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577A -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577A
KR20100135577A KR1020090054043A KR20090054043A KR20100135577A KR 20100135577 A KR20100135577 A KR 20100135577A KR 1020090054043 A KR1020090054043 A KR 1020090054043A KR 20090054043 A KR20090054043 A KR 20090054043A KR 20100135577 A KR20100135577 A KR 20100135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methoxycurcumin
bisdimethoxycurcumin
suitable amount
bisdemethoxycurcu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정
한종섭
이천구
김영식
장세현
신은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90054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577A/ko
Publication of KR20100135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5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 저해능이 우수한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디메톡시커큐민, 비스디메톡시커큐민, 콜라겐 분해효소, 주름 개선, 화장료

Description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for containing demethoxycurcumin or bisdemethoxycurcumin}
본 발명은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 저해능이 우수한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의 간질에 존재하고 생체 단백질 총중량의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et al. 1990). 이러한 콜라겐은 고령화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 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일반적으로 80세에서는 20세에 비해 60% 정도 감소하며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러한 현상은 피부의 주름 형성에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1989). 주름은 피부의 진피에서 콜라겐 합성능이 저하되거나 콜라겐 분해의 증진에 의해 콜라겐의 양이 감소함으로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주름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거나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자외선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각질세포(Keratinocyte)로부터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와 같은 싸이토카인의 분비가 크게 증가하고 TNF-α의 작용으로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콜라겐 분해효소(Matrix Metallo Proteinase, MMP-1) 발현량이 증가하여 이들에 의해 진피층의 콜라겐 분해가 증가함에 따라(Fisher et al. 1996) 주름 발생으로 이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MMP는 다형핵성호중구(Polymorphonuclear neutrophile), 대식세포(Macrophage), 섬유아세포(fibroblast) 등과 같은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아연 의존성 엔도펩티다제(zinc-dependent endopeptidase)로서 중성 pH에서 작용하며 기질선택성과 구조 유사성에 의해 콜라겐분해효소(collagenases), 젤라틴분해효소(gelatinases), 스트로멜리신(stromelysins), 매트릴라이신(matrilysins), 막-타입 MMP(membrane-type MMP) 등으로 나누어진다. 주로 피부에서는 MMP-1, MMP-2, MMP-9 이외에 여러가지 효소 등이 작용을 하는데 콜라겐 분해와 관련된 가장 근본적인 효소는 MMP-1이다.
따라서, MMP-1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활성을 저해함으로서 생성된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여 근본적으로 주름 형성을 막을 수 있으며 아울러 생체에 안전한 새 로운 피부외용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 저해능이 우수한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독성이 없고 안정성이 좋으며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뛰어난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000001-10.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0.0001-1.0중량%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로션, 에센스, 젤, 연고, 폼,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또는 선오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킬레이트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C20H18O5, 1-(4-hydroxy-3-methoxyphenyl)-7-(4-hydroxyphenyl)-1,6-heptandiene-3,5-dione))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 C19H16O4, 1,7-Bis-(4-hydroxyphenyl)-1,6-heptandiene-3,5-dione))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09036735221-PAT00001
Figure 112009036735221-PAT00002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디메톡시커큐민과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은 울금(Curcuma aromatica) 또는 강황(Curcuma longa)으로부터 분리된 유기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디메톡시커큐민과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은 각각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울금 또는 강황으로부터 추출분리 후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메톡시커큐민과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이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 우수한 콜라겐 분해효소(MMP-1)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한 피부외용 연고나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Sequoia Research Products Limited, UK, Cat. No. SRP01375d)과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 Sequoia Research Products Limited, UK, Cat. No. SRP02036b)을 구입하여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매우 강력한 콜라겐 분해효소(MMP-1)의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연고나 로션과 같은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포 수준에서나 피부 도포시 어떠한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아 디메톡시커큐민과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이 안전하고 효과면에서 매우 뛰어난 주름개선제임을 알 수 있었다.
피부 외용 연고나 화장료 제조시에 함유되는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 톡시커큐민의 함량은 건조 중량으로 0.000001-10.0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0.0001-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함량이 0.00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형으로는 전신용 또는, 얼굴, 손 또는 발 등을 위한 부분용 크림, 로션, 에센스, 젤, 연고, 폼,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또는 선오일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킬레이트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색소, 향료 등의 통상적인 피부 외용제 성분에 포함되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 저해능이 우수한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독성이 없고 안정성이 좋으며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뛰어난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메톡시커큐민 및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의 섬유아세포에서의 MMP-1 발현 억제
시판되는 디메톡시커큐민(Sequoia Research Products Limited, UK, Cat. No. SRP01375d)과 비스디메톡시커큐민(Sequoia Research Products Limited, UK, Cat. No. SRP02036b)을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각각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 조건으로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농도별로 각각 배지에 첨가하여 24시간 전처리한 후 TNF-α(10ng/ml)와 시험물질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사용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ELISA kit(RayBio® human MMP-1 ELISA kit)를 사용하여 항-인간 MMP-1이 코팅되어있는 96-웰 플레이트와 배지를 4℃에서 반응시킨 뒤 차례로 MMP-1 항체, HRP-스트렙토아비딘(HRP-Streptavidin)을 반응시키고 테트라메틸벤지딘(tetramethylbenzidine)을 통해 발색시켜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을 구하고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MMP-1 생성 억제율을 계산한 다음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디메톡시커큐민 및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의 섬유아세포에서의 MMP-1발현 억제 효과
시   료 MMP-1양(Abs450nm) 발현억제율(%)
대조군(무첨가) 0.302±0.045 -
TNF-α(10ng/ml) 첨가 0.350±0.038  
TNF-α(10ng/ml) +
디메톡시커큐민 (최종농도 0.0005중량%)
0.321±0.033 8.28%
TNF-α(10ng/ml) +
디메톡시커큐민 (최종농도 0.001중량%)
0.281±0.042 19.71%
TNF-α(10ng/ml) +
디메톡시커큐민 (최종농도 0.005중량%)
0.237±0.038 32.29%
TNF-α(10ng/ml) +
디메톡시커큐민 (최종농도 0.01중량%)
0.201±0.050 42.57%
TNF-α(10ng/ml) +
비스디메톡시커큐민 (최종농도 0.0005중량%)
0.296±0.048 15.43%
TNF-α(10ng/ml) +
비스디메톡시커큐민 (최종농도 0.001중량%)
0.251±0.051 28.29%
TNF-α(10ng/ml) +
비스디메톡시커큐민 (최종농도 0.005중량%)
0.207±0.064 40.86%
TNF-α(10ng/ml) +
비스디메톡시커큐민 (최종농도 0.01중량%)
0.145±0.054 58.57%
 TNF-α(10ng/ml) +
레스베라트롤(최종농도0.001중량% )
0.257±0.045 26.57%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디메톡시커큐민과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은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세포)에 대해 0.01중량% 농도 이상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매우 강력한 MMP-1의 발현 억제능을 가지고 있어, 피부 주름 개선제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예(제형예)를 제시하나, 하기 처방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은 아니다.
제조예 1, 1-1 및 비교예 1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연고 제형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조성물 제조예1
(중량%)
제조예1-1
(중량%)
비교예 1
-디메톡시커큐민
-비스디메톡시커큐민
-디에틸 세바케이트
-경납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벤조산 나트륨
-바셀린
3.0
-
8
5
6
 
적량
to 100
-
3.0
8
5
6
 
적량
to 100
-
-
8
5
6
 
적량
to 100
제조예 2, 2-1 및 비교예 2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크림 제형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조성물 제조예2(중량%) 제조예2-1(중량%) 비교예 2
-디메톡시커큐민 
-비스디메톡시커큐민
-스테아린산
-세탄올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
-향
-정제수
0.5
-
15.0
1.0
0.7
5.0
3.0
적량
적량
to 100
-
0.5
15.0
1.0
0.7
5.0
3.0
적량
적량
to 100
-
-
15.0
1.0
0.7
5.0
3.0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3, 3-1 및 비교예 3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 제형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조성물 제조예3(중량%) 제조예3-1(중량%) 비교예3
-디메톡시커큐민 
-비스디메톡시커큐민
-에탄올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향
-색소
-정제수
0.05
-
10.0
1.0
0.2
5.0
 6.0
적량
적량
to 100
-
0.05
10.0
1.0
0.2
5.0
 6.0
적량
적량
to 100
-
-
10.0
1.0
0.2
5.0
6.0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4, 4-1 및 비교예 4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 제형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조성물 제조예4(중량%) 제조예4-1(중량%) 비교예4
-디메톡시커큐민
-비스디메톡시커큐민
-와셀린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수산환칼륨
-색소
-향
-정제수
0.1
-
2.0
0.8
1.2
적량
5.0
3.2
18.0
0.1
적량
적량
to 100
-
0.1
2.0
0.8
1.2
적량
5.0
3.2
18.0
0.1
적량
적량
to 100
-
-
 2.0
 0.8
 1.2
적량
 5.0
 3.2
 18.0
 0.1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5, 5-1 및 비교예 5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팩 제형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조성물 제조예5(중량%) 제조예5-1(중량%) 비교예5
-디메톡시커큐민
-비스디메톡시커큐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칠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향
-색소
-정제수
0.01
-
5.0
4.0
15.0
8.0
1.0
0.2
적량
적량
to 100
-
0.01
5.0
4.0
15.0
8.0
1.0
0.2
적량
적량
to 100
-
-
5.0
4.0
15.0
8.0
1.0
0.2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6, 6-1 및 비교예 6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에셋스 제형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조성물 제조예6(중량%) 제조예6-1(중량%) 비교예6
-디메톡시커큐민 
-비스디메톡시커큐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향
-정제수
1.0
-
10.0
10.0
 5.0
 5.0
 1.0
 0.1
적량
to 100
-
1.0
10.0
10.0
 5.0
 5.0
 1.0
 0.1
적량
to 100
-
-
10.0
10.0
5.0
5.0
1.0
0.1
적량
to 100
실시예 2: 패널테스트를 통한 화장료 크림의 주름개선효과 시험
상기 제조예 2, 2-1과 비교예 2의 화장료 크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패널테스트를 실시하였다.
35세에서 50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45명을 15명씩 3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비교예 2의 크림을, 2군은 제조예 2의 크림을, 3군은 제조예2-1의 크림을 안면부에 1일 2회 3개월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피부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피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 주름개선 효과 (설문조사)
시   료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비교예 2 8 6 1
제조예 2 2 7 6
제조예 2-1 1 8 6
또한, 상기한 피부 주름 개선 시험 과정에서 화장료 크림을 도포한 후, 피부 자극이나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하는 제조예 2 및 제조예 2-1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 저해능이 우수한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독성이 없고 안정성이 좋으며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뛰어난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36735221-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9036735221-PAT000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000001-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00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크림, 로션, 에센스, 젤, 연고, 폼,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또는 선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킬레이트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54043A 2009-06-17 2009-06-17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5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43A KR20100135577A (ko) 2009-06-17 2009-06-17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43A KR20100135577A (ko) 2009-06-17 2009-06-17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77A true KR20100135577A (ko) 2010-12-27

Family

ID=4351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043A KR20100135577A (ko) 2009-06-17 2009-06-17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5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8731B2 (en) 2012-06-29 2014-06-2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Skin lightening by topical application of 1-hydroxyl 3,5-bis(4′hydroxyl styryl)benzene
US8846013B2 (en) 2012-06-29 2014-09-3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Topical application of 1-hydroxyl-3,5-BIS(4′hydroxy styryl)benzene
CN104822364A (zh) * 2012-06-29 2015-08-05 强生消费者公司 包含取代的苯酚的组合物及其局部施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8731B2 (en) 2012-06-29 2014-06-2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Skin lightening by topical application of 1-hydroxyl 3,5-bis(4′hydroxyl styryl)benzene
US8846013B2 (en) 2012-06-29 2014-09-3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Topical application of 1-hydroxyl-3,5-BIS(4′hydroxy styryl)benzene
CN104822364A (zh) * 2012-06-29 2015-08-05 强生消费者公司 包含取代的苯酚的组合物及其局部施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58B1 (ko)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135577A (ko) 디메톡시커큐민 또는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9536A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37308B1 (ko)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WO2015012652A1 (ko) 아트락틸레노라이드 ⅲ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027213A (ko) 살비아놀산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8954B1 (ko) 앗싸이 베리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약학조성물 및 앗싸이 베리의 발효방법
KR20170040859A (ko) 고염 미생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30526A (ko)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KR20180108254A (ko) 파리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5550A (ko) 동물성 알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121397A (ko) 피부자극 완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천문동 추출물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1663A (ko) 디하이드로에보디아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547975B (zh) 包含表松脂酚的化妆材料组合物
KR102184154B1 (ko)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24276B1 (ko) N-니코티노일-가바를 함유한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00040107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98927B1 (ko)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나트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0830A (ko) 에스큘레틴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60034471A (ko) 치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85491B1 (ko) 로케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및 피부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2215170B1 (ko)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