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003B1 -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 Google Patents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003B1
KR102540003B1 KR1020220141488A KR20220141488A KR102540003B1 KR 102540003 B1 KR102540003 B1 KR 102540003B1 KR 1020220141488 A KR1020220141488 A KR 1020220141488A KR 20220141488 A KR20220141488 A KR 20220141488A KR 102540003 B1 KR102540003 B1 KR 102540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cket
outsole
heel
forefoot
mid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장표
Original Assignee
홍장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장표 filed Critical 홍장표
Priority to KR102022014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웃솔의 바닥면중 앞꿈치와 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앞꿈치와 뒷꿈치가 정위치로 안착되도록 하고, 미드솔에 앞꿈치와 뒷꿈치 및 아치를 받쳐주는 에어 포켓을 상면으로 돌출 형성하여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보행 자세를 교정하도록 하는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SOLE FOR CORRECTING WALKING POSTURE WITH AIR POCKET}
본 발명은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웃솔의 바닥면중 앞꿈치와 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앞꿈치와 뒷꿈치가 정위치로 안착되도록 하고, 미드솔에 앞꿈치와 뒷꿈치 및 아치를 받쳐주는 에어 포켓을 상면으로 돌출 형성하여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보행 자세를 교정하도록 하는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보행은 입각기 및 유각기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입각기는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정상 보행 주기의 약 60%를 차지한다. 입각기는 발뒤꿈치 닿기, 발바닥 닿기, 입각 중기, 입각 말기 및 발끝 떼기의 5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뒤꿈치 닿기는 입각기의 초기 단계로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동작이다. 이때, 고관절(엉덩이 관절)이 구부려지고 슬관절(무릎관절)이 펴지며, 발목관절은 발등을 약간 위쪽으로 끌어당긴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반대쪽 발은 입각 말기 상태이다. 즉, 동시 입각기이다.
입각기의 두 번째 단계인 발바닥 닿기는 발뒤꿈치가 땅에 닿은 후 바로 이어지는 단계이다. 이때, 체중은 전방에 배치된 하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체중이 과도하게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슬관절은 전방으로 이동된 체중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약간 구부린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발목관절은 아래쪽으로 펴는 동작을 수행하고, 반대쪽 발은 발끝 떼기 동작을 수행한다.
입각기의 세 번째 단계인 입각 중기는 신체의 무게 중심이 발바닥의 중심을 지나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체중을 한쪽 발로 지지하게 되고, 고관절은 구부려진 상태에서 펴지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때, 발목관절은 발등을 위쪽으로 끌어 올리는 동작을 수행하고, 반대쪽 발은 유각 중기 동작을 수행한다.
입각기의 네 번째 단계인 입각 말기에는 고관절과 슬관절이 점차로 펴지는 상태를 유지하고, 발목 관절은 점차 발등을 아래로 쭉 펴면서 신체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반대쪽 발은 유각기의 감속기 상태로 발 뒤꿈치 닿기를 준비한다.
입각기의 마지막 단계인 발끝 떼기는 발가락 끝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발뒤꿈치 닿기와 마찬가지로 동시 입각기이다. 이때, 고관절과 슬관절은 점차적으로 구부려지고, 발목관절은 발등이 아래쪽으로 쭉펴지는 동작을 수행하다. 그리고 반대쪽 발은 발바닥 닿기를 수행한다.
그리고 유각기는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앞으로 나아가는 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정상 보행 주기의 약 40%를 차지한다. 유각기는 가속기, 유각 중기 및 감속기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속기는 발끝이 떨어진 이후 발이 공중에서 스윙하는 동작으로 점차적으로 스윙속도가 증가하고, 고관절과 슬관절은 굴곡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발목관절은 단순히 발등을 위쪽으로 끌어당기는 동작(배측굴곡)을 수행하며, 반대쪽 발은 입각 중기의 초기 단계에 있다.
유각기의 두 번째 단계인 유각 중기는 가속기의 마지막 단계이자 감속기의 초기단계이다. 고관절과 슬관절이 신체의 중심선을 지나면서 점차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펴지는 동작으로 바뀐다. 이때, 발목관절은 가속기의 상태인 발등을 위쪽으로 끌어당기는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쪽 발은 입각 중기의 마지막 단계에 있다.
유각기의 마지막 단계인 감속기는 발 뒤꿈치가 지면과 닿을 준비를 하는 단계이다. 이때, 고관절은 약간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슬관절은 완전히 펴진 상태가 되고, 발목관절은 발등이 위쪽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반대쪽 발은 입각 말기 상태에 있게 된다.
사람의 보행은 무게 중심을 몸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사람은 이동할 대 신체 일부분의 무게를 자신의 앞에 두어 무게 중심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하고 보행한다.
보행 시 신체의 일부분을 자신의 무게 중심 앞에 둘 때 다리를 들어 올리고 상체는 꼿꼿이 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보행 속도가 빠르거나, 하지의 근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머리를 앞에 내놓게 된다.
머리가 앞으로 나오면 자연스럽게 등이 굽게 되어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뒷굽이 높은 신발을 사용할수록 더 가중된다. 그 이유는 굽이 높은 신발은 이미 무게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켜 불안정한 자세를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체는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보행자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엉덩이는 뒤로 빼는 불안정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그리하여 인체는 상체 및 하체로 분리된 두 개의 중심을 가지게 된다. 하나는 엉덩이 관절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선이고, 다른 하나는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중심선이다. 이렇게 되면 허리에 오는 충격이 심해져 요통을 유발할 수 있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는 해결이 되었으나, 오히려 스트레스, 성인병 및 비만 등 건강에 관한 문제가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한편, 최근에는 웰빙(Wellbeing) 시대가 도래되어 전국민 차원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운동, 자세교정, 다이어트 등에 대한 관심은 이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 사이에서도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발맞추어 보행 자세를 교정하고,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는 신발창이 개발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5383호(교정신발용 밑창), 제10-1600973호(신발창) 등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교정신발용 밑창은 신발 밑창의 내, 외측에 각각 수축 및 복원력이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연질의 쿠션부재와 경질의 지지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도록 하되, 무릎관절에 비해 하지가 외측으로 휘어진 외반슬 증상이 있는 경우 발바닥이 내측으로 모아 질 수 있도록 밑창의 내측에는 연질의 쿠션부재가, 외측에는 경질의 지지부재가 구비되도록 하고, 무릎관절에 비해 하지가 내측으로 휘어진 내반슬 증상이 있는 경우 발바닥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밑창의 내측에는 경질의 지지부재가, 외측에는 연질의 쿠션부재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외반슬과 내반슬 증상이 교정될 수 있고, 아울러 바른 자세와 걸음걸이가 유도됨은 물론 우수한 착용감이 제공되는 교정신발용 밑창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발창은 양발이 서로 대향되는 외측이 내측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며, 제1,2 충격 완충 수단이 각각 내재되는 밑창과, 그 밑창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1, 2 충격 완충 부재와 밑창의 상부에 적층되는 중창 및 중창의 상부에 적층되는 깔창을 통하여 지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 하여 착용자의 관절을 보호하며, 착용자의 오다리와 같은 관절의 잘못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발창은 아웃솔 상면에 홈을 형성하고, 홈에 패드, 스프링과 같은 쿠션재를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인 데, 쿠션재가 직접적으로 충격을 모두 받기 때문에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53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9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웃솔의 바닥면중 앞꿈치와 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앞꿈치와 뒷꿈치가 정위치로 안착되도록 하고, 미드솔에 앞꿈치와 뒷꿈치 및 아치를 받쳐주는 에어 포켓을 상면으로 돌출 형성하여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보행 자세를 교정하도록 하는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드솔의 에어 포켓 내부에 우레탄 재질의 쿠션재를 삽입하여 에어 포켓의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앞꿈치 부분에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보행시 아웃솔이 용이하게 변형되어 정확한 자세로 보행이 유지할 수 있도록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보행시 앞꿈치와 뒷꿈치를 안착시키도록 바닥면중 앞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제 1안착홈, 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제 2안착홈이 형성되는 아웃솔과;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폴리에틸렌 폼으로 제작되어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적층되고, 앞꿈치와 뒷꿈치 및 아치를 받쳐주는 라운드 형태의 에어 포켓이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미드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은 상기 미드솔의 에어 포켓의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미드솔의 에어 포켓 내부에 삽입되는 우레탄 재질의 쿠션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미드솔은 상기 에어 포켓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서 상기 에어 포켓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면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아웃솔의 제 1안착홈은 보행시 앞꿈치가 땅에 닿은 다음 접힐 때 상기 아웃솔이 용이하게 접히도록 앞꿈치가 접히면 부분에서 좌우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아웃솔의 제 1, 2안착홈은 강도를 높이고, 두께를 증대시키며, 복원력을 높이도록 띠형태로 보강 리브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미드솔의 에어 포켓중 뒷꿈치 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은 발의 좌우 균형을 맞춰 발 디딤시 아치 반대쪽으로 발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아치에 형성된 에어 포켓과 수평하게 일측이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에 따르면, 아웃솔의 바닥면중 앞꿈치와 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앞꿈치와 뒷꿈치가 정위치로 안착되도록 하고, 미드솔에 앞꿈치와 뒷꿈치 및 아치를 받쳐주는 에어 포켓을 상면으로 돌출 형성하여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보행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드솔의 에어 포켓 내부에 우레탄 재질의 쿠션재를 삽입하여 에어 포켓의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앞꿈치 부분에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보행시 아웃솔이 용이하게 변형되어 정확한 자세로 보행이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1)은 아웃솔(10)과, 미드솔(20) 및 쿠션재(30)로 구성된다.
먼저, 아웃솔(10)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보행시 앞꿈치와 뒷꿈치를 안착시키도록 바닥면중 앞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제 1안착홈(11), 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제 2안착홈(13)이 형성된다.
제 1안착홈(11)은 보행시 앞꿈치가 땅에 닿은 다음 접힐 때 아웃솔(10)이 용이하게 접히도록 앞꿈치가 접히면 부분에서 좌우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2안착홈(11, 13)은 강도를 높이고, 못 등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두께를 증대시키며, 복원력을 높이도록 띠형태로 보강 리브(15)가 형성된다.
그리고, 미드솔(20)은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폴리에틸렌 폼으로 제작되어 아웃솔(10)의 상면에 적층되고, 앞꿈치와 뒷꿈치 및 아치를 각각 받쳐주도록 라운드 형태의 에어 포켓(21)이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미드솔(20)은 에어 포켓(21)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아웃솔(10)의 상면에서 에어 포켓(21)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면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미드솔(20)의 에어 포켓(21)중 뒷꿈치 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은 발의 좌우 균형을 맞춰 발 디딤시 아치 반대쪽으로 발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아치에 형성된 에어 포켓과 수평하게 일측이 연장된다.
또한, 쿠션재(30)는 미드솔(20)보다 상대적으로 복원력이 낮은 저탄성 우레탄 재질로 에어 포켓(21)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미드솔(20)의 에어 포켓(21)의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미드솔(20)의 에어 포켓(21) 내부에 삽입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먼저, 보행자가 보행시 앞꿈치나 뒷꿈치가 지면과 닿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이 미드솔(20)의 에어 포켓(21)에 가해지고, 이로 인해 에어 포켓(21)과 쿠션재(30)가 압축됨과 동시에 아웃솔(10)의 제 1안착홈(11) 또는 제 2안착홈(13)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앞꿈치나 뒷꿈치가 아웃솔(10)의 제 1안착홈(11) 또는 제 2안착홈(13)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에어 포켓(21)과 쿠션재(30)가 앞꿈치, 뒷꿈치 및 아치를 정위치에서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보행 자세를 교정하게 된다. 이때, 쿠션재(30)는 미드솔(20)보다 탄성이 적은 저탄성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압축시 에어 포켓(21)을 받쳐주게 된다.
그리고, 앞꿈치나 뒷꿈치가 지면과 이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10)의 제 1안착홈(11) 또는 제 2안착홈(13)과, 미드솔(20)의 에어 포켓(21) 및 쿠션재(30)가 모두 복원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아웃솔 11, 13 : 제 1, 2안착홈
15 : 보강 리브 20 : 미드솔
21 : 에어 포켓 30 : 쿠션재

Claims (6)

  1. 보행시 앞꿈치와 뒷꿈치를 안착시키도록 바닥면중 앞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제 1안착홈, 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제 2안착홈이 형성되는 아웃솔과;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폴리에틸렌 폼으로 제작되어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적층되고, 앞꿈치와 뒷꿈치 및 아치를 각각 받쳐주는 라운드 형태의 에어 포켓이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에어 포켓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서 상기 에어 포켓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면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의 에어 포켓의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미드솔의 에어 포켓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미드솔보다 상대적으로 복원력이 낮은 저탄성 우레탄 재질의 쿠션재를 포함하며,
    상기 미드솔의 에어 포켓중 뒷꿈치 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은,
    발의 좌우 균형을 맞춰 발 디딤시 아치 반대쪽으로 발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아치에 형성된 에어 포켓과 수평하게 일측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제 1안착홈은,
    보행시 앞꿈치가 땅에 닿은 다음 접힐 때 상기 아웃솔이 용이하게 접히도록 앞꿈치가 접히면 부분에서 좌우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제 1, 2안착홈은,
    강도를 높이고, 두께를 증대시키며, 복원력을 높이도록 띠형태로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6. 삭제
KR1020220141488A 2022-10-28 2022-10-28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KR102540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488A KR102540003B1 (ko) 2022-10-28 2022-10-28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488A KR102540003B1 (ko) 2022-10-28 2022-10-28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003B1 true KR102540003B1 (ko) 2023-06-05

Family

ID=8676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488A KR102540003B1 (ko) 2022-10-28 2022-10-28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0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684Y1 (ko) * 2000-08-23 2001-01-15 주식회사성원통상 운동화용 신발창
KR101205383B1 (ko) 2012-09-28 2012-11-27 이영산업주식회사 교정신발용 밑창
KR20120129223A (ko) * 2011-05-19 2012-11-28 (주)알와이엔코리아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
KR20130031746A (ko) * 2011-09-21 2013-03-29 (주)크렉스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600973B1 (ko) 2015-08-03 2016-03-21 김대성 신발창
KR20160135495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에르코스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구두용 중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684Y1 (ko) * 2000-08-23 2001-01-15 주식회사성원통상 운동화용 신발창
KR20120129223A (ko) * 2011-05-19 2012-11-28 (주)알와이엔코리아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
KR20130031746A (ko) * 2011-09-21 2013-03-29 (주)크렉스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205383B1 (ko) 2012-09-28 2012-11-27 이영산업주식회사 교정신발용 밑창
KR20160135495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에르코스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구두용 중창
KR101600973B1 (ko) 2015-08-03 2016-03-21 김대성 신발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280B2 (en) Mechanical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RU2520048C2 (ru) Амортизирующее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7793432B2 (en) Mechanical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US20120266500A1 (en) Eccentric Toe-Off Cam Lever
WO2004100693A1 (en) Cantilevered shoe construction
US6854198B2 (en) Footwear
KR100599501B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US20110138659A1 (en) Shoe Sole for Losing Weight and Shoe Having the Same
KR102540003B1 (ko)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US20040221487A1 (en) Shoe construction
JP2023138921A (ja) 衝撃吸収層の構造を有する靴底
US20200260818A1 (en) Shoe outsole
KR101032640B1 (ko) 편심중량 밑창을 갖는 하지정렬교정 및 다이어트 겸용 신발
KR101957213B1 (ko)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KR20240021556A (ko)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KR100984270B1 (ko) 전방이나 내측 또는 외측이 무거운 셀프워킹형 다이어트신발
KR20060035524A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WO2024004929A1 (ja) インソール
KR101033663B1 (ko)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138716B1 (ko) 다이어트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JP6501237B1 (ja) インソール
KR200419430Y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KR101227089B1 (ko) 내진부재가 구비된 보정 신발
JP4486069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