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610A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610A
KR20100131610A KR1020090050293A KR20090050293A KR20100131610A KR 20100131610 A KR20100131610 A KR 20100131610A KR 1020090050293 A KR1020090050293 A KR 1020090050293A KR 20090050293 A KR20090050293 A KR 20090050293A KR 20100131610 A KR20100131610 A KR 2010013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nformation area
group identifier
group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1540B1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540B1/ko
Priority to EP10156134A priority patent/EP2261784B1/en
Priority to AT10156134T priority patent/ATE557340T1/de
Priority to US12/724,080 priority patent/US8103296B2/en
Priority to CN201010157440XA priority patent/CN101907972B/zh
Publication of KR2010013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각 서로 다른 그룹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 정보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각 서로 다른 그룹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의 아이템들을 화면에 표시할 때,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아이템들을 특정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특정 그룹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자를 상기 특정 그룹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식별자에 의해 상기 특정 그룹의 성격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아이템, 아이템 그룹, 식별자를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식별자의 원래 기능을 살리지 못하거나, 사용자에게 단조로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각 서로 다른 그룹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각각 서로 다른 그룹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에 각각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과 상기 그룹 식별자를 상호 대응되도록 표시하는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식별자를 스크롤 가능하도록 상기 정보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라는 제1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식별자 중 제1 그룹 식별자가 미리 정해진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 상기 제1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제1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각각 서로 다른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에 각각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화면 진입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식별자를 스크롤 가능하도록 상기 정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라는 제1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식별자 중 제1 그룹 식별자가 미리 정해진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 상기 제1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제1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각 서로 다른 그룹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이 스크롤될 때, 특정 그룹 식별자가 화면에 잔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현재 화면에 제공되는 아이템들의 성격 또는 범주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 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 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 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 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 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 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 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 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 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 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및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 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 조작부(131)가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터치는, 접촉 터치와 근접 터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터치에 관하여는,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S110 단계가 수행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진입한다[S10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메뉴 조작에 의해, 상기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은, 텍스트,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콘텐츠와,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및 이메일(e-ma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은,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에 각각 대응되어 있다. 그리 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은 각각 서로 다른 식별자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템이 이메일인 경우, "2009년 5월 25일"인 식별자를 갖는 아이템 그룹에는, 2009년 5월 25일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이메일이 상기 아이템으로써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아이템이 SMS인 경우, "홍길동"인 식별자를 갖는 아이템 그룹에는, "홍길동"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SMS가 상기 아이템으로써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아이템이 동영상인 경우, "AVI"인 식별자를 갖는 아이템 그룹에는, "AVI"를 파일 확장자로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이 상기 아이템으로써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은, 상기 아이템이 생성되거나 수신된 시점,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거나 전송한 주체, 상기 아이템의 종류, 상기 아이템의 타입, 상기 아이템의 용량, 상기 아이템의 재생 여부 및 상기 아이템의 보안화 여부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각각 고유의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과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식별자를 스크롤 가능하도록 상기 정보 영역에 표시한다[S110].
도 5는, 수신된 이메일 목록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각각 서로 다른 수신 날짜로 분류되는 그룹 식별자들(31, 32)과 아이템 그룹들(21, 22)을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정보 영역(10) 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아이템 그룹(21)은 제1 그룹 식별자(31)를 갖고, 제2 아이템 그룹(22)은 제2 그룹 식별자(32)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아이템 그룹(21)은, 2009년 5월 25일에 수신된 3개의 이메일들(21a, 21b, 2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아이템 그룹(22)은, 2009년 5월 24일에 수신된 2개의 이메일들(22a, 22b)을 포함한다.
도 5 및 다른 도면들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은, 실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로 화면 예들을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영역(10)에 표시되는 이메일 아이템들은 각각, 이메일 수신 시각, 이름 및/또는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메일 송신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메일 아이템들이 각각 표시되는 영역의 내부에, 수신된 이메일에 대한 답장을 전송하기 위한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는 버튼 또는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을 미리 정해진 제1 개수 이하로 상기 정보 영역(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총 5개의 이메일들(21a, 21b, 21c, 22a, 22b)를 상기 정보 영역(10)에 표시한다(상기 제1 개수 = 5). 상기 제어부(180)는, 설정에 따라 상기 정보 영역(10)에 표시되는 아이템들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상기 제2 아이템 그룹(22)은, 상기 정보 영역(10)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템들의 개수 제한으로 인해, 2개의 이메일들(22a, 22b)만 포함 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아이템 그룹(22)은, 도 5에 도시된 이메일들(22a, 22b) 이외에 더 많은 이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정보 영역(10)에 표시될 수 있는 전체 아이템들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개수 이상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롤 영역(40)을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영역(40)은, 슬라이더(41)와 스크롤 방향 아이콘들(42a, 4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1)는, 상기 정보 영역(10)에 현재 표시된 아이템들이 상기 전체 아이템들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더(41)와 상기 스크롤 방향 아이콘들(42a, 42b)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보 영역(10)을 스크롤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1)의 상기 스크롤 영역(40)에서의 이동과 상기 정보 영역(10)의 스크롤은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더(41)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에 포함된 키패드에 대한 조작에 의해 상기 스크롤 영역(40)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1)는, 상기 정보 영역(10)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스크롤 영역(40)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스크롤 영역(40)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정보 영역(10)이 스크롤된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정보 영역(10)이 스크롤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41)는 상기 스크롤 영역(40)에서 이동된다.
상기 터치 입력은, 드래그(drag) 동작 및 플리킹(flicking)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정보 영역(10)을 손가락으로 드래그하거나 플 리킹함으로써, 상기 정보 영역(10)을 스크롤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은, 지점 터치(point touch)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스크롤 방향 아이콘들(42a, 42b)을 지점 터치함으로써, 상기 정보 영역(10)을 스크롤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정보 영역(10)을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라는 제1 스크롤 명령을 수신한다[S120].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사용자가 상기 정보 영역(10)을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상기 정보 영역(10)을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하라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을 입력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한다[S130].
도 6은 상기 S130 단계가 수행되는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구현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 6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S130 단계가 수행되는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의 수신에 따라, 특정 그룹 식별자가 상기 정보 영역(10)에서 미리 정해진 제1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S132].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위치는, 상기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정보 영역(10)의 제1 경계에 접하지 않고, 상기 제1 경계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아이템 "0525_02"(21b)와 아이템 "0525_END"(21c)의 사이의 위치(5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위치일 수 있다.
이하, 도 5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에서 위에서부터 두번째 표시되는 아이템과 세번째 표시되는 아이템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50)를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위치(50)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그룹 식별자(31)는 상기 제1 방향(예를 들어, 위쪽 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정보 영역(10)의 상기 제1 경계와 접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2 그룹 식별자(32)는 위에서부터 세번째 표시되는 아이템(21c)와 네번째 표시되는 아이템(22a) 사이에 표시된다.
따라서, 도 5의 경우,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한 특정 그룹 식별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그룹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 특정 그룹 식별자와 아이템들을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한다[S134].
여기서, 상기 제1 경계에 접한 상기 제1 그룹 식별자(31)는 스크롤되지 않고, 상기 제1 경계에 잔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라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제1 경계에 접해 있는 특정 그룹 식별자는, 스크롤시키지 않고 상기 제1 경계에 접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이 아이템 1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스크롤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그룹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한 상기 특정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36].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3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한 상기 특정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제1 위치(50)에 고정시키고, 아이템들만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한다[S138].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그룹 식별자(32)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22)에 포함된 마지막 아이템은 도 7에 도시된 화면에 나타나지 않았거나, 적어도 도 7에 도시된 화면에서는 "0524_03"(22c)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화면에서는, 상기 제2 그룹 식별자(32)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22)에 포함된 마지막 아이템은,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그룹 식별자(32)는, 위에서부터 두번째 표시되는 아이템(21c)와 세번째 표시되는 아이템(22a) 사이에 표시되므로,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한 상태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이 아이템 4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스크롤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화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아이템 4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라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도 8과 같은 화면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영역(10)을 스크롤한다.
도 8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은, 상기 제2 아이템 그룹(22)과 제3 아이템 그룹(23)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화면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그룹 식별자(32)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위치(50)에 고정되고, 아이템들만 스크롤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3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특정 그룹 식별자와 아이템들을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한다[S134].
도 8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은, 상기 제2 아이템 그룹(22)에 포함된 마지막 아이템(22e)이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이 아이템 1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스크롤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가 아이템 1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위쪽 방향으로 상기 정보 영역(10)을 스크롤하라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정보 영역(10)이 도 9에 도시된 화면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영역(10)을 스크롤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에서, 상기 제1 위치(50)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그룹 식별자(32)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아이템 그룹(22)의 마지막 아이템(22e)이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해 있다. 따라서, 도 8의 상태에서 입력되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정보 영역(10)을 도 9에 도시된 화면 상태가 되도록 스크롤한다.
도 9는, 상기 제1 경계에 접하지 않은 그룹 식별자들(32, 33)과 이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들(22, 23)을 모두 위쪽 방향으로 아이템 1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스크롤한 결과를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화면의 특정 위치에 잔존하는 그룹 식별자에 의해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 그룹의 성격 또는 범주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특정 아이템 그룹에 속하는 아이템들의 개수가 많은 경우, 전술한 실시예는 더욱 큰 효과가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구현되는 화면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S130 단계가 수행되는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S130 단계가 수행되는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상기 그룹 식별자들이 상기 정보 영역(10)의 특정 경계에 잔류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라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을 수신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보 영역(10)을 스크롤한다.
상기 정보 영역(1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계속 스크롤되는 경우, 특정 아이템 그룹에 속하는 특정 아이템은 상기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정보 영역(10)의 제1 경계에서 사라지게 되고, 다른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나타나게 된다.
이때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상기 그룹 식별자들이, 상기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정보 영역(10)의 제1 경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경계에서 사라지지 않고 상기 제1 경계에 계속 머무를 수 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되는 상기 그룹 식별자들의 최대 개수는 제한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이 아이템 1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스크롤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은, 제1 내지 제4 그룹 식별자(31, 32, 33, 34)와 제2 내지 제4 아이템 그룹(22, 23, 24)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그룹 식별자(31) 및 상기 제2 그룹 식별자(32)를 상기 제1 경계에 잔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1)가 상기 제1 위치(50)에 도달하였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1)를 상기 제1 위치(50)에 고정시키고 아이템들만 스크롤시킨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이 아이템 2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스크롤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은, 제1 내지 제5 그룹 식별자(31, 32, 33, 34, 35)와 제3 내지 제5 아이템 그룹(23, 24, 25)을 표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아이템 그룹(23)에 포함된 마지막 아이템(23c)와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를 함께 스크롤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이 아이템 1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스크롤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은, 제1 내지 제5 그룹 식별자(31, 32, 33, 34, 35)와 제3 내지 제5 아이템 그룹(23, 24, 25)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그룹 식별자(31), 상기 제2 그룹 식별자(32) 및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를 상기 제1 경계에 잔류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이 아이템 2개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스크롤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상기 정보 영역(10)은, 제2 내지 제6 그룹 식별자(32, 33, 34, 35, 36)와 제4 내지 제6 아이템 그룹(24, 25, 26)을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되는 상기 그룹 식별자들의 개수의 최대치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되는 상기 그룹 식별자들의 최대 개수는 3개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4 그룹 식별자(34)가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된 그룹 식별자들에 합류함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상기 제1 그룹 식별자(31)는 상기 제1 경계에서 사라짐으로써,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되는 상기 그룹 식별자들의 최대 개수가 3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구현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전술한 상기 S130 단계가 수행되는 다른 실시예를 전제로 한다(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된 상기 그룹 식별자들 중 어느 그룹 식별자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200].
도 15는, 사용자가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된 상기 제2 내지 제4 그룹 식별자들(32, 33, 34) 중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를 손가락으로 터치함으로써,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가 선택되는 모습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00 단계에서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정보 영역(10)에 표시한다[S210].
상기 S210 단계는 여러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상기 S210 단계가 수행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00 단계에서 선택된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제1 위치(50)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제1 위치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를 상기 제1 위치(50)에 표시하고, 상기 제3 아이템 그룹(23)을 상기 제1 위치(50)에 하단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00 단계에서 선택된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정보 영역(10)의 최상단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최상단에 표시된 그룹 식별자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를 상기 정보 영역(10)의 최상단에 표시하고, 상기 제3 아이템 그룹(23)을 그 하단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00 단계에서 선택된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을 표시하기 위한 별개의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가 선택됨에 따라, 별개의 화면으로 진입하여, 상기 진입된 별개 화면에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와 상기 제3 아이템 그룹(23)을 차례로 표시한다.
도 18에서 참조번호 60이 지시하는 아이콘(60)과 참조번호 61이 지시하는 메뉴(61)는,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60) 또는 상기 메뉴(61)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8에 도시된 화면을 도 13에 도시된 화면으로 복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00 단계에서 선택된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을 팝업창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그룹 식별자(33)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3 아이템 그룹(23)을 팝업창(70)으로 제공한다.
도 19에서 참조번호 71이 지시하는 아이콘(71)은, 상기 팝업창(70)을 닫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71)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화면에서 상기 팝업창(70)을 제거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보 영역(10)의 특정 경계에 복수의 그룹 식별자들을 잔류시키고, 잔류된 그룹 식별자들 중 선택된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정보 영역(1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잔류된 그룹 식별자들 각각이 단축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스크롤 과정 없이도, 특정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에 접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아이템 그룹은 고유의 그룹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템 그룹 및 이에 대응되는 고유의 그룹 식별자는, 특정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을 상기 특정 기준에 의해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복수의 이메일 아이템들이 분류될 수 있는 다양한 기준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상기 복수의 이메일 아이템들이 송신자(sender)를 기준으로 분류 및 정렬되어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복수의 이메일 아이템들이 읽음/읽지 않음을 기준으로 분류 및 정렬되어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송신자 "A"에 대응되는 그룹 식별자(90)와 송신자 "B"에 대응되는 그룹 식별자(91)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읽지 않음(Unread)"에 대응되는 그룹 식별자(92)와 "읽음(Read)"에 대응되는 그룹 식별자(93)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주로 상기 정보 영역(10)을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영역(10)을 아래쪽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영역(10)을 아래쪽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이 역으로 적용될 수 있다(도 5,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 즉 도 13에 도시된 화면 상태에서 상기 정보 영역(10)이 아래쪽 방향으로 계속 스크롤되는 경우, 차례로 도 12, 도 11, 도 10, 도 9, 도 8 및 도 7과 같은 화면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영역(10)이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2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 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S110 단계가 수행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상기 S130 단계가 수행되는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구현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구현되는 화면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구현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20은 복수의 이메일 아이템들이 분류될 수 있는 다양한 기준들의 예를 도 시한다.
도 21은 상기 복수의 이메일 아이템들이 송신자(sender)를 기준으로 분류 및 정렬되어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상기 복수의 이메일 아이템들이 읽음/읽지 않음을 기준으로 분류 및 정렬되어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 단말기 130: 사용자 입력부
151: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 160: 메모리
180: 제어부

Claims (19)

  1. 각각 서로 다른 그룹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에 각각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과 상기 그룹 식별자를 상호 대응되도록 표시하는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식별자를 스크롤 가능하도록 상기 정보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라는 제1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식별자 중 제1 그룹 식별자가 미리 정해진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 상기 제1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제1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위치는,
    상기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정보 영역의 제1 경계에 접하지 않고, 상기 제1 경계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 식별자와 상기 마지막 아이템을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이 계속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정보 영역의 제1 경계에서 사라지는 경우, 상기 제1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제1 경계에 잔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상기 그룹 식별자들을 스크롤되는 순서대로 상기 제1 경계에 잔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되는 상기 그룹 식별자들의 최대 개수는,
    미리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된 그룹 식별자들 중 어느 그룹 식별자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정보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제1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제1 위치의 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은,
    상기 아이템이 생성되거나 수신된 시점,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거나 전송한 주체, 상기 아이템의 종류, 상기 아이템의 타입, 상기 아이템의 용량, 상기 아이템의 재생 여부 및 상기 아이템의 보안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정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텍스트,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콘텐츠와, SMS(short message serve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및 이메일(e-ma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이동 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에 각각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화면 진입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템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식별자를 스크롤 가능하도록 상기 정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라는 제1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식별자 중 제1 그룹 식별자가 미리 정해진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 상기 제1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제1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위치는,
    상기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정보 영역의 제1 경계에 접하지 않고, 상기 제1 경계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는,
    상기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 식별자와 상기 마지막 아이템을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크롤 명령이 계속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지막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정보 영역의 제1 경계에서 사라지는 경우, 상기 제1 그룹 식 별자를 상기 제1 경계에 잔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룹 식별자를 상기 제1 경계에 잔류시키는 단계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상기 그룹 식별자들을 스크롤되는 순서대로 상기 제1 경계에 잔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되는 상기 그룹 식별자들의 최대 개수는, 미리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에 잔류된 그룹 식별자들 중 어느 그룹 식별자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그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정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텍스트,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콘텐츠와, SMS(short message serve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및 이메 일(e-ma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20090050293A 2009-06-08 2009-06-08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79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293A KR101791540B1 (ko) 2009-06-08 2009-06-08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EP10156134A EP2261784B1 (en) 2009-06-08 2010-03-1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AT10156134T ATE557340T1 (de) 2009-06-08 2010-03-10 Terminal mobile et son procede d'affichage d'informations
US12/724,080 US8103296B2 (en) 2009-06-08 2010-03-15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CN201010157440XA CN101907972B (zh) 2009-06-08 2010-04-01 移动终端以及在移动终端中显示信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293A KR101791540B1 (ko) 2009-06-08 2009-06-08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610A true KR20100131610A (ko) 2010-12-16
KR101791540B1 KR101791540B1 (ko) 2017-10-30

Family

ID=4266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293A KR101791540B1 (ko) 2009-06-08 2009-06-08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03296B2 (ko)
EP (1) EP2261784B1 (ko)
KR (1) KR101791540B1 (ko)
CN (1) CN101907972B (ko)
AT (1) ATE557340T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964B1 (ko) * 2012-10-18 2015-03-3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메시지 쓰레드들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KR20150091810A (ko) * 2014-02-04 201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9646B2 (ja) * 2008-09-03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80440B1 (ko) * 2010-08-30 2017-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터치에 따른 리스트 데이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5478438B2 (ja) * 2010-09-14 2014-04-23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
CN103168302B (zh) * 2010-10-20 2018-08-17 日本电气株式会社 数据处理终端、数据搜索方法以及存储控制程序的非瞬时计算机可读介质
US9223461B1 (en) * 2010-12-08 2015-12-29 Wendell Brown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2133729A (ja) * 2010-12-24 2012-07-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86031A (ko) * 2011-01-25 201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830965B1 (ko) * 2011-08-03 2018-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2632119A1 (en) * 2012-02-27 2013-08-28 Doro AB Two-mode access linear UI
KR101363560B1 (ko) 2012-02-29 2014-02-18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USD790566S1 (en) * 2012-04-24 2017-06-27 Google Inc. Display panel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2508S1 (en) 2012-04-24 2017-03-28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1152S1 (en) 2012-04-24 2017-07-04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30143160A (ko) * 2012-06-20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52177B1 (ko) 2012-07-30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58212A (ko) * 2012-11-06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50B1 (ko) 2012-11-12 2019-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럴랙스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940617B (zh) * 2012-12-17 2020-05-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110457B1 (ko) * 2013-04-19 202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미확인 메시지 표시장치 및 방법
CN103677541A (zh) * 2013-12-25 2014-03-26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对含链接的显示页面中移动光标位置设置的方法和系统
US10025461B2 (en) * 2014-04-08 2018-07-17 Oath Inc. Gesture input for item selection
CN105824587A (zh) * 2015-01-04 2016-08-03 中国移动通信集团河南有限公司 一种报表信息显示的方法、装置、服务器及系统
CN104853316A (zh) * 2015-05-07 2015-08-19 天津七一二通信广播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地图的老人电子围栅系统
KR101685288B1 (ko) * 2015-05-11 2016-12-09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 및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CN104902311B (zh) * 2015-05-28 2019-03-01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音视频资源共享的方法、共享网关及系统
KR101739388B1 (ko) * 2015-10-07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018281B1 (ja) * 2015-11-11 2016-11-02 Line株式会社 表示制御方法、端末、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020630A (zh) * 2016-07-04 2016-10-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处理短消息的方法及装置
KR20200101055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와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4902172A (zh) * 2019-12-27 2022-08-12 富士胶片株式会社 控制装置以及控制程序
JP7264217B2 (ja) * 2020-07-01 2023-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6338A (ja) * 1995-07-28 1997-02-14 Toshiba Corp マルチキャスト通信制御システム
US7136915B2 (en) * 2000-03-14 2006-11-14 Rieger Iii Charles J System for communicating through maps
US7404152B2 (en) * 2005-06-03 2008-07-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isplaying messages on handheld devices
KR100873679B1 (ko) * 2007-09-04 2008-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KR101460111B1 (ko) * 2007-10-17 2014-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메뉴 표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964B1 (ko) * 2012-10-18 2015-03-3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메시지 쓰레드들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KR20150091810A (ko) * 2014-02-04 201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1784A1 (en) 2010-12-15
US20100311445A1 (en) 2010-12-09
KR101791540B1 (ko) 2017-10-30
CN101907972A (zh) 2010-12-08
US8103296B2 (en) 2012-01-24
ATE557340T1 (de) 2012-05-15
EP2261784B1 (en) 2012-05-09
CN101907972B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5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US1132095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03473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966526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2374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KR10185305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001298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55820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아이템 설정 방법
KR201100494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3001529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0001684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처리 방법
KR20100094754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000989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
KR20100104480A (ko) 이동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실 모드 관리 방법
KR20110122004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309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EP295830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639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201001152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68917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 송신 방법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
KR10185081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8019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경로 제공 방법
KR2011010700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뉴 표시 방법
KR2011009339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0009726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2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115

Effective date: 2017071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