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873A -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873A
KR20100132873A KR1020090051683A KR20090051683A KR20100132873A KR 20100132873 A KR20100132873 A KR 20100132873A KR 1020090051683 A KR1020090051683 A KR 1020090051683A KR 20090051683 A KR20090051683 A KR 20090051683A KR 20100132873 A KR20100132873 A KR 20100132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herbal
ms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연
김윤배
장용훈
Original Assignee
장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훈 filed Critical 장용훈
Priority to KR102009005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2873A/ko
Publication of KR2010013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엽(桑葉, Mori Folium), 야콘(Yacon: Polymnia sonchifolia) 및 홍화(紅花, Charthamus tinctorius L.)를 포함하는 미생탕(MST: Misangtang) 생약 복합제 추출물이 포함된 비만증 에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여, 혈중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의 증가 및 체내 지질대사의 개선을 통해 체중증가 억제와 동시에 체중감량에 효과가 있다.
비만,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상엽, 야콘, 홍화

Description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HEALTHY FOOD FOR IMPROVING AND PREVENTING OF OBESITY}
본 발명은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회는 고도의 경제성장과 소득의 증대로 인하여 국민의 전반적인 생활 수순이 향상되었고, 식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하여 곡류와 채소류의 섭취는 감소한 반면, 지방, 육류 및 가공식품의 섭취가 증가하여 대부분의 영양소를 부족함 없이 섭취하게 되었다.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질병의 종류에도 변화되었는데, 영양부족으로 인한 질환은 감소한 반면에, 비만, 관상동맥질환, 당뇨 및 암과 같이 과잉 영양이나 영양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되는 만성퇴행성질환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고혈합성 질환, 뇌혈관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및 동맥경화증 등을 포함한 순환기계 질환에 의한 사망이 24.6%로 가장 높은 사망원인이고, 암으로 인한 사 망이 그 다음으로 21.7%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ublic of Korea, 1996)
이때, 상기와 같은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는 순환기계 질환이나 암 등과 같은 만성 퇴행성 질환의 위험요인 중의 하나로 비만을 들 수가 있는데, 비만은 영양섭취의 균형상 열량섭취의 증가와 병행하여 체내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그리하여 비만은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여기서 임상 및 역학분야에서 비만의 판정법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에 의하면 성인남녀 모두에 있어서, BMI가 22
Figure 112009035226089-PAT00001
일 때, 사망률이 최소이고, 27
Figure 112009035226089-PAT00002
이상이 되면, 사망 위험도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이 되면, 비만으로 정의되는데 이때의 임상적인 BMI는 30.1 이상인 경우가 되며, 또한, 현재의 체중이 이상적인 체중의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비만으로 정의된다. 더욱이, 20~45세의 비만 성인에서 고혈압의 위험도가 정상적인 성인에 비해 5~6배가 높으며, 당뇨병은 2.9배, 고지혈증은 1.5배가 높다는 보고도 있다.
특히, 소아 비만아의 경우에는 성인이 되어서도 비만증이 될 확률이 높고, 많은 비만아들은 흔히 심리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성인 비만에서와 같이 우울증, 당뇨병, 지방간,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증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만의 원인에 대해서 동물 실험 결과에 따르면 특발성(Spontaneous Naturally Occurring), 유전적 요인(한 가지 이상의 특이 유전자의 돌연변이), 식이성 원인, 신경내분비적 원인 등으로 나눌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과잉 에너지 축적이 가장 직접적으로 관계되어 비만의 약 95%는 과잉 에너지 축적이 원인이 된 단순 비만이라는 보고가 있다(Hill JO, An Overview of the Etiology of Obesity. In: Eating Disorders and Obesity, The Guilford Press, pp460~466, 2002).
단순 비만은 과식과 운동부족이 그 원인이며, 증후성 비만은 내분비, 시상하부, 유전, 전두엽 및 대사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데, 비만은 고혈압, 동맥경화, 지방간 및 당뇨 등 각종 질병의 발생에 관여하거나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비만은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으며, 비만증이 된 경우에는 체지방의 감소를 통해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것이 각종 질병의 예방과 건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비만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강해져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물질과 제품에 대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비만의 치료에는 항비만약물의 이용이 중요한데,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항비만약물 중 하나는 심장판막의 이상으로 인해 제품이 회수되는 사례가 있는가 하면, 알러지성 발진, 메스꺼움, 불면증, 두통, 갈증 등의 부작용이 관찰되기도 하고, 위장관계열 부작용이 관찰되기도 하는 등 항비만약물의 이용에는 부작용에 대한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없으면서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엽(桑葉, Mori Folium), 야콘(Yacon: Polymnia sonchifolia) 및 홍화(紅花, Charthamus tinctorius L.)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제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구성하는 상기 상엽, 야콘 및 홍화의 중량비(w/w)는 각각 50%, 30% 및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구성하는 상기 상엽, 야콘 및 홍화의 중량비(w/w)는 각각 5:3: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물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및 포제 처리한 추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제 처리된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소금, 식초 및 정종의 혼합 용액에 침지(沈漬, 浸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제 처리된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비만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상엽, 야콘 및 홍화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생약 복합체 추출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및 음료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혈중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의 증가 및 체내 지질대사의 개선을 통해 체중증가 억제와 동시에 체중감량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복부지방의 분해에 의해 복부비만의 예방 및 치료가 된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미생탕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 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엽(桑葉, Mori Folium), 야콘(Yacon: Polymnia sonchifolia) 및 홍화(紅花, Charthamus tinctorius L.)를 포함하는 미생탕(MST: Misangtang) 생약 복합제 추출물이 포함된다.
상엽은 뽕나무 및 동속 근속식물의 잎을 건조한 것으로 맛은 고감(苦甘, 쓰고 달음)하고 성질은 한(寒)하며 폐, 간경(刊經)에 들어간다. 잎에는 루틴(Lutin), 쿼서틴(Quercetin), 모라세킨(Moracetin), 베타-시토스테롤(
Figure 112009035226089-PAT00003
-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rsterol), 루페올(Lupeol), 미오이노시놀(Yoinositol), 이노코스테론(Inokoster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상엽은 양혈조습(피의 열을 없애고 수분을 줄여줌), 거풍명목(풍기운을 없애고 눈을 맑게 해줌), 말복 지도한(분말로 복용하면 식은땀을 없앰) 등의 효과가 잇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본초강목 등의 동양의약서에 상백피, 누에고치 등과 함께 소갈증에 효과가 있음이 기록되어 있다.
야콘은 국화과에 속하는 쌍자엽 다년생 피근식물로 남미 안데스지역인 볼리비아와 페루가 원산지이고, 약 20여 종이 열대성 기후인 남아메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현지에서는 '땅속의 배'라고 불린다.
그리고 야콘의 덩이뿌리에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설탕과 같은 이당류 및 3 탄당 내지 10 탄당의 올리고당 등 몇 가지 형태의 탄수화물을 저장하며 약간의 전분과 이눌린(Inulin)을 함유하며 감미성분은 프락토올리고당(Fructo- oligosaccharides)이 주성분을 이룬다. 또한, 야콘은 항당뇨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당뇨질환 개선을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홍화는 잇꽃으로 맛이 시고 성질은 따뜻하다. 잇꼿에는 홍색소(Safflower Yellow), 적색소(Carthamin) 및 15
Figure 112009035226089-PAT00004
, 20
Figure 112009035226089-PAT00005
-dihydroxy-
Figure 112009035226089-PAT00006
pregnen-3-one도 함유한다. 또한, 홍화유는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올레이산, 리놀렌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잎은 Luteolin-7-glucoside를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홍화씨는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진정 및 보혈 등의 약용으로 사용되어왔으며, 특히 미국 및 인도에서는 식용유 생산용으로 재배되는 유용한 자원이다. 게다가 홍화씨유에는 리놀렌산을 비롯한 다량의 불포화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혈전 및 항고혈압성 신소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상엽, 야콘 및 홍화를 포함하는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이 포함되는데,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물 추출물이나 알코올 등을 용매로 하는 추출법 등을 적용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한 분획추출물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제조는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통상의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하거나, 중탕이나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추출하 는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되, 하기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을 복방제라 한다.
1. 세척단계<S01>
생약을 건조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생약을 세척하는 단계로, 생약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엽, 야콘 및 홍화를 세척한다.
2. 건조단계<S02>
단계 S01에서 세척된 하나 이상의 생약을 건조하는 단계로,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다.
3. 혼합 및 분쇄단계<S03>
단계 S02에서 건조된 하나 이상의 생약들을 혼합하고 분쇄하는 단계이다.
4. 냉침추출단계<S04>
단계 S03에서 분쇄되어 분말화된 복합 생약을 2 내지 20배 부피/중량의 증류수(3 내지 10배 부피/중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증류수와 알코올의 혼합용매(증류수, 메탄올 또는 70%주정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를 가하여 0℃ 내지 상온(4℃ 내지 6℃의 온도가 바람직하다)에서 12시간 내지 48시간(20 내지 24시간이 바람직하다) 동안 냉침을 함으로써, 추출물을 얻는다.
5. 열수추출단계<S05>
단계 S03에서 분쇄되어 분말화된 복합 생약을 2 내지 20배 부피/중량의 증류수(3 내지 10배 부피/중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 코올 또는 증류수와 알코올의 혼합용매(증류수, 메탄올 또는 70%주정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를 가하여 80℃ 내지 110℃(90℃ 이상의 온도가 바람직하다)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2시간 내지 5시간이 바람직하다) 동안 무압력으로 20 내지 50배의 물로 2 내지 5회를 추출하여 극성 용매에 가용한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의 추출물을 얻는다. 본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열수추출법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추출된 복방제를 포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되, 하기에서 설명되는 포제처리방법에 의해 생산된 추출물을 포제라 한다.
6. 제1침적단계<S11>
단계 S04 또는 단계 S05에서 추출된 복방제 건조물에 3 내지 10배의 10% 천일염을 녹인 소금물을 첨가하여 30시간 내지 52시간 동안 침적시킨 다음 건조한다.
7. 제2침적단계<S12>
단계 S11에서 건조된 복방제에 3 내지 10배의 식초 수용액 및 15%의 농도를 가지는 정종 수용액을 첨가하여 48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침적시킨 다음 건조한다.
8. 추출단계<S13>
단계 S12에서 건조되어 수득된 분말을 3 내지 10배의 물, 메탄올 또는 70% 주정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단계 S01 내지 단계 S05의 과정을 반복하여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추출한다.
단계 S04, S05 및 S13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통해 추출된 복방제 또는 포제 처리된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형태로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추출된 복방제 또는 포제를 투여하여도 간 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는 알라닌 아미노기전이효소(ALT), 아스파라긴산 아미노기전이효소(AST)의 효소활성이 정상적인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한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약학적으로 허용이 가능한 형태면 어떤 형태도 가능한데, 단독으로 투여될 수도 있고,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의 결합되어 투여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의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는 것도 가능하고,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되는 것이 가능하고,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의 형태가 가능하다. 이런 고형제제에는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인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하는 것도 가능하고,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같이 섞어 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행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부형제인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 여러 가지 부형제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비수성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의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것이 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1일에 0.0001mg/kg 내지 100mg/kg(0.001mg/kg 내지 100mg/kg이 바람직하다)으로 투여하면 된다. 투여의 회수도 하루에 한번을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회로 나누어서 투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 예, 참고 예 및 실험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되, 하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 참고 예 및 실험 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한기 실시 예, 참고 예 및 실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준비 및 제조
1-1. 복방제 준비
상엽, 홍화 및 야콘을 각각 500g, 300g, 200g 씩 전체 1kg을 준비하였다.
1-2. 상엽 포제의 제조
1-1.에서 준비된 상엽 건조물에 알코올 농도 15%의 정종, 10% 천일염으로 녹인 소금물 및 양조식초를 각각 3:1:1의 비율로 첨가하여 72시간 동안 침적시킨 다음, 음지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소금과 술을 2:1의 비율로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다시 침적시킨 후 음지에서 72시간 이상 건조시켜 복합 생약 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시료의 물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가각의 건조 시료인 상엽과 홍화를 증류수 50ℓ에 첨가하여 냉각하였다. 그리고 냉각한 추출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증발기를 이용하여 1ℓ부피로 감압 농축, 동결 건조하여 각각의 물 추출물 건조분말 17.5g, 15.7g을 각각 얻는다.
한편, 야콘 괴경(塊莖: 덩이줄기)을 물로 세척하여 동력 절단기를 이용하여 세절한 다음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는 초저온 냉동고를 이용하여 -55℃에서 24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0.35bar, -55℃에서 36시간 동안 수분함량이 5% 내외가 되도록 건조하였다. 그리고 건조된 야콘을 60메쉬(Mesh)로 분쇄하였다.
<실시예 3.> 실험동물에서 비만 유발과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투여 및 통계처리
3-1. 실험동물의 준비
지방세포에서 유래하는 항비만인자로써 강력한 섭식억제작용과 에너지 소비 촉진작용을 가진 펩티드 호르몬인 렙틴이 수용체 수준에서 결핍되어 비만이 유도되는 유전적 실험동물 모델인 생후 5주령의 Zucker FA/-랫드 수컷 및 암컷을 3개의 실험군인 정상대조군(NCD), 양성대조군(HFD),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 각각 10마리씩 할당하여 8주간 사육하고, 실험식이는 실험동물용 가루사료를 공급하였으며, 온도 23±2℃, 습도 50±10%, 환기 횟수는 시간당 10 내지 12회, 명암주기는 12시간 및 조도는 200Lux의 조건으로 물과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충분 히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3-2. 실험동물에서 비만 유발
Zucker FA/-랫드에서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는 본 발명의 복방제 또는 포제 1, 3, 5%를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지방가루사료(1% 콜레스테롤, 3% 옥수수유)와 일반가루사료에 혼합하여 8주간 급여하였으며, 정상대조군(NCD)과 양성대조군(HFD)에도 각각 일반가루사료와 고지방가루식이 (1% 콜레스테롤, 3% 옥수수유)를 공급하였다.
상기와 같이, 고지방가루사료를 혼합하여 사료를 급여한 시험물질급여군(HFD+MST)의 동물을 부검하고 혈액을 채취하며, 간 조직은 미리 차게 해둔 0.9%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간 관류(Liver perfusion)한 후 간을 적출하고, 채취된 혈액샘플은 혈액학적검사와 혈액생화학적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참고로, 실험돌물의 체중은 주1회 측정하였다.
독성실험을 위해 주령의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계 랫드 70마리를 10마리씩 7개의 군으로 분류한 다음, 상엽 단미제와 복방제를 각각 0.5, 1 또는 2g/kg/BW의 용량으로 투여 당일에 조제하여 경구로 투여하였으며, 정사대조군(NCD)에는 용매인 증류수만을 매일 1회, 4주간 경구로 투여하였다.
구성 정상지방사료(NCD) 고지방사료(HFD)
카제인 (Casein) 200 200
옥수수녹말 (Maize Starch) 521 321
설탕 (Sucrose) 100 100
옥수수유 (Maize oil) 100 100
라드 (Lard) - 200
셀룰로스 (Cellulose) 30 30
DL-메티오닌 (DL-methionine) 2 2
mineral mix 35 35
vitamin mix 10 10
choline bitartarte 2 2
gross energy content (kcal/g) 4.25 5.20
* AIN mineral mix containing (g/kg) : calcium phosphate dibasic 500, sodium chloride 74, potassium citrate 220, potassium sulfate 52, magnesium oxide 24, manganous carbonate 3.5, ferric citrate 6, zinc carbonate 1.6, cupric carbonate 0.3, potassium iodate 0.01, sodium selenate 0.01, chromium potassium sulfate 0.55
* AIN vitamin mix containing (g/kg) : thiamin HCl 0.6, rivoflavin 0.6, pyridoxine HCl 0.7, niacin 3, calcium pantothenate 1.6, folic acid 0.2, biotin 0.02, vitamin B12 (0.1% trituration in manitol) 1, dry vitamin A palmitate (500,000 U/g) 0.8, dry vitamin E acetate (500 U/g) 10, vitamin D, trituration (400,000 U/g) 0.25, manadione sodium bisulfate complex 0.15
3-3. 통계분석
모든 결과는 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표준편자로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시험결과에 대한 분산의 동질성을 비교하기 위해 동질성 검정(Levene's test)을 실시하고, 분상이 동질성을 갖는 경우에는 분산분석(ANOVA: One-way Analysis of Vatiance)를 실시하여 유의성이 관찰되면 정사대조군(NCD)과의 유의차가 있는 실험군을 알아내기 위하여 본페로니(Bonferroni) 검정과 시프(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동질성 검정결과 분산이 이질적이면 적절한 데이터 변형을 실시하고 다시 변형데이터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재실시하여 분산이 동일하면 앞의 순서를 진행한다. 한편 분산이 동질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논파라메트릭 분산분석 검정(Non-Parametric ANOVA test)을 실시하고 그 결과가 유의적이면 그에 합당한 t-test방법을 선정하여 p<0.05에서 통계학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비만 유도된 Zucker FA/-랫드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의 개선효과
1-1. 체중 및 장기 무게 변화
8주간 웅성의 Zucker FA/-랫드에서 정상대조군(NCD)의 체중과 비교하여보면, 양성대조군(HFD)의 체중은 시험물질 투여 후 2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마지막 8주째에는 74.6%가 증가하였고,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이 첨가된 시험물질급여군(HFD+MST)의 체중은 시험물질의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가 억제되었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이 1%가 투여된 시험물질급여군(HFD+MST 1%)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억제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MST 3%의 농도(HFD+MST 3%)에서는 8주째에 87.2%, 5%(HFD+MST 5%)에서는 정상대조군(NCD)과의 비교에서도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며, 양성대조군(HFD)과의 비교에서도 6주째부터 약 8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억제(p<0.05~0.01)되었다.
이는 이전에 보고된 인체에서 다소 체중감소가 보였다는 결과(Kim SY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pp1217-1222, 1998 ; Kim SK et al., Soon-chunhyang J. Nat. Sci., 5, pp167-171, 1999)와 유사하며, 웅성 랫드에서는 정상대조군(NCD)의 간 무게는 3.20±0.19g이었으며, 양성대조군(HFD)에서는 3.70±0.21g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Treatment Liver Left kidney Right kidney Epididymal adipose tissue
NCD 3.20±0.19 0.36±0.05 0.37±0.02 0.73±0.17
HFD 3.70±0.21* 0.42±0.04 0.40±0.06 1.26±0.15*
HFD+MST 1% 3.51±0.20# 0.40±0.03 0.38±0.04 1.14±0.27
HFD+MST 3% 3.53±0.23# 0.36±0.05 0.35±0.05 1.09±0.31
HFD+MST 5% 3.47±0.17# 0.33±0.06 0.34±0.04 0.87±0.19#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rmal diet (p<0.05)
# Significantly different frim high-fat diet (p<0.05)
한편,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는 양성대조군(HFD)에 비하여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고환주위 지방조직 또한 정상대조군(NCD)에 비하여 양성대조군(HFD)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는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복방제 또는 포제를 5%의 비율로 급여한 시험물질급여군(HFD+MST 5%)에서 유의하게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p<0.05).
또한, 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 신장에서는 정상사료군, 양성대조군(HFD) 및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는 좌, 우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고지방 섭취시 간 무게가 증가한다는 보고(Wursch P et al., J. Nutr., 109(4), pp167-171, 1999 ; Park OJ et al., Kor. J. Nutr., 27(8), pp785-794, 1994)와 일치되는 결과였다.
1-2. 혈액 및 혈청생화학적 결과
부검전일 18시간 동안 절식시킨 Zucker FA/-랫드를 에테르 마취 하에서 복대동맥에서 전혈을 채취하여 얻는 혈액을 실온에 30분간 방치하여 응고시킨 후, 1,5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얻은 혈청의 포도당, 알부민, 총콜레스테롤(TC), 트리글리세리드(TG), 크레아티닌(Creatinone), 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아미노기 전이효소(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 혈중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알카라인 포스파타제 (alkaline phosphatase, ALP), 젖산탈수소효소를 생화학자동분석기 Hitachi-747 (Hitachi medical,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질의 변화에서 정상대조군(NCD)과 양성대조군(HFD)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0.01). 그리고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는 3%, 5%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억제하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차지하는 비율을 높임으로써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간 손상의 대표되는 아미노전이효소로 AST/ALT와 젖산탈수소효소 모두에서 정상대조군(NCD)에 비해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시험물질급여군(HFD+MST) 중 본 발명의 복방제 또는 포제를 고농도 비율로 급여한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 통계학적으로 모두 유의하게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P<0.05~0.01). 이는 표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방사료에 의해 저하된 간 기능에 대해 시험물질을 급여함으로써 간 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Treatment NCD HFD HFD
+MST 1%
HFD
+MST 3%
HFD
+MST 5%
Cholesterol (mg/dl) 68.5±11.3 102±24.3** 85.5±16.4 74.6±25.4# 71.2±12.8#
LDL (mg/dl) 15.3±2.9 20.5±4.5* 17.6±5.4 16.9±6.7# 16.1±5.2#
HDL (mg/dl) 21.4±8.5 22.1±7.5 24.7±4.9 25.4±3.8 24.2±5.6
Triglycerides (mg/dl) 88.7±23.4 135.7±42.3** 123.4±55.4 118.4±21.2 95.3±27.3#
ALT (IU/l) 55.2±13.1 96.4±13.8* 87.5±12.3 79.4±31.4 65.4±11.4##
AST (IU/l) 165.2±42.3 204.3±39.4* 198.4±32.7 187.1±45.7 171.2±29.8#
ALP (mg/dl) 147.2±54.8 155.0±35.4 165.4±42.3 159.3±59.0 162.7±39.8
LDH (IU/l) 4,785.4
±874.5
6,662.4
±768.1*
5,558.2
±956.4
5,147.2
±687.1
4,854.3
±875.3#
Total proteins (g/dl) 6.62±1.26 6.63±1.06 6.51±0.21 6.54±0.25 6.51±0.29
Albumin (g/dl) 4.45±0.86 4.41±0.12 4.29±0.96 4.26±0.75 4.46±0.54
Glucose (mg/dl) 145.6±41.5 165.8±31.4 151.2±25.6 148.2±38.4 146.6±45.7
BUN (mg/dl) 20.4±6.9 16.4±2.5 17.1±3.1 18.0±2.9 18.4±3.7
Creatinine (mg/dl) 0.56±0.12 0.71±0.12 0.65±0.23 0.75±0.21 0.72±0.31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rmal diet (p<0.05)
# Significantly different frim high-fat diet (p<0.05~0.01)
또한, 총단백과 알부민에서는 일부 감소와 증가에 대한 변화를 보이나 이는 정상범위 내에서의 변화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일부 비반이나 고지혈증과 치료제의 경우 단백과 알부민의 감소를 초래하는 부작용을 보이지만, 본 발명의 복방제나 포제를 이용한 경우에서는 매우 안정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혈당의 경우, 정상사료를 급여한 정상대조군(NCD)과 고지방사료를 급여한 양성대조군(HFD)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본 발명의 복방제나 포제를 급여한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는 시험물질의 농도에 따라서 넓은 범위의 표준편차 내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더욱이, 혈중 요소질소와 혈중 크레이티닌의 경우에는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1-3. 조직 중 지질과산화 측정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의 과산화지질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조직 내 지질 과산화 (lipid peroxidation)의 측정은 말론디알데히드 (malondialdehyde, MDA) 유사물질인 1,1,3,3-테트라에톡시프로판 (1,1,3,3-tetraethoxypropane, TEP)을 표준으로 하는 thiobarbituic acid (TBA) 법으로 측정하였다. TBA 법은 적출 후 질소 냉동시킨 간 조직을 세절한 후 얼음으로 냉각시킨 다음에 9배의 인산환충용액(PBS)를 가하고 동시에 얼음으로 냉각시키면서 균질기(homogenizer)로 균질화 하였다.
그리고 균질화 된 용액 1㎖에 1㎖의 8.1% Sodium Dodecyl Sulfate 용액, 2㎖의 20% 아세트산용액을 넣고 진탕한 다음에 1㎖의 0.8% TBA 용액을 넣고 95℃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냉각시켜 상층액을 취한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웅성의 Zucker FA/-랫드의 간 내 지질분석결과 정상대조군(NCD)은 1.89±0.053 mmol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하여 양성대조군(HFD)은 2.96±0.185 mmol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01). 또한,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 1%는 2.63±0.150 mmol, 3%는 2.41±0.290 mmol 및 5%는 2.27±0.350 mmol의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양성대조군(HFD)에 비하여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는 용량 의존적인 반응을 보였다(p<0.05~0.01).
상기와 같은 결과로,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의 처리가 고지방식이에 의한 간의 손상을 유의하게 방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의 간 손상방지에 대해서는 1-2.에서의 웅성의 Zucker FA/-랫드 중 시험물질급여군(HFD+MST)의 혈청에서 AST와 LDH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된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1-4. 지질함량 측정
간 조직과 변에서 총 지질함량은 Folch 등 (Folch J et al., J. Biol. Chem., 226, pp497-502, 1957)의 방법으로, 콜레스테롤 함량은 Zlatkis와 Zak 등(Zlatkis A et al, Anal. Biochem., 29, pp143-146, 1969)의 방법으로, 그리고 중성지방의 함량은 Bigg 등(Biggs HG et al., Clin. Chem., 21, pp437-441, 1975)의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변 중의 담즙산의 함량은 Tokunaga 등(Tokunaga T et al., J. Nutr. Sci. Vitaminol., 32, pp111-121, 1986)의 방법으로 변에서 담즙산을 추출한 다음 담즙산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일정량의 변에 1:1의 아세톤과 에탄올을 넣고 1시간동안 교반한 후 3000rpm에서 20분씩 각각 2번 원심 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에서 일정량의 샘플을 취하여 질소가스로 용매를 증발시킨 후 수산화나트륨과 디에틸에테르로 녹여 하층부의 담즙산을 추출한 후에 담즙산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표4에 도시되었다.
Com.
Day
Group
T. lipid
(mg/dl)
T. Cho
(mg/dl)
Bile acid
(mg/dl)
HFD+
MST
NCD 151.2
±12.6
105.2
±16.7
16.5±3.1 9.61±3.3 30.4±2.4 16.5 ±3.5
HFD 198.4
±45.4*
166.4
±41.2*
42.1
±15.4*
20.7±3.5* 62.4±5.9* 40.1
±12.4**
MST-
1%
189.4
±27.5
154.8
±48.5
36.4±12.4 18.7±7.1 52.9±6.3 36.1±4.7
MST-
3%
175.2
±32.8#
148.6
±45.4
29.4±8.7# 16.3±4.9# 44.5
±8.9#
32.4±3.8
MST-
5%
165.4
±38.4##
124.7
±38.7#
17.5
±4.8##
14.2
±3.1##
41.2
±8.7#
26.8
±5.7#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rmal diet (p<0.05~0.01)
# Significantly different frim high-fat diet (p<0.05~0.01)
간과 변 중에서 지질함량에 미치는 효과에서 간 조직 중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담즙산에서 정상대조군에 대비하여 양성대조군에서는 131%, 255%, 205%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억제현상은 시험물질급여군(HFD+MST)의 3%와 5% 모두에서 유의한 억제효과(p<0.05~0.001)를 보였다. 한편, 변 중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효과에서도 간 조직 중의 지질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1-5. 체지방, 체단백 측정 및 갈색지방조직의 단밸질 DNA 함량 측정
희생된 Zucker FA/-랫드를 복개하여 위장관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모두 제거하고 105℃에서 함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 후 믹서에 갈아 균질화 한 다음에 이를 약 20g을 취하여 Soxhlet 추출법으로 체지방량 및 체단백질량을 측정하였고, 체단백질량은 탈지시료를 이용하여 Kjeldahl법으로 질소함량을 측정한 후 질소계수 6.25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체지방 증가량과 체단백질 증가량은 실험 시작 일에 별도로 시험물질급여군(HFD+MST)의 Zucker FA/-랫드와 체중이 유사한 8마리의 Zucker FA/-랫드를 희생하키 체지방량 및 체단백질량을 측정하여 얻은 자료를 기준으로 실험군의 실험시작일 체지방 및 체단백질량을 산출한 다음 이를 실험종료일의 체지방량 및 체단백질량에서 뺌으로써 구하였다.
Zucker FA/-랫드의 복강 내 부고환 지방조직(epidermal adipose tissue)과 신장 후 복막 하 지방조직(retro-peritoneal tissue)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견갑골 갈색 지방조직(IBAT : interscapular brown adipose tissue)의 단백질함량은 시료에 0.3N 수산화나트륨을 넣고 조직균질기를 이요하여 균질화한 후 45℃에서 1시간동알 용해하여 얻은 다음 Loary 방법(Lowry OH et al., J. Biol. Chem., 193, pp265-275, 1951)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DNA 함량은 8% 과염소산(perchloric acid)으로 DNA를 추출한 다음 Giles와 Myers에 의해 개선된 Burton의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5 및 도2에 도시하였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조직(Adipose tissue)의 경우 정상대조군(NCD) 대비 양성대조군(HFD)에서 227%의 유의한 증가를 보인 반면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는 1, 3, 5%의 모든 시험군에서 유의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특히 3% 및 5%의 경우에는 매우 강한 억제효과를 보였다(p<0.001).
또한, 체지방의 경우 정상대조군(NCD) 대비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 171%의 증가효과를, 억제효과는 3%의 복방제와 포제 및 5%의 포제에서 유의한 억제효과를 보였다(p<0.001). 한편, 체단백의 경우는 모든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 유의한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DNA의 농도의 경우 정상대조군(NCD) 대비 3% 및 5%의 모든 시험물질급여군(HFD+MST)에서 약 108.4%로 유의한 증가(p<0.05)를 보였다.
Com.
Day
Group Adipose tissue
(g)
Body fat
(g)
Body protein
(mg)
DNA Conc.
(ug)
HFD+
MST
NCD 6.87±1.17 45.6±9.4 73.6±5.8 447.5±45.6
HFD 15.62±3.54** 78.4±8.1** 71.6±6.9 563.4±96.4
MST 1% 13.41±4.27** 69.5±9.84* 76.5±8.4 589.7±85.2
MST 3% 9.46±2.61## 58.3±4.7## 74.2±4.6 608.5±69.7*#
MST 5% 7.55±1.89## 43.2±7.2## 76.2±5.6 611.2±73.8*#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rmal diet (p<0.05~0.01)
# Significantly different frim high-fat diet (p<0.05~0.01)
실험예3. 독성실험
5주령 스프라그-다우리계 수컷 랫드 70마리를 10마리씩 7개의 군으로 분류한 다음,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에 대하여 상엽 단미제와 복방제를 각각 0.5, 1 또는 2g/kg/bw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고, 정상대조군(NCD)에는 용매인 증류수만을 매일 1회, 4주간 경구로 투여하여 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물질을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 사료 및 음수섭취량을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주요 장기에 대한 이상여부를 관찰하였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엽 추출물을 28일간 경구 투여한 랫드의 일부 투여군에서 혈액학적 지표 및 혈액생화학적 지표의 일부 변화를 초래하였으나, 오히려 간 기능과 관련된 지표들이 감소함으로써 일부 신체 보호 효과가 기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랫드에서 2,000mg/kg 이상에서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500mg.kg 이상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임상예1. 임상실험
1-1.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급여에 따른 시기별 신체의 변화
신체계측은 신장, 체중,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 등과 캘리퍼에 의한 상완위, 견갑골 복부, 다리 및 측복부를 측정하였으며, 신장과 체중에 의해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
Figure 112009035226089-PAT00007
)를 산출하였고,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로 그 비(Waist-Hip Ratio)를 계산하였다. 혈압은 안정 상태에서 수은식 혈압게를 사용하여 2회 측정하여 평균혈압을 사용하였고, 체지방율, 체지방량, 단백질량 등을 측정하여 이를 표6 및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60g군의 체중은 시작 시에 72.6kg, 1.5개월 후에 70.52kg, 3개월 후 68.41 kg으로 시작보다 3개월 후에는 4.19 kg 즉 약 94%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체질량지수는 시작 시 30.42
Figure 112009035226089-PAT00008
에서 26.96
Figure 112009035226089-PAT00009
으로 3.46이 감소하여 약 88%의 감소비율을 보였다.
이 외에도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율에서 유의한 감소효과를 보였고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견갑골 등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룹
구분
개시 1.5개월 3개월 p-value
M±SD M±SD M±SD
MST-
60g
허리둘레(cm) 82.21±9.84 80.15±10.17 78.21±10.25 NS
엉덩이둘레(cm) 101.33±4.96 101.29±5.03 99.25±4.36 NS
견갑골(mm) 40.49±8.46 40.84±9.41 40.94±9.36 NS
체중(kg) 72.6±12.45 70.52±13.02 68.41±12.98 p<0.05
근육량(kg) 40.84±14.21 44.25±13.24 46.21±10.04 p<0.05
체지방량(kg) 25.19±4.52 23.54±4.67 21.33±4.65 p<0.05
체지방율(%) 35.05±4.41 34.40±4.58 34.14±4.57 NS
체질량지수(kg/m2) 30.42±4.26 28.64±4.23 26.96±3.68 p<0.05
W/H ratio 0.96±0.06 0.97±0.04 0.95±0.06 NS
단백질(kg) 11.66±3.36 11.80±3.24 11.97±33.62 NS
무기질(kg) 2.86±0.45 2.80±0.41 2.79±0.40 NS
Pla-
cebo
허리둘레(cm) 83.45±6.87 82.97±6.81 81.45±7.14 NS
엉덩이둘레(cm) 99.43±7.20 99.54±7.11 101.23±6.58 NS
견갑골(mm) 30.26±8.64 31.26±8.77 30.24±7.64 NS
체중(kg) 70.25±8.45 71.24±6.81 70.29±5.97 NS
근육량(kg) 49.82±6.81 48.62±7.26 47.29±6.99 NS
체지방량(kg) 23.66±5.87 22.55±5.34 23.24±5.83 NS
체지방율(%) 32.33±5.94 33.65±6.23 32.60±5.61 NS
체질량지수(kg/m2) 29.67±3.24 28.67±3.61 28.65±3.14 NS
W/H ratio 0.96±0.07 0.87±0.06 0.90±0.05 NS
단백질(kg) 11.95±2.04 11.88±1.96 11.90±1.88 NS
무기질(kg) 2.71±0.42 2.70±0.39 2.69±0.36 NS
HCA 허리둘레(cm) 84.52±6.35 85.63±6.66 83.25±5.98 NS
엉덩이둘레(cm) 105.33±6.57 105.26±6.55 101.35±6.95 NS
견갑골(mm) 36.52±7.05 36.54±7.57 37.26±8.36 NS
체중(kg) 69.82±8.26 67.23±7.62 65.98±8.36 NS
근육량(kg) 40.26±6.52 41.27±6.39 40.26±5.87 NS
체지방량(kg) 25.38±6.89 24.60±7.34 23.87±7.98 NS
체지방율(%) 36.42±4.50 35.41±4.29 34.66±3.91 NS
체질량지수(kg/m2) 30.56±4.85 29.64±3.46 28.45±3.86 NS
W/H ratio 0.89±0.06 0.94±0.07 0.96±0.04 NS
단백질(kg) 10.63±0.87 10.59±0.66 10.61±0.72 NS
무기질(kg) 2.63±0.37 2.73±0.29 2.76±0.34 NS
이에 반해서 위약군에서는 일부 검사항목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나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지는 못했고 양성대조군(HFD)에 사용된 약물인 HCA에서는 체중을 포함하여 체지방량, 체지방율, 체지방지수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1-2.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급여에 따른 시기별 혈액성분에 미치는 효과
14시간 이상 금식 후 공복 시의 정맥혈(antecubital vein blood)을 채혈한 후 혈당(GLU), 크레아티닌(CRE), 뇨소질소(BUN), 총 콜레스테롤(CHO), 총단백(TP), 알부민(ALB), 아미노전이효소인 에이에스티(AST), 에이엘티(ALT), 알카라인포스파타제(ALP), 중성지질(TG),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LIP) 등을 검사하였고, 그 결과를 표7에 도시하였다.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60g을 급여했을 때 혈중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고밀도지단백 및 저밀도지단백 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및 인지질은 현저하게 낮아져 콜레스테롤 및 지질저하에 효과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p<0.05 와 p<0.01 수준에서 각각 나타났다. 그리고 Placebo를 급여한 군에서는 중성지방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p<0.05)하였고, 혈당은 점차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 외 분석지표에서는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HCA를 급여한 군에서는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유의한 감소를 효과를 보였고, 알카라인포스파타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한편, 혈당에서도 감소하는 경향은 보이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그 외의 지표에서는 유의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룹
구분
개시 1.5개월 3개월 p-value
M±SD M±SD M±SD
MST-
60g
GLU(㎎/㎗) 95.5±11.6 89.4±13.4 81.3±12.9 p<0.05
CRE(㎎/㎗) 0.69±0.05 0.70±0.12 0.71±0.13 NS
BUN(㎎/㎗) 14.51±3.216 13.96±2.69 14.56±3.67 NS
CHO(㎎/㎗) 216.4±42.4 198.6±38.7 165.3±29.7 p<0.01
TP(g/㎗) 7.22±0.63 7.14±0.73 7.06±0.95 NS
ALB(g/㎗) 4.36±0.57 4.23±0.64 4.17±0.67 NS
AST(IU/L) 23.3±7.52 24.5±9.73 23.55±8.63 NS
ALT(IU/L) 29.64±9.61 28.64±10.4 27.65±8.63 NS
ALP(IU/L) 75.66±12.53 85.62±11.25 89.61±13.57 NS
TG(㎎/㎗) 168.6±25.3 125.6±32.8 112.5±16.7 p<0.01
HDL(㎎/㎗) 50.63±11.27 55.67±12.69 56.31±13.05 NS
LDLC(㎎/㎗) 138.6±28.6 111.6±19.8 98.2±21.4 p<0.01
LIP 17.61±6.31 14.39±5.67 13.64±6.74 p<0.05
Pla-
cebo
GLU(㎎/㎗) 93.4±13.5 91.2±12.6 90.4±7.5 NS
CRE(㎎/㎗) 0.67±0.13 0.70±0.15 0.71±0.17 NS
BUN(㎎/㎗) 13.55±3.16 13.84±2.96 13.54±3.47 NS
CHO(㎎/㎗) 205.6±41.5 210.7±53.7 209.4±42.7 NS
TP(g/㎗) 7.16±1.12 7.12±0.96 7.10±0.87 NS
ALB(g/㎗) 4.72±0.63 4.77±0.67 4.62±0.54 NS
AST(IU/L) 19.4±4.52 20.6±5.31 23.4±7.21 NS
ALT(IU/L) 20.4±6.41 19.4±7.32 18.3±5.87 NS
ALP(IU/L) 76.5±15.62 80.2±14.1 84.7±1.4 NS
TG(㎎/㎗) 153.3±20.7 136.7±31.4 121.2±21.6 p<0.05
HDL(㎎/㎗) 55.71±10.5 54.8±11.20 52.7±12.4 NS
LDLC(㎎/㎗) 125.4±20.8 114.2±21.5 122.1±20.7 NS
LIP 14.53±1.04 15.24±3.21 15.21±3.26 NS
HCA GLU(㎎/㎗) 96.34±21.8 88.5±15.4 89.4±10.4 NS
CRE(㎎/㎗) 0.67±0.14 0.69±0.15 0.70±0.06 NS
BUN(㎎/㎗) 14.5±2.61 14.5±3.11 14.1±2.60 NS
CHO(㎎/㎗) 207.4±22.7 188.6±19.7 181.6±18.4 p<0.05
TP(g/㎗) 7.23±0.93 7.12±0.84 7.15±0.74 NS
ALB(g/㎗) 4.30±0.52 4.21±0.46 4.11±0.37 NS
AST(IU/L) 18.7±5.7 18.5±6.2 19.6±7.4 NS
ALT(IU/L) 19.6±4.7 18.3±6.4 19.4±7.2 NS
ALP(IU/L) 73.5±11.2 79.6±13.2 92.2±9.6 p<0.05
TG(㎎/㎗) 152.4±21.3 148.7±13.8 121.7±10.9 p<0.05
HDL(㎎/㎗) 54.7±6.44 51.2±7.62 55.3±5.33 NS
LDLC(㎎/㎗) 119.7±18.3 121.4±20.4 117.8±17.6 NS
LIP 16.7±3.72 16.3±4.52 17.32±3.97 NS
임상예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체단백이 증가하고 체중,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율이 감소하였으며, 혈중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중성지질, 혈당 및 인지질 등 체내의 지질관련지수가 현저하게 낮아졌는데, 이는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60g을 투여하였을 때, 체중감량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만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ㅇ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MST 생약 복합제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Zucker FA/-랫드에서 MST의 투여가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Zucker FA/-랫드에서 MST의 투여가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비만환자에서 MST의 투여가 체중에 미치는 영향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8)

  1. 상엽(桑葉, Mori Folium), 야콘(Yacon: Polymnia sonchifolia) 및 홍화(紅花, Charthamus tinctorius L.)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구성하는 상기 상엽, 야콘 및 홍화의 중량비(w/w)는 각각 50%, 30% 및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구성하는 상기 상엽, 야콘 및 홍화의 중량비(w/w)는 각각 5: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물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및 포제 처리한 추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제 처리된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소금, 식초 및 정종의 혼합용액에 침지(沈漬, 浸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제 처리된 생약 복합제 추출물은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7. 상엽, 야콘 및 홍화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복합체 추출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및 음료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90051683A 2009-06-10 2009-06-10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00132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683A KR20100132873A (ko) 2009-06-10 2009-06-10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683A KR20100132873A (ko) 2009-06-10 2009-06-10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873A true KR20100132873A (ko) 2010-12-20

Family

ID=4350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683A KR20100132873A (ko) 2009-06-10 2009-06-10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28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604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08297209A (ja) 脂質代謝改善組成物
WO2009147228A1 (en) Water-soluble extracts of artemisia dracunculus (tarragon) for improvement of glucose metabolism
EP3875101B1 (en) Composition comprising elderberry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for preventing, treating, or alleviating male climacteric syndrome
KR101419269B1 (ko) 지질 대사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0898B1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967813B1 (ko)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293890B1 (ko) 동아녹즙및그잔사를사용하여제조된체중및혈당조절용식품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100595459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00132873A (ko) 비만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336068B1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30127088A (ko) 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60116896A (ko)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당뇨병에의한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72487B1 (ko) 총백 및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린이 및 청소년 키 성장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7513A (ko) 차전초 조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비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1809B1 (ko) 율무 및 꾸지뽕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31641A (ko)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18945A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386231B1 (ko) 율무 및 꾸지뽕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90100757A (ko) 아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