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920A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920A
KR20100098920A KR1020090017632A KR20090017632A KR20100098920A KR 20100098920 A KR20100098920 A KR 20100098920A KR 1020090017632 A KR1020090017632 A KR 1020090017632A KR 20090017632 A KR20090017632 A KR 20090017632A KR 20100098920 A KR20100098920 A KR 20100098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mobile terminal
tim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932B1 (ko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7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932B1/ko
Priority to US12/639,936 priority patent/US8265659B2/en
Publication of KR20100098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08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speech input, e.g. using 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케쥴 정보를 네비게이션 기능과 연동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과, 다양한 형태로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과, 이들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 스케쥴, 네비게이션, 음성인식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 {Mobile Terminal, Method Of Managing Schedule And Method Of Manag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스케쥴 정보를 네비게이션 기능과 연동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과, 다양한 형태로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과, 이들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이동 단말기는 매우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통신 기능 이외에도,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한 음성인식 기능,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맵 애플리케이션이나, 길 안내를 주 목적으로 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스케쥴 정보를 관리하는 스케쥴러(scheduler)와 같이 각종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들이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다양한 기능들이 서로 연동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이 서로 연동됨으로써, 새로운 기능들이 제공되고 시너지 효과가 발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을 연계하거나 연동함으로써, 새로운 기능들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네비게이션 기능과 스케쥴 기능과 음성인식 기능 중 적어도 두 개의 기능을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각 기능의 장점을 살리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은, 스케쥴 장소 및 스케쥴 시각을 포함하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예상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이, 상기 스케쥴 시각과 현재 시각의 차이인 잔여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상기 스케쥴 정보를 예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은, 음성으로 이루어진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를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스케쥴 시각과 스케쥴 장소와 스케쥴 내용을 추출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추출된 스케쥴 시각과 스케쥴 장 소와 스케쥴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스케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관리 방법은, 통화 중에, 상기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으로부터,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관리 방법은,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을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스케쥴 장소 및 스케쥴 시각을 포함하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예상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이, 상기 스케쥴 시각과 현재 시각의 차이인 잔여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상기 스케쥴 정보를 예고하는 제 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음성으로 이루어진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음성인식 알고리듬 및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스케쥴 시각과 스케쥴 장소와 스케쥴 내용을 추출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추출된 스케쥴 시각과 스케쥴 장소와 스케쥴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를 상기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7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통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음성인식 알고리듬과,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통화 중에, 상기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으로부터, 상기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8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맵(map)과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이동통 신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을 상기 맵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을 연계하거나 연동함으로써, 새로운 기능들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기능과 스케쥴 기능과 음성인식 기능 중 적어도 두 개의 기능이 서로 연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각 기능의 수행을 위한 별도의 메뉴 진입이 필요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황들에 적절하게 부합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 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 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 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 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 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 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 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 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및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 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 조작부(131)가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 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문서에 포함된 도면들에 도시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은,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제2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 요소들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인터넷(1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이동통신망(도면 미도시)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100, 200)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과 같이 이동통신 기능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단말기라고 가정하고,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네비게이터(navigator)와 같이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단말기라고 가정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100, 200)가 상기 가정된 단말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님을 명백히 밝혀둔다. 상기 가정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도 5b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실제 생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동일한 차량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설명 하기로 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 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스케쥴 장소 및 스케쥴 시각을 포함하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한다[S100]. 상기 스케쥴 정보는, 상기 스케쥴 장소 및 스케쥴 시각 외에도, 스케쥴 내용과 스케쥴 제목과 스케쥴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스케쥴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스케쥴러(scheduler)를 통해 상기 스케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케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00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스케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도 7a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20a)가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도 7b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20b)가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S11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10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예상 시간을 획득하고[S120], 상기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스케쥴 시각과 현재 시각의 차이인 잔여 시간을 획득한다[S130].
도 8은 상기 이동 예상 시간 및 상기 잔여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케쥴 시각(22)은, 사용자가 시각을 재설정하지 않는 한, 변화하지 않는 시각이다. 상기 현재 시각(21)과, 상기 이동 예상 시간과, 상기 잔여 시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값들이다.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은, 상기 S110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맵(map)에 포함된 도로 정보를 고려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은, 교통 상황 정보를 더 고려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교통 상황 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도 있고,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교통 상황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교통 상황 정보는, 다양한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통 상황 정보는,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통신 규약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교통 상황 정보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것일 경우, 상기 교통 상황 정보는 소정 기간 동안의 교통 상황 정보에 대한 통계 데이터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현재 시각(21)이, 시간의 흐름에 의해 21a 지점에서 21b 지점, 21c 지점을 지남에 따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이동 예상 시간 또한 변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상기 현재 시각(21)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교통 상황 정보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이 상기 교통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은, 상기 현재 시각(21)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잔여 시간과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의 차이의 절대값이 기준치(threshold)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절대값이 상기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50]. 상기 잔여 시간과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치보다 작다는 것은,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 바로 출발하면, 상기 스케쥴 시각 부근에 도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상기 현재 시각(21)이 21d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상기 경고 메시지는,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거나, 상기 햅틱모듈(154)를 통해 진동을 발생하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a는 상기 경고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팝업창(25) 형태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절대값이 상기 기준치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이동 예상 시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6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이동 예상 시간보다 큰 경우,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에게 예고할 수 있다[S170]. 예를 들어 도 8에서, 상기 현재 시각(21)이 21a 지점부터 21d 지점의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상기 S170 단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이동 예상 시간과 상기 잔여 시간이 일치하기 전의 특정 시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50 단계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로 상기 S17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b는, 상기 S17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팝업창(28) 형태로 상기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에게 예고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상기 팝업창(28)은, 현재 위치 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인지를 알리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 정보를 주기적으로 예고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S170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S110 단계로 회귀하여 전술한 과정들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50 단계 또는 상기 S170 단계를 수행한 후,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S18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도 9a에 도시된 팝업창(25) 및 도 9b에 도시된 팝업창(28)에, 길 안내를 시작하라는 안내 버튼(26)과, 상기 팝업창(25, 28)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는 취소 버튼(27)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안내 버튼(26)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아무런 명령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이동 경로를 자동으로 안내하거나, 또는 상기 팝업창(25, 28)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안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의 자동 안내 여부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가 자동으로 안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b에서 상기 알람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이동 경로가 안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상기 S18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길 안내를 시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하거나, 상기 길 안내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설정된 경우, 도 10a와 같은 화면으로 진입하고, 길 안내를 시작한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창(29)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29)에 제공되는 승인 버튼(30) 또는 거절 버튼(3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상기 승인 버튼(30) 또는 상기 거절 버튼(31) 중 어느 버튼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선택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길 안내를 시작할 수 있다.
도 10b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32)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맵은,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표시되는 맵일 수 있다. 한편 도 10a에 도시된 맵은 상기 스케쥴 장소를 중심으로 표시되는 맵일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 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스케쥴 정보 수신 모드로 진입한다[S20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스케쥴러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러는,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을 입력받을 수 있는 스케쥴 정보 수신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a는 상기 스케쥴러가 구동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된 스케쥴러는,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버튼(35)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b는, 상기 스케쥴 정보 수신 모드로 진입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12a에 도시된 상기 버튼(35)을 선택함으로써, 도 12b에 도시된 상기 스케쥴 정보 수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 정보 수신 모드로 진입한 경우, 텍스트 입력 모드와 음성 입력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키패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되는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를 통해 텍스트를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스케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음성 입력 모드는, 상기 스케쥴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음성 입력 모드는, 상기 마이크(122)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 모드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음 성 신호에 대해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알고리듬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기술을, STT(Speech To Text)라고 한다.
예를 들어, 도 12b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버튼(36)과 상기 음성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버튼(37)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음성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버튼(37)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 정보를 음성으로 수신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음성 입력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방식 중 어떤 입력 방식이 활성화 될 것인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하 2가지의 음성 입력 모드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음성 입력 모드가 인터액션 모드(interaction mode)인지를 판단한다[S21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음성 입력 모드가 상기 인터액션 모드가 아닌 경우, 스케쥴 시각과 스케쥴 장소와 스케쥴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스케쥴 정보를 음성으로 한꺼번에 수신할 수 있다[S230]. 도 13a는, 상기 S230 단계의 수행을 위해 상기 제어부(180)가 안내 메시지(40)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13a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스케쥴 시각과 상기 스케쥴 장소와 상기 스케쥴 내용을, 그 순서에 관계없이, 음성으로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시청에서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2009년도 개정된 특허법을 설명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30 단계에서 수신된 음성을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S240],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상기 스케쥴 시각, 상기 스케쥴 장소 및 상기 스케쥴 내용을 추출한다[S250].
상기 S25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40 단계에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대해 구문 분석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상기 스케쥴 시각, 상기 스케쥴 장소및 상기 스케쥴 내용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구문 분석 알고리듬은, 상기 스케쥴 시각을 추출하기 위한 시간 구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스케쥴 장소를 추출하기 위한 장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문 분석 알고리듬과 상기 시간 구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장소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시간 구문 데이터베이스는, 시간을 나타내는 텍스트의 집합체이다. 상기 장소 데이터베이스는, 장소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집합체이다. 한편 상기 장소 데이터베이스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나 맵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시청"을 상기 스케쥴 장소로 추출하고, "오후 2시부터 3시까지"를 상기 스케쥴 시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나머지 구문인 "2009년도 개정된 특허법을 설명함"을 상기 스케쥴 내용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음성 입력 모드가 상기 인터액션 모드인 경우, 시각과 장소와 내용을 각각 질의하는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상기 스케쥴 시각과 상기 스케쥴 장소와 상기 스케쥴 내용을 각각 음성으로 수신할 수 있다[S22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시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거나, 청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를 통해 오디오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3b는, 상기 시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들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3b(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쥴 시각을 질의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43)를 제공할 수 있고[S221],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4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S222].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22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스케쥴 시각에 대응시킨다. 도 13b(a)에서는, 사용자가 "오후 2시부터 3시까지"라는 시간 정보를 음성으로 말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3b(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쥴 장소를 질 의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44)를 제공할 수 있고[S223],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4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S224].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24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스케쥴 장소에 대응시킨다. 도 13b(b)에서는, 사용자가 "시청"이라는 장소 정보를 음성으로 말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3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쥴 내용을 질의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45)를 제공할 수 있고[S225],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4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S226].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26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스케쥴 내용에 대응시킨다. 도 13b(b)에서는, 사용자가 "2009년도 개정된 특허법을 설명함"이라는 스케쥴 내용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말한다.
도 13b에서 각 과정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43, 44, 45)에 제공되는 음성 입력 완료 버튼(42)을 선택한 경우, 다음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각 과정에서 음성 입력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음성 입력 완료 버튼(42)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다음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3b에 도시된 취소 버튼(42)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음성 입력 모드를 종료하거나, 이전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3b는, 시각, 장소 및 내용의 순서로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시각, 장소 및 내용을 각각 질의하는 상기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제공되는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22 단계, 상기 S224 단계 및 상기 S226 단계에서 수신된 3개의 음성들을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S240]. 여기서, 상기 수신된 3개의 음성들은, 상기 S221 단계 내지 상기 S226 단계가 완료된 이후, 한꺼번에 텍스트로 변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3개의 음성들은, 각각 수신될 때마다 텍스트로 변환되어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3b의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수신될 때마다 텍스트로 변환되어 해당되는 필드에 기록되는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3b(b)을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스케쥴 시각"에 관한 정보가 해당 필드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터액션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들은, 그 성질이 대응되어 있으므로, 구문 분석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구분 분석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S222 단계에서 수신된 음성은, 그 성질이 상기 스케쥴 시각에 대응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S224 단계에서 수신된 음성은, 그 성질이 상기 스케쥴 장소에 대응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S226 단계에서 수신된 음성은 그 성질이 상기 스케쥴 내용에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43, 44, 45)을 통해 수신된 상기 음성들을, 각각 그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쥴 시각과 상기 스케쥴 장소와 상기 스케쥴 내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S25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터액션 모드 수행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S250 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추출되거나 설정된 스케쥴 시각, 스케쥴 장소 및 스케쥴 내용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스케쥴 정보를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260]. 상기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3b(d)는, 상기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스케쥴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b(d)는, 상기 인터액션 모드의 수행 여부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수행되는 경우, 출력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도 13b(d)와 같은 화면에서 자신이 음성으로 말한 내용들이 제대로 인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저장 버튼(48)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 버튼(48)을 선택함에 따라, 상기 스케쥴 정보는, 상기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시각을 고려하여 상기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스케쥴 정보를 예고할 수 있다[S270]. 상기 스케쥴 정보가 예고되는 시각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각이 상기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스케쥴 시각으로부터 1시간 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 정보를 예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해 입력된 스케쥴 정보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스케쥴이 예고되고 스케쥴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 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화(call) 중에, 상기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으로부터,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한다[S3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 또는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113)을 이용해 상기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300 단계에서 수행되는 상기 통화는,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300 단계에서 수행되는 상기 통화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가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화에 3명 이상의 참여자가 참여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S30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S30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화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S301]. 도 16은, 통화 중 음성이 저장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서, 참조번호 50은 통화의 상대방 정보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51은 통화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도 1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통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되는 음성 저장 버튼(53)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저장 버튼(53)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화와 관련된 참여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을 저장하기 시작한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키패드에 포함된 특정 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화와 관련된 참여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의 저장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키는, 통화 중 음성 저장을 시작하는 기능 및 종료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화와 관련된 참여자들의 음성을 모두 저장하거나,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참여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 명의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음성 및 상대방의 음성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저장하게 할 수 있다.
도 16(b)는, 현재 통화 내용이 음성으로 저장되고 있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화 음성이 저장되고 있는 중, 상기 음성 저장 기능을 일시 정지하는 기능 및 종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저장 기능을 일시 정지하는 기능이 할당된 PAUSE 버튼(55)과 상기 음성 저장 기능을 종료하는 기능이 할당된 DONE 버튼(56)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DONE 버튼(55)을 선택하면, 화면은 도 16(c)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음성 저장 기능이 종료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S302]. 상기 S302 단계는, 상기 S301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음성 저장이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302 단계는, 상기 S301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301 단계에서 수신되는 음성을 소정의 시간마다(예를 들어, 10초마다)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302 단계에서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03]. 상기 S303 단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문 분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구문 분석 알고리듬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장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S30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300 단계에서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S310]. 상기 S310 단계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7은, 상기 통화가 종료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 어부(180)는, 상기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통화 중에 저장된 음성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가 검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화 중에 저장된 음성으로부터, 3개의 위치정보가 추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6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60)는, 상기 추출된 3개의 위치정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위치정보 선택 버튼(61)과, 상기 구동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영역(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영역(62)은, 상기 구동될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 버튼(63)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받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수동 버튼(6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위치정보 선택 버튼(61)이 선택된 경우, 상기 통화 중 저장된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위치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팝업창(65)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팝업창(65)은,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들 모두를 선택하기 위한 전체 선택 버튼(6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65)을 통해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8은 구동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a)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 버튼(63)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거나,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자동 버튼(63) 및 상기 수동 버튼(64) 중 어떠한 버튼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동 버튼(64)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받기 위한 팝업창(7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70)을 통해, 상기 통화 중에 저장된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들면, 도 18(b)의 팝업창(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터(navigator), 맵 애플리케이션, 스케쥴러, 외부의 단말이나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310 단계에서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S320].
도 19a 내지 도 19d는, 상기 S320 단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a는, 상기 네비게이터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네비게이터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여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b는,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맵(map) 상에 표시한다. 참조번호 75는, 맵 상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을 나타낸다.
도 19c는 상기 스케쥴러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스케쥴 장소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새로운 스케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스케쥴 장소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9d는,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준비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혹은 미리 지정된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9d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일종인 블루투스(Bluetooth)와, SMS(Short Message System)와, 전자메일(E-Mail)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선택 영역(77)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선택 영역(77)에 포함된 통신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선택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블루투스가 선택된 경우, 블루투스로 통신 가능한 외부의 단말기들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MS 또는 상기 전자 메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메시지 또는 전자 메일의 내용에 자동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0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 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네비게이션 장치로 가정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포함된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00]. 상기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으로 가정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S41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한다[S420]. 텍스트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추출되는 위치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을 맵 상에 표시할 수 있다[S430].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S440],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에서 상기 표시된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S450]. 상기 S450 단계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행되거나,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420 단계에서 추출된 위치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길 안내를 위한 위치정보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 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위치를 연결하는 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구현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도 21은 수동으로 길 안내를 수행하는 경우이고, 도 22는 자동으로 길 안내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도 21(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400 단계 내지 상기 S420 단계를 수행한 후, 제1 안내 영역(80a)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내 영역(80a)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정보(81)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위치정보(8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내 영역(80a)는,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82)를 이용할 방식을 선택받기 위한 각종 버튼들(85, 86)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82)에 대응되는 지점을 맵 상에 표시하는 기능이 할당된 맵 표시 버튼(85)이나,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82)에 대응되는 지점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이 할당된 길 안내 버튼(86)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1(b)는, 상기 맵 표시 버튼(85)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1(b)에 도시된 화면은, 다양한 기능 버튼들(90, 91, 92)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b)에 도시된 화면은,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82)를 출발 지점으로 설정하는 기능이 할당된 출발지 설정 버튼(90)과,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82)를 목적 지점으로 설정하는 기능이 할당된 목적지 설정 버튼(91)과, 상기 길 안내 버튼(86)과 동일한 기능이 할당된 길 안내 버튼(92)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1(c)는, 도 21(a)에서 상기 길 안내 버튼(86)이 선택되거나, 도 21(b)에서 상기 길 안내 버튼(92)이 선택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까지의 길 안내를 수행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2(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길 안내를 시작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길 안내를 시작함을 알리고 사용자에게 길 안내를 취소할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제2 안내 영역(80b)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Cancel>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자동 길 안내를 취소시킬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22(a)의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OK> 버튼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거나, 소정 시간 동안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자동으로 길 안내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과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과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상기 이동 예상 시간 및 상기 잔여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상기 경고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b는, 상기 S17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상기 S18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의 흐 름도이다.
도 12a는 상기 스케쥴러가 구동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b는, 상기 스케쥴 정보 수신 모드로 진입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a는, 상기 S230 단계의 수행을 위해 상기 제어부(180)가 안내 메시지(40)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상기 시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들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상기 S30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통화 중 음성이 저장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통화가 종료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구동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상기 S320 단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구현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12: 이동 통신 모듈 113: 무선 인터넷 모듈
115: 위치 정보 모듈 130: 사용자 입력부
151: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 160: 메모리
180: 제어부

Claims (21)

  1. 스케쥴 장소 및 스케쥴 시각을 포함하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예상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이, 상기 스케쥴 시각과 현재 시각의 차이인 잔여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상기 스케쥴 정보를 예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맵(map)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맵에 포함된 도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교통 상황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교통 상황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이동 예상 시간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 시간과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이 일치하기 전에,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스케쥴 정보를 예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또는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케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듈이거나,
    외부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케쥴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음성으로 이루어진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음성인식 알고리듬 및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스케쥴 시각과 스케쥴 장소와 스케쥴 내용을 추출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추출된 스케쥴 시각과 스케쥴 장소와 스케쥴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를 상기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각과 장소와 내용을 각각 질의하는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스케쥴 시각과 상기 스케쥴 장소와 상기 스케쥴 내용을 각각 음성으로 수신하고,
    상기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각각에 대응되어 수신된 상기 음성들을, 상기 스케쥴 시각과 상기 스케쥴 장소와 상기 스케쥴 내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스케쥴 시각과 상기 스케쥴 장소와 상기 스케쥴 내용을, 수신 순서에 관계없이, 한꺼번에 음성으로 수신하고,
    구문 분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상기 스케쥴 시 각과 상기 스케쥴 장소와 상기 스케쥴 내용을 각각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각을 고려하여, 상기 스케쥴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스케쥴 정보를 예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통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음성인식 알고리듬과,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통화 중에, 상기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으로부터, 상기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하는 네비게이터(navigator)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맵(map) 상에 표시하기 위한 맵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위치 정보를 스케쥴 장소로 설정하는 스케쥴러(scheduler)와, 상기 위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맵(map)과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정 보에 대응되는 지점을 상기 맵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표시된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스케쥴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케쥴 장소 및 스케쥴 시각을 포함하는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케쥴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예상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예상 시간이, 상기 스케쥴 시각과 현재 시각의 차이인 잔여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상기 스케쥴 정보를 예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
  19.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스케쥴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성으로 이루어진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스케쥴 정보를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스케쥴 시각과 스케쥴 장소와 스케쥴 내용을 추출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추출된 스케쥴 시각과 스케쥴 장소와 스케쥴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스케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 관리 방법.
  20.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중에, 상기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으로부터,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21.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을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KR1020090017632A 2009-03-02 2009-03-02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 KR10153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632A KR101532932B1 (ko) 2009-03-02 2009-03-02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
US12/639,936 US8265659B2 (en) 2009-03-02 2009-12-16 Mobile terminal, method of managing schedule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anag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632A KR101532932B1 (ko) 2009-03-02 2009-03-02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920A true KR20100098920A (ko) 2010-09-10
KR101532932B1 KR101532932B1 (ko) 2015-07-01

Family

ID=4266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632A KR101532932B1 (ko) 2009-03-02 2009-03-02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65659B2 (ko)
KR (1) KR1015329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19A1 (ko) * 2011-09-01 2013-03-07 인포뱅크 주식회사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60062256A (ko) * 2014-11-24 2016-06-0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통화음성 또는 문자 분석을 통한 내비게이션 목적지 설정 및 변경 방법
KR20160076770A (ko) * 2014-12-23 2016-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관리 서버, 이들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46005B1 (ko) 2015-03-27 2016-08-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행동 스케쥴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3700B2 (en) 2005-09-12 2011-12-06 Nuance Communications, Inc. Retrieval and presentation of network service results for mobile device using a multimodal browser
US7477909B2 (en) * 2005-10-31 2009-01-13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search using a wireless mobile device
US8843376B2 (en) 2007-03-13 2014-09-23 Nuance Communications, Inc. Speech-enabled web content searching using a multimodal browser
KR101952702B1 (ko) * 2012-06-01 2019-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9619645B2 (en) * 2013-04-04 2017-04-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Authentication for recognition systems
CN105432090B (zh) * 2013-07-31 2019-01-18 麦克赛尔株式会社 影像显示装置
KR102124482B1 (ko) * 2014-01-16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779055B2 (en) * 2016-02-12 2020-09-1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broadcast programs that will be missed due to travel delays
EP3664065A1 (de) * 2018-12-07 2020-06-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r verarbeitung eines sprech-funk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2878A (ja) * 1999-09-27 2001-04-06 Fujitsu Ltd スケジュール提示およびそれに応じたアクション提案・実行装置,その処理方法,その処理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スケジュール記録媒体,および自動スケジュール生成装置
JP2002149528A (ja) * 2000-11-13 2002-05-24 Sharp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サーバ、情報提供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機械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7370085B2 (en) * 2001-05-03 2008-05-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provid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with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JPWO2004019225A1 (ja) * 2002-08-26 2005-12-15 富士通株式会社 状況付情報を処理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060032003A (ko) * 2004-10-11 2006-04-14 주식회사 팬택 위치 정보를 이용한 스케쥴 알람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US8065079B2 (en) * 2005-03-31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reminders via a portable computing device
JP4759304B2 (ja) * 2005-04-07 2011-08-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表示システム
KR20100037488A (ko) *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19A1 (ko) * 2011-09-01 2013-03-07 인포뱅크 주식회사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60062256A (ko) * 2014-11-24 2016-06-0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통화음성 또는 문자 분석을 통한 내비게이션 목적지 설정 및 변경 방법
KR20160076770A (ko) * 2014-12-23 2016-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관리 서버, 이들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46005B1 (ko) 2015-03-27 2016-08-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행동 스케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22079A1 (en) 2010-09-02
KR101532932B1 (ko) 2015-07-01
US8265659B2 (en) 201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93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위치 정보 관리 방법
KR1017915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EP276001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9830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85305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1538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0901073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제어방법
KR201001298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10012690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590915B1 (ko) 이동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실 모드 관리 방법
KR101951473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2396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KR101781072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7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295830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09146B1 (ko) 이동 단말기
EP2685427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60422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8917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 송신 방법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40100051A (ko) 이동 단말기
KR1017795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639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10185081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8019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경로 제공 방법
KR20150061449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