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973A - 고반사성 옴-전극을 갖는 반도체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고반사성 옴-전극을 갖는 반도체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973A
KR20100136973A KR1020107020644A KR20107020644A KR20100136973A KR 20100136973 A KR20100136973 A KR 20100136973A KR 1020107020644 A KR1020107020644 A KR 1020107020644A KR 20107020644 A KR20107020644 A KR 20107020644A KR 20100136973 A KR20100136973 A KR 2010013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doped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원 탕
리 왕
펭이 지앙
Original Assignee
라티스 파워(지앙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티스 파워(지앙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라티스 파워(지앙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3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93Wafer bonding; Removal of the growth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40Materials therefor
    • H01L33/405Reflectiv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반도체 발광 소자가 전도성 기판 위에 다중층 반도체 구조를 포함한다. 다중층 반도체 구조는 전도성 기판 위에 위치된 제 1 도핑 반도체 층,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 위에 위치된 제 2 도핑 반도체 층, 및/또는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과 제 2 도핑 반도체 층 사이에 위치된 MQW 활성층을 포함한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는 제 1 도핑 반도체 층과 전도성 기판 사이에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은 Ag와, Ni, Ru, Rh, Pd, Au, Os, Ir, 및 Pt 중 하나 이상과; 그리고 Zn, Mg, 카드뮴(Cd), 및 베릴륨(Be) 중 하나 이상과; 그리고 텅스텐(W), 구리(Cu), 티타늄(Ti), 탄탈(Ta), 및 크롬(Cr) 중 다수를 포함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는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과 전도성 기판 사이의 결합층, 상기 전도성 기판에 연결되는 제 1 전극, 제 2 도핑 반도체 층에 연결되는 제 2 전극을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반사성 옴-전극을 갖는 반도체 발광 소자{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WITH A HIGHLY REFLECTIVE OHMIC-ELECTRODE}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 소자의 설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반사성(highly reflective) 옴-전극을 갖는 신규한 반도체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고체-상태 광원은 조명 기술의 그 다음 파동을 야기하도록 기대된다.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HB-LED)는, 종래의 광원에 있어서 전구를 대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광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증가하는 많은 이용예에 나타나고 있다. 통상적으로, 비용, 효율성, 및 휘도가 상업적 생존력을 결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척도이다.
LED는 양으로 도핑된 층(p-형 도핑층)과 음으로 도핑된 층(n-형 도핑층) 사이에 "끼워져" 있는 활성 영역으로부터 빛을 생성한다. LED가 순방향-바이어스된 때, p-형 도핑층으로부터의 정공과 n-형 도핑층으로부터의 전자 등의 캐리어가 활성 영역에서 재결합한다. 직접 밴드-갭 물질에서, 이러한 재결합 과정은 광자 또는 빛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며, 이러한 광자 또는 빛의 파장이 활성 영역의 물질의 에너지 밴드-갭에 상응한다.
기판의 선택 및 반도체 층 스택 구조의 설계에 따라, LED는 두 개의 구성, 즉 측면(lateral)-전극(전극들은 기판의 동일면 상에 위치됨) 구성 및 수직 전극(전극들은 기판의 반대쪽 면 상에 위치됨) 구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위의 두 구성 모두를 도시하며, 여기서 도 1a는 통상적인 측면-전극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1b는 통상적인 수직 전극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LED 모두는 기판층(102), n-형 도핑층(104), 선택 사항인 다중-양자-우물(MQW) 활성층(106), p-형 도핑층(108), 상기 p-형 도핑층에 연결되는 p-측 전극(110), 및 상기 n-형 도핑층에 연결되는 n-측 전극(112)을 포함한다.
수직-전극 구성은 소자의 패키징을 좀 더 쉽게 만든다. 이에 더하여, 전극들이 소자의 반대쪽 면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소자는 정전기 방전에 좀 더 저항력이 있다. 따라서, 수직-전극 LED는 측면-전극 LED와 비교하여 더 높은 안정성을 가진다. 이는, 특히 고-전력 단-파장 LED에서 그러하다.
고-전력 고-휘도 LED로부터 빛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플립-플롭 패키징 기법이 종종 채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플립-플롭 패키징 기법에서, p-측 전극이 고반사성 표면으로서 이용되어 소자의 반대쪽 면에 빛을 반사할 수 있다. 광 반사기의 존재가 LED의 광 추출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도 2는 반사기로서 p-전극을 갖는, 플립-플롭 패키징된 수직 LED의 대표적 구조를 도시한다. 위에서부터 밑으로, 도 2는 n-측 전극(202), n-형 도핑층(204), 활성층(206), p-형 도핑층(208), 그리고, 반사기의 역할도 하는 p-측 전극(210)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가 전류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고, 위를 향하는 짧은 화살표가 광 전파의 방향을 나타낸다. 방출된 빛이 안내되어 잘 정의된 방향으로 전파되는 레이저 장치와는 달리, LED에서 방출된 빛은 무지향적으로 전파된다. 따라서, 광 추출 효율성을 증가시키는데 소자 바닥의 반사기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도성 기판 위에 다중층 반도체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다중층 반도체 구조는 전도성 기판 위에 위치된 제 1 도핑 반도체 층,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 위에 위치된 제 2 도핑 반도체 층, 및/또는 제 1 도핑 반도체 층과 제 2 도핑 반도체 층 사이에 위치된 다중-양자-우물(MQW) 활성층을 포함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는 또한, 제 1 도핑 반도체 층과 전도성 기판 사이에 위치된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을 포함한다.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은 Ag와, 이하의 물질: 즉, Ni, Ru, Rh, Pd, Au, Os, Ir, 및 Pt 중 하나 이상과; 그리고, 이하의 물질: 즉, Zn, Mg, Be, 및 Cd 중 하나 이상과; 그리고, 이하의 물질: 즉, W, Cu, Fe, Ti, Ta, 및 Cr 중 다수를 포함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는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과 전도성 기판 사이에 위치된 결합층(bonding layer), 상기 전도성 기판에 연결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도핑 반도체 층 위의 제 2 전극을 추가로 포함한다.
위의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은 p-형 도핑 반도체 층이다.
위의 실시예의 추가적 변형예에서, 상기 P-형 도핑 반도체 층은 Mg로 도핑된 GaN을 포함한다.
위의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상기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은 이하의 금속 조성물: 즉, Ag/Pt/Mg 합금 및 Ag/Pt/Zn 합금 중 하나를 포함한다.
위의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반사성 옴-접촉 층은 이하의 물질: 즉, Pt, Ni, Ru, Rh, Pd, Au, Os, 및 Ir 중 하나 이상의 1-10 중량%; 이하의 물질: 즉, Zn, Mg, Be, 및 Cd 중 하나 이상의 0.001-5 중량%; 그리고 이하의 물질: 즉, W, Cu, Ti, Ta, 및 Cr 중 다수의 0-5 중량%를 포함한다.
위의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상기 반사성 옴-접촉 층은 Ag 97 중량%, Pt 1.5 중량%, 및 Zn 1.5 중량%를 포함한다.
위의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상기 활성층은 이하의 물질: 즉, InGaN, InGaAlN, InGaAlP, 및 InGaAlA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위의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상기 전도성 기판은 이하의 물질: 즉, Si, GaAs, GaP, Cu, 및 C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1a는 대표적인 측면-전극 LED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b는 대표적인 수직-전극 LED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반사기로서 p-측 기판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수직-전극 LED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pre)-패턴화된 홈과 메사(mese)를 갖는 기판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패턴화된 기판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반사성 옴-전극을 갖는 발광 소자의 제작 공정을 도시하는 그림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개시된 실시예를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제시되었으며, 특정 이용예 및 이의 요건의 맥락에서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해당업계 종사자에게 즉시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 원리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그 밖의 다른 실시예 및 이용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개시된 원리 및 특징과 양립되는 가장 넓은 범위와 조화된다.
개요
LED 제작 기술의 최근 발전은 단-파장 LED를 위한 물질로서 AlGaN, InGaN, InGaAlN, 및 GaN을 포함하는 GaN-기반 Ⅲ-Ⅴ 화합물 반도체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GaN-기반 LED는 LED 방출 스펙트럼이 녹색, 청색, 및 자외선 영역까지 뻗도록 할 뿐만 아니라, 높은 광 방출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의 혼잡성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그리고 광 추출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p-측 옴-전극을 위한 접촉층으로서 고반사성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가령, 은(Ag)과 알루미늄(Al) 등 오직 몇몇 유형의 금속 물질만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금속 물질은 스펙트럼이 녹색에서부터 보라색까지의 범위를 갖는 빛에 고반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Ag 또는 Al에 대해서는 p-형 도핑 GaN-기반 화합물 반도체(가령, p-GaN, p-AlGaN, p-InGaN, 및 p-InGaAlN)와의 양호한 옴-접촉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반면, 전술된 p-도핑 GaN 반도체와의 저-저항 옴-접촉을 형성할 수 있는, 백금(Pt), 팔라듐(Pd), 및 니켈/금(Ni/Au) 합금과 같은 금속 물질은 원하는 스펙트럼 범위에서 빛을 강하게 흡수한다. 금속 접촉이 더 두꺼울수록, 빛을 더 강하게 흡수한다. 따라서, 광 흡수를 줄이기 위하여 옴-전극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그러나 얇은 금속의 층에 의해 유래된 흡수는 광 추출 효율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흡수된 광 에너지가 종종 열로 변환되는데, 이러한 열은 LED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렇게 증가된 온도는 더 강한 광 흡수 및 증가된 누설 전류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LED 수명을 단축시키는 경향이 있고, 또는 최악의 경우 LED가 타버리게 할 수도 있다. 이는, LED가 큰 바이어스 하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전극에 의해 발생된 열이 LED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라는 점에서 나타난다.
최근, 연구자들은 p-측 옴-접촉을 형성하기 위하여 투명-전도성-산화물(transparent-conductive-oxide, TCO)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해 왔다. 그러나, TCO 재료는, TCO 재료의 비교적 높은 접촉 저항과 낮은 열 전도성이 LED 내부에 열 축적을 야기할 수 있고 LED 누설 전류 또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전력 LED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오늘날에는, 고반사성 p-전극이 통상적으로 Ni/Au/Ag 합급, Ag로 도금된 TCO, 및 니켈/은/루테늄(Ni/Ag/Ru) 합금에 기초한다. 이러한 물질 모두가 특정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비록 Ni/Au/Ag 전극에 대한 접촉 저항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Au(금)층이 방출된 빛을 강하게 흡수한다. 예를 들어, Ni/Au/Ag 전극은 파장이 460nm 영역인 빛의 약 20-30%를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광 흡수율이 LED의 광 추출 효율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만일 Ni/Au 층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광 흡수를 감소시키고자 한다면, 약해진 부착력에 따른 비-이상적 옴-접촉의 문제에 직면할 것이다. 반면, Ag-도금된 TCO 전극은 더 높은 광 추출 효율성을 증명하지만 TCO 전극의 낮은 열 전도성이 열 축적을 야기하게 되고, 따라서 LED가 높은 바이어스 전류 하에서 덜 안정적이 되도록 한다. 더욱이, Ni의 얇은 층이 반도체와 Ag 반사기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Ni/Ag/Ru 전극이 낮은 광 흡수를 보인다 하더라도, Ni는 p-도핑 GaN 물질과의 양호한 옴-접촉을 형성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더하여, Ni/Ag/Ru 전극의 열처리 공정에서 종종 Ag 층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Ag 단독으로, 청색광을 향한 높은 반사율을 증명하였지만, p-도핑 GaN 물질과의 양호한 옴-접촉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더하여, Ag 옴-접촉의 접촉 특성, 안정성, 및 부착성이 Pt, Pd, 또는 Ni/Au로 형성된 옴-접촉의 것보다 열등하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고-휘도 고-전력 LED를 위한 신뢰성 있는 고-반사성, 저-저항 옴-전극을 형성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모든 조건(가령, 낮은 광 흡수, 낮은 접촉 저항, 높은 안정성, 및 높은 부착력 포함)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반사성(highly reflective) 옴-전극을 갖는 LED 소자를 제공한다. LED 소자는 전도성 기판, 다중층 반도체 구조,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 상기 다중층 반도체 구조를 전도성 기판과 결합시키는 결합층,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은 Ag와, 하나 또는 두 개의 그 밖의 다른 금속 물질(가령, Mg 및 Zn 포함)을 포함한다.
기판 준비하기
큰-면적 성장 기판(가령, Si 웨이퍼) 위에 균열이 없는 GaN-기반 Ⅲ-Ⅴ 화합물 다중층 구조를 성장시키기 위하여, 홈과 메사(mesa)를 갖는 기판을 미리 패턴화하는 성장 방법이 도입된다. 홈과 메사를 갖는 기판을 선-패턴화함으로써, 기판 표면과 다중층 구조 사이의 격자 상수와 열팽창 계수의 부정합(misnatch)에 의해 야기되었던 다중층 구조에서의 응력(stress)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토 리소그래픽 기법 및 플라스마 에칭 기법을 이용하여 미리 에칭된 패턴을 갖는 기판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정사각형 메사(300)와 홈(302)이 에칭의 결과이다. 도 3b는 도 3a의 수평 라인(AA')에 따른 선(pre)-패턴화된 기판의 단면을 보여줌으로써 메사 및 홈의 구조를 좀 더 명확하게 도시한다.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차하는 홈(304)의 측벽이 고립된 메사 구조(가령, 메사(306) 및 부분적 메사(308 및 310))의 측벽을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각각의 메사는 각자의 반도체 소자를 성장시키기 위한 독립적 표면적을 정의한다.
반도체 기판 위에 홈과 메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리소그래픽 기법 및 에칭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주의한다. 홈(302)의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 메사(300) 이외에 대안적 기하학적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 기하학적 형태의 일부로는 삼각형, 직사각형, 평행 사변형, 6각형, 원형, 또는 그 밖의 다른 비정형적(non-regular) 모양이 포함될 수 있다(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고반사성 옴-전극을 갖는 발광 소자 제작하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반사성 옴-전극을 갖는 발광 장치의 제작 공정을 도시하는 그림이다. 공정 A에서, 홈과 메사를 갖는 선(pre)-패턴화된 성장 기판이 준비된 후에, 금속 유기체 화학적 기상 증착(MOCVD)을 포함할 수 있는(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다양한 성장 기법을 이용하여 InGaN 다중층 구조가 형성된다. LED 구조는 Si 웨이퍼일 수 있는 기판 층(402), Si-도핑 GaN 층일 수 있는 n-형 도핑 반도체 층(404), 다중-주기(multi-period) GaN/InGaN MQW일 수 있는 활성층(406), 및 Mg-도핑 GaN에 기초할 수 있는 p-형 도핑 반도체 층(408)을 포함할 수 있다.
공정 B에서, 접촉-보조(contact-assist) 금속층(410)이 p-도핑 반도체 층의 상부 위에 형성된다. 접촉-보조 금속층(41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금속 물질로는 백금(Pt) 및/또는 Ni가 포함된다. 또한 접촉-보조 금속층(410)은 이하의 물질: 즉,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오스뮴(Os), 이리듐(Ir), 베릴륨(Be), 아연(Zn), 및 마그네슘(M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보조 금속층(410)은 예를 들어, 가령, 전자-빔(e-빌) 증발 증착 기법 또는 스퍼터링 기법과 같은 증발 증착 기법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증착 기법 또한 가능하다. 접촉-보조 금속층(410)의 두께는 10 옹스트롬 이상이다. 일 실시예에서, 접촉-보조 금속층(410)의 두께가 대략 500 옹스트롬이다.
공정 C에서, 접촉-보조 금속층(410)은 먼저 열처리 과정을 거치고, 그 후, 가령 기계적 연마 기법 또는 화학적 에칭 기법을 이용하여 제거된다. 열처리 과정은 p-형 층의 p-형 이온을 활성화한다. 열처리 과정을 위한 주변 환경은 질소(N2), 산소(O2), 공기, 진공, 비활성 기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열처리를 위한 온도는 200℃와 1000℃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처리 온도는 대략 550℃이다. 열처리에 사용되는 총 시간은 10 초에서 24 시간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처리가 대략 5 분 동안 지속된다. 증착, 열처리, 및 접촉-보조 금속층(410)의 제거 공정이, 선택된 금속과 p-형 층(408) 사이에 형성되는 옴-접촉의 옴-접촉 특성과 부착력뿐만 아니라 안정성도 향상시킨다.
공정 D에서,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412)이 p-형 도핑층(408)의 상부 위에 형성된다.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412)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금속 물질로는 Ag와, 이하의 물질: 즉, Ru, Rh, Pd, Au, Os, Ir, 및 Pt 중 하나 이상과; 고 Zn, Mg, 카드뮴(Cd), 및 베릴륨(Be) 중 하나 이상과; 그리고 이하의 물질: 즉, 텅스텐(W), 구리(Cu), 티타늄(Ti), 탄탈(Ta), 및 크롬(Cr) 중 다수가 포함될 수 있다. 더 좋은 성능을 위해, 반사성 옴-접촉 층은 이하의 물질: 즉, Pt, Ru, Rh, Pd, Au, Os, Ir 중 하나 이상의 1-10 중량%; Zn, Mg, Cd, 및 Be 중 하나 이상의 0.001-5 중량%; 그리고 이하의 물질: 즉, W, Cu, Ti, Ta, 및 Cr 중 하나 이상의 0-5 중량%를 포함하는 Ag 합금일 수 있다. 접촉-보조 금속층(410)에서와 유사하게,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412)은 가령, 전자-빔(e-빔) 증발 증착 기법 또는 스퍼터링 기법과 같은 증발 증착 기법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증착 기법 또한 가능하다.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412)을 위한 금속 물질/조성물의 가능한 모든 선택권 중에서, 일 실시예는 Ag/Pt/Mg의 금속 조성물을 선택하고, 또 다른 실시예는 Ag/Pt/Zn의 금속 조성물을 선택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Ag는 녹색광 및 청색광을 위한 좋은 반사기이다. 이에 더하여, Pt는 비교적 높은 일함수를 가진다. p-형 도핑 반도체 물질에 있어서, 고-전도성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극의 일함수는 반도체 물질의 일함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따라서, Pt는 p-도핑 반도체 층과의 저-저항 옴-접촉을 형성하기에 바람직한 물질이다. 이에 더하여, 은 합금에서 Pt의 존재는 p-형 층(408)으로의 Ag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더욱이, 옴-접촉을 형성할 때 Mg와 Zn 모두 Ⅲ-Ⅴ 반도체 화합물(가령, GaN)에 대한 p-형 도펀트이기 때문에, 이러한 두 금속은 액셉터의 소스처럼 기능하여 반도체 표면에 또는 반도체 표면 부근에 p-형 도핑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은 합금에서 Mg 및/또는 Zn의 존재는 Ag 합금의 열적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 금속 조성물(Ag/Pt/Mg, Ag/Pt/Zn)의 선택은 양호한 열적 안정성 및 강한 부착력을 갖는 저-저항 옴-접촉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한 이러한 옴-접촉은 단-파장 LED에 의해 요구되는 것처럼 청색광에 대해 높은 반사성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412)은 97 중량%의 Ag, 1.5 중량%의 Pt, 및 1.5 중량 %의 Zn을 포함한다.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412)의 형성 이후, 열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선택 사항이다. 열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열처리 온도는 200℃와 1000℃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처리 온도는 대략 550℃이다. 열처리 주기에 사용되는 총 시간은 5 초와 120 분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처리기 대략 2 분 동안 지속된다. 열처리 주변 환경은 N2, O2, 공기, 진공, 및 비활성 기체 중 하나일 수 있다.
공정 E에서,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412) 위에 결합층(414)이 형성된다. 결합층(414) 형성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금이 포함될 수 있다.
공정 F에서, 다중층 구조(416)가 역으로 뒤집혀서 지지 구조(418)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418)는 전도성 기판 층(420) 및 결합층(422)을 포함한다. 결합층(422)은 Au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기판 층(420)은 이하의 물질: 즉, Si, GaAs, GaP, Cu, 및 C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공정 G에서, 가령 기계적 연마 기법 또는 화학적 에칭 기법에 의해 성장 기판(402)이 제거된다. 성장 기판(402)의 제거로 n-형 층(404)이 노출된다.
공정 H에서, n-형 층(404)의 위에 전극(424)(n-측 전극)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n-측 전극(424)은 Ni, Au, Au/Ge/Ni 합금, Ti, Al, Cr, 및/또는 Ti/Al 합금을 포함한다. n-측 전극(424)은 예를 들어, e-빔 증발 증착 기법 또는 스퍼터링 기법과 같은 증발 증착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증착 기법 또한 가능하다.
공정 I에서, 전도성 기판(420)의 후면에 또 다른 옴-접촉(426)이 형성된다. 옴-접촉(426)의 물질 조성물 및 형성 공정은 n-측 전극(424)에서와 유사할 수 있다. 옴-접촉(426), 전도성 기판(420), 결합층(414) 및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412)이 함께 고반사성 p-측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위의 설명은 오직 예시 목적으로만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명이 본 발명을 총괄하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형태에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따라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해당업계 종사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기재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0)

  1. 반도체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도성 기판 위의 다중층 반도체 구조, 여기서 상기 다중층 반도체 구조는, 상기 전도성 기판 위에 위치되는 제 1 도핑 반도체 층,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 위에 위치되는 제 2 도핑 반도체 층, 및/또는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과 상기 제 2 도핑 반도체 층 사이에 위치되는 다중-양자-우물(MQW) 활성층을 포함함;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과 상기 전도성 기판 사이에 위치되는 반사성(reflective) 옴-접촉 금속층, 여기서 상기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은,
    이하의 금속: 즉, Pt, Ni, Ru, Rh, Pd, Au, Os, 및 Ir 중 하나 이상과, Ag;
    이하의 금속: 즉, Zn, Mg, Be, 및 Cd 중 하나 이상; 그리고
    이하의 금속: 즉, W, Cu, Fe, Ti, Ta, 및 Cr 중 다수
    를 포함함;
    상기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과 상기 전도성 기판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층(bonding layer);
    상기 전도성 기판에 연결되는 제 1 전극; 그리고
    상기 제 2 도핑 반도체 층 위의 제 2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은 p-형 도핑 반도체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형 도핑 반도체 층은 Mg로 도핑된 G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은,
    Ag/Pt/Mg, 그리고
    Ag/Pt/Zn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사성 옴-접촉 층은,
    이하의 물질: 즉, Pt, Ni, Ru, Rh, Pd, Au, Os, 및 Ir 중 하나 이상의 1-10 중량%;
    이하의 물질: 즉, Zn, Mg, Be, 및 Cd 중 하나 이상의 0.001-5 중량%; 그리고
    W, Cu, Ti, Ta, 및 Cr 중 하나 이상의 0-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사성 옴-접촉 층은,
    Ag 97 중량%;
    Pt 1.5 중량%; 그리고
    Zn 1.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QW 활성층은,
    InGaN,
    InGaAlN,
    InGaAlP, 그리고
    IaGaAlA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판은,
    Si,
    GaAs,
    GaP,
    Cu, 그리고
    C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9.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작 방법은,
    성장 기판 위에 다중층 반도체 구조를 성장시키는 단계, 여기서 상기 다중층 반도체 구조는, 제 1 도핑 반도체 층, 제 2 도핑 반도체 층, 및/또는 다중-양자-우물(MQW) 활성층을 포함함;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 위에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은,
    이하의 금속: 즉, Pt, Ni, Ru, Rh, Pd, Au, Os, 및 Ir 중 하나 이상과, Ag;
    이하의 금속: 즉, Zn, Mg, Cd, 및 Be 중 하나 이상; 그리고
    이하의 금속: 즉, W, Cu, Fe, Ti, Ta, 및 Cr 중 다수
    를 포함함;
    상기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에 연결된 결합층(bonding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전도성 기판에 다중층 구조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성장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기판에 연결되는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 2 도핑 반도체 층 위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성장 기판은 선(pre)-형성된 홈 및 메사(mesa)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 위에 접촉-보조(contact-assist)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접촉-보조 금속층은 Pt, 또는 이하의 물질: 즉, Ru, Rh, Pd, Os, Ir, Ni, Zn, 및 M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Pt 합금을 포함함;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을 활성화하도록 다중층 구조를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접촉-보조 금속층을 제거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 반도체 층은 p-형 도핑 반도체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p-형 도핑 반도체 층은 Mg로 도핑된 G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촉-보조 금속층의 두께가 10 옹스트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열처리 공정을 위한 온도가 200℃와 1000℃ 사이이고,
    열처리 공정의 지속시간이 5분이며,
    열처리 주변 환경이 N2, O2, 공기, 진공, 및 비활성 기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촉-보조 금속층의 제거가, 화학적 에칭 및 기계적 연마 중 하나 이상을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사성 옴-접촉 금속층은,
    이하의 금속 조성물, 즉
    Ag/Pt/Mg, 그리고
    Ag/Pt/Zn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8. 청구항 9에 있어서, 반사성 옴-접촉 층은,
    이하의 물질: 즉, Pt, Ni, Ru, Rh, Pd, Au, Os, 및 Ir 중 하나 이상의 1-10 중량%;
    이하의 물질: 즉, Zn, Mg, Be, 및 Cd 중 하나 이상의 0.001-5 중량%; 그리고
    이하의 물질: 즉, W, Cu, Ti, Ta, 및 Cr 중 하나 이상의 0-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19. 청구항 9에 있어서, 반사성 옴-접촉 층은,
    Ag 97 중량%;
    Pt 1.5 중량%; 그리고
    Zn 1.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2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판은,
    Si,
    GaAs,
    GaP,
    Cu, 그리고
    C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작 방법.
KR1020107020644A 2008-03-26 2008-03-26 고반사성 옴-전극을 갖는 반도체 발광 소자 KR20100136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8/000597 WO2009117849A1 (en) 2008-03-26 2008-03-26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with a highly reflective ohmic-electr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973A true KR20100136973A (ko) 2010-12-29

Family

ID=4111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644A KR20100136973A (ko) 2008-03-26 2008-03-26 고반사성 옴-전극을 갖는 반도체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7663B2 (ko)
EP (1) EP2257998B1 (ko)
JP (1) JP2011515859A (ko)
KR (1) KR20100136973A (ko)
CN (1) CN102119449B (ko)
WO (1) WO2009117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450A1 (ja) * 2010-02-19 2011-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1546929B1 (ko) * 2013-09-24 2015-08-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DE102017123154A1 (de) * 2017-10-05 2019-04-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und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CN108198926A (zh) * 2018-01-31 2018-06-22 南昌大学 一种薄膜型AlGaInP发光二极管芯片及其制备方法
DE102018111889A1 (de) * 2018-05-17 2019-11-2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Halbleiter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Halbleiterbauelements
US11245055B2 (en) * 2019-05-28 2022-02-08 Facebook Technologies, Llc LED arrays having a reduced pitch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8185A (en) * 1997-01-24 1999-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brid organic-inorganic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s
JP3130292B2 (ja) * 1997-10-14 2001-01-31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849862B2 (en) * 1997-11-18 2005-02-01 Technologies And Devices International, Inc. III-V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with an AlxByInzGa1-x-y-zN1-a-bPaAsb non-continuous quantum dot layer
JP3987660B2 (ja) * 1998-07-31 2007-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構造とその製法および発光素子
KR100648759B1 (ko) * 1998-09-10 2006-11-23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055503B2 (ja) * 2001-07-24 2008-03-0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TW515116B (en) * 2001-12-27 2002-12-21 South Epitaxy Corp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US20030160229A1 (en) * 2002-02-25 2003-08-28 Kopin Corporation Efficient light emitting diodes and lasers
TW200520266A (en) 2003-11-21 2005-06-16 Sanken Electric Co Ltd Semiconductor luminous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624416B1 (ko) 2003-12-23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립칩형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994287B2 (ja) * 2004-07-07 2007-10-17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JP5177638B2 (ja) * 2004-07-12 2013-04-03 三星電子株式会社 フリップチップ型窒化物系発光素子
JP2006086300A (ja) * 2004-09-15 2006-03-30 Sanken Electric Co Ltd 保護素子を有する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00500A (ja) * 2004-09-29 2006-04-13 Sanken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592388B2 (ja) * 2004-11-04 2010-12-01 シャープ株式会社 Iii−v族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38944B1 (ko) * 2005-01-26 2012-04-25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소자 및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0665120B1 (ko) * 2005-02-28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20060131327A (ko) * 2005-06-16 200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US8022432B2 (en) * 2005-08-19 2011-09-20 Lg Displa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conductive nanorods as transparent electrodes
JP2007184503A (ja) * 2006-01-10 2007-07-19 Mitsubishi Chemicals Corp 半導体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694395B2 (ja) * 2006-03-22 2011-06-08 日本オプネクスト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36623B1 (ko) * 2006-05-08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직형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501295B2 (en) * 2006-05-25 2009-03-10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Method of fabricating a reflective electrode for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5126875B2 (ja) * 2006-08-11 2013-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01005110A (zh) * 2007-01-12 2007-07-25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采用金属键合工艺实现氮化镓发光二极管垂直结构的方法
TW200834969A (en) * 2007-02-13 2008-08-16 Epistar Corp Light-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625827B2 (ja) * 2007-06-04 2011-02-0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7998B1 (en) 2016-10-26
US20110031472A1 (en) 2011-02-10
EP2257998A4 (en) 2014-12-31
CN102119449A (zh) 2011-07-06
EP2257998A1 (en) 2010-12-08
CN102119449B (zh) 2013-01-23
WO2009117849A1 (en) 2009-10-01
US7977663B2 (en) 2011-07-12
JP2011515859A (ja)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935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highly reflective ohmic contact in light-emitting devices
US8471269B2 (en)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roughened/reflective contact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US8552455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od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8049235B2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with bragg reflection layers and anti-reflection layers to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US20060186552A1 (en) High reflectivity p-contacts for group lll-nitride light emitting diodes
KR101007139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985067B2 (ja) 半導体発光素子
KR20200123126A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8283096A (ja) 半導体発光素子
JP5608589B2 (ja)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US7977663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with a highly reflective ohmic-electrode
TWI426626B (zh) 發光二極體、發光二極體燈及照明裝置
KR20120015733A (ko) 오믹 전극 구조체를 갖는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JP2011238744A (ja) 半導体発光素子及び発光装置
KR101534846B1 (ko) 수직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및 제조방법
KR100691264B1 (ko)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WO2015029727A1 (ja) 半導体発光素子
KR20090113349A (ko)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