kg으로 항생제구 및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P<0.05).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증체량의 변화는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86 kg, 항생제구는 72.75 kg으로 나타나 항생제구보다 13.25 kg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P<0.05).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일당증체량에서도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1.43 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항생제구 및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P<0.05).
본 시험의 한우 송아지 포유기 (1~90일령)와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체중과 증체량에 대한 시험에서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포유기 (1~90일령)에는 항생제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유기 (91~150일령)에서는 항생제구보다 우수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시험을 결과로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한우 송아지사료에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하여 제조된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는 한우 송아지 1~150일령까지의 성장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09038135306-PAT00004
a,b,c Means ± SD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2.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의 변화
전 시험기간 (1~150일)동안 각 처리구별 일일 평균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표 5(시험처리구별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의 변화)에 나타내었다.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일일 평균사료섭취량의 변화는 대조구에서 0.78 kg로 가장 많은 섭취량을 보였으며, 프로폴리스 첨가구에서 0.62 kg으로 가장 적은 섭취량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0.73 kg으로 동일한 수준의 섭취량을 보였다.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사료효율에서는 항생제구가 0.9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가 0.8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라이트 첨가구는 0.93, 녹차발효생균제는 0.5% 첨가구는 0.91로 나타났다.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일일 평균사료섭취량의 변화는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에서 5.16 kg으로 가장 높은 섭취량을 보였으며,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4.06 kg으로 가장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사료효율에서는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0.35로 가장 높은 사료효율로 나타나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0.12정도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전 시험기간 (1~150일)동안 각 처리구별 일일 총 사료섭취량을 조사해보면, 대조구와 항생제구에서 각각 5.93과 5.82 kg으로 가장 많은 섭취량을 보였으며,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4.79 kg으로 가장 적은 섭취량을 보였다. 각 처리구별 사료효율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0.43으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에서 0.29로 가장 낮은 효율을 보였다. 본 시험의 한우 송아지 포유기 (1~90일령)와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사료효율에 대한 시험에서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포유기 (1~90일령)에서는 다소 낮은 효과를 보였으나 이유기 (91~150일령)에는 항생제구보다 0.12정도 높은 사료효율성을 보였다. 또한 전 시험기간 (1~150일)의 사료효율은 항생제구보다 0.11정도 높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시험을 결과로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한우 송아지사료에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하여 제조된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는 한우 송아지 1~150일령까지의 사육에 있어 항생제가 포함된 사료와 비교하여 사료효율을 0.11정도 개선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9038135306-PAT00005
3. 혈액 내 화학적 성분 변화
포유기 (1~90일령)와 이유기 (91~150일령)의 시험 종료 (90일령, 150일령) 후 각 처리구별 시험 송아지의 혈액 내 알부민과 글로블린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표 6(시험처리구별 송아지 혈액 내 화학적 성분의 변화)에 나타내었다. 포유기 시험 종료 (90일) 후, 각 처리구별 알부민의 함량은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와 항생제구에서 각각 3.46과 3.41 g/dl로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일라이트 2% 첨가구에서 3.20 g/dl로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여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혈액 내 글로블린의 함량은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에서 각각 3.01과 2.87 g/dl로서 높게 나타났다. 본 시험의 결과, 포유기 시험 종료 (90일) 후,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혈액 내 알부민의 함량은 0.06 g/dl 정도 낮고 글로블린의 함량은 0.28 g/dl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유기 시험 종료 (150일) 후, 각 처리구별 알부민의 함량은 대조구에서 3.39 g/d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3.33 g/dl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항생제구는 3.20 g/dl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혈액 내 글로블린의 함량은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각각 3.09와 3.04 g/dl로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 이유기 시험 종료 (150일) 후,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혈액 내 알부민의 함량은 0.13 g/dl 정도 높았고 글로블린의 함량은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본 시험을 결과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한우 송아지사료에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하여 제조된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는 한우 송아지 1~150일령까지의 사육에 있어 항생제가 포함된 사료와 비교하여 한우 송아지 혈액 내 면역성분인 알부민과 글로블린을 각각 0.28과 0.13 g/dl 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9038135306-PAT00006
a,b,c Means ± SD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 연구는 한우 어린송아지용 무항생제 사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한우 송아지 60두를 공시하여 12두씩 임의배치하고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어린 송아지용 사료를 기초사료로 하여 대조구, 기초사료에 항생제가 포함된 사료를 항생제구 (기초사료+항생제 네오마이신 110ppm), 기초사료에 프로폴리스 0.05%첨가 프로폴리스 첨가구, 기초사료에 녹차발효생균제 0.5%첨가 녹차발효생균제 첨가구 및 기초사료에 일라이트 2%첨가 일라이트 첨가구로 한 5개 처리구로 시험설계 하여 1~150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체중 측정의 결과는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각각 87.58과 83.8 k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에서 73.28 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증체량의 변화는 체중의 변화와 같은 경향으로 보였으며,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높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일당증체량에서는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각각 0.71과 0.67로 다른 처리구들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체중측정 결과는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169.8 kg으로 항생제구 및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P<0.05).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증체량의 변화는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86 kg, 항생제구는 72.75 kg으로 나타나 항생제구보다 13.25 kg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P<0.05).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일당증체량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1.43 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항생제구 및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P<0.05).
한우 송아지 포유기 (1~90일령)와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체중과 증체량에 대한 시험에서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포유기 (1~90일령)에는 항생제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유기 (91~150일령)에서는 항생제구보다 우수한 효과가 나타났다.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일일 평균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서 0.78 kg로 가장 많은 섭취량을 보였으며,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에서 0.62 kg으로 가장 적은 섭취량을 보였다.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0.73 kg으로 동일한 수준의 섭취량을 보였다. 포유기 (1~90일령)의 각 처리구별 사료효율에서는 항생제구가 0.9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가 0.8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라이트 첨가구는 0.93, 녹차발효생균제는 0.5% 첨가구는 0.91로 나타났다.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일일 평균사료섭취량은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에서 5.16 kg으로 가장 높은 섭취량을 보였으며,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4.06 kg으로 가장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사료효율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0.35로 가장 높은 사료효율로 나타났으며,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0.12정도 높게 나타났다.
전 시험기간 (1~150일)동안 각 처리구별 일일 총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항생제구에서 각각 5.93과 5.82 kg으로 가장 많은 섭취량을 보였으며,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4.79 kg으로 가장 적은 섭취량을 보였다. 각 처리구별 사료효율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0.43으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에서 0.29로 가장 낮은 효율을 보였다.
한우 송아지 포유기 (1~90일령)와 이유기 (91~150일령)의 각 처리구별 사료효율에 대한 시험에서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포유기 (1~90일령)에서는 다소 낮은 효과를 보였으나 이유기 (91~150일령)에는 항생제구보다 0.12정도 높은 사료효율성을 보였다. 또한 전 시험기간 (1~150일)의 사료효율은 항생제구보다 0.11정도 높은 효과를 보였다.
포유기 시험 종료 (90일) 후, 각 처리구별 혈액 내 알부민의 함량은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와 항생제구에서 각각 3.46과 3.41 g/dl로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일라이트 2% 첨가구에서 3.20 g/dl로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여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혈액 내 글로블린의 함량은 프로폴리스 0.05% 첨가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에서 각각 3.01과 2.87 g/dl로서 높게 나타났다.
포유기 시험 종료 (90일) 후,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혈액 내 알부민의 함량은 0.06 g/dl 정도 낮고 글로블린의 함량은 0.28 g/dl 정도 높게 나타났다. 혈액 내 글로블린의 함량은 항생제구와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가 각각 3.09와 3.04 g/dl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유기 시험 종료 (150일) 후,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구는 항생제구와 비교해서 혈액 내 알부민의 함량은 0.13 g/dl 정도 높았고 글로블린의 함량은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본 시험의 종합적인 결과는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한우 송아지사료에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하여 제조된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는 한우 송아지 1~150일령까지의 성장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녹차발효생균제 0.5% 첨가는 한우 송아지 1~150일령까지의 사육에 있어 항생제가 포함된 사료와 비교하여 사료효율을 0.11정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한우 송아지 혈액 내 면역성분인 알부민과 글로블린을 각각 0.28과 0.13 g/dl 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실시예들에서 녹차발효생균제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에서 사료 첨가제를 0.5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험하였으나 0.01~5중량%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 실시예들에서 녹차발효생균제에서 녹차를 특정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에서 사용한 특정 미생물 이외에 녹차의 발효에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미생물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한우 송아지만을 실험하였으나 어떠한 가축에도 동일한 효과가 있을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조단백질 또는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축의 기초사료에, 첨가되는 0.01~5중량%의 녹차발효생균제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발효생균제는 녹차 10%, 탈지강 60% 및 소맥피 30%로 혼합하여 1차 유산균 발효를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11)),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4)) 균주 2종을 접종한 후, 40℃로 설정된 회전발효기에서 교반 3시간과 무교반 5시간을 반복하여 호기 및 혐기발효를 2일간 진행하여 1차 유산균발효 배양물을 제조한 후, 1차로 제조된 유산균발효 배양물에 2차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Bacillus subtilis (KCTC 3239)),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915)) 균주 2종을 접종시킨 후 2일간 건조과정을 거친 후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사료로 각각 조단백질 14%, 조지방 2%, 조섬유 20% 및 조회분 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4. 기초사료에 첨가되는 사료첨가제에 포함되는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으로,
    녹차 10%, 탈지강 60% 및 소맥피 30%로 혼합하여 1차 유산균 발효를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11)),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4)) 균주 2종을 접종한 후, 40℃로 설정된 회전발효기에서 교반 3시간과 무교반 5시간을 반복하여 호기 및 혐기발효를 2일간 진행하여 1차 유산균발효 배양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그 후, 1차로 제조된 유산균발효 배양물에 2차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Bacillus subtilis (KCTC 3239)),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915)) 균주 2종을 접종시킨 후 2일간 건조과정을 거친 후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사료는 조단백질 또는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축의 기초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KR1020090056222A 2009-06-24 2009-06-24 소의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KR10115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222A KR101157544B1 (ko) 2009-06-24 2009-06-24 소의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222A KR101157544B1 (ko) 2009-06-24 2009-06-24 소의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940A true KR20100137940A (ko) 2010-12-31
KR101157544B1 KR101157544B1 (ko) 2012-06-18

Family

ID=4351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222A KR101157544B1 (ko) 2009-06-24 2009-06-24 소의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5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6463A (zh) * 2011-01-31 2011-06-29 上海大誉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微生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20150135877A (ko) * 2014-05-26 2015-12-04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미강이 함유된 꿀벌용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172077A (zh) * 2020-02-14 2020-05-19 广东中科无抗养殖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生猪肠道菌群的微生物制剂及制备方法
WO2022131493A1 (ko) * 2020-12-15 2022-06-23 주식회사 잇다 기능성 발효 녹차 복합 생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237A (ko) * 1999-01-30 2000-08-16 장세국 황토와 키토산을 함유하는 가축 및 양식어류용 사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68689B1 (ko) * 2005-03-10 2006-04-07 김강민 어성초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사료와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돈육(豚肉)
KR100816957B1 (ko) * 2006-07-07 2008-03-2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녹차미생물제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과 그로부터 얻어진 돈육
KR100815851B1 (ko) * 2006-09-26 2008-03-24 (주)두루 뽕잎과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뽕잎발효사료첨가제 및 그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사육하여 얻어진 오리고기와 닭고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6463A (zh) * 2011-01-31 2011-06-29 上海大誉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微生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2106463B (zh) * 2011-01-31 2012-12-05 杨永浩 一种微生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20150135877A (ko) * 2014-05-26 2015-12-04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미강이 함유된 꿀벌용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172077A (zh) * 2020-02-14 2020-05-19 广东中科无抗养殖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生猪肠道菌群的微生物制剂及制备方法
WO2022131493A1 (ko) * 2020-12-15 2022-06-23 주식회사 잇다 기능성 발효 녹차 복합 생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226388A (zh) * 2020-12-15 2022-10-21 株式会社连接 功能性发酵绿茶复合益生菌制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544B1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145B1 (ko)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축산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15851B1 (ko) 뽕잎과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뽕잎발효사료첨가제 및 그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사육하여 얻어진 오리고기와 닭고기
CN106360040B (zh) 增强肉鸡生长性能和免疫功能的复合中草药益生菌饲料添加剂
CN103891674A (zh) 一种保健发酵饲料配合益生菌发酵床的生态养殖方法
CN103005144B (zh) 一种中药微生物发酵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319097B1 (ko) 벌꿀 및 녹차가 혼합된 액상발효사료의 제조방법
CN102356829A (zh) 生长肥育猪后期微生物发酵无抗生素饲料
Ewuol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rabbits fed dietary prebiotics, probiotics and symbiotics
CN102885202A (zh) 一种新型禽用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
CN109805172A (zh) 一种复合菌种发酵中草药饲料及其制备方法
CN111011602A (zh) 一种缓解畜禽氧化应激、改善肠道健康的功能性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157544B1 (ko) 소의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KR101197682B1 (ko) 복합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CN111513177A (zh) 一种中草药发酵饲料的制备方法
KR101018270B1 (ko) 식품폐기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발효사료
CN114651915A (zh) 一种提高免疫促进生长的后生元、制备方法及应用
KR102131882B1 (ko) 효모를 이용하여 이취가 개선된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58735B1 (ko) 칡부산물과 도토리부산물과 매실부산물과가시오가피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사료첨가제와 그제조방법 및 그것을 혼합한 사료로 사육한 돼지로부터얻어진 돈육(豚肉)
CN101874812B (zh) 复合菌制剂及其在幼禽畜增重及防治下痢中的应用
KR102492755B1 (ko) 증기 처리 및 복합 균주를 이용한 완전배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Akinfala et al. Supplemental effects of feed additives on the utilization of whole cassava plant by growing pigs in the tropics
KR102322119B1 (ko) 모링가를 포함하는 친환경 무항생의 단미사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돈 배합사료
Dutta et al. Potential of direct-fed-microbials on lactation performance in ruminants-A critical review
CN112244168A (zh) 一种猫用益生菌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149919A (zh) 一种禽用丁酸甘油酯复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