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211A -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 Google Patents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211A
KR20100132211A KR1020090050917A KR20090050917A KR20100132211A KR 20100132211 A KR20100132211 A KR 20100132211A KR 1020090050917 A KR1020090050917 A KR 1020090050917A KR 20090050917 A KR20090050917 A KR 20090050917A KR 20100132211 A KR20100132211 A KR 20100132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wood
pellet
stove
combustion chamber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044B1 (ko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102009005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04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0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adapted for the use of both solid fuel and another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24B1/1955H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케이스, 공간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작이 연소되는 장작연소실, 공간부의 타측에 장작연소실과 이격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펠렛이 연소되는 펠렛연소실, 및 장작연소실과 펠렛연소실 사이에 설치되어 공간부를 구획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를 제공한다.
장작, 펠렛, 공간부, 케이스, 장작연소실, 펠렛연소실, 차단벽

Description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FIREWOOD AND PELLET COMBINATION STOVE}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작과 펠렛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연소시킴으로써 실내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동절기가 되면 난방장치의 사용이 급증하는데, 주택이나 음식점, 사무실, 공장 등에서는 실내공간의 난방을 위해 난방장치를 사용하고, 농촌에서는 농작물 재배 또는 가축 사육을 위한 시설에 난방장치를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난방장치로는 난로 또는 온풍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기존의 난로나 온풍기의 경우 대다수가 전기, 가스, 연탄, 기름 중의 어느 하나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처럼 전기, 가스, 연탄,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 연료의 수급과 보관 등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연료 자체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연소시 연료의 소모량이 상당하여 난방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어서, 비용부담이 상당하였다.
또한, 특히 연탄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다량의 화학적 유해물질이 포함되는바, 화학적 유해물질로 인한 인체손상과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연료를 이용하여 난방연료로 사용하는 추세가 급증하고 있으며, 간벌된 나무 등의 껍질이나 톱밥 등의 폐기물을 분쇄·압축하고 원통형상으로 성형한 목재 펠렛(pellet)도 그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펠렛 난로의 경우, 펠렛 하나만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설계되므로, 구입하였던 펠렛이 모두 소모된 경우에는 난로를 더 이상 가동할 수가 없고, 특히 펠렛의 일시적인 품귀현상 등으로 구입이 곤란하거나 가격이 급등한 경우에는 펠렛 난로 이외에, 별도의 난방장치를 준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펠렛난로의 경우 초기 발열량이 미약하여 원하는 난방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고, 흔히 사용되는 장작난로의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을 위해서는 관리자가 계속하여 장작을 공급해 줘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케이스, 공간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작이 연소되는 장작연소실, 공간부의 타측에 장작연소실과 이격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펠렛이 연소되는 펠렛연소실, 및 장작연소실과 펠렛연소실 사이에 설치되어 공간부를 구획하는 차단벽을 포함하며, 장작과 펠렛을 동시에, 또는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케이스, 공간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작이 연소되는 장작연소실, 공간부의 타측에 장작연소실과 이격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펠렛이 연소되는 펠렛연소실, 및 장작연소실과 펠렛연소실 사이에 설치되어 공간부를 구획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가 제공된다.
여기서, 펠렛연소실의 상부에는 펠렛연소실과 일측이 연통하도록 배기관이 설치되고, 배기관의 일측에는 배기관과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흡기관이 밀착하여 설치된다.
이때, 배기관의 타측은 스크류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연결되고, 흡기관은 일단이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는 온풍배출구와 연결되며, 타단은 화 로의 후방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흡기팬과 연결된다.
아울러, 배기관은 장작연소실로 연통되고, 장작연소실의 상부에는 일단이 장작연소실과 연통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게끔 연통이 설치된다.
이때, 펠렛연소실로부터 장작연소실로 연통되는 배기관의 일측에, 배기관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활용하기 위한 팬코일 유닛(fan coil unit)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배기관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다수의 걸림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장작이 연소되도록 제1케이스 내부에 장작연소실을 가진 장작난로와, 펠렛이 연소되도록 제2케이스 내부에 펠렛연소실을 가진 펠렛난로가 바닥판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가 제공된다.
여기서, 장작난로와 펠렛난로는 바닥판의 상부에 나란히 결합될 수 있고,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브래킷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장작난로와 펠렛난로가 바닥판의 상부에 상하 수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장작난로의 상측에는 일단이 장작연소실과 연통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게끔 연통이 설치되며, 펠렛난로의 일측에는 펠렛연소실 내의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이 장작연소실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펠렛연소실 내의 연소가 스가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펠렛연소실로부터 장작연소실로 연통되는 배기관의 일측에는, 배기관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활용하기 위해 팬코일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에 의하면, 장작과 펠렛을 모두, 또는 장작과 펠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실내에 난방열을 공급할 수 있고, 장작 또는 펠렛 중 어느 하나가 준비되지 않더라도 다른 하나의 연료를 사용하여 난로를 가동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높다.
또한, 난방 초기에는 장작난로를 가동하여 빠르게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적정한 실내온도에 이르러면 펠렛난로를 가동함으로써 빠른 난방효과와 연료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펠렛을 연소시키는 경우, 연소된 가스는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배기관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실내에 공급됨으로써, 펠렛의 연소가스에 유해물질이 미량이나마 포함되어 있다 할지라도, 실내의 사용자에게 미치는 부담이 적고 따라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기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판에 의해 연소가스의 유동속도가 저하되므로, 흡기관과 배기관 사이에는 충분한 시간 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열전달효율이 좋은 효과도 있다.
아울러, 배기관의 일측에 팬코일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배기관을 통해 배출 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난방에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작연소실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렛연소실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기관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판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기관에 팬코일 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100)는 크게,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케이스(200)와, 케이스(200) 내부에 각각 마련되는 장작연소실(300)과 펠렛연소실(400), 및 장작연소실(300)과 펠렛연소실(400)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벽(500)을 포함한다.
케이스(20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스틸 재질의 육면체 형상이고, 전면에는 장작연소실(300)을 개폐하는 장작연소실 개폐도어(310)와, 펠렛연소실(400)을 개폐하는 펠렛연소실 개폐도어(410)가 각각 구비되며, 이때 각각의 개폐도어(310,410)에는 내부에서 연소되는 불꽃을 관찰할 수 있도록, 내열성 강화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창(311,41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케이스(200)는 별도로 마련되는 바닥판(21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으며, 케이스(200)의 하부에는 각각의 연소실(300,400)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를 처리할 수 있도록 재받이(320,421)가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장작연소실(300)의 재받이(320)는 서랍식으로 구성하고, 펠렛연소실(400)은 연소가스가 새어나오지 않게 완전히 밀폐되는 것이 좋으므로, 걸림쇠(420a)를 구비한 여닫이문(420) 안쪽에 재받이(421)가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장작연소실 개폐도어(310)의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 관(330)이 장작연소실(300) 내부로 관통설치되고, 각각의 가열관(330)에는 장작연소실(300)의 외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탈시킬 수 있는 구이기(331)가 구비되어, 고구마나 감자, 밤 등의 식품을 간편하게 구워 먹을 수도 있으며, 펠렛연소실 개폐도어(410)의 상측에는 온풍배출구(230)가 그릴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따뜻한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장작연소실 개폐도어(310), 펠렛연소실 개폐도어(410), 장작연소실의 재받이(320), 및 구이기(331)에 구비되는 손잡이에는, 사용자가 조작시 손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이 적용된 스프링 형상의 파지부(220)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케이스(200) 내부의 공간부는 크게, 장작이 연소되는 공간인 장작연소실(300)과, 펠렛이 연소되는 공간인 펠렛연소실(400)로 구분할 수 있는데, 펠렛연소실(400)의 후방에는 펠렛을 공급하는 호퍼(hopper)(600)가 설치되고, 장작연소실(300)과 펠렛연소실(400) 사이에는 차단벽(500)이 설치되며, 이 차단벽(500)의 양쪽 면에는 한쪽의 열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각각 내화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복사 또는 접촉에 의해 두 연소실(300,400) 간에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면, 둘 중 하나의 연소실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하지 않는 연소실에 저장된 연료가 발화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작연소실(300)과 펠렛연소실(400) 사이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차단벽(50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차단벽(500)의 양측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스틸재질 또는 내화재질의 내화벽(520)이 설치될 수 있는데, 따라서 차단벽(500)과 내화벽(520) 사이에는 공냉공간부(5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케이스(2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차단벽(500)의 전면 모서리에 대향하여 다수개의 원형 관통공(240)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케이스(200)의 상측면에도 역시, 차단벽(500)의 상측면 모서리에 대향하여 다수개의 장방형 절개홀(250)이 차단벽(5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관통공(240)과 절개홀(250)을 통해 케이스(200) 외부의 공기가 공냉공간부(530)로 출입 가능한데, 장작연소실(300) 또는 펠렛연소실(400)에서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복사열에 의해 차단벽(500)와 내화벽(520) 사이 공냉공간부(530)의 공기가 뜨거워지면, 케이스(200) 상측면의 절개홀(250)을 통해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때 케이스(200) 전면과 후면의 관통공(240)을 통해 외부의 찬 공기가 공냉공간부(530)로 유입된다.
즉, 장작연소실(300)과 펠렛연소실(400) 간에 이루어지는 열전달은 각각의 연소실(300,400) 일측에 설치되는 내화벽(520)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다시 차단벽(500)과 내화벽(520) 사이의 공냉공간부(530)에서 복사열에 대한 공냉이 이루어짐으로써, 장작연소실(300)과 펠렛연소실(400) 간의 열전달에 의해 예기치 못하게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작연소실(300)은, 장작을 쌓을 수 있도록 케이스(200) 내부 일측에 제공되고 차단벽(50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340)와, 공간부(34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격자망(350)을 포함하는데, 장작이 연소되고 남은 재는 격자망(350)을 통해 재받이(320)로 떨어지게 되며, 장작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연기는 장작연소실(300) 상부에 설치되는 연통(360)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즉, 연통(360)의 일단은 장작연소실(300)의 상측으로 관통 설치되고 타단은 연장되어 실외로 노출된다. 이때, 연통(360)의 외주면에는 화상 방지를 위해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 재질로 안전망(36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장작연소실(300)에서 장작이 연소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숯, 갈탄, 옥수수 등의 대체 가능한 고체연료를 장작 대신 연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펠렛연소실(400)은 케이스(200) 내부에서 장작연소실(300)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고, 펠렛연소실(400)의 후방에는 펠렛이 공급되는 호퍼(600)가 설치되며, 호퍼(600)의 상부는 손잡이가 구비된 호퍼 덮개(610)로 개폐 가능하여, 펠렛을 투입할 수 있다.
이때, 펠렛연소실(400)은, 장작연소실(300)과는 차단벽(500)으로 구획되고 호퍼(600)와는 격벽(510)으로 구획됨으로써 펠렛이 연소되는 공간부(430)가 형성되고, 공간부(430)의 바닥면에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함체형의 화로(440)가 설치되며, 화로(440)의 하측에는 펠렛이 연소되고 남은 재가 재받이(421)로 떨어질 수 있도록 격자망(450)이 설치된다.
또한, 화로(44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한 위치의 격벽(510)에는 펠렛투입구(511)가 관통 형성되는데, 이 펠렛투입구(511)의 외측에는 펠렛이 굴러 내려와서 화로(440)에 떨어질 수 있도록, 펠렛투입관(620)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한편, 호퍼(600)는 펠렛연소실(4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케이스(200)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데, 호퍼(600)의 하부에는 호퍼(600)에서 공급되는 펠렛을 전술한 펠렛투입관(620)으로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630)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스크류 컨베이어(630)는 스크류 컨베이어(630)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모터(631)의 작동에 의해 호퍼(600)로부터 공급받은 펠렛을 펠렛투입관(620)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즉, 호퍼(600)에 저장된 펠렛은 호퍼(600) 하부의 스크류 컨베이어(630)로 낙하하고, 구동모터(631)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 컨베이어(630)가 축회전하면서 펠렛을 펠렛투입관(620)으로 이송하며, 펠렛투입관(620)을 따라 내려온 펠렛이 화로(440)에 투입됨으로써, 펠렛의 연소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렛연소실(400)의 상부에는 펠렛연소실(400)과 일측이 연통되게끔 배기관(700)이 설치되고, 이 배기관(700)은 펠렛연소실(400)의 후면에서 격벽(510)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며, 스크류 컨베이어(630)의 하부에 설치 되는 송풍기(710)와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기(710)의 작동에 의해, 펠렛연소실(400)의 연소가스는 배기관(700)을 따라 송풍기(710)로 흐르게 되며, 송풍기(710)를 거친 연소가스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710)와 장작연소실(300)을 연결하는 연결관(720)을 통해 장작연소실(300)로 유입되고, 장작연소실(300) 상부에 마련되는 연통(3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배기관(700)에 밀착하여 배기관(700)을 따라 흡기관(800)이 설치되는데, 이 흡기관(800)의 일단은 화로(440)의 후방 즉, 펠렛투입관(6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기팬(810)에 연결되며, 타단은 연장되어 케이스(200) 전면에 구비되는 그릴 형상의 온풍배출구(230)와 연결된다.
따라서, 흡기팬(810)의 작동에 의해 펠렛연소실(40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흡기관(800)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배기관(700)의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데워지게 되며, 온풍배출구(230)를 통해 따뜻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배기관(700)과 흡기관(800)은 열전달율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어, 동(구리)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배기관(700)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는 고온의 상태로서, 흡기관(800)이 배기관(700)에 밀착하여 설치됨에 따라, 연소가스가 가지고 있던 고온의 열이 흡기관(800) 내의 공기로 전달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연소가스에 의해 간접가열방식으로 데워져서 실내로 공급되고, 열을 뺏긴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함께 연통(3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700)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와 흡기관(800)을 따라 흐르는 공기 사이에 충분한 시간 동안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배기관(700)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다수의 걸림판(700a)이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소가스는 배기관(700)의 걸림판(700a)을 지나면서 흐름이 지체됨에 따라 공기와 충분한 시간 동안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화로(440)의 하부 일측에는 격벽(510)에 공기흡입구(512)가 관통 형성되고, 이 공기흡입구(512)에는 공기흡입관(513)이 연결되어 흡기팬(810)의 하부까지 연장된다.
이 공기흡입관(513)은 화로(440)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펠렛연소실(400)은 펠렛이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실내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완전히 밀폐되며, 이에 따라 송풍기(710)에 의해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면 펠렛연소실(400) 내부는 감압상태가 되어, 공기흡입관(513)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렛연소실(400)로부터 장작연소실(300)로 연결되는 배기관(700)의 일측에는 팬코일 유닛(fan coil unit)(900)을 설치하여, 배기관(700)을 통해 펠렛연소실(40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장작연소실(300)로 들어가기 전에 팬코일 유닛(900)을 거치게 함으로써, 연소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한편, 팬코일 유닛(900)의 대류난방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팬코일 유닛(900)은 몸체 내부에 송풍기(910)와 열교환기(920)가 구비되며, 팬코일 유닛(90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구조와 작동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100)는,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송풍기(710), 흡기팬(810), 및 스크류 컨베이어(63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난방시간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때 흡기관(800)의 일측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며, 이러한 제어부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내용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100)에 의하면, 펠렛이 발화하여 소정 온도 이상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동안 장작을 연소시킴으로써 실내에 충분한 난방열을 공급할 수 있고, 장작이 모두 연소된 이후에는 펠렛이 연소되면서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필요한 경우 장작과 펠렛을 동시에 연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10)는 바닥판(20)과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시에는 바닥판(20) 위에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를 각각 결합시키고,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를 연결브래킷(50)에 의해 서로 결합한다.
여기서,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다만,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장작연소실(300)과 펠렛연소실(400)이 하나의 케이스(200) 내에서 좌우 배치되고 차단벽(500)에 의해 구분되는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가 각각 별도의 케이스(31,41)를 가지며 바닥판(20) 위에 조립되는 구조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의 결합은 연결브래킷(5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연결브래킷(50)은 중앙부가 돌출된 꺽쇠형 단면 형상으로서, 다수의 관통공(51)을 가지며, 양측이 각각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에 결합된다.
따라서,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 사이의 이격공간(35)은 연결브래킷(5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되며, 외부의 공기가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10)의 전면과 후면 및 상측면에 구비되는 연결브래킷(50)의 관통공(51)을 통해 이격공간으로 출입하면서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 사이에 전달되는 복사열을 공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장작난로(30)는 장작이 연소되도록 제1케이스(31) 내부에 개폐 가능한 장작연소실(32)을 가지고, 펠렛난로(40)는 펠렛이 연소되도록 제2케이스(41) 내부에 개폐 가능한 펠렛연소실(42)을 가지는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배기관(60)이 펠렛연소실(42)로부터 장작연소실(32)까지 연통되어, 펠렛연소실(42)의 연소가스는 장작연소실(32)의 상측에 설치되는 연통(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펠렛연소실(42)로부터 장작연소실(32)로 연통되는 배기관(미도시)의 일측에 팬코일 유닛(미도시)을 설치함으로써, 연소가스의 폐열을 활용하여 실내난방에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가 상하 수직으로 조립된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10')가 제공된다.
여기서,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다만,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는 장작난로(30)와 펠렛난로(40)가 바닥판(20) 위에 나란히 조립되는 반면에, 본 제3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0) 상측에 펠렛난로(40)가 조립되고, 펠렛난로(40)의 상측에는 장작난로(30)가 조립되는 구조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도 역시, 펠렛난로(40)의 펠렛연소실(42)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장 작연소실(32)의 상측에 마련되는 연통(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따라서 펠렛난로(4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기관(60)은 펠렛연소실(42)과 장작연소실(32)을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게 되며, 배기관(60)의 일측에 팬코일 유닛(90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펠렛난로(40)의 상측에 장작난로(30)가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장작난로(30)가 밑에 배치되고 펠렛난로(40)가 장작난로(3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작연소실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렛연소실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기관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판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기관에 팬코일 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의 전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100 :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200 : 케이스
230 : 온풍배출구 300 : 장작연소실
310 : 장작연소실 개폐도어 330 : 가열관
331 : 구이기 340 : 공간부
360 : 연통 400 : 펠렛연소실
410 : 펠렛연소실 개폐도어 430 : 공간부
440 : 화로 500 : 차단벽
510 : 격벽 511 : 펠렛투입구
512 : 공기흡입구 513 : 공기흡입관
600 : 호퍼 610 : 호퍼 덮개
620 : 펠렛투입관 630 : 스크류 컨베이어
700 : 배기관 710 : 송풍기
720 : 연결관 800 : 흡기관

Claims (11)

  1.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케이스;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작이 연소되는 장작연소실;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상기 장작연소실과 이격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펠렛이 연소되는 펠렛연소실; 및
    상기 장작연소실과 상기 펠렛연소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펠렛연소실의 상부에는 상기 펠렛연소실과 일측이 연통하도록 배기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배기관과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흡기관이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타측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연결되고, 상기 흡기관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는 온풍배출구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펠렛연소실의 후방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흡기팬과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장작연소실로 연통되고, 상기 장작연소실의 상부에는 일단이 상기 장작연소실과 연통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게끔 연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펠렛연소실로부터 상기 장작연소실로 연통되는 배기관의 일측에, 상기 배기관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활용하기 위한 팬코일 유닛(fan coil unit)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다수의 걸림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7. 장작이 연소되도록 제1케이스 내부에 장작연소실을 가진 장작난로와, 펠렛이 연소되도록 제2케이스 내부에 펠렛연소실을 가진 펠렛난로가 바닥판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작난로와 상기 펠렛난로는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나란히 결합되며, 상기 장작난로와 상기 펠렛난로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브래킷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작난로와 상기 펠렛난로가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상하 수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작난로의 상측에는 일단이 상기 장작연소실과 연통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게끔 연통이 설치되며, 상기 펠렛난로의 일측에는 상기 펠렛연소실 내의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이 상기 장작연소실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펠렛연소실 내의 연소가스가 상기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펠렛연소실로부터 상기 장작연소실로 연통되는 배기관의 일측에, 상기 배기관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활용하기 위한 팬코일 유닛(fan coil unit)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KR1020090050917A 2009-06-09 2009-06-09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KR10113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17A KR101134044B1 (ko) 2009-06-09 2009-06-09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17A KR101134044B1 (ko) 2009-06-09 2009-06-09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211A true KR20100132211A (ko) 2010-12-17
KR101134044B1 KR101134044B1 (ko) 2012-04-13

Family

ID=4350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917A KR101134044B1 (ko) 2009-06-09 2009-06-09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0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568B1 (ko) * 2011-04-25 2011-09-16 (주)규원테크 펠릿 보일러용 펠릿 공급 장치
KR101355727B1 (ko) * 2012-03-15 2014-01-27 김인철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KR101445328B1 (ko) * 2012-02-16 2014-10-01 김상국 폐목재를 연료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KR102227907B1 (ko) * 2020-06-15 2021-03-15 김득수 다용도 벽난로
KR102318430B1 (ko) * 2020-12-23 2021-10-26 이주희 감성랜턴 기능을 갖는 화목 펠릿 겸용 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86B1 (ko) * 2012-07-20 2013-03-11 김관수 목재 연소용 화덕
KR102302861B1 (ko) 2019-11-25 2021-09-29 황인창 난로용 이중 연통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802A (ja) 2003-09-16 2005-04-07 Sunpot Co Ltd 木質ペレット状燃料燃焼装置
KR200347487Y1 (ko) * 2004-01-16 2004-04-13 신건수 보일러
KR200364749Y1 (ko) 2004-07-09 2004-10-16 김용기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568B1 (ko) * 2011-04-25 2011-09-16 (주)규원테크 펠릿 보일러용 펠릿 공급 장치
KR101445328B1 (ko) * 2012-02-16 2014-10-01 김상국 폐목재를 연료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KR101355727B1 (ko) * 2012-03-15 2014-01-27 김인철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KR102227907B1 (ko) * 2020-06-15 2021-03-15 김득수 다용도 벽난로
KR102318430B1 (ko) * 2020-12-23 2021-10-26 이주희 감성랜턴 기능을 갖는 화목 펠릿 겸용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044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US5001993A (en) Stove for burning bio-mass pellets and grain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KR101524436B1 (ko) 화목겸용 펠렛난로
KR101271748B1 (ko) 펠렛난로
WO2014059680A1 (zh) 一种烧烤炉具
KR101849395B1 (ko) 펠렛 난로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CN201233167Y (zh) 秸秆燃烧炉
KR101324474B1 (ko) 상하연소 방식의 화목보일러
US9945563B2 (en) Very shallow heating apparatus with very high yield and a wide view
CN104033928B (zh) 多功能炉灶
KR100825822B1 (ko) 고체연료용 난방기의 화격자
KR10155484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 난로
EP3096084B1 (en) Fireplace boiler
KR10143113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101708370B1 (ko) 연돌효과를 이용한 무동력 바베큐 장치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KR20110043564A (ko) 단열된 수직연소로의 화목연소장치 와 열교환기
KR20160093308A (ko) 화목 난로
JP2003070656A (ja) ビルトインこんろ
CN205579644U (zh) 家居取暖煤炉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20160060300A (ko) 난로 장치
GB2049163A (en) Solid-fuel heating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