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988A - Hf-함유 유기 카보네이트로부터 hf를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Hf-함유 유기 카보네이트로부터 hf를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988A
KR20100132988A KR1020107023932A KR20107023932A KR20100132988A KR 20100132988 A KR20100132988 A KR 20100132988A KR 1020107023932 A KR1020107023932 A KR 1020107023932A KR 20107023932 A KR20107023932 A KR 20107023932A KR 20100132988 A KR20100132988 A KR 2010013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carbonate
stripping
carbonates
flu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랄트 크뤼거
크리스토프 좀머
알라인 람베르트
필립 슈베르트
옌스 올쉼케
디르크 제퍼
자스키아 베데킨트
Original Assignee
솔베이 플루오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베이 플루오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솔베이 플루오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3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17/42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8/00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8/08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17/34Oxygen atoms
    • C07D317/36Alkylene carbonates; Substituted alkylene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17/34Oxygen atoms
    • C07D317/36Alkylene carbonates; Substituted alkylene carbonates
    • C07D317/38Ethylene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유기 카보네이트(불소로 치환되지 않은 카보네이트, 그러나 특히는 불소치환된 유기 카보네이트)와 고함량의 HF를 함유한 혼합물을 비활성 가스로 탈거시키는 단계에 의해, HF가 감소된 유기 카보네이트-함유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와 HF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이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HF가 감소된 유기 카보네이트를 증류함으로써, 고도로 정제된 유기 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HF-함유 유기 카보네이트로부터 HF를 제거하는 방법{PROCESS FOR THE REMOVAL OF HF FROM HF CONTAINING ORGANIC CARBONATES}
본 발명은 HF와 유기 카보네이트, 특히는 불소치환된(fluorosubstituted) 유기 카보네이트를 포함한 혼합물로부터 불화수소(HF)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소치환된 유기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불소화(fluorinated) 디메틸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플루오로메틸 메틸 카보네이트, 1,1-디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1,2-디플루오로메틸 메틸 카보네이트) 및 더 높은 불소화도를 지닌 디메틸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삼불소화 및 사불소화 화합물)가 리튬이온 전지를 위한 용매 또는 용매 첨가제로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는, 1,3-디옥솔란-2-온(에틸렌 카보네이트/"EC")과 불소 원소와의 반응에 의한 각각의 비치환된 에틸렌 카보네이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 제2000-309583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때 반응은 무수 불화물에서 EC 용융물 또는 그 용액을 통해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퍼플루오로헥산이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1,3-디옥솔란-2-온의 현탁액이 형성된다. 미국특허출원 제2006-0036102호에 따르면, 에틸렌 카보네이트는 F1EC에 용해된 후 불소와 접촉된다. 미국특허 US-A 제7268238호에 따르면, 이러한 반응이 라시히 링(Raschig rings)이 구비된 반응기에 일체화된 컬럼에서 수행됨으로써 적합한 버블 크기의 불소 가스가 제공된다. 디-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모두가 에틸렌 카보네이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각각 높은 몰비의 불소가 반응에 도입된다. 대안으로는 모노불소화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추가 불소와 반응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일본특허출원 제2000-344763호에 기재되어 있다.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직접 불소화 처리하여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M. Kobayashi et al.의 J. Fluorine Chem. 120(2003) pages 105-110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반응기 및 라인들을 질소로 퍼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세정하여 HF를 혼합물로부터 제거하였다.
유럽특허출원 EP-A-0 557167에는 유기 카보네이트를 직접 불소화 처리하여 생성된 카보네이트 중간생성물을 통해 불소화된 기능성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휘발된 HF를 반응기로부터 퍼징시켰다.
불소치환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불소치환된 디메틸카보네이트, 디플루오로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기타 불소치환된 카보네이트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불소와 유기 카보네이트가 반응하는 동안에 불화수소가 공생성물로서 형성된다. 용매로 사용되었다면, 반응 혼합물에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원하는 반응 생성물을 단리 시키기 위해서는, 유기 성분들로부터 HF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전에 인용한 문헌들에 따르면, 이러한 HF 제거는 조(crude) 반응 혼합물을 물로 추출하거나 증류시켜 달성된다.
본 발명은 HF와 (불소화 또는 비불소화)유기 카보네이트의 혼합물로부터 HF를 제거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카보네이트(바람직하게는 불소화 유기 카보네이트)과 불화수소의 혼합물에 비활성 가스를 통과시켜 혼합물로부터 HF를 탈거함으로써, 불화수소의 함량이 감소(deplete)된 혼합물을 제조한다. 탈거용 비활성 가스로는, 희가스, 희가스와 질소의 혼합물,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질소와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하며, 공기도 적합할 수 있되 바람직하지는 않다. 탈거 가스로는 질소가 특히 적합하다.
단수 형태 "카보네이트"가 복수 형태도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따라서 "유기 카보네이트를 포함한 혼합물"이란 표현은 2종 이상의 유기 카보네이트를 포함한 혼합물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유기 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은 탈거 단계 이전 및 이후 모두에 물에 접촉시키거나 물로 세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알킬렌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비닐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로부터 또는 디알킬 카보네이트로부터 HF를 분리시키는데 적용된다. 알킬은 바람직하게 C1 내지 C4 알킬을 가리킨다. 알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이들은 메틸 또는 에틸을 상징한다.
바람직하게는, 출발 화합물(들)보다 높은 불소화도를 지닌 생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불소와 비불소화 유기 카보네이트 또는 불소와 불소화 유기 카보네이트 간의 불소화 반응 결과로 얻은 반응 혼합물이 처리대상 혼합물에 해당된다.
바람직하게, HF-함유 반응 혼합물은, 출발물질인 비불소화 유기 카보네이트를 불소 원소로 불소화하여 불소치환된 유기 카보네이트 반응 생성물 및 HF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반응에서는 희석되지 않은 불소가 사용되기도 한다. 안전상의 이유로, 불소/비활성 가스 혼합물, 특히는 불소/질소 혼합물이 보통 적용된다. 출발물질에 이러한 반응성 가스 혼합물을 통과시키는 일을 본 발명의 측면에서는 탈거 조작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탈거 단계는, 반응 혼합물의 성분들과 반응하지 않으면서 특히 미반응된 출발물질을 추가로 불소화시키지 않는 비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불소 미함유(fluorine free)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알킬렌 카보네이트가 출발물질로서 적용되어 불소화되고, HF 및 불소화된 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이 생성되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상기 혼합물로부터 HF를 제거한다. 디알킬 카보네이트에 관해, 알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 알킬기를 가리킨다. 이들 알킬기가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을 가리키며 상이할 수 있거나,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을 가리키며 동일하다. 알킬렌 카보네이트에 관해, "알킬렌"이란 용어는 바람직하게 C2 내지 C6 알킬렌기를 가리킨다. C2 알킬렌기가 고리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즉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1,3-디옥솔란-2-온 화합물을 나타낸다. 만일 알킬렌기가 C3기라면, 세 개의 탄소 원자들 중 바람직하게는 두 개가 고리 내에 포함되며, 따라서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4-메틸-1,3-디옥솔란-2-온이 있다. 만일 알킬렌기가 C4 내지 C6기라면, 4-탄소 원자에 또는 4-탄소 원자와 5-탄소 원자에 알킬 치환기들을 갖는 5원고리를 형성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4,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에틸-1,3-디옥솔란-2-온, 4-메틸-5-에틸-1,3-디옥솔란-2-온, 4-n-프로필-1,3-디옥솔란-2-온, 4-i-프로필-1,3-디옥솔란-2-온, 4-비닐-1,3-디옥솔란-2온, 1,3-디옥솔-2-온, 4-에틸-5-메틸-1,3-디옥솔란-2-온 및 4,5-에틸-1,3-1,3-디옥솔란-2-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이미 하나 이상의 불소 원자(fluoro atom)에 의해 치환된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알킬렌 카보네이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포함한 출발물질이 적용되며, 이때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HF와 반응하여 더 높은 불소화도를 지닌 물질을 생성하게 되며, 이렇게 얻은 혼합물로부터 HF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거시킨다. 예를 들어, 디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심지어 더 높은 불소화도의 화합물을 형성하도록 불소화되는 출발물질로서,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적용할 수 있다. 비불소화된 유기 카보네이트와 불소치환된 유기 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을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렌 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을 출발물질로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불소화시켜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많은 양의 불소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심지어 디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불소화도가 낮은 화합물 또는 불소화가 전혀 안된 화합물 외에도 높은 불소화도를 지닌 화합물을 함유한 출발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의 함량이 높은 혼합물을 얻기 위해, 에틸렌 카보네이트,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로 된 혼합물을 불소 원소와 반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거 단계에 의해 HF가 제거되는 바람직한 반응 혼합물로는, 하나 이상의 불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는 비불소화된 출발물질,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알킬렌 카보네이트와, HF의 혼합물이 있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이러한 반응 혼합물은 불소치환된 디알킬 또는 저불소화도 및 고불소화도를 지닌 알킬렌 카보네이트, 및 HF를 포함한다.
광범위한 양의 HF를 함유한 혼합물을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처리대상 반응 혼합물이 불소치환된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불소치환된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로부터 유래되는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불소에 의해 치환되는 수소 1원자 당 HF 분자 하나가 형성된다. 보통,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서 HF의 함량은 10 중량% 이하이다. 그러나, 고함량의 HF를 포함한 혼합물들도 처리될 수 있다.
처리가 끝난 혼합물 내 HF 함량은 바람직하게 반응 혼합물의 2 중량% 이하이다. 이러한 HF 함량은 바람직하게 1 중량% 이하이다.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이다.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는, 용기에 함유되어 있는 반응 혼합물에 비활성 가스를 분사(blowing) 통과시킴으로써 탈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회분식 모드로 또는 연속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반응 혼합물과 가스 사이에 충분한 접촉 면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탈거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비활성 가스의 스트림에 분무하거나, 또는 기포단 컬럼(bubble tray column) 내에서 탈거 가스 와 처리대상 액체를 접촉시킬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방법은 탈거탑 내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가스와 액체 사이에 큰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해 탈거탑 내에는 장치 1m3당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충전물(internals or packings)이 구비된다. 적합한 충전물로는 예를 들어 라시히 링이 있다. 탈거탑은 보통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형 관이다. 비활성 가스는 충전물 아래 탈거탑의 저부에 도입되며, 반응 혼합물은 상부에 공급된다. HF를 포함한 비활성 가스가 상부에서의 분리 라인을 통해 탑에서 배출된다.
HF-함유 카보네이트로부터 HF를 제거하는 일의 효율은 고온에서 더 높다. 접촉 단계가 용기 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용기의 벽을 가열함으로써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비활성 가스 및/또는 처리대상 액체를 가열할 수 있다.
충전물이 구비된 탈거탑 내에서 반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비활성 가스 또는 처리대상 액체 중 하나를 가열하거나 또는 양쪽 모두를 가열하여 탈거 공정의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반응 혼합물에 도입하기 전에 비활성 가스(특히는 질소)를 가열한다. 이때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 6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가열 온도는 훨씬 더 높아도 되는데, 예를 들자면 120℃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사용되는 용기, 탑, 파이프, 부속품(fittings) 등의 내열성 및 내부식성에 따라, 가열 온도는 150℃를 초과할 수 있다.
연속적 탈거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반응 혼합물도 바람직하게는 가열된다. 회분식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탈거 공정 이전 및/또는 탈거 공정 도중에 반응 혼합물을 가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혼합물을 6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혼합물을 12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한다.
탈거 단계를 상압에서 수행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만일 원한다면, 약간의 진공음압을 인가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압력을 0.5 바로, 또는 심지어 0.2 바로 낮추어도 된다. 유기 화합물이 비활성 가스 흐름과 함께 그로부터 이송될 정도로 온도가 높아서는 안 된다.
회분식 공정에서는, 원하는 최대량의 HF가 존재할 때까지 탈거 공정이 수행된다.
탈거탑 내에서의 연속적 공정에서는, 주어진 HF 농도, 비활성 가스의 유량 및 반응 혼합물에 대해 원하는 HF 잔류 농도에 이르도록, 탑의 높이를 선택한다.
다음으로는 탈거 단계에서 배출되는 반응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증류탑에 공급하여, 순수 생성물을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면, 1회 이상의 후속 증류 단계에 의해 정제된 카보네이트가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기 카보네이트와 HF의 혼합물로부터 정제된 유기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유기 카보네이트와 HF의 반응 혼합물에 비활성 가스를 통과시켜 혼합물로부터 HF를 탈거시킴으로써 HF가 감소된 중간생성물을 수득하는, 혼합물 탈거 단계 1회 이상; 및 HF가 감소된 중간생성물을 증류시켜 정제된 유기 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증류 단계 1회 이상을 포함한다. 탈거 단계 이전 혹은 이후에나, 또는 탈거 단계들 도중에 뿐만 아니라, 어떠한 증류 단계 이전 또는 이후라도 유기 카보네이트와 HF의 혼합물을 물과 접촉시키거나 물로 세척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HF를 제거시키는 탈거 공정은 여러 장점을 가진다. 큰 장점이라면 물을 이용한 추출 단계가 필요 없다는 것이다. 순수 생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증류 단계들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탈거탑 내에서 탈거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생성물에 미치는 열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HF가 유기 카보네이트 내에서 극도로 낮은 활성도 계수를 가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탈거 공정을 통해 카보네이트로부터 HF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 매우 놀라운 일로 여겨질 것임이 틀림없다. 예를 들어,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내에서 HF의 활성도 계수 γ는 0.08로 측정되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탈거 공정에 제한을 두지 않으면서 탈거 공정을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함이다.
실시예 1
65℃까지의 가열 조건 하에,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HF를 회분식으로 탈거시킴
반응 혼합물의 근원: 미국특허출원 제2006-003610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에 용해된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불소 16 중량%가 함유된 불소/질소 혼합물과 접촉시켰다. 이렇게 얻은 반응 혼합물은 약 7.1 중량%의 HF를 포함하였다. 나머지는 대부분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미반응된 에틸렌 카보네이트였다.
반응 혼합물의 약 500kg을 용기에 채웠으며, 이때 용기는 벽을 통해 가열될 수 있는 용기이다. 용기에는, 액체 반응 혼합물 표면의 아래로 질소 가스를 도입시키는 입구와, 생성되는 HF/질소 가스 혼합물을 배출시키는 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반응 혼합물을 65℃까지 가열하고, 질소(반응 혼합물에 도입되기 전에 가열되지 않았음)를 10 kg/h로 혼합물에 통과시켰다. 처리된 반응 혼합물 내 HF의 함량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표 1의 데이터로 제공하였다:
시간 [h] HF의 잔류함량 [g/kg]
0 71
8 65
16 44
24 41
32 36
40 22
48 18
56 19
64 12
72 12
80 13
87.5 9.3
91.5 7.4
95.5 6.7
99.5 5.8
103.83 4.5
106.5 3.7
실시예 2
80℃까지의 가열 조건 하에,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HF를 회분식으로 탈거시킴
초기에 HF를 5.7 중량% 함유한 반응 혼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이번에는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80℃에 유지하였다.
특정 시간 간격을 두고 반응 내에서의 HF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표 2에 제공하였다.
시간 [h] HF의 잔류함량 [g/kg]
0 57
4.25 36
8.25 32
12.25 26
16.25 21
20.25 17
24.25 13
28.25 10
32.25 9.8
36.25 8.6
40.25 7
44.25 5.9
48.25 5.6
표 1과 표 2에 제공된 결과들은,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내 HF의 매우 낮은 활성도 계수에도 불구하고 HF 함량이 탈거 공정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 결과는 탈거 공정이 더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훨씬 빠른 시간 이내에 HF의 잔류함량이 낮아졌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질소 소모량이 상당히 감소되었다.
탈거 공정이 지속되었다면 HF의 잔류함량이 더 감소하였을 것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반응물 1kg 내 HF가 차지하는 3.7g 및 5.6g 함량은 결코 최종 농도가 아니다.
실시예 3
연속적으로 수행된 탈거 공정
이 실시예에서는, 이론 단수(theoretical stages)가 12인 충전 탈거탑 내에서 탈거 공정을 수행하였다. 질소 가스를 충전물 아래 탑의 저부에 도입하고, 액체 반응 혼합물을 탑의 상부에 도입하였다. 압력을 약 1.1 바(abs.)로 하고, 처리대상 반응 혼합물을 탑에 공급하기 전에 90℃까지 가열하였으며, 질소 또한 탑에 도입시키기 전에 120℃까지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총 유량을 65 kg/h로, 질소의 유량은 112 kg/h로 설정하였다.
탈거 이전과 이후의 반응 혼합물 함량을 표 3에 제공하였다. 표에 사용된 약어들은 다음과 같다:
EC = 에틸렌 카보네이트
F1EC =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CIS-F2EC = 시스-4,5-디플루오로-디옥솔란-2-온
TR-F2EC = 트랜스-4,5-디플루오로-디옥솔란-2-온
4,4-F2EC = 4,4-디플루오로-디옥솔란-2-온
HF = 불화수소
N2 = 질소
화합물 반응 혼합물 내의 함량
탈거 이전 탈거 이후
EC 0.279 0.321
F1EC 0.509 0.578
CIS-F2EC 0.034 0.037
4,4-F2EC 0.022 0.016
TR-F2EC 0.079 0.047
HF 0.077 6.51E-06
N2 0 2.63E-6
용어 "6.51E-0.6" 및 "2.63E-06"은 각각 6.51ppm 및 2.63ppm을 가리키며, 이는 불소화 유기 탄소염으로부터 HF를 제거하는 탈거탑의 월등한 성능을 나타낸다.
순수 F1EC를 단리시키기 위한 후속 정제 단계들 동안에 HF 함량이 더 감소될 것임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 4
디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생성으로부터 반응 혼합물 탈거
불소가 16 중량% 함유된 불소/질소 혼합물과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디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약 7 중량%의 HF와 약 50 중량%의 디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시스- 및 트랜스-디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와, 4,4-디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함유할 때까지 불소화 단계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는 미반응된 에틸렌 카보네이트,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도 함유되어 있다.
반응 혼합물을 용기로 전달하고, 용기의 벽에 배치된 가열요소들을 통해 약 70℃까지 가열하였으며, 질소를 액체에 통과시켰다. HF 함량이 0.5 중량%로 감소될 때까지 질소를 액체에 분사 통과시켰다.
이러한 HF가 감소된 반응 혼합물을 예컨대 적합한 흡착제 또는 흡수제(예를 들어, 실리카)에 접촉시킴으로써 추가 처리하여 잔류하는 HF를 제거하였다. 그런 후에는, 후속의 증류 단계에 의해 디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서로로부터 단리 및 분리시켰다.

Claims (16)

  1. 유기 카보네이트와 불화수소를 함유한 혼합물에 비활성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혼합물로부터 HF를 탈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카보네이트와 불화수소를 함유한 혼합물로부터 불화수소의 함량이 감소된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탈거 가스가 질소, 희가스, 이산화탄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불소치환된 유기 카보네이트(바람직하게는 불소치환된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불소치환된 알킬렌 카보네이트)와 불화수소를 함유한 혼합물을 탈거시키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모노플루오로-, 디플루오로- 및/또는 트리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와 HF를 함유한 혼합물을 탈거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탈거 단계를 회분식으로 수행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용기에 공급하기 전에 및/또는 용기 내에서, 처리대상 혼합물을 60℃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용기에 공급하기 전에 및/또는 용기 내에서, 처리대상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탈거 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탈거탑 내에서 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탈거탑에 공급하기 전에, 혼합물을 80℃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비활성 가스를 100℃ 내지 150℃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비활성 가스를 100℃ 내지 150℃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질소를 비활성 가스로 적용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탈거 단계에 의해 불화수소의 함량이 혼합물의 2 중량%이하로 감소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불화수소의 함량이 0.1 중량%이하로 감소되는 것인 방법.
  16. HF가 감소된 생성물을 수득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계; 및
    HF가 감소된 생성물을 증류시키는 1회 이상의 후속 증류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카보네이트와 HF의 혼합물로부터 정제된 유기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07023932A 2008-03-27 2009-03-26 Hf-함유 유기 카보네이트로부터 hf를 제거하는 방법 KR20100132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3413 2008-03-27
EP08153413.3 2008-03-27
EP08153481.0 2008-03-28
EP08153481 2008-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988A true KR20100132988A (ko) 2010-12-20

Family

ID=4062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932A KR20100132988A (ko) 2008-03-27 2009-03-26 Hf-함유 유기 카보네이트로부터 hf를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009660A1 (ko)
EP (1) EP2271637A1 (ko)
JP (1) JP2011515447A (ko)
KR (1) KR20100132988A (ko)
CN (1) CN101981022A (ko)
BR (1) BRPI0910318A2 (ko)
CA (1) CA2717841A1 (ko)
TW (1) TW201002680A (ko)
WO (1) WO2009118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4954B2 (en) * 2008-12-15 2015-12-08 Allergan, Inc. Knitted scaffold with diagonal yarn
EP3214066B8 (en) 2009-07-16 2024-03-27 Specialty Operations Franc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luoroalkyl fluoroformates
TW201121938A (en) * 2009-09-28 2011-07-01 Solvay Fluor Gmbh Manufacture of difluoroethylene carbonate, trifluoroethylene carbonate and tetrafluoroethylene carbonate
US9309116B2 (en) 2011-09-26 2016-04-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aqueous HF solutions
CN104718199A (zh) 2012-10-09 2015-06-17 索尔维公司 用于纯化氟化的有机碳酸酯的方法
JP6423018B2 (ja) * 2014-03-05 2018-11-14 ベクテル ハイドロカーボン テクノロジ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硫化水素ストリッパー中において硫化水素とアンモニアとを分離する能力が強化された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1136301A (ja) * 2020-02-26 2021-09-13 キオクシア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7390A1 (en) * 1992-02-12 1993-08-13 Jack E. Richman Preparation of fluorinated functional compounds
DE10308149A1 (de) * 2003-02-26 2004-09-09 Solvay Fluor Und Derivat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Fluor-1, 3-dioxolan-2-on
KR100655225B1 (ko) * 2005-01-24 2006-12-08 울산화학주식회사 4-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2011515446A (ja) * 2008-03-27 2011-05-19 ゾルファイ フルーオ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特定の吸収剤を使用するhfが低減されたフッ素化有機カーボネートの製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0318A2 (pt) 2015-08-04
CA2717841A1 (en) 2009-10-01
CN101981022A (zh) 2011-02-23
US20110009660A1 (en) 2011-01-13
EP2271637A1 (en) 2011-01-12
TW201002680A (en) 2010-01-16
JP2011515447A (ja) 2011-05-19
WO2009118369A1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2988A (ko) Hf-함유 유기 카보네이트로부터 hf를 제거하는 방법
US7268238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4-fluoroethylene carbonate
JPS6327333B2 (ko)
KR20120081168A (ko) 카보네이트의 연속식 제조 방법
CA3004795A1 (en) Process for purifying alkanesulfonic acids
KR20150064073A (ko) 정제 플루오로치환 유기 카보네이트의 제조
KR20100126562A (ko) 특정 흡수제를 이용하여 hf가 감소된 불소화 유기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US6476237B2 (en) Purification of alkylene carbonates
US6156160A (en) Alkylene carbonate process
KR20130090412A (ko) 디메틸 카보네이트/메탄올 혼합물로부터 디메틸 카보네이트의 반응 회수
EP111956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
US20120157695A1 (en) Process for the Distillative Purification of Fluoroethylene Carbonate
JPH08231473A (ja) アミンヒドロフルオライド錯体の処理方法
JP2003342236A (ja) ジメチル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US20050277778A1 (en) Carbon dioxide production
US20240182438A1 (en) Method for preparing electronic-grade ethylene sulfate
KR20150064748A (ko) 플루오르화 유기 카보네이트의 정제 방법
US20020147349A1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alkylene carbonate
PL110136B1 (en) Method of producing chloroformic acid esters
JPH06157367A (ja) 1,1−ジクロロ−1−フルオロエタン中に含まれる塩化ビニリデンの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