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657A - 단절된 전화 통화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단절된 전화 통화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657A
KR20100134657A KR1020107022879A KR20107022879A KR20100134657A KR 20100134657 A KR20100134657 A KR 20100134657A KR 1020107022879 A KR1020107022879 A KR 1020107022879A KR 20107022879 A KR20107022879 A KR 20107022879A KR 20100134657 A KR20100134657 A KR 20100134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data
call
user equip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한 클라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00134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72Subscriber line supervision circuits, e.g. call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04M3/53366Message disposing or creating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절된 호출을 겪는 이동국에 관한 것으로, 다른 당사자에 의한 이후의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음성을 기록함으로써 통신이 계속될 수 있다. 특히, 제 1 사용자(1) 및 제 2 사용자(2) 사이의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사용자(1) 및 제 2 사용자(2) 사이의 전화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제 1 사용자(1)의 제 1 사용자 장비(1a)를 제 2 사용자(2)의 제 2 사용자 장비(2a)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사용자 장비 및 제 2 사용자 장비(1a, 2a) 사이의 접속(6a, 6b)이 전화 통화 중에 인터럽트되는 경우에, 적어도 제 1 사용자(1)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 음성 데이터(D)를 데이터 서버(10)에 기록하는 단계, 및 데이터 서버(10)의 기록된 음성 데이터(D)를 제 2 사용자(2)에게 이용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3)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절된 전화 통화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RECORDING A DROPPED TELEPHONE CALL}
본 발명은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사이의 전화 통화(telephone call)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사이의 전화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사용자의 제 1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2 사용자 장비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들 사이의 전화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제 1 사용자의 제 1 사용자 장비를 제 2 사용자의 제 2 사용자 장비에 접속시키기 위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제 1 사용자(또한 호출하는 사용자로서 칭해진다) 및 제 2 사용자(또한 호출되는 사용자로서 칭해진다) 사이의 전화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자체의 각각의 최종 사용자 장비들 사이의 접속이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야만 한다. 제 2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변경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전파 사각 지대(dead spot)에 진입하는 경우일 수 있는 통화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하면, 즉, 최종 사용자 장비들 사이의 접속들이 단절되면, 제 1 및 제 2 사용자들이 더 이상의 추가 정보를 교환할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사용자 사이에서 추가 정보가 교환되어야만 하는 경우, 전형적으로 둘 중 하나는 제 2 사용자가 상기 전파 사각 지대를 떠나 다시 이용 가능해진 후에 새로운 호출을 설정해야만 한다. 그러나, 새로운 전화 통화를 설정하는 것은 일단 사용자에게 불편하므로, 접속이 중단된 이후에 새로운 전화 통화를 설정할 필요 없이 제 1 사용자로부터 제 2 사용자로(그리고 가능하면 반대 방향으로) 부가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두가 통화 인터럽트 이후에 제 1 사용자로부터 제 2 사용자로 정보를 제공하게 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장비 사이의 접속이 전화 통화 중에 인터럽트되는 경우에,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서버의 기록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전화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한번 더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장비 사이의 접속을 설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예를 들어 전파 사각 지대로 인한 통화 인터럽트 순간부터, 상기 제 1 (호출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 데이터를 적절한 요소(데이터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자신의 호출을 완료할 가능성을 얻는 것을 보장하게 하고, 여기서 상기 적절한 요소는 또한 전형적으로 상기 전화 통화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이다. 그러나, 상기 제 1 사용자의 최종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에 충분한 메모리가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를 데이터 서버로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적어도 상기 제 2 사용자의 사용자 장비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모바일(mobile) 최종 사용자 장비이고, 상기 통화 인터럽트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가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전파 사각 지점에 진입할 때 발생된다. 상기 제 2 사용자의 최종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전파 사각 지대에 있을 경우, 후자는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고, 따라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제 2 사용자의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에서 충분한 메모리가 이용 가능한 경우, 자신의 최종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제 2 사용자의 부가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고, 이때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제 2 사용자가 상기 전파 사각 지대를 떠난 후에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상기 방법은: 부가 음성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서버에 기록될 수 있음을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일단 통화 인터럽트가 검출되면, 제 1 사용자는 자신이 상기 데이터 서버에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호출을 완료할 수 있고, 이후에 상기 호출을 종료할 수 있다.
유용한 변형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의 부가 음성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 2 사용자가 다시 이용 가능해지자마자,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사용자는 자신이 상기 제공된 음성 데이터를 즉시 요청하고자 하는지, 또는 자신이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요청을 이후의 시간으로 연기하고자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사용자에 의한 요청 시에 상기 제 2 사용자 장비에 상기 기록된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자신의 사용자 장비로 송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청취할 수 있고, 이 시점부터, 상기 제 2 사용자는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완전한 정보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정보의 나머지를 얻기 위해 상기 제 2 사용자가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다시 호출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상기 기록된 음성 데이터는 네트워크 자원들을 소비하지 않도록 상기 데이터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없음이 이해된다. 그러므로, 상기 기록된 음성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 제 2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자마자,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된 후에 제거될 수 있다.
유용한 변형예에서, 상기 제 2 사용자의 메일박스(mailbox)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데이터 서버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데이터 서버는 전형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 특히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인 메일박스의 일부일 수 있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통화 인터럽트 이후에 기록되는 제 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는 부가 음성 데이터와 함께 동일한 네트워크 요소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술한 방법의 모든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구현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형적으로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인스톨(install)되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로서 발명될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또한 하드웨어 컴포넌트, 특히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도입부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구현되고: 전화 통화 동안 상기 접속의 인터럽션(interruption)을 검출하기 위한 통화 인터럽션 검출 유닛, 상기 인터럽션 검출 유닛이 상기 접속의 인터럽션을 검출한 경우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적응되는 데이터 서버, 및 상기 데이터 서버의 기록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 2 사용자가 이용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데이터 제공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술한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서, 부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장비 사이의 부가 전화 통화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통화 인터럽트 후에 상기 부가 음성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서버에 기록될 수 있음을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적응시키고,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의 부가 음성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적응시키는 메시지 생성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메시지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장비들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들은 상기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시각화될 수 있는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 특히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메일박스로서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 2 사용자가 평소대로, 즉 자신의 사용자 장비를 자신의 메일박스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한다. 대안으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각각의 제 1 또는 제 2 사용자들의 사용자 장비에서 또는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소에서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인 특성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중요한 세부사항들을 도시한 도면의 도해들을 참조하여 진술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다. 개별 특성들은 개별적으로 단독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중 일부는 어떤 원하는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사이의 접속이 중단된 이후에도 새로운 전화 통화를 설정할 필요 없이 부가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의 변형예의 단계들의 개략적인 도면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개략적인 도면에 도시되고 아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도 1a는 통신 네트워크(3)의 제 2(호출되는) 사용자(2)와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제 1(호출하는) 사용자(1)를 도시한다. 전화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서, 제 1 사용자(1)의 제 1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1a)(모바일 전화)는 제 1 무선 접속(6a)을 통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의 제 1 기지국(4a)에 접속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 2 사용자(2)의 제 2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2a)(PDA)는 제 2 무선 접속(6b)을 통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의 제 2 기지국(4b)으로 접속된다. 호출이 설정(셋업(setup))되면, 제 1 및 제 2 사용자들(1, 2)은 무선 접속들(6a, 6b)을 통해, 그리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후자는 복수의 부가적인 사용자들(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전화 통화들을 설정하도록 서비스한다.
제 2 사용자(2) 및 제 2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2b)는 각각 통신 네트워크(3)를 통하여 이동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파 사각 지대(7)에 도달하면, 제 2 무선 접속(6b)은 끊어지고 제 2 사용자(2)의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2a)는 더 이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에 접속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호출은 인터럽트되고 제 1 및 제 2 사용자들(1, 2)은 부가 정보를 더 이상 교환할 수 없다. 이 상황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의 통화 인터럽션 검출 유닛(8)은 제 1 및 제 2 사용자 장비들(1a, 1b) 사이의 접속의 인터럽션을 검출한다.
간소화를 위해 통신 네트워크(3)의 단지 일부만을 나타낸 도 1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화 인터럽션 검출 유닛(8)은, 상기 제 1 사용자(1)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데이터 서버(10) 상에 부가 음성 데이터(D)를 기록하기 위해 자신의 최종 사용자 장비(1a)를 사용할 수 있고 자신이 전파 사각 지대(7)를 떠난 후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D)가 제 2 사용자(2)에 제공될 수 있음을 상기 제 1 사용자(1)에게 고지하기 위해 제 1 메시지(M1)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유닛(9)에 통화 인터럽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예에서, 사용자(1)는 제공된 서비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하고 자신의 음성 데이터(D)가 데이터 서버(10)에 기록되도록 호출을 계속한다.
제 1 사용자(1)가 호출을 종료하고 제 2 사용자(2)가 전파 사각 지대(7)를 떠한 후에(도 1d를 참조하라), 통화 인터럽트 결정 유닛(8)은, 제 1 사용자(1)로부터의 부가 음성 데이터(D)가 데이터 서버(10) 상에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제 2 사용자(2)에게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M2)를 생성하기 위해 메시지 생성 유닛(9)을 트리거(trigger)한다. 이후 제 2 사용자(2)는 자신이 데이터 서버(10)로부터 기록된 음성 데이터(D)를 즉시 또는 이후에 요청하고자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단 제 2 사용자(2) 자신이 기록된 음성 데이터(D)를 청취하는 것을 원한다는 결정을 내리면, 제 2 사용자는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2a)를 트리거하여, 무선 네트워크(5)의 데이터 제공 유닛(11)에 요청(R)을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 유닛(11)은 데이터 서버(10)의 기록된 음성 데이터(D)를 재설정된 제 2 무선 접속(6b)을 통해 제 2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2a)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제 2 사용자(2)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통화 인터럽션 이후에, 제 1 또는 제 2 사용자가 새로운 전화 통화를 설정할 필요없이, 제 1 사용자(1)로부터 제 2 사용자(2)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업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의 데이터 서버(1)가 제 1 또는 제 2 사용자(1, 2) 각각의 메일박스로서 발명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메일박스는 아무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 내에 존재할 수 있어서, 음성 데이터(D)를 저장하는데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구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대안으로, 제 1 및 제 2 모바일 사용자 장비(1a, 2a)에서 충분한 메모리가 이용 가능한 경우, 각각의 사용자들(1, 2)의 장비(1a, 2a)에 직접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제 2 사용자(2)가 전파 사각 지대(7)에 위치될 때 제 2 사용자(2)가 또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해, 제 2 최종 사용자 장비(2a)에서, 통화 인터럽션 검출 유닛 및 부가 음성 데이터가 자신의 최종 사용자 장비(2a)에 기록될 수 있음을 제 2 사용자(2)에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 생성 유닛이 구현될 수 있다. 그 후에 호출의 음성 데이터의 기록된 나머지 부분은 제 2 사용자(2)가 전파 사각 지대(7)를 떠난 후에 제 1 사용자(7)에 제공될 수 있다. 당업자는 후자의 경우 양 사용자들(1, 2)이 자신들의 각각의 데이터 서버들에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서 호출이 인터럽트된 이후에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제 1 및 제 2 사용자 장비(1a, 2a)는 반드시 모바일 사용자 장비로서 발명될 필요는 없는, 즉, 제 1 및/또는 제 2 사용자(1, 2)의 사용자 장비가 또한 고정될 수 있고 양 장비들이 유선 접속을 통해 접속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 경우에, 통화 인터럽트는 예를 들어 유선 접속의 단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상술한 유닛들이 하나의 물리적 엔티티(entity) 또는 둘 이상의 상이한 물리적 엔티티들 내에 함께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로 발명될 수 있는 기능 엔티티들로 고려되어야만 하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상기에, 제 1 사용자(1)는 호출하는 사용자로 칭해졌고 제 2 사용자(2)는 호출되는 사용자로 칭해졌을지라도, 역관계가 또한 가능하고, 즉, 제 1 사용자(1)가 호출되는 사용자일 수 있고, 제 2 사용자(2)가 호출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들은 예를 통해 제공되었다. 제공된 명세서로부터, 당업자들은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부수적인 장점들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또한 개시된 구조들 및 방법들에 명백한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을 발견할 것이다. 그러므로, 출원인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해당하고,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의 등가물들에 의해 규정되는 바의 모든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을 커버하고자 한다.
1 : 제 1 사용자 1a : 제 1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
2 : 제 2 사용자 2a, 2b : 제 2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
3 : 통신 네트워크 4a : 제 1 기지국
4b : 제 2 기지국 5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6a : 제 1 무선 접속 6b : 제 2 무선 접속
8 : 호출 인터럽션 검출 유닛 9 : 메시지 생성 유닛
10 : 데이터 서버 11 : 데이터 제공 유닛

Claims (10)

  1.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1, 2) 사이의 전화 통화(telephone call)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사용자(1)의 제 1 사용자 장비(1a)를 상기 제 2 사용자(2)의 제 2 사용자 장비(2a)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사용자(1) 및 상기 제 2 사용자(2) 사이의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 및 제 2 사용자 장비(1a, 2a) 사이의 접속(6a, 6b)이 전화 통화 중에 인터럽트되는 경우에,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1)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 음성 데이터(D)를 데이터 서버(10)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서버(10)의 기록된 음성 데이터(D)를 상기 제 2 사용자(2)에게 이용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 사용자(2)의 사용자 장비(2a)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의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이고, 상기 통화 인터럽트(call interrupt)는 상기 모바일 최종 사용자 장비(2a)가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의 전파 사각 지대(dead spot: 7)에 진입할 때 발생되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음성 데이터(D)가 상기 데이터 서버(10)에 기록될 수 있음을 상기 제 1 사용자(1)에게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M1)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1)로부터의 부가 음성 데이터(D)가 상기 데이터 서버(10)에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상기 제 2 사용자(2)에게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M2)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2)에 의한 요청 시에 상기 제 2 사용자 장비(2a)에 상기 기록된 음성 데이터(D)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2)의 메일박스는 상기 제 1 사용자(1)의 음성 데이터(D)를 기록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서버(10)로서 사용되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따른 방법의 모든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8.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1, 2) 사이의 전화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사용자(1)의 제 1 사용자 장비(1a)를 상기 제 2 사용자(2)의 제 2 사용자 장비(2a)에 접속시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3)에 있어서:
    전화 통화 동안 상기 접속(6a, 6b)의 인터럽션을 검출하기 위한 통화 인터럽션 검출 유닛(8);
    상기 통화 인터럽션 검출 유닛(8)이 상기 접속(6a, 6b)의 인터럽션을 검출한 경우 적어도 상기 제 1 사용자(1)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 음성 데이터(D)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서버(10); 및
    상기 데이터 서버(10)의 기록된 음성 데이터(D)를 상기 제 2 사용자(2)에게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제공 유닛(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9. 제 8 항에 있어서,
    통화 인터럽트 후에 상기 부가 음성 데이터(D)가 상기 데이터 서버(10)에 기록될 수 있음을 상기 제 1 사용자(1)에게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M1)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사용자(1)로부터의 상기 부가 음성 데이터(D)가 상기 데이터 서버(10)에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상기 제 2 사용자(2)에게 고지하기 위한 메시지(M2)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생성 유닛(9)을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10)는 상기 제 2 사용자(2)의 메일박스로 구현되는, 통신 네트워크.
KR1020107022879A 2008-04-15 2009-04-09 단절된 전화 통화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KR201001346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290373A EP2111027A1 (en) 2008-04-15 2008-04-15 Method for recording a dropped telephone call
EP08290373.3 2008-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657A true KR20100134657A (ko) 2010-12-23

Family

ID=3973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879A KR20100134657A (ko) 2008-04-15 2009-04-09 단절된 전화 통화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57572A1 (ko)
EP (1) EP2111027A1 (ko)
JP (1) JP2011519522A (ko)
KR (1) KR20100134657A (ko)
CN (1) CN101562899A (ko)
WO (1) WO2009127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9491B2 (en) 2013-11-26 2015-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cilitating mobile phone conversations
CN103702397A (zh) * 2013-12-25 2014-04-02 广西大学 一种通信业务触发方法和系统
US10516777B1 (en) * 2018-09-11 2019-12-2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user experience for voice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872A (ja) * 1993-08-25 1995-03-10 Fujitsu Ltd 異常切断救済方法
JPH10190841A (ja) * 1996-12-26 1998-07-21 Nitsuko Corp 移動電話システム
JP2000184443A (ja) * 1998-12-14 2000-06-30 Nec Commun Syst Ltd 通信システム
US7072641B2 (en) * 2002-03-19 2006-07-04 Sprint Spectrum L.P. Reactive management of dropped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28145B2 (en) * 2003-05-21 2007-06-05 Avaya Technology Corp. Dropped call continuation
US7233788B2 (en) * 2004-07-20 2007-06-19 San Disk Il Ltd. Recovering from a disconnected phone c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1027A1 (en) 2009-10-21
US20090257572A1 (en) 2009-10-15
JP2011519522A (ja) 2011-07-07
CN101562899A (zh) 2009-10-21
WO2009127588A1 (en)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0854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3950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necting dropped cellular phone calls
US8582745B1 (en) Simultaneous mutual call handling
US8199889B2 (en) Visual voicemail unavailability solution
JP4924602B2 (ja) 着信拒否装置、着信拒否方法及び着信拒否プログラム
US8064487B1 (en) Virtual office presence bridge
US20090060161A1 (en) Method and system to automatically block a telephone number
CN103202013A (zh) 对与语音邮件关联的视频内容的基于网页的访问
KR20100134657A (ko) 단절된 전화 통화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US94077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band notification
JP5878148B2 (ja) 音声品質測定システム
CN106060031B (zh) 一种多媒体通信控制的方法、服务器及系统
KR100647870B1 (ko) 위치정보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위치정보제공서버 및 위치정보 제공방법
WO2007059271A1 (en) Help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NL1031015C2 (nl) Communicatiesysteem, communicatiewerkwijze en communicatie-inrichting.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3237304A (zh) 防监听方法、装置及系统
JP5877040B2 (ja) 接続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接続制御方法
US9119041B2 (en) Personal media storage and retrieval for visual voice mail
JP2009246442A (ja) 情報処理装置、メールサーバ装置および発呼制御方法
JP5480931B2 (ja) 通信サ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1506409B1 (ko) 부재중 전화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9417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p 비디오폰의 호 착신 통보시스템 및 방법
JP2007082089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Lin et al. Automatic event‐triggered call‐forwarding mechanism for mobile 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