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125A -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125A
KR20100133125A KR1020090051843A KR20090051843A KR20100133125A KR 20100133125 A KR20100133125 A KR 20100133125A KR 1020090051843 A KR1020090051843 A KR 1020090051843A KR 20090051843 A KR20090051843 A KR 20090051843A KR 20100133125 A KR20100133125 A KR 2010013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main wheel
governor
elevator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강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강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강정밀
Priority to KR1020090051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3125A/ko
Publication of KR2010013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0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with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mounted in the car or cage or in the lift well or hoistway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가 감겨,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주륜; 상기 주륜에 대면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주륜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칫; 상기 주륜 및 상기 래칫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주륜 및 상기 래칫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 종단과 연결되어, 상기 주륜, 상기 래칫 및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주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칫에 맞물리거나 상기 래칫으로부터 떨어지는 스토퍼;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케이지의 속도 및 상기 케이지의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상기 주륜에 고정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개시한다.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정지되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 이동하는 개문발차를 방지할 수 있다.
조속기, 엘리베이터, 개문발차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속기{GOVERNO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케이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 안쪽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옮기는 장치로서, 승강기 또는 리프트라고 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는 계단을 대신하여 건물의 층간을 이동할 수 있어, 사람의 이동이나 화물의 이송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아울러,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경우, 사람이나 화물이 탑승하는 케이지가 로프에 연결되고, 로프는 권상기에 의해 견인된다. 따라서, 권상기의 동작에 의해 케이지는 로프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로프가 끊어지거나 엘리베이터의 이상으로 인해 케이지가 정격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있다. 이로 인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하여 케이지의 이동을 제한하는 조속기가 설치된다.
조속기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속도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정격속도의 130%를 초과하면 권상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동시에 권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 켜, 케이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속기는 케이지의 속도를 감지하여, 케이지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에 이용된다.
하지만, 케이지가 정격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케이지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케이지의 이동될 수 있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때, 사람이나 화물이 도어를 통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실제적인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의 이동(개문발차(開門發車))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규정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가 감겨,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주륜; 상기 주륜에 대면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주륜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칫; 상기 주륜 및 상기 래칫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주륜 및 상기 래칫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 종단과 연결되어, 상기 주륜, 상기 래칫 및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주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칫에 맞물리거나 상기 래칫으로부터 떨어지는 스토퍼;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케이지의 속도 및 상기 케이지의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상기 주륜에 고정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개시한다.
아울러,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케이지가 정지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래칫에 맞물려 상 기 주륜을 제동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상기 주륜에 고정시켜 상기 케이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상기 주륜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지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케이지의 규정속도 이상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래칫에 맞물려 상기 주륜을 제동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상기 주륜에 고정시켜 상기 케이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는 케이지 및 케이지의 도어의 상태를 감지하여, 조속기 로프를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조속기 로프에 연결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도 제어한다. 특히, 케이지가 정지된 상태에서 케이지의 도어가 개방된 경우, 조속기는 정지된 조속기 로프의 이동을 제한하여 케이지의 이동을 제한한다. 아울러, 조속기는 규정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케이지의 이동도 감지하여, 케이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지의 이동에 따른 인명 피해나 화물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100)는 주륜(101), 래칫(102), 샤프트(103), 프레임(104), 스토퍼(105), 리미트 스위치(106), 및 솔레노이드(107)를 포함하여, 엘리베이터(10; 도 3에 도시됨)에서 조속기 로프(700; 도 3에 도시됨)를 제동하여 케이지(300; 도 3에 도시됨)의 이동을 제어한다.
주륜(101)은 조속기 로프(700)가 감겨지고, 조속기 로프(700)가 케이지(3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한다. 아울러, 주륜(10)의 회전은 조속기 로프(700)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래칫(102)은 주륜(101)에 대면하도록 위치되고, 주륜(10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래칫(102)은 주륜(101)을 통해 조속기 로프(700)의 이동에 영향을 받거나, 조속기 로프(700)의 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샤프트(103)는 주륜(101) 및 래칫(10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주륜(101) 및 래칫(102)을 위치시켜, 주륜(101) 및 래칫(102)의 회전축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따 라서, 주륜(101) 및 래칫(102)은 샤프트(103)를 중심으로 함께 회전한다.
프레임(104)은 샤프트(103)의 양 종단에 연결되고, 주륜(101), 래칫(102) 및 샤프트(103)를 감싼다. 아울러, 프레임(104)은 조속기(100)가 엘리베이터(10; 도 3에 도시됨)에서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105)는 프레임(104)의 내부에 위치되어, 래칫(102)과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05)는 래칫(102)에 맞물려 주륜(101)을 정지시킨다. 정지된 상태의 주륜(101)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스토퍼(105)는 주륜(101)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래칫(102)과 맞물린 상태에서 래칫(102)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주륜(101)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스토퍼(105)는 래칫(102)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리미트 스위치(106)는 프레임(104)의 외부에 위치되어, 조속기 로프(700)를 통해 케이지(300)의 속도 및 케이지(300)에 위치된 도어(미도시됨)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리미트 스위치(106)는 인위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솔레노이드(107)는 프레임(104)의 외부에 위치되어 리미트 스위치(106)와 연결된다. 리미트 스위치(106)로부터 발생된 감지신호에 의해 전원이 솔레노이드(107)에 공급되거나 차단된다. 이로 인해, 솔레노이드(107)는 조속기 로프(700)를 주륜(101)에 고정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107)는 케이지(300)가 이동하는 경우에 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솔레노이드(107)는 주륜(101)의 회전 및 조속기 로프(700)의 이동에 영 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케이지(300)가 정지되면서, 케이지(300)의 도어가 개방된 경우, 솔레노이드(107)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이는 리미트 스위치(106)가 케이지(300)의 정지되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솔레노이드(107)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솔레노이드(107)는 자성을 발생시켜 조속기 로프(700)를 주륜(10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105)가 래칫(102)에 맞물린 상태이기에, 솔레노이드(107)는 이러한 상태와 조합하여 조속기 로프(700)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로 인해, 정지된 케이지(300)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속기 로프(700)의 이동을 제한하여, 케이지(300)의 이동도 제한된다.
아울러, 케이지(300)의 도어가 폐쇄된 경우, 솔레노이드(107)에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는 리미트 스위치(106)가 케이지(300)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207)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솔레노이드(107)는 조속기 로프(700)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조속기 로프(700)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지(30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케이지(300)가 이동함에 따라, 조속기 로프(700)의 영향을 받아 주륜(101)도 함께 회전한다. 주륜(101)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은 스토퍼(105)가 래칫(10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여 원활한 조속기 로프(700)의 이동 및 이에 따른 케이지(30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조속기(100)는 케이지(300)의 이동 속도를 감지함에 따라, 케이지(300)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감지할 수 있다. 이때에도 케이지(300)가 정지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와 같이, 조속기(100)는 작 동하여 케이지(30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조속기(100)를 이용한 엘리베이터(1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0)는 위에서 언급된 조속기(100)를 비롯하여, 가이드 레일(200), 케이지(300), 권상기(400), 로프(500), 카운터 웨이트(600), 조속기 로프(700), 인장도르래(800), 및 제동 도르래(900)를 포함하여, 건축물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가이드 레일(200)은 건축물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케이지(300)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케이지(300)는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도어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는 개폐되어 사람이나 화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지(300)가 이동하는 동안 사람 케이지(300)의 내부에 있는 사람이나 화물을 보호할 수 있다.
권상기(400)는 케이지(300)의 상측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로프(400)가 감겨진다. 권상기(400)는 케이지(300)에 연결되어 감겨진 로프(400)를 이동시켜, 케이지(3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로프(500)는 권상기(400)에 감겨지고, 일종단이 케이지(300)에 연결되고, 타종단은 카운터 웨이트(600)에 연결된다. 권상기(400)를 중심으로 케이지(300)에 연결된 로프(500)는 카운터 웨이트(600)에 연결된 로프(500)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로프(500)는 권상기(400)에 의한 동력이 전달되어, 로프(500)의 이동방향에 따 라 케이지(300)가 이동하도록 한다.
카운터 웨이트(600)는 로프(500)의 타종단에 연결되어, 케이지(300)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카운터 웨이트(600)는 권상기(400)가 케이지(3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권상기(400)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장 도르래(800)는 케이지의 하측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조속기 로프(700)가 감긴 상태로, 조속기 로프(700)를 통해 조속기(100)와 연결된다.
제동 도르래(900)는 권상기(400)와 카운터 웨이트(600) 사이에 위치되어, 로프(500)가 접촉된다. 이로 인해, 제동 도르래(900)는 카운터 웨이트(600)가 하측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로프(500)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속기(100)는 케이지(3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조속기 로프(700)를 통해 케이지(300)에 연결된다. 조속기 로프(700)는 조속기(100)에 감겨, 케이지(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이동한다. 따라서, 조속기(100)는 이런 조속기 로프(700)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조속기 로프(700)를 제어함으로써 케이지(300)의 이동까지도 제어할 수 있다.
조속기(100)에서 리미트 스위치(106)가 케이지(300)의 정지 및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전원이 솔레노이드(107)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솔레노이드(107)는 조속기 로프(700)를 주륜(101)에 고정시킨다. 이때, 케이지(300)는 정지된 상태에서, 스토퍼(105)와 래칫(102)은 서로 맞물려 주륜(101)을 제동하게 된다. 아울러, 제동된 주륜(101)은 조속기 로프(700)의 이동을 제한하기도 한다. 따라서, 조속기 로프(700)의 이동 제한은 케이지(300)의 이동 제한을 구현한다.
반면에, 리미트 스위치(106)가 케이지(300)의 도어의 폐쇄를 감지하면, 전원은 차단되어 솔레노이드(107)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솔레노이드(107)는 조속기 로프(700)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조속기 로프(700)는 케이지(300)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가 감겨,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주륜;
    상기 주륜에 대면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주륜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칫;
    상기 주륜 및 상기 래칫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주륜 및 상기 래칫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 종단과 연결되어, 상기 주륜, 상기 래칫 및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주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칫에 맞물리거나 상기 래칫으로부터 떨어지는 스토퍼;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케이지의 속도 및 상기 케이지의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상기 주륜에 고정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케이지가 정지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래칫에 맞물려 상기 주륜을 제동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상기 주륜에 고정시켜 상기 케이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상기 주륜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지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케이지의 규정속도 이상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래칫에 맞물려 상기 주륜을 제동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상기 주륜에 고정시켜 상기 케이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20090051843A 2009-06-11 2009-06-11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20100133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843A KR20100133125A (ko) 2009-06-11 2009-06-11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843A KR20100133125A (ko) 2009-06-11 2009-06-11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125A true KR20100133125A (ko) 2010-12-21

Family

ID=4350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843A KR20100133125A (ko) 2009-06-11 2009-06-11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31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697B2 (en) Elevator apparatus
US9505587B2 (en) Elevator with acceleration detection
US9708157B2 (en) Controlling speed of an elevator using a speed reducing switch and governor
US9771244B2 (en) Elevator
KR10133139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2054600B1 (ko) 승강기 시스템의 안전 장치
JP4905360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US10179718B2 (en) Elevator car overload monitoring to prevent starting
JP4437574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201322089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システム
CA2067284A1 (en) Fail safe elevator governor rope emergency brake
KR20190007877A (ko)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KR20100133125A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JP5609268B2 (ja) 巻胴式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EP2287102A1 (en) Elevator device
JP6580275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WO2015198384A1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200828010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902955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539700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40005576A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WO201008986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082272A (ja) 乗り場扉とエレベータ装置
KR200314755Y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JP2013056750A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