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225A -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 Google Patents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225A
KR20100134225A KR1020090052734A KR20090052734A KR20100134225A KR 20100134225 A KR20100134225 A KR 20100134225A KR 1020090052734 A KR1020090052734 A KR 1020090052734A KR 20090052734 A KR20090052734 A KR 20090052734A KR 20100134225 A KR20100134225 A KR 20100134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lumn
blocking unit
beam formwork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741B1 (ko
Inventor
김근섭
손종락
Original Assignee
(주)블루폼
태현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폼, 태현개발(주) filed Critical (주)블루폼
Priority to KR102009005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74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5Strip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form sections, e.g. to avoid burring or spilling of lai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은, 선 타설된 기둥의 일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보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제1 연결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며 기둥의 타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2 보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제1 보 거푸집 및 제1 연결부와, 제2 보 거푸집 및 제2 연결부 사이에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과 보의 시공순서를 달리하는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에 있어서 기둥과 보 사이의 간격을 간편히 메울 수 있는 코너 막음 유닛을 제공함에 따라, 시공의 편의가 도모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기둥-보 분리타설, 기둥, 보, 코너, 웨지핀

Description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Coner standing unit}
본 발명은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과 보의 시공순서를 달리하는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에 있어서 기둥과 보 사이의 간격을 간편히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가 도모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기둥(column)은 건축공간을 형성하는 기본 뼈대 중의 하나로서 지붕 ·바닥 ·보 등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는 수직재(垂直材)를 말하며, 보(beam)는 기둥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부재로 축에 직각 방향의 힘을 받아 주로 휨에 의하여 하중을 지탱하는 수평재(水平材)를 말하고, 슬라브(slab)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바닥을 말한다.
이러한 기둥, 보 및 슬라브는 상호 연결되어 상부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 발생한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안전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공기 단축 및 인건비 절감 등을 이유로 기둥, 보 및 슬라브의 시공 순서에 있어서 기둥을 먼저 타설하고, 양생이 완료된 기둥 상호 간을 연결 하는 보와 슬라브를 나중에 타설하는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기둥과 보의 타설 순서를 달리하는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VH 분리타설 공법)은 일반적으로, 먼저 기둥을 타설한 뒤 기둥의 상단부에 보 거푸집을 각각 배치하고, 보를 시공해야 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슬라브용 판넬을 배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에 따라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은 기둥과 보의 폭이 다른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므로, 선 타설된 기둥과 보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합판 등으로 임시로 메운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기둥과 보 사이의 간격을 합판 등을 사용하여 하나하나 메우고, 합판 상호 간과 합판과 보 거푸집 상호 간을 철사 등을 사용하여 체결해야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의 난이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기둥과 보 사이의 간격을 완전하게 메우지 못하므로 보 거푸집의 내측과 슬라브용 판넬의 상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이 고소(高所)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에 있어서 기둥과 보 사이의 간격을 간편히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가 도모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 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과 보의 시공순서를 달리하는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에 있어서 기둥과 보 사이의 간격을 간편히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가 도모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선 타설된 기둥의 일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보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며 상기 기둥의 타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2 보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보 거푸집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보 거푸집 및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 상단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보 거푸집의 상측 및 상기 제2 보 거푸집의 상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슬라브 타설용 합판을 지지하는 목심(木心)이 안착되는 목심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심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 상단부 표면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 상단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을 갖는 ' ㄴ'자형 브라켓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은,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라 상기 기둥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면접기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방향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체결부재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보 거푸집의 상측 및 상기 제2 보 거푸집의 상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슬라브 타설용 합판을 지지는 목심(木心)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부재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보 거푸집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보 거푸집의 일단부에 형성된 폼 타이 체결홈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는 다수의 누설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부 양측이 테이퍼진 몸체부; 및 양단부가 라운드처리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부 양측이 테이퍼진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중심영역에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 거푸집의 폭은 상기 제1 보 거푸집이 마련되는 상기 기둥 일측의 폭보다 좁으며, 상기 제2 보 거푸집의 폭은 상기 제2 보 거푸집이 마련되는 상기 기둥 타측의 폭보다 좁고, 상기 기둥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기둥이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기둥과 보의 시공순서를 달리하는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에 있어서 기둥과 보 사이의 간격을 간편히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가 도모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의 체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10, 이하, '코너 막음 유닛(10)'이라 함)은, 기둥(3)의 선 타설부(3a)의 일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보 거푸집(1)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100)와, 제1 연결부(100)로부터 연장 절곡되며 제2 보 거푸집(2)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200)와,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부(300)와, 제1 보 거푸집(1)과 제1 연결부(100) 사이 및 제2 보 거푸집(2)과 제2 연결부(200) 사이에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5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코너 막음 유닛(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여기서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은 먼저 기둥(3)의 일부(3a, 이하, '선 타설부(3a)'라 함)를 선 타설하고, 기둥의 나머지 부분(3b, 이하, '후 타설부(3b)'라 함)을 보 및 슬라브와 함께 타설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제1 연결부(100)는 판재 형상의 금속성 부재로, 기둥의 선 타설부(3a)의 일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보 거푸집(1)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연결부(100)의 일단부는 제3 연결부(30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제3 연결부(300)의 타단부는 제2 연결부(200)의 일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및 제3 연결부(300)는 일체로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 거푸집(1)은 보의 측면을 이루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측면 판넬(1a) 및 제2 측면 판넬(1b)과, 제1 측면 판넬(1a) 및 제2 측면 판넬(1b)의 하측부를 연결하는 바닥 판넬(1c)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 부(100)는 제1 측면 판넬(1a)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물론, 제1 보 거푸집(1)은 시공하고자 하는 보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제1 측면 판넬(1a), 제2 측면 판넬(1b) 및 바닥 판넬(1c)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측면 판넬(1a), 제2 측면 판넬(1b) 및 바닥 판넬(1c)이 각각 하나씩으로 마련된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 연결부(100)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체결부재 관통홀(100a)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부재 관통홀(100a)을 따라서는 다수의 체결부재(500)가 각각 삽입, 체결되어 제1 측면 판넬(1a)과 제1 연결부(100) 상호 간을 결합한다.
제1 측면 판넬(1a), 제2 측면 판넬(1b) 및 바닥 판넬(1c)은 모두 유로폼을 사용하여 마련되며, 유로폼에는 외곽 테두리를 이루는 금속성 부재 부분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웨지핀(Wedge Pin)을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웨지핀 체결홀(1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부(100)의 체결부재 관통홀(100a)은 이러한 웨지핀 체결홀(1d)과 상호 연통되도록 제1 연결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500)는 체결부재 관통홀(100a) 및 웨지핀 체결홀(1d)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다른 체결부재(500)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제1 연결부(100)와 제1 측면 판넬(1a) 상호 간을 결합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코너 막음 유닛(10)은, 일반적인 유로폼을 사용하여 보를 시공하는 경우라도 선 타설된 기둥(3)과 보 사이의 간격을 간편히 메울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제1 연결부(100)의 타단부에는 제1 측면 판넬(1a)에 다수 개로 형성되는 폼 타이 체결홈(1e)에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누설방지 돌기(110)가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면 판넬(1a)은 유로폼을 사용하여 마련되며, 유로폼에는 외곽 테두리를 이루는 금속성 부재 부분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른 유로폼과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폼 타이 체결홈(1e)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폼 타이 체결홈(1e)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유로폼 상호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폼 타이(미도시)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보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도록 하는 장애물로 작용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부분이 된다.
또한, 보를 시공하기 위해 폼 타이 체결홈(1e)이 형성되지 않은 별도의 유로폼을 제작하는 것은 시공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며, 마개 등을 사용하여 폼 타이 체결홈(1e)을 각각 메우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코너 막음 유닛(10)은 제1 연결부(100)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누설방지 돌기(110)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의 코너 막음 유닛(10)에는 유로폼에 형성된 다수의 폼 타이 체결홈(1e)의 형성위치에 대응하여 제1 연결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되는 누설방지 돌기(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코너 막음 유닛(10)의 사용시 이러한 누설방지 돌기(110)는 자연스럽게 제1 측면 판넬(1a)에 형성된 다수의 폼 타 이 체결홈(1e)에 각각 삽입되게 되므로 제1 보 거푸집(1)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누설방지 돌기(110)는 제1 연결부(100)의 일단부 좌우측에 한쌍으로 마련되지 않고 제1 연결부(100)의 일단부 좌측 또는 우측에 단독으로만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연결부(200)는 판재 형상의 금속성 부재로, 기둥의 선 타설부(3a)의 타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2 보 거푸집(2)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및 제3 연결부(300)는 일체로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 거푸집(2)은 보의 측면을 이루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측면 판넬(2a) 및 제2 측면 판넬(2b)과, 제1 측면 판넬(2a) 및 제2 측면 판넬(2b)의 하측부를 연결하는 바닥 판넬(2c)로 이루어지며, 제2 연결부(200)는 제1 측면 판넬(2a)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제2 연결부(200)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체결부재 관통홀(200a)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부재 관통홀(200a)을 따라서는 다수의 체결부재(500)가 각각 삽입, 체결되어 제1 측면 판넬(2a)과 제2 연결부(200) 상호 간을 결합한다.
제2 연결부(200)의 체결부재 관통홀(200a)은 제1 측면 판넬(2a)에 형성된 웨지핀 체결홀(2d)과 상호 연통되도록 제2 연결부(2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500)는 체결부재 관통홀(200a)과 웨지핀 체결홀(2d)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다른 체결부재(500)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제2 연결부(200)와 제1 측면 판넬(2a) 상호 간을 결합하게 된다.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200)의 타단부에는 제1 측면 판넬(2a)에 다수 개로 형성되는 폼 타이 체결홈(2e)에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누설방지 돌기(210)가 마련된다. 누설방지 돌기(210)는 각각 제1 측면 판넬(2a)에 형성된 폼 타이 체결홈(2e)에 삽입되어 폼 타이 체결홈(2e)을 막음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연결부(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200)의 누설방지 돌기(210)는 제2 연결부(200)의 일단부 좌우측에 한쌍으로 마련되지 않고 제2 연결부(200)의 일단부 좌측 또는 우측에 단독으로만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누설방지 돌기(110, 210)의 실시 형식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2 연결부(200)의 상단부에는 제1 보 거푸집(1)의 상측과 제2 보 거푸집(2)의 상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슬라브 타설용 합판(5)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목심(4, 木心)이 안착되는 목심안착부(400)가 마련된다.
여기서, 목심(4)은 구조물의 건축시 특정한 구성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목 등을 의미한다.
목심안착부(400)는 제2 연결부(200)의 상단부 일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판재형상의 제1 부재(410)와, 제1 부재(4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판재형상의 제2 부재(420)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을 갖는 'ㄴ'자형 브라켓으로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부재(420)에는 제2 부재(420)를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목심안착부(400)에 목심(4)을 안착시킨 뒤에는 이러한 관통홀(미도시)을 따라 못 등을 체결하여 안착된 목심(4)을 고정시키고, 고정된 목심(4)의 상측에 슬라브 타설용 합판(5)을 배치한 뒤 목심(4)과 슬라브 타설용 합판(5)을 못 등을 사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목심(4)은 기둥(3)의 코너 막음 유닛(10)의 제2 연결부(200)에 마련된 목심안착부(400)와, 기둥(3)에 인접한 다른 기둥(미도시)에 설치된 코너 막음 유닛(미도시)의 제2 연결부(미도시)에 마련된 목심안착부(미도시)에 걸쳐 길게 배치되며, 슬라브 타설용 합판(5)은 이러한 목심(4) 및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지지받음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면압에 저항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목심안착부(400)는 제2 연결부(200)의 상단부가 아닌 제1 연결부(100)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미도시), 제1 연결부(100)의 상단부 및 제2 연결부(200)의 상단부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고(미도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목심안착부(400)의 형성위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목심안착부(400)가 제1 연결부(100)의 상단부 및 제2 연결부(200)의 상단부에 모두 마련되는 경우, 제1 연결부(100)의 상단부 또는 제2 연결부(20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목심(4) 중 어느 하나는 인접한 다른 기둥의 목심안착부(400)에까지 연결되는 다른 목심(4)의 진행에 간섭받지 않도록 짧은 길이로 마련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목심안착부(400)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연결부(20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서는 고정부재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부재 관통홀(미도시)을 따라 못 등의 고정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코너 막음 유닛(10)에 목심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3 연결부(300)는 제1 연결부(100)의 일단부와 제2 연결부(200)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기둥의 코너에는 코너의 파손을 방지하고 심미감 을 고취시키기 위한 이유로 면접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면접기부는 기둥의 코너를 시공하기 위한 유로폼의 내측 코너에 각각 면귀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완성된다. 하지만, 유로폼의 내측 코너마다 면귀를 설치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코너 막음 유닛(10)은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부(300)에 의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즉, 콘크리트의 타설시 제1 연결부(100)는 기둥(3)의 후 타설부(3b)의 일측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제2 연결부(200)는 기둥(3)의 후 타설부(3b)의 타측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고, 제3 연결부(300)는 후 타설부(3b)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접하는 부분의 면접기부(미도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기둥(3)의 선 타설부(3a)에 형성된 면접기부(3c)는 제3 연결부(300)를 포함하는 코너 막음 유닛(10)의 전체적인 형상에 의하여 후 타설부(3b)에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3 연결부(300)의 폭은 전술한 기둥(3)의 선 타설부(3a)의 폭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3 연결부(300)의 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코너 막음 유닛(10)은 별도의 면귀를 설치함이 없더라도 간편하게 기둥(3)의 면접기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의 편의가 도모되고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및 제3 연결부(300)의 전체 길이(L, 도 1 참조)는 기둥(3)의 선 타설부(3a)에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선 타설부(3a)에 접촉된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및 제3 연결부(300)의 일부분들은 철사 등을 사용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및 제3 연결부(300)의 전체 길이(L)를 길게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보의 시공에 일원화되어 사용할 수 있는 코너 막음 유닛(10)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도모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및 제3 연결부(300)의 길이(L)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체결부재(500)는 제1 보 거푸집(1) 및 제1 연결부(100)와, 제2 보 거푸집(2) 및 제2 연결부(200)를 상호 체결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500)는 일단부 양측이 테이퍼진 몸체부(510)와, 몸체부(5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 부(521)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일단부 양측이 테이퍼지도록 마련되어 체결부재 관통홀(100a, 200a) 및 웨지핀 체결홀(1d, 2d)을 따라 삽입되는 것이며, 헤드부(521)는 몸체부(51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즉, 체결부재(500)는 체결부재 관통홀(100a, 200a) 및 웨지핀 체결홀(1d, 2d)을 따라 헤드부(521)의 일측이 체결부재 관통홀(100a, 200a)에 접할 때까지 삽입된다.
몸체부(510)의 일단부 중심영역에는 몸체부(510)를 관통하는 관통홀(510a)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510a)을 따라서는 다른 체결부재(500)가 관통 삽입됨으로써 제1 보 거푸집(1), 제2 보 거푸집(2) 및 코너 막음 유닛(10) 상호 간을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521)는 양단부가 라운드처리되도록 마련되며, 이를 통해 기둥(3)의 후 타설부(3b), 보 및 슬라브의 시공 완료 후에 코너 막음 유닛(10)을 분리하는 경우 분리의 편의가 도모된다.
즉, 기둥(3)의 후 타설부(3b), 보 및 슬라브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헤드부(521)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는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경우에는 헤드부(521)와 콘크리트 상호 간의 부착력에 의하여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체결부재(500)를 분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체결부재(500)를 분리하기 위해 강한 힘을 가하는 경우 완성된 후 타설부(3b)의 일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헤드부(521)의 양단부는 라운드형태로 처리되며, 이 에 따라 양생이 완료된 후 타설부(3b)로부터 체결부재(500)를 분리하는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너 막음 유닛(10)의 사용례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에 따라 기둥(3)의 선 타설부(3a)를 시공한 후에는 선 타설부(3a)의 일측 상단부 및 타측 상단부에 걸쳐 코너 막음 유닛(10)을 설치한다.
코너 막음 유닛(10)의 설치 완료 후에는 기둥(3)의 선 타설부(3a)의 일측 상단부에 제1 보 거푸집(1)을 설치하며, 체결부재(500)를 사용하여 제1 보 거푸집(1)의 제1 측면 판넬(1a)과 코너 막음 유닛(10)의 제1 연결부(100)를 상호 연결한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기둥(3)의 선 타설부(3a)의 타측 상단부에 제2 보 거푸집(2)을 설치하며, 체결부재(500)를 사용하여 제2 보 거푸집(2)의 제1 측면 판넬(2a)과 코너 막음 유닛(10)의 제2 연결부(200)를 상호 연결한다.
다음으로, 제2 연결부(200)의 목심안착부(400)에 목심(4)을 안착 고정하며, 목심(4)의 상측에 슬라브 타설용 합판(5)을 배치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기둥(3)의 후 타설부(3b), 보 및 슬라브의 시공을 완료한다.
시공 완료 뒤에는 제1 보 거푸집(1), 제2 보 거푸집(2) 및 코너 막음 유닛(10)을 분리하여 재사용을 준비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코너 막음 유닛(10)은,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및 다수의 체결부재(500)에 의하여 기둥(3)과 보의 시공순서를 달리하는 기둥-보 분리타설 공법에 있어서 기둥(3)과 보 사이의 간격을 간편히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가 도모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의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너 막음 유닛(미도시)은, 선 타설된 기둥(3)의 일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보 거푸집(1)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미도시)와, 제1 연결부(미도시)로부터 연장 절곡되며 제2 보 거푸집(2)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미도시)와, 제1 연결부(미도시) 및 제2 연결부(미도시)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부(미도시)와, 제1 보 거푸집(1)과 제1 연결부(미도시) 사이 및 제2 보 거푸집(2)과 제2 연결부(미도시) 사이에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6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 연결부(미도시), 제2 연결부(미도시) 및 제3 연결부(미도시)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각각 전술한 실시예의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및 제3 연결부(30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600)는 일단부 양측이 테이퍼진 몸체부(610)와, 몸체부(6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부(621)를 포함한다.
몸체부(610)는 일단부 양측이 테이퍼지도록 마련되며, 헤드부(621)는 몸체부(61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몸체부(610)의 일단부 중심영역에는 몸체부(610)를 관통하는 관통홀(610a)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610a)을 따라서는 다른 체결부재(600)가 관통 삽입됨으로써 제1 보 거푸집(1), 제2 보 거푸집(2) 및 코너 막음 유닛(미도시) 상호 간을 결 합시키게 된다.
한편, 헤드부(621)는 몸체부(610)의 일단부로부터 몸체부(6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며, 이를 통해 기둥(3)의 후 타설부(3b), 보 및 슬라브의 시공 완료 후에 코너 막음 유닛(미도시)을 분리하는 경우 분리의 편의가 도모된다.
즉, 기둥(3)의 후 타설부(3b), 보 및 슬라브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헤드부(621)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는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경우에는 헤드부(621)와 콘크리트 상호 간의 부착력에 의하여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체결부재(600)를 분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체결부재(600)를 분리하기 위해 강한 힘을 가하는 경우 완성된 후 타설부(3b)의 일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헤드부(621)는 몸체부(6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며, 연장 절곡되는 헤드부(621)의 길이는 체결부재(600)가 삽입되는 제1 연결부(미도시) 및 제2 연결부(미도시)의 체결부재 관통홀(미도시)로부터 체결부재(600)가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길이를 갖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너 막음 유닛(미도시)은, 양생이 완료된 후 타설부(3b)로부터 체결부재(500)를 분리하는 편의가 도모되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 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의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의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너 막음 유닛 3 : 기둥
1 : 제1 보 거푸집 2 : 제2 보 거푸집
100 : 제1 연결부 200 : 제2 연결부
300 : 제3 연결부 500, 600 : 체결부재

Claims (11)

  1. 선 타설된 기둥의 일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보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며 상기 기둥의 타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2 보 거푸집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보 거푸집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보 거푸집 및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 상단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보 거푸집의 상측 및 상기 제2 보 거푸집의 상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슬라브 타설용 합판을 지지하기 위한 목심(木心)이 안착되는 목심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심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 상단부 표면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 상단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을 갖는 'ㄴ'자형 브라켓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라 상기 기둥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면접기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방향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체결부재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보 거푸집의 상측 및 상기 제2 보 거푸집의 상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슬라브 타설용 합판을 지지하는 목심(木心)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부재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보 거푸집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보 거푸집의 일단부에 형성된 폼 타이 체결홈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는 다수의 누설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부 양측이 테이퍼진 몸체부; 및
    양단부가 라운드처리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부 양측이 테이퍼진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 너 막음 유닛.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중심영역에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 거푸집의 폭은 상기 제1 보 거푸집이 마련되는 상기 기둥 일측의 폭보다 좁으며,
    상기 제2 보 거푸집의 폭은 상기 제2 보 거푸집이 마련되는 상기 기둥 타측의 폭보다 좁고,
    상기 기둥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기둥이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KR1020090052734A 2009-06-15 2009-06-15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KR101101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34A KR101101741B1 (ko) 2009-06-15 2009-06-15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34A KR101101741B1 (ko) 2009-06-15 2009-06-15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225A true KR20100134225A (ko) 2010-12-23
KR101101741B1 KR101101741B1 (ko) 2012-01-05

Family

ID=4350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734A KR101101741B1 (ko) 2009-06-15 2009-06-15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7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6303A (zh) * 2019-06-05 2019-09-06 南通鑫金建设集团有限公司 安装空心弹性密封条二次结构模板施工方法
CN111519894A (zh) * 2020-05-06 2020-08-11 安庆米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浇筑围挡支护钢模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7005A (ja) * 2001-06-27 2003-01-17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低圧放電ランプ
KR100543906B1 (ko) * 2001-12-29 2006-0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어드레스 핀의 수를 줄인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030093433A (ko) * 2002-06-03 2003-12-11 (주)대청정보시스템 리필방지형 프린터
KR200357642Y1 (ko) * 2004-05-11 2004-07-30 김영욱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200393433Y1 (ko) * 2005-05-31 2005-08-22 주식회사 일호 거푸집 패널을 위한 아웃코너 연결구
KR200414945Y1 (ko) * 2006-01-26 2006-04-27 강진우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6303A (zh) * 2019-06-05 2019-09-06 南通鑫金建设集团有限公司 安装空心弹性密封条二次结构模板施工方法
CN111519894A (zh) * 2020-05-06 2020-08-11 安庆米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浇筑围挡支护钢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741B1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545936B1 (ko)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CN110670482B (zh) 装配式桥梁预制桥面板间的栓接装置
KR100761786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JP483359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柱・梁部材の連結工法
KR101191502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ITBO20060649A1 (it) Apparato per l'ancoraggio rigido tra travi prefabbricate portasolaio e pilastri prefabbricati, nelle costruzioni edilizie con intelaiatura pluripiano ed in cemento armato.
KR101750177B1 (ko) 절단 브리지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시공방법
KR101101741B1 (ko)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KR101308053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100761964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KR20180031258A (ko) 반도체공장 클린룸 건축물의 골조부 구조와 그의 시공 방법
GB2495319A (en) Beam and slab floor construction
KR20160064745A (ko) 법면에 시공된 조립식 다기능 안전계단
JP3774892B2 (ja) ガードレール用の基礎ブロック
JPH0916586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接合方法
KR100653865B1 (ko)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80795B1 (ko) 시공성이 확보된 신축 줄눈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59169Y1 (ko) 이형 판넬 결합유닛
KR20140043561A (ko) 강합성 바닥판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1958914B1 (ko) 그리드 psc 거더를 이용한 다주형 교량의 시공 방법, 그리드 ps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다주형 교량
JP3239867U (ja) カルバート構造物
KR20110006225U (ko) 단면 손실 방지형 강도 보강용 결합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