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743A -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743A
KR20100130743A KR1020090049415A KR20090049415A KR20100130743A KR 20100130743 A KR20100130743 A KR 20100130743A KR 1020090049415 A KR1020090049415 A KR 1020090049415A KR 20090049415 A KR20090049415 A KR 20090049415A KR 20100130743 A KR20100130743 A KR 20100130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ice bar
stick
ba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119B1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09004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11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roducing frozen sweets on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14Continuous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4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coating or filling the products
    • A23G9/24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coating or filling the products for coating th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급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다수의 아이스바의 스틱을 그립퍼로 잡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이동하는 픽업수단; 그립퍼에 의해 이송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클램프로 고정하여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에서 아이스바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체인으로 반복 이송하는 고정이송수단; 클램퍼에 고정되고 하부로 향하도록 이송된 아이스바를 하측 이동으로 딥핑하여 외부에 액상첨가물을 코팅하고,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복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승강수단; 및 코팅된 아이스바를 이송한 후, 그립퍼로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고 수평 이동하고, 배출컨베이어에 놓아 주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49415
아이스바, 스틱, 픽업, 그립퍼, 클램프, 체인, 승강, 딥핑, 배출

Description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STICK TYPE ICE-BAR DIPPING SYSTEM}
본 발명은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는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아 회전 이송시켜 체인구동기구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회전 이송되는 이동바의 클램퍼에 삽입 고정하고 승강수단으로 하강하여 아이스바를 딥핑하므로 딥핑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하는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과류 아이스 크림은 일정한 크기로 되는 플라스틱 용기에 아이스 크림이 충진되는 용기형 아이스크림과, 원형 형상의 봉체 막대기 또는 곧고 가는 형상의 판체 막대기에 빙수를 얼음처럼 결빙시켜 제조되는 스틱형 아이스 바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스틱형 아이스바는 한가지의 내용물을 그대로 얼려서 형성되는 일체로 된 타입과, 얼려진 아이스바를 초코 혹은 커피맛 등의 액상첨가물에 침액(浸液; 딥핑(Dipping))하여 외부에 별도의 층을 적층 하므로 사용자에게 2가지 이상의 맛을 제공하는 딥핑된 타입이 있다.
종래의 딤핑된 스틱형 아이스바를 제조하는 공정은 우선 몰드(결빙기)에 빙수를 투입하여 저온으로 결빙시키면서 스틱을 공급하여 아이스바를 제조한 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로 이송한다.
그리고, 이송된 아이스바를 작업자가 일일히 수동방식으로 액상첨가물에 딥핑하고, 재차 얼려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아이스바의 외부에 적층된 액상첨가물을 얼린 후 포장하여 제품화하여 출시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딥핑된 스틱형 아이스바는 일일히 수작업으로 딥핑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현저하게 낮아져서 생산원가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개선하여 자동으로 딥핑하는 장치를 개발하였으나, 스틱을 잡아 이송하여 아이스바를 딥핑하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다수의 스틱형 아이스바를 동시에 딥핑하지 못하므로 아이스바의 생산성이 저하되며, 다양한 종류의 액상첨가물을 하나의 딥핑장치에서 선택적으로 딥핑할 수 없으므로 딥핑장치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딥핑된 스틱형 아이스바 의 스틱을 다수 단위씩 자동 이송하여 딥핑하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하여 스틱형 아이스바의 제조단가를 낮추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는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아 회전 이송시켜 체인구동기구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회전 이송되는 이동바의 클램퍼에 삽입 고정하고 승강수단으로 하강하여 스틱형 아이스바를 딥핑하므로 딥핑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액상첨가물이 담겨진 저장통이 하부로 이송되는 아이스바의 저면에 다수 배치되어 하나의 딥핑 시스템으로 여러 가지의 딥핑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급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다수의 아이스바의 스틱을 그립퍼로 잡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이동하는 픽업수단; 상기 그립퍼에 의해 이송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클램프로 고정하여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에서 아이스바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체인으로 반복 이송하는 고정이송수단; 상기 클램퍼에 고정되고 하부로 향하도록 이송된 아이스바를 하측 이동으로 딥핑하여 외부에 액상첨가물을 코팅하고,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복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승강수단; 및 상기 코팅된 아이스바를 이송한 후, 그립퍼로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고 수평 이동하고, 배출컨베이어에 놓아 주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한 다.
또한, 상기 픽업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판과; 상기 수평유지판의 내측에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판과; 상기 한 쌍의 회동판에 서로 연결되고, 상기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아주는 그립퍼를 다수 설치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동판이 회동되도록 상기 수평유지판에 고정된 설치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축에 대해 회동시켜 아이스바를 수직으로 세워주는 회동실린더와; 상기 레버의 회동시 상기 수평유지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유지부재는, 상기 회동축의 일측에 회동이 연계되지 않게 중심선이 회동축 중심선에 일치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풀리와; 상기 고정풀리에 일측이 감겨져서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의 타측에 감겨져서 고정풀리와 동일한 회전비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유지판과 연동되는 수평유지축에 연결되어 수평유지판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레버에 설치되는 회동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수단의 하부에는, 상기 픽업수단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기 위해 상기 그립퍼를 수평으로 이동 및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좌우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좌우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 의 구동으로 구동풀리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에 감겨져서 회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타이밍벨트에 결합부에 의해 고정되어 그립퍼를 포함한 픽업수단을 수평으로 이동 및 복귀하는 좌우이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에 의해 일정 간격을 갖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감겨져 이동하는 체인에 의해 회전하는 피동스프라켓과; 상기 체인의 일측으로 돌출된 이송핀이 안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하부로 이동할 때 받침부에 의해 구르면서 이동하도록 롤러를 구비하는 다수의 안착부재와;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아이스바의 스틱이 고정되는 다수의 클램프가 설치되고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체인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 이동하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체인의 외측 본체에 구비되어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일단이 연결되고 절곡 형성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타단이 고정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본체에 고정된 케이스의 진입부로 진입하는 상기 고정이동수단의 안착부재의 승강 동작을 수행하여 이동바의 클램프에 고정된 아이스바를 저장통에 딥핑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가 케이스 내에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된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에 일단이 연결되어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타단이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축과; 상기 고정이동수단의 클램프에 고정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아서 상기 이동축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배출컨베이어에 놓아주는 그립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은, 딥핑된 스틱형 아이스바의 스틱을 다수 단위씩 자동 이송하여 딥핑하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하여 스틱형 아이스바의 제조단가를 낮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는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아 회전 이송시켜 체인구동기구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회전 이송되는 이동바의 클램퍼에 삽입 고정하고 승강수단으로 하강하여 스틱형 아이스바를 딥핑하므로 딥핑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은, 액상첨가물이 담겨진 저장통이 하부로 이송되는 아이스바의 저면에 다수 배치되어 하나의 딥핑 시스템으로 여러 가지의 딥핑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 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픽업수단과 고정이송수단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고정이송수단과 승강수단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바가 승강수단에 의해 딥핑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에 의해 아이스바가 배출되는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은, 본체(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급컨베이어(8)로 이송되는 다수의 아이스바(4)의 스틱(2)을 그립퍼(28)로 잡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이동하는 픽업수단(10); 그립퍼(28)에 의해 이송된 아이스바(4)의 스틱(2)을 클램프(78)로 고정하여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에서 아이스바(4)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체인(58)으로 반복 이송하는 고정이송수단(50); 클램퍼(78)에 고정되고 하부로 향하도록 이송된 아이스바(4)를 하측 이동으로 딥핑하여 액상첨가물을 코팅하고,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복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승강수단(90); 및 코팅된 아이스바(4)를 이송한 후, 그립퍼(118)로 아이스바(40)의 스틱(2)을 잡고 수평 이동하고, 배출컨베이어(120)에 놓아 주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픽업수단(10)은, 한 쌍의 레버(16), 회동판(20), 연결부재(24), 회동실린더(26), 수평유지부재(30)를 포함한다.
레버(16)는, 본체(6)에 설치된 모터(12)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동축(14)과; 회동축(14)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회동 되게 설치된다.
모터(12)는 서보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레버(16)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유지판(18)은, 한 쌍의 레버(16)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레버(16) 내측 면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레버(16)가 회전하더라도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회동판(20)은, 수평유지판(18)의 내측에 축(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부재(24)는, 한 쌍의 회동판(20)에 서로 연결되고, 아이스바(4)의 스틱(2)을 잡아주는 그립퍼(28)를 다수 설치한다.
그립퍼(28)는 실린더에 의하여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집게를 사용하는 구성이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회동실린더(26)는, 회동판(20)이 회동되도록 수평유지판(18)에 고정된 설치 부재(27)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24)를 축(22)에 대해 회동시켜 아이스바(4)를 수직으로 세워주도록 구성된다.
회동실린더(26)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유지부재(30)는 레버(16)의 회동시 수평유지판(18)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수평유지부재(30)는, 회동축(14)의 일측에 회동이 연계되지 않게 중심선이 회동축(14) 중심선에 일치하도록 본체(6)에 설치되는 고정풀리(32)와; 고정풀리(32)에 일측이 감겨져서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34)와; 타이밍벨트(34)의 타측에 감겨져서 고정풀리(32)와 동일한 회전비로 설치되고, 수평유지판(18)과 연동되는 수평유지축(38)을 회동하여 수평유지판(18)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레버(16)에 설치되는 회동풀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픽업수단(10)의 하부에는, 픽업수단(10)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급컨베이어(8)에 의해 이송되는 아이스바(4)의 스틱(2)을 잡기 위해 그립퍼(28)를 수평으로 이동 및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좌우이송수단(40)을 더 포함한다.
좌우이송수단(40)은, 본체(6)에 고정되어 구동하는 모터(42)와; 모터(42)의 구동으로 구동풀리(43)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44)와; 타이밍벨트(44)에 감겨져서 회동되도록 본체(6)에 설치되는 피동풀리(47)와; 타이밍벨트(44)에 결합부(46)에 의해 고정되어 그립퍼(28)가 구비된 픽업수단(10)을 수평으로 이동 및 복귀하는 좌우이동판(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좌우이동판(48)은 본체(6)에 고정된 안내부시(45)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어진다. 안내부시(45)는 볼 부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42)는 서보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좌,우 이동거리가 10c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이동수단(50)은, 구동스프라켓(56)과, 피동스프라켓(62), 안착부재(70), 이동바(76)를 포함한다.
구동스프라켓(56)은, 본체(2)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54)에 의해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구동스프라켓(56)은 구동축(64)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는 상태로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동스프라켓(62)은, 구동스프라켓(56)에 감겨져 이동하는 체인(58)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모터(54)는, 서보모터를 사용하고, 체인(58)을 원 스텝(One Step)단위로 이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안착부재(70)에 안착된 이동바(76)가 체인(58)에 원 스텝(One Step) 단위로 배치된 경우, 서보 모터(54)를 원 스텝 단위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안착부재(70)에 안착된 이동바(76)가 체인(58)에 투 스텝(Two Step) 단위로 배치된 경우, 서보 모터(54)를 투 스텝 단위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안착부재(70)는, 체인(58)의 일측으로 돌출된 이송핀(60)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안치되는 안착홈(75)이 형성되고, 하부로 이동할 때 본체(6)의 내측에 구비된 받침부(74)에 의해 구르면서 이동하도록 롤러(72)를 구비한다.
즉, 안착부재(70)가 아이스바(4)가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는 체인(58)의 일측으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이송핀(60)에 안치된 상태에서 들려져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안착부재(70)가 아이스바(4)가 하부로 향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본체(6)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74)에 안착부재(70)의 일측에 구비된 롤러(72)가 안착되고, 이송핀(60)이 안착부재(70)의 안착홈(75)에 끼워진 상태로 당겨 안착부재(70)가 이동되고, 이 안착부재(70)에 고정된 이동바(76)와 클램프(78)와 아이스바(4) 역시 수평으로 함께 이동된다.
이동바(76)는 마주보는 한 쌍의 안착부재(70)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어 아이스바(4)의 스틱(2)이 고정되는 다수의 클램프(78)가 설치되고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체인(58)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클램프(78)는 이동바(76)에 고정되는 고정판(80)과; 고정판(80)에 설치된 힌지축(82)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동판(84)과; 회동판(8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이스바(4)의 스틱(2)은 고정판(80)과 회동판(84) 접촉면 사이로 회동판(84)이 벌려지면서 진입하여 스프링(86)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판(84)에 눌려져서 고정된다.
그리고, 승강수단(90)은 실린더(92), 레버(94), 승강축(100), 승강부재(98)를 포함한다.
실린더(92)는, 체인(58)의 외측 본체(6)에 구비된다.
레버(94)는, 실린더(92)에 일단이 연결되고 절곡 형성되어 구동축(95)과 함께 회동한다.
구동축(95)은 반대측에 있는 승강축(100)과 승강부재(98)를 작동하도록 회전된다.
승강축(100)은, 레버(94)의 타단에 고정된다.
승강부재(98)는, 승강축(100)에 연결되어 본체(6)에 고정된 케이스(96)의 진입부(97)로 체인(58)에 의해 진입하는 고정이동수단(50)의 안착부재(70)의 승강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이 안착부재(70)의 하강 동작에 의하여 이동바(76)의 클램프(78)에 고정된 아이스바(4)가 다수의 저장통(104)에 딥핑된다.
저장통(104) 중에는 초코액, 커피액, 딸기액 등과 같이 다양한 액상첨가물이 저장되어질 수 있다. 저장통(104) 중에서 선택적으로 딥핑작업을 수행하므로 하나의 본 발명 딥핑 시스템으로 다양한 종류의 딥핑작업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이때, 저장통(104) 중에 액상첨가물이 담겨진 저장통 다음의 저장통은 액화질소(LN2) 저장통(104)을 적용하여, 아이스바(4)를 저장통(104)의 액상 첨가물을 딥핑하여 묻혀준 상태에서 체인(58)으로 이송하고, 승강수단(90)으로 그 다음에 있는 액화질소(LN2) 저장통(104)에 담궈서 아이스바(4)에 묻혀진 액상첨가물이 급속하게 냉각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스바(4)의 딥핑이 이루어져 아이스바(4)의 외부에 액상첨가물이 코팅된 후, 상기한 반대의 과정을 거쳐 승강부재(98)와 안착부재(70)가 상측으로 복귀하 고, 일시 정지된 체인(58)의 구동에 의하여 재차 아이스바(4)가 이송된다.
한편, 배출수단(110)은, 본체(122)에 고정된 동력발생부재(112)와; 동력발생부재(112)에 일단이 연결되어 회동하는 레버(114)와; 레버(114)에 타단이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축(116)과; 고정이동수단(50)의 클램프(78)에 고정되는 아이스바(4)의 스틱(2)을 잡아서 상기 이동축(116)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배출컨베이어(120)에 놓아주는 그립퍼(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력발생부재(112)는 모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터를 사용하도록 한다. 모터는 서보모터일 수 있다.
그립퍼(118)는 픽업수단(10)에서 적용한 그립퍼(28)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급컨베이어(8)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상태로 이동하는 아이스바(4)의 스틱(2)을 픽업수단(10)의 그립퍼(18)가 잡아준다.
이때, 공급컨베이어(8)의 이동속도에 그립퍼(18)의 이동속도를 맞추기 위하여 좌우이동수단(40)의 모터(42)를 구동하여 구동풀리(43)와 피동풀리(47)에 감겨진 타이밍벨트(44)를 구동한다.
그리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44)와 좌우이동판(48)에 일 체로 고정된 결합부(74)에 의해 좌우이동판(48)이 순간적으로 공급컨베이어(8) 속도에 맞추어 이동하므로 좌우이동판(48) 상에 설치된 픽업수단(10)과 그립퍼(18)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므로 그립퍼(18)가 아이스바(4)의 스틱(2)을 용이하게 잡아준다.
그리고, 그립퍼(18)가 아이스바(4)의 스틱(2)을 잡아주면, 재차 모터(42)가 박대로 복귀하여 제자리로 돌아온다.
그리고, 아이스바(4)의 스틱(2)을 그립퍼(18)로 잡은 상태에서 모터(12)에 의하여 회동하는 레버(16)가 우측방향으로 180도 회전함과 동시에 수평지지판(18)에 설치부재(24)에 의하여 고정된 회동실린더(26)의 팽창작동에 의하여 실린더 축에 고정된 회동판(20)이 축(22)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아이스바(4)가 상측으로 향하는 상태로 이동된다.
따라서, 레버(16)의 회동에 의하여 그립퍼(18)에 고정된 아이스바(4)의 스틱(4)이 체인(58)에 의하여 이동하는 고정이송수단(50)의 클램프(78)에 삽입되면서, 아이스바(4)의 전달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아이스바(4)의 스틱(2)은, 고정판(80)과 회동판(84) 접촉면 사이로 회동판(84)이 벌려지면서 진입하여 스프링(86)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판(84)에 눌려져서 고정된다.
한편, 수평유지부재(30)에 의하여 수평유지판(18)이 유지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의 일측면에 회동축(14)의 중심선과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고정된 고정풀리(32)와 레버(16)의 끝단부에 수평유지 판(18)에 연결되는 수평유지축(38)에 결합된 회동풀리(36)에 타이밍벨트(34)가 감겨져 있다.
이때, 고정풀리(32)와 회동풀리(36)는 기어비가 동일하므로 레버(16)가 회동하면, 고정풀리(32)는 회동하지 않으므로 레버(16)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풀리(3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초래하여 레버(16)의 일정각도 회동에도 불구하고 회동풀리(83)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수평유지판(18)은 레버(16)의 회전각도에 상관없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고정이동수단(50)의 클램프(78)에 스틱(2)이 고정되어 상측으로 세워진 아이스바(4)는, 모터(54)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스프라켓(56)이 구동하고, 이 구동스프라켓(56)에 맞물린 체인(58)에 의하여 피동스프라켓(62)과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아이스바(4)가 구동스프라켓(56)을 지나면서 아이스바(4)의 위치가 반전되어 하측으로 향하고, 스틱(2)이 상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이송된다.
이때, 클램프(78)은 9개 정도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이동바(76)에 설치되고, 이 이동바(76)은 양단에 안착부재(70)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 안차부재(70)의 안착홈(75)에 각각의 체인(58)의 일측으로 돌출된 이송핀(60)에 의하여 이송된다.
즉, 안착부재(70)가 아이스바(4)가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는 체인(58)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안착부재(70) 각각에 대하여 2개씩 형성된 이송핀(60)에 안치된 상태에서 들려져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안착부재(70)가 아이스바(4)가 하부로 향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는 본체(6)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74)에 안착부재(70)의 일측에 구비된 롤 러(72)가 안착되고, 이송핀(60)이 안착부재(70)의 안착홈(75)에 끼워진 상태로 당겨주어 안착부재(70)가 수평 이동되고, 이 안착부재(70)에 고정된 이동바(76)와 클램프(78)와 아이스바(4)를 역시 수평으로 함께 이동된다.
계속하여,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스바(4)가 저장통(104) 위치에 도달하면, 안착부재(70)가 케이스(96)의 진입부(97)에 진입되어 승강부재(98)에 안치된 상태에서 체인(58)의 이동을 일시 정지한다.
그리고, 본체(6)의 일측에 장착된 실린더(92)의 전방 동작에 의하여 레버(94)가 회동하여 일체 결합된 구동축(95)을 회동하여 반대측의 레버 역시 같이 회동하여 본체(6)의 양측의 케이스(96) 내에 각각 구비된 승강축(100)을 하측으로 밀어준다.
그리고, 승강축(100)의 하측 이동에 의하여 이 승강축(100)에 연결되고, 케이스(96)의 진입부(97) 내에 있는 승강부재(98)가 가이드부재(102)의 안내를 받으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 승강부재(98)에 안치된 안착부재(70) 역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 안착부재(70)의 하측 이동에 의하여 이동바(76)의 클램프(78)에 고정된 아이스바(4)가 다수의 저장통(104)에 딥핑된다.
이때, 저장통(104) 중에는 초코액, 커피액, 딸기액 등과 같이 다양한 액상첨가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통(104) 중에서 선택적으로 딥핑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으로 다양한 종류의 딥핑작업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그리고, 아이스바(4)의 딥핑이 이루어져 아이스바(4)의 외부에 액상첨가물이 코팅된 후, 상기한 반대의 과정을 거쳐 승강부재(98)와 안착부재(70)가 상측으로 복귀하고, 일시 정지된 체인(58)의 구동에 의하여 안착부재(70)가 이동하여 재차 아이스바(4)가 수평 이송된다.
이때, 액상첨가물이 코팅된 아이스바(4)를 체인(58)으로 이송하고, 승강수단(90)으로 그 다음에 있는 액화질소(LN2) 저장통(104)에 담궈서 아이스바(4)에 묻혀진 액상첨가물이 급속하게 냉각되도록 하고, 승강수단(90)으로 상승시킨 후 체인(58)으로 우측 끝단까지 이송한다.
그리고, 아이스바(4)가 우측 끝단부에서 피동스프라켓(62)에 의하여 상측으로 회동될 때, 배출수단(110)의 동력발생수단(112)인 모터(112)의 구동에 의하여 레버(114)가 회동하고 이 레버(114)에 연결된 이동축(116)을 밀어준다,
이때, 이 이동축(116)의 수평이 이루어지기 전에 그립퍼(118)의 집게로 아이스바(6)의 스틱(2)을 잡으므로 스틱(2)을 클램프(78)로 부터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이동된 이동축(116)에 의하여 아이스바(4)의 스틱(2)을 잡은 그립퍼(118)가 수평이동되어 배출컨베이어(120)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그립퍼(118)의 집게를 놓아주므로 배출컨베이어(120)에 아이스바(4)가 안치더니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므로 딥핑시스템의 작동 마무리된다.
한편, 아이스바(4)의 배축작업이 이루어진 후에도 고정이동수단(50)의 체인과 안착부재(70)와 이동바(76)와 클램프(78)는 지속적으로 반복 회동되면서 아이스 바(4) 딥핑작업이 계속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A"방향에서 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픽업수단과 고정이송수단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고정이송수단과 승강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바가 승강수단에 의해 딥핑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에 의해 아이스바가 배출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스틱 4 : 아이스바
6 : 본체 10 : 픽업수단
16 : 래버 18 : 수평유지판
20 : 회동판 24 : 연결부재
28 : 그립퍼 30 : 수평유지부재
34 : 타이밍벨트 40 : 좌우이동수단
43 : 구동풀리 46 : 결합부
48 : 좌우이동판 50 : 고정이동수단
58 : 체인 70 : 안착부재
76 : 이동바 78 : 클램프
90 : 승강수단 92 : 실린더
96 : 케이스 98 : 승강부재
100 : 승강축 104 : 저장통
110 : 배출수단 118 : 그립퍼

Claims (5)

  1.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급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다수의 아이스바의 스틱을 그립퍼로 잡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이동하는 픽업수단;
    상기 그립퍼에 의해 이송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클램프로 고정하여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에서 아이스바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체인으로 반복 이송하는 고정이송수단;
    상기 클램퍼에 고정되고 하부로 향하도록 이송된 아이스바를 하측 이동으로 딥핑하여 외부에 액상첨가물을 코팅하고,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복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승강수단; 및
    상기 코팅된 아이스바를 이송한 후, 그립퍼로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고 수평 이동하고, 배출컨베이어에 놓아 주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판과;
    상기 수평유지판의 내측에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판과;
    상기 한 쌍의 회동판에 서로 연결되고, 상기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아주는 그립퍼를 다수 설치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동판이 회동되도록 상기 수평유지판에 고정된 설치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축에 대해 회동시켜 아이스바를 수직으로 세워주는 회동실린더와;
    상기 레버의 회동시 상기 수평유지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유지부재는, 상기 회동축의 일측에 회동이 연계되지 않게 중심선이 회동축 중심선에 일치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풀리와;
    상기 고정풀리에 일측이 감겨져서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의 타측에 감겨져서 고정풀리와 동일한 회전비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유지판과 연동되는 수평유지축에 연결되어 수평유지판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레버에 설치되는 회동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수단의 하부에는, 상기 픽업수단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기 위해 상기 그립퍼를 수평으로 이동 및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좌우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좌우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구동풀리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에 감겨져서 회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타이밍벨트에 결합부에 의해 고정되어 그립퍼를 포함한 픽업수단을 수평으로 이동 및 복귀하는 좌우이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에 의해 일정 간격을 갖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감겨져 이동하는 체인에 의해 회전하는 피동스프라켓과;
    상기 체인의 일측으로 돌출된 이송핀이 안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하부로 이동할 때 받침부에 의해 구르면서 이동하도록 롤러를 구비하는 다수의 안착부재와;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아이스바의 스틱이 고정되는 다수의 클램프가 설치되고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체인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 이동하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체인의 외측 본체에 구비되어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일단이 연결되고 절곡 형성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타단이 고정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본체에 고정된 케이스의 진입부로 진입하는 상기 고정이동수단의 안착부재의 승강 동작을 수행하여 이동바의 클램프에 고정된 아이스바를 저장통에 딥핑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가 케이스 내에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KR1020090049415A 2009-06-04 2009-06-04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KR10112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15A KR101122119B1 (ko) 2009-06-04 2009-06-04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15A KR101122119B1 (ko) 2009-06-04 2009-06-04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743A true KR20100130743A (ko) 2010-12-14
KR101122119B1 KR101122119B1 (ko) 2012-03-16

Family

ID=4350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415A KR101122119B1 (ko) 2009-06-04 2009-06-04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00103A1 (en) * 2015-09-24 2020-01-02 Steven-Robert Originals, Llc Automated Mechanism for Producing a Baked or Fried Product, Including Methods of Production
KR20200087405A (ko) * 2019-01-11 2020-07-21 이익재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13B1 (ko) * 2018-03-06 2019-10-17 이익재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00103A1 (en) * 2015-09-24 2020-01-02 Steven-Robert Originals, Llc Automated Mechanism for Producing a Baked or Fried Product, Including Methods of Production
KR20200087405A (ko) * 2019-01-11 2020-07-21 이익재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119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5223A (en) Universal gripper assembly for frozen confections
CA2064342C (en) A method and a machine for manufacturing an article of ice confectionery
KR101122119B1 (ko)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RU2218806C2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небольших замороженных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642212A (en) Tilting bucket bottle loader
FR2528758A1 (fr) Machine a mouler des matieres synthetiques par injection
US2625120A (en) Automatic frozen confection making apparatus
US4546615A (en) Method for picking-up ice lollies from freezing pockets in an ice lolly freezing machine and picking-up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210057646A (ko)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HU207256B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feeding tote boxes
JPS6145041Y2 (ko)
CN212437168U (zh) 一种侧平移式雪糕循环生产设备
KR102033413B1 (ko)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KR102517762B1 (ko) 자판기의 컵이송장치
US4527972A (en) Machine for producing ice-cream
JPS5824103B2 (ja) ドクリツカナガタニヨル レイトウガシキカイ
JP2020167948A (ja) 高速連続焼き菓子製造装置
KR102509938B1 (ko) 아이스바용 라운드 스틱 공급장치
CN108608212A (zh) 一种汽车用管体深加工系统及其加工方法
KR101212043B1 (ko) 보관용기형 빙과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49031Y1 (ko) 아이스 바 제조기의 평 스틱 공급장치
KR200149030Y1 (ko) 아이스 바 제조기의 라운드 스틱 공급장치
JPH0416146A (ja) 氷菓等の製造工程における表面硬化処理装置
JP5851571B1 (ja) 製品処理装置及び氷菓製造装置
JPS611378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