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672A -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672A
KR20100133672A KR1020090052352A KR20090052352A KR20100133672A KR 20100133672 A KR20100133672 A KR 20100133672A KR 1020090052352 A KR1020090052352 A KR 1020090052352A KR 20090052352 A KR20090052352 A KR 20090052352A KR 20100133672 A KR20100133672 A KR 20100133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elastic member
pair
sciss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호
Original Assignee
전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동호 filed Critical 전동호
Priority to KR102009005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3672A/ko
Publication of KR2010013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가위의 조립 공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다 적은 하중으로도 가위질을 할 수 있는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손잡이부와 칼날부로 이루어지는 두 개 이상의 가위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위 연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결되는 각 가위의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에 마련되는 관통공; 상기 각 가위의 손잡이부에 마련된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끼워져 상기 가위들을 연결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되는 가위들 중 최외곽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위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Conneting members for Scissors and Scissors connnected by thereof}
본 발명은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가위의 조립 공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보다 적은 하중으로도 가위질을 할 수 있는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가위는 미용수단으로 주로 여성들을 고객으로 하는 미용실이나 남성을 주고객으로 하는 이발소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미용가위와 관련되어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특허출원도 꾸준하다.
최근 미용상의 필요성에 의해 두 개 이상의 가위가 서로 연결된 가위 조립체와 그 가위들을 연결하기 위한 가위 연결 수단에 대한 요구가 있게 되었고, 그러한 요구에 의해 다수의 특허가 출원되었고 공개된 상태이다.
도 1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23011호에 개시된 연결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가위는 칼날부(1)와 손잡이부(2)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2)에는 한 쌍의 관통공(3)들이 마련되어 있고, 두 개의 가위는 상기 관통공(3)들에 삽입되는 자성부 재(4)에 의해 연결된다.
도 2에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25323호에 개시된 연결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가위와 마찬가지로 가위는 칼날부(1)와 손잡이부(2)로 구성되며, 세 개의 가위가 관통공(3)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볼트(4)와 너트(5)에 의해 결합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성부재(4)의 경우 철제의 가위가 아닌 경우에는 그 결합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세라믹과 같이 철 이외의 소재로 된 가위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성부재나 볼트/너트 조합의 경우 강성(rigid)의 재질이라 탄성변형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큰 하중이 가해져야 하므로 가위의 제작과정에서 제작 오차로 인하여 관통공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에 결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사용과정에서 관통공과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된 경우 가위질을 할 때 슬립이 일어날 수 있어 미용 시술 대상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작과정에서의 제작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가위 연결 부재 및 가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손잡이부와 칼날부로 이루어지는 두 개 이상의 가위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위 연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결되는 각 가위의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에 마련되는 관통공;
상기 각 가위의 손잡이부에 마련된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끼워져 상기 가위들을 연결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되는 가위들 중 최외곽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위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되는 가위들 중 최외곽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위의 다른 가위와 접하지 않는 면의 관통공과 연결되는 홈과,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홈에 끼워지는 플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네오프렌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니트릴 고무(NBR)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손잡이부와 칼날부로 이루어지는 둘 이상의 가위가 상기에 기재된 가위 연결 수단으로 서로 연결된 가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탄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관통공에 다소 제작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부드러운 가위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위 연결 수단과 가위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위 조립체의 고정수단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표시된 고정수단에 탄성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이다.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인 가위 연결 수단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손잡이부(2)와 칼날부(1)로 이루어지는 두 개이 이상의 가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위 연결 수단은 관통공(10), 탄성부재(20) 및 고정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공(10)은 상기 가위의 손잡이부(2)에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부(2)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의 손잡이부(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한 쌍의 손잡이부(2)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가위의 연결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한 쌍의 손잡이부(2) 모두에 형성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위치에 할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위치에 관통공(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통공(1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형상이 사각형이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각 가위의 손잡이부(2)에 마련된 관통공(10)들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상기 가위들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탄성을 가진 재료이며, 네이프렌 재질이나 니트릴 고무(NBR)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우레탄과 같은 다른 재질의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0)는 삽입될 때 탄성변형이 되는 방식(소위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탄성변형이 되면서 끼워지는 경우 가위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관통공에 마모가 생기거나 하는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탄성부 재(20)가 탄성복원되면서 관통공(10)의 내벽표면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되는 가위들 중 최외곽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위에 각각 고정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두 개의 가위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수단(30)이 상기 탄성부재(20)의 양단부를 두 개의 가위 각각에 고정하게 되며, 세 개의 가위를 연결하게 되는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가위를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가위의 양단부에 상기 탄성부재(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수단(30)이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30)은 플랜지(31)와 홈(32)이다.
상기 플랜지(31)는 상기 탄성부재(20)의 양단부에 마련되는데 상기 탄성부재(20)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하면 된다. 상기 플랜지(31)는 상기 홈(32)에 끼워진다.
상기 홈(32)은 상기 관통공(10)과 연장되도록 마련되는데, 그 위치는 연결되는 가위들 중 최외곽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위의 다른 가위와 접하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가위들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면에 마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세 개의 가위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제일 좌측가위의 좌측면과 제일 우측가위의 우측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33은 결합부재인데, 두 개의 가위를 연결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가위가 나란히 놓여진 상태에서 탄성부재(20)를 관통 공(10)에 끼우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결합부재(33)를 이용하여 탄성부재(20)를 관통공(10)에 끼우고 플랜지(31)들이 홈(32)에 안착되면 결합부재(33)는 가위나 칼을 이용하여 절단한 후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된 구성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관통공(10)은 상기 탄성부재(20)가 끼워지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탄성부재(20)가 상기 관통공(1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한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관통공(10)을 관통한 상태로 삽입되어 가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관통공(10)에 제작 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제작 공차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특징은 손잡이부와 칼날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하는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잘 알려진 대로 칼날부의 경우 고도의 내마모성이 요구되지만 손잡이부의 경우 그러한 특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손잡이부와 칼날부의 소재를 달리하여 제작한 후 서로 결합하는 경우가 있는데 손잡이부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정밀도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주물로 만드는 경우가 있고 그런 제작방법에 의할 경우 제작 공차가 생길 여지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탄성부재(20)의 특성이 보다 큰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인 가위 조립체의 경우 전술한 가위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된 가위들이고, 가위 연결 수단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을 했고, 연결되는 가위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위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인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로 구체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위 조립체의 고정수단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표시된 고정수단에 탄성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 : 칼날부
2 : 손잡이부
10 : 관통공
20 : 탄성부재
30 : 고정수단

Claims (5)

  1. 한 쌍의 손잡이부와 칼날부로 이루어지는 두 개 이상의 가위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위 연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결되는 각 가위의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에 마련되는 관통공;
    상기 각 가위의 손잡이부에 마련된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끼워져 상기 가위들을 연결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되는 가위들 중 최외곽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위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연결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되는 가위들 중 최외곽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위의 다른 가위와 접하지 않는 면의 관통공과 연결되는 홈과,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홈에 끼워지는 플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연결 수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네오프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연결 수단.
  4. 상기 탄성부재는 니트릴 고무(NB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연결 수단.
  5. 한 쌍의 손잡이부와 칼날부로 이루어지는 둘 이상의 가위가 제1항 내지 제4항에 기재된 가위 연결 수단으로 서로 연결된 가위 조립체.
KR1020090052352A 2009-06-12 2009-06-12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 KR20100133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52A KR20100133672A (ko) 2009-06-12 2009-06-12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52A KR20100133672A (ko) 2009-06-12 2009-06-12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672A true KR20100133672A (ko) 2010-12-22

Family

ID=4350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352A KR20100133672A (ko) 2009-06-12 2009-06-12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36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749B1 (ko) * 2015-08-20 2016-10-07 이대범 다수의 미용가위가 탈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KR20170029353A (ko) 2015-09-07 2017-03-15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다중날 가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749B1 (ko) * 2015-08-20 2016-10-07 이대범 다수의 미용가위가 탈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KR20170029353A (ko) 2015-09-07 2017-03-15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다중날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2550B1 (en) Flexible composite hinge
KR960031817A (ko) 판체의 연결구
JP7021250B2 (ja) パーソナルケア用の電気器具
US20150135463A1 (en) Wiper blade adapter system
UA76114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повертання лопатки статора
WO2006127059A3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iercing a conductive member
JPS62288709A (ja) 旋回継手
KR20100133672A (ko) 가위 연결 수단 및 가위 조립체
KR101599584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WO2003021120A1 (fr) Verin lineaire
US6179716B1 (en) Eccentric shaft coupling
US7194808B2 (en) Hairdressing scissors
JP201720710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US11541560B2 (en) Precision razor with low cost assembly
US4638627A (en) Wristlet having links
JP4621990B2 (ja) 波型保持器
US2837890A (en) Link assembly having two v-shaped parts each of which has a lateral extending bearing
KR200445368Y1 (ko) 다중날 미용가위
JP2000139620A (ja) 分割式マット
CN111664223A (zh) 密封链条
JP2010209995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組み合わせシム板
KR200445909Y1 (ko) 와이퍼 블레이드
CA2455213C (en) Hairdressing scissors
WO2015115392A1 (ja) ローラチェーン
CN215596236U (zh) 一种微型联轴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