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964A -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964A
KR20100134964A KR1020090053344A KR20090053344A KR20100134964A KR 20100134964 A KR20100134964 A KR 20100134964A KR 1020090053344 A KR1020090053344 A KR 1020090053344A KR 20090053344 A KR20090053344 A KR 20090053344A KR 20100134964 A KR20100134964 A KR 2010013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coupling groove
diet
groov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716B1 (ko
Inventor
박해수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박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박해수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716B1/ko
Priority to JP2011514492A priority patent/JP2011524234A/ja
Priority to CN2009801318216A priority patent/CN102123622B/zh
Priority to DE112009001480T priority patent/DE112009001480T5/de
Priority to US12/999,571 priority patent/US20110138659A1/en
Priority to PCT/KR2009/003244 priority patent/WO2009154399A2/ko
Publication of KR2010013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1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bined with heel stiffener, toe stiffener, or shank stiffen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9/00Shoe-shaped inserts; Inserts covering the instep
    • A43B19/005Weighted inserts for shoes, i.e. insert comprising an additional we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일측에 결함홈이 함몰 형성된 밑창; 및 결합홈에 형상 결합되고, 밑창 보다 상대적으로 고밀도 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구현한바, 신발의 전방부를 후방부 보다 무겁게 하여 보행시 유각기 동안 다리로 아령을 드는 듯한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밑창의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옮겨지게 하여, 지지하는 동안 굴림을 원활하게 하여 운동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지면반력 중심점이 발의 중심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상적인 지면반력 중심점의 이동궤적을 나타내게 되어 발과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의 내외 균형을 조절하기 때문에 오(O)자형 무릎 또는 엑스(X)자형 무릎을 ""II""자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이어트, 밑창, 결합부재, 고밀도, 무릎관절, 교정, 신발

Description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Soles for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and Shoes Therefor}
본 발명은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시 다리로 아령을 드는 듯한 운동 효과 및 무릎관절 교정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보행은 입각기 및 유각기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입각기는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정상 보행 주기의 약 60%를 차지한다. 입각기는 발뒤꿈치 닿기, 발바닥 닿기, 입각 중기, 입각 말기 및 발끝 떼기의 5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뒤꿈치 닿기는 입각기의 초기 단계로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동작이다. 이때, 고관절(엉덩이 관절)이 구부려지고 슬관절(무릎관절)이 펴지며, 발목관절은 발등을 약간 위쪽으로 끌어당긴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반대쪽 발은 입각 말기 상태이다. 즉, 동시 입각기이다.
입각기의 두 번째 단계인 발바닥 닿기는 발뒤꿈치가 땅에 닿은 후 바로 이어지는 단계이다. 이때, 체중은 전방에 배치된 하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체중이 과도하게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슬관절은 전방으로 이동된 체중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약간 구부린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발목관절은 아래쪽으로 펴는 동작을 수행하고, 반대쪽 발은 발끝 떼기 동작을 수행한다.
입각기의 세 번째 단계인 입각 중기는 신체의 무게 중심이 발바닥의 중심을 지나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체중을 한쪽 발로 지지하게 되고, 고관절은 구부려진 상태에서 펴지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때, 발목관절은 발등을 위쪽으로 끌어 올리는 동작을 수행하고, 반대쪽 발은 유각 중기 동작을 수행한다.
입각기의 네 번째 단계인 입각 말기에는 고관절과 슬관절이 점차로 펴지는 상태를 유지하고, 발목 관절은 점차 발등을 아래로 쭉 펴면서 신체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반대쪽 발은 유각기의 감속기 상태로 발 뒤꿈치 닿기를 준비한다.
입각기의 마지막 단계인 발끝 떼기는 발가락 끝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발뒤꿈치 닿기와 마찬가지로 동시 입각기이다. 이때, 고관절과 슬관절은 점차적으로 구부려지고, 발목관절은 발등이 아래쪽으로 쭉 펴지는 동작을 수행하다. 그리고 반대쪽 발은 발바닥 닿기를 수행한다.
그리고 유각기는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앞으로 나아가는 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정상 보행 주기의 약 40%를 차지한다. 유각기는 가속기, 유각 중기 및 감속기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속기는 발끝이 떨어진 이후 발이 공중에서 스윙하는 동작으로 점차적으로 스윙속도가 증가하고, 고관절과 슬관절은 굴곡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발목관절은 단순히 발등을 위쪽으로 끌어당기는 동작 (배측굴 곡)을 수행하며, 반대쪽 발은 입각 중기의 초기 단계에 있다.
유각기의 두 번째 단계인 유각 중기는 가속기의 마지막 단계이자 감속기의 초기단계이다. 고관절과 슬관절이 신체의 중심선을 지나면서 점차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펴지는 동작으로 바뀐다. 이때, 발목관절은 가속기의 상태인 발등을 위쪽으로 끌어당기는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쪽 발은 입각 중기의 마지막 단계에 있다.
유각기의 마지막 단계인 감속기는 발 뒤꿈치가 지면과 닿을 준비를 하는 단계이다. 이때, 고관절은 약간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슬관절은 완전히 펴진 상태가 되고, 발목관절은 발등이 위쪽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반대쪽 발은 입각 말기 상태에 있게 된다.
사람의 보행은 무게 중심을 몸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사람은 이동할 대 신체 일부분의 무게를 자신의 앞에 두어 무게 중심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하고 보행한다.
보행 시 신체의 일부분을 자신의 무게 중심 앞에 둘 때 다리를 들어올리고 상체는 꼿꼿이 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보행 속도가 빠르거나, 하지의 근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머리를 앞에 내놓게 된다. 머리가 앞으로 나오면 자연스럽게 등이 굽게 되어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뒷굽이 높은 신발을 사용할수록 더 가중된다. 그 이유는 굽이 높은 신발은 이미 무게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켜 불안정한 자세를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체는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보행자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엉덩이는 뒤로 빼는 불안정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그리하여 인체 는 상체 및 하체로 분리된 두 개의 중심을 가지게 된다. 하나는 엉덩이 관절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선이고, 다른 하나는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중심선이다. 이렇게 되면 허리에 오는 충격이 심해져 요통을 유발할 수 있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는 해결이 되었으나, 오히려 스트레스, 성인병 및 비만 등 건강에 관한 문제가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한편, 최근에는 웰빙(Well-being) 시대가 도래되어 전국민 차원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운동, 자세교정, 다이어트 등에 대한 관심은 이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 사이에서도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발맞추어 소위 살 빼는 신발이 발명되었으며, 뒷굽을 없앤 이 신발을 신으면 자연스럽게 발의 중심이 발끝으로 이동하여 까치발식 걸음을 걷게 되므로, 복부와 다리에 힘을 쏟도록 하여 종아리 부분의 근육과 대퇴근이 반복적으로 이완되기 때문에 근력과 지구력을 향상시켜 다이어트 효과를 얻도록 설계된 신발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발들은 일상적인 보행시에도 마라톤이나 구보를 하는 것과 같이 발의 앞꿈치 부분에 체중이 집중되어 소위 까치발로 서는 것과 같은 신체자세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세 교정의 효과는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운동 효과가 미미하여 다이어트에 큰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행시 다리로 아령을 드는 듯한 운동 효과 및 무릎관절 교정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 일측에 결함홈이 함몰 형성된 밑창; 및 결합홈에 형상 결합되고, 밑창 보다 상대적으로 고밀도 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밑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은 밑창의 발가락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결합홈은 복수개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결합홈은 밑창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가락 영역과 중심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발가락 영역의 결합홈과 중심영역의 결합홈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이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때, 밑창의 발가락 영역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은 밑창의 길이 방향 전방 0% 내지 40%의 범위 내에 형성되고, 밑창의 중심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은 밑창의 길이 방향 전방 41% 내지 80%의 범위 내에 형성된다.
또한, 결합홈의 경사면은 내측으로부터 상향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결합홈의 경사면은 내측으로부터 하향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밑창의 상부에 깔창이 더 구비되고, 결합부재와 깔창은 일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밑창은 후방부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후방부의 하부 일측에 하부 홈이 형성된다.
다른 카테고리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다이어트용 밑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의 전방부를 후방부 보다 무겁게 하여 보행시 유각기 동안 다리로 아령을 드는 듯한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밑창의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옮겨지게 하여, 지지하는 동안 굴림을 원활하게 하여 운동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지면반력 중심점이 발의 중심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상적인 지면반력 중심점의 이동궤적을 나타내게 되어 발과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의 내외 균형을 조절하기 때문에 오(O)자형 무릎 또는 엑스(X)자형 무릎을 ""II""자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신발의 밑창은 깔창(인솔), 중창(미드솔) 및 겉창(아웃솔)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100)은 깔창(300), 중창 및 겉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다이어트용 밑창의 구성>
(제 1 실시예)
도 1은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사시도, 도 2는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은 신발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 복수의 결합홈(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밑창(100)의 재질은 외부의 충격 및 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ene Vinyle Acetate), 폴리우레탄(PU : PolyUrethane) 또는 클로로프렌 고무(CR : Cholroprene Rubber, 네오프렌(Neoprene))를 사용한다.
밑창(10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은 착용자의 운동효과를 향상시키고, 밑창(100)의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밑창(100)의 발가락 영역 일측 또는 발가락 영역 및 중심 영역 일측에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밑창(100)의 발가락 영역에 형성된 결합홈(110)을 전방 결합홈(111), 밑창(100)의 중심 영역에 형성된 결합홈(110)을 중심 결합홈(112)이라 명명한다. 전방 결합홈(111)은 밑창(100)의 길이 방향의 전방 0% 내지 40% 범위 내에 형성되고, 중심 결합홈(112)은 밑창(100)의 길이 방향 전방 41% 내지 80% 범위 내에 형성된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이다. 전방 결합홈(111) 및 중심 결합홈(112) 중 적어도 하나는 "O"자형 무릎 또는 "X"자형 무릎을 "II"자로 교정하기 위해 폭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의 결합홈(110) 중 전방 결합홈(111)은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고, 중심 결합홈(112)은 내측의 높이(h1)가 외측의 높이(h2) 보다 두껍게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상향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전방 결합홈(111) 및 중심 결합홈(112)은 착용자의 운동효과를 증대하고, 특히, 중심 결합홈(112)은 밑창(100)의 무게 중심이 과도하게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일측이 타측 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측의 높이(h1)와 외측의 높이(h2), 전방의 높이와 후방의 높이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착용자가 원하는 운동효과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때, 교정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전방 결합홈(111)에도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상향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10)에 형상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결합홈(110)의 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방 결합홈(111)에 삽입되는 결합부재(200)를 전방 결합부재(201), 중심 결합홈(112)에 삽입되는 결합부재(200)를 중심 결합부재(202)라 명명한다. 전방 결합부 재(201) 및 중심 결합부재(202)는 밑창(100)의 일측 부분에 형성된 전방 결합홈(111) 및 중심 결합홈(112)에 삽입되어 밑창(100)의 무게를 무겁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비중(高比重) 폴리 우레탄 또는 고비중 고무 등과 같이 밑창(100)의 재질보다 무게가 무거운 고밀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구성과 같이 밑창(100)의 발가락 영역 및 중심 영역에 각각 형성된 전방 결합홈(111) 및 중심 결합홈(112)에 밑창(100)보다 무거운 재질의 전방 결합부재(201) 및 중심 결합부재(202)를 결합하여 밑창(100)의 전방부를 후방부 보다 무겁게 형성하면 신발의 무게중심이 일정 간격 전방으로 옮겨진 무게 중심을 갖게 된다. 이렇게 전방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지게 되면 착용자가 보행시 앞쪽으로 쏠림이 커져 앞 굴림이 더 원활해지고, 유각기 동안 다리로 아령을 드는 듯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방 결합홈(111)과 전방 결합부재(201) 및 중심 결합홈(112)과 중심 결합부재(202) 중 적어도 한쌍을 폭 방향으로 내측과 외측 중 어느 일측을 나머지 타측 보다 무겁게 함으로써 "O"자형 무릎 또는 "X"자형 무릎을 교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결합홈(112) 및 중심 결합부재(202)의 폭 방향 내측의 두께(h1)를 외측의 두께(h2)보다 두껍게 형성하기 위하여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상향 경사면을 형성한다. 내측이 외측 보다 무겁게 형성되면 보행시 외반(Eversion)과 외전운동(Adbuctiob)을 유도하게 되어 "O"자형 무릎이 교정된다.
도 7은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용을 위해 중심 결합홈(112) 및 중심 결합부재(202)의 폭방향 외측을 내측보다 두껍게 형성하기 위하여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하향 경사면을 형성한다. 외측이 내측보다 무겁게 형성되면 보행시 내반(Inversion)과 내전운동(Adduction)을 유도하게 되어 "X"자형 무릎이 교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교정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전방 결합홈(111)에도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하향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D-D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밑창(100)의 전방부를 후방부 보다 더 무겁게 하기 위하여 후방부 일측에 하부홈(12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후방부에 하부 홈을 형성함으로써, 전방부와 후방부의 무게 차이를 증가시켜 착용자의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8은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E-E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 및 결합부재(200)의 상부에 깔창(300)이 더 구비된다. 이때, 밑창(100)과 결합부재(200)는 전체적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결합부재(200)는 깔창(300)의 하부에 밑창(100)에 형성된 전방 결합홈(111) 및 중심 결 합홈(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깔창(300)과 일체로 형성되어 밑창(1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0은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과 결합부재(200)는 전체적으로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결합홈(110)이 밑창(100)의 저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제 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200)는 밑창(100)의 저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각종 접착제나 제봉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때, 결합홈(110)의 형상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과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에 맞추어 폭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면이 결합홈(110)의 폭방향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제 4 실시예)
도 11은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은 미드솔(102)와 아웃솔(104)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홈(110)은 미드솔(102)의 저면에 형성되고, 결합부재(200)는 미드솔(102)와 아웃솔(104)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홈(110)에 삽입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결합부재(200)는 아웃솔(104)의 상부에 미드솔(102)의 저면에 형성된 전방 결합홈(111) 및 중심 결합홈(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10)의 형성 위치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밑창의 발가락 영역, 중심 영역 또는 뒷꿈치 영역 등 어느 곳에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홈(110)의 형성 개수 역시 제한적이지 않으며 착용자의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이어트용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구성>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갑피(400)를 구비한 신발(10)의 하부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을 각종 접착제나 제봉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러한 전방이 후방보다 무거운 신발(10)을 신고 보행함으로써 발로 아령을 드는듯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신발(10)의 내측과 외측의 무게 차이로 인해 별도의 시술 없이도 "O"자형 무릎 또는 "X"자형 무릎을 "II"자형으로 교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사시도,
도 2는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
도 6은 도 2의 D-D 단면도,
도 7은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분해사시도,
도 8은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E-E 단면도,
도 10은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단면도,
도 11은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화를 위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 100 : 밑창
102 : 미드솔 104 : 아웃솔
110 : 결합홈 111 : 전방 결합홈
112 : 중심 결합홈 120 : 하부홈
200 : 결합부재 201 : 전방 결합부재
202 : 중심 결합부재 300 : 깔창
400 : 갑피

Claims (11)

  1.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 결함홈(110)이 함몰 형성된 밑창(100); 및
    상기 결합홈(110)에 형상 결합되고, 상기 밑창(100) 보다 상대적으로 고밀도 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밑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밑창(100)의 발가락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밑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은 복수개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밑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밑창(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가락 영역과 중심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발가락 영역의 결합홈(111)과 상기 중심영역의 결합홈(112)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밑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의 발가락 영역 일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11)은 밑창(100)의 길이 방향 전방 0% 내지 40%의 범위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밑창(100)의 중심 일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12)은 밑창(100)의 길이 방향 전방 41% 내지 80%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밑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의 경사면은 내측으로부터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신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의 경사면은 내측으로부터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신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밑창(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밑창(100)의 상부에 깔창(3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200)와 상기 깔창(300)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밑창.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밑창(100)의 미드솔(102)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밑창(100)의 아웃솔(104)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 밑창.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은 후방부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후방부의 하부 일측에 하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밑창.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이어트용 밑창(1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090053344A 2008-06-17 2009-06-16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138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344A KR101138716B1 (ko) 2009-06-16 2009-06-16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JP2011514492A JP2011524234A (ja) 2008-06-17 2009-06-17 ダイエット靴底及びこれを備えた履物
CN2009801318216A CN102123622B (zh) 2008-06-17 2009-06-17 用于减肥的鞋底及具有这种鞋底的鞋
DE112009001480T DE112009001480T5 (de) 2008-06-17 2009-06-17 Sohle zur Gewichtsreduzierung und Schuh mit derselben Sohle
US12/999,571 US20110138659A1 (en) 2008-06-17 2009-06-17 Shoe Sole for Losing Weight and Shoe Having the Same
PCT/KR2009/003244 WO2009154399A2 (ko) 2008-06-17 2009-06-17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344A KR101138716B1 (ko) 2009-06-16 2009-06-16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964A true KR20100134964A (ko) 2010-12-24
KR101138716B1 KR101138716B1 (ko) 2012-04-27

Family

ID=4350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344A KR101138716B1 (ko) 2008-06-17 2009-06-16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7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3205U (ko) 1980-01-07 1981-08-13
JPH10165203A (ja) * 1996-12-06 1998-06-23 Shigeki Shimizu
KR200337819Y1 (ko) * 2003-06-04 2004-01-07 장용선 다이어트운동화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716B1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12292A1 (en) Sole for a shoe and related methods
US20130291404A1 (en) Recovery shoe
JPH07298903A (ja) 靴の底
US20110138659A1 (en) Shoe Sole for Losing Weight and Shoe Having the Same
KR101773939B1 (ko) 충격 완화 기능을 구비하는 신발밑창
CN104366896A (zh) 一种基于生物力学的童鞋鞋底
KR101032640B1 (ko) 편심중량 밑창을 갖는 하지정렬교정 및 다이어트 겸용 신발
CN111093415A (zh) 鞋的外底
US20120000093A1 (en) Perfect Gait Shoe
CN204812332U (zh) 具有锻炼足尖足跟及平衡能力的多功能休闲鞋
KR101138716B1 (ko)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0984270B1 (ko) 전방이나 내측 또는 외측이 무거운 셀프워킹형 다이어트신발
KR101033663B1 (ko)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957213B1 (ko)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KR100639503B1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JP2007244521A (ja) インソールおよび靴
KR102540003B1 (ko)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JP2005169053A (ja) 履物
KR10109176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JP3181436U (ja) ハイヒール
JP3224134U (ja) 履物
KR10095777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JP3211541U (ja) 履物
JP4486069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