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413B1 -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413B1
KR102033413B1 KR1020180026368A KR20180026368A KR102033413B1 KR 102033413 B1 KR102033413 B1 KR 102033413B1 KR 1020180026368 A KR1020180026368 A KR 1020180026368A KR 20180026368 A KR20180026368 A KR 20180026368A KR 102033413 B1 KR102033413 B1 KR 10203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ver
ice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809A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8002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41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 A23G9/28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for dispensing bulk ice-cr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4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coating or filling the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무한궤도방식으로 스텝 이동하는 스텝이동부와, 스텝이동부에 의해 설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이송되는 클램프부와, 스텝이동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컨베이어에 의해 스텝 이송되는 몰드플레이트와, 클램프부를 하강하여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빙과류의 스틱을 잡아 분리 상승시키고, 스텝이동부에 의해 이동되게 하는 레버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LEVER TYPE UP-DOWN DEVICE FOR TRANSFERING FROZEN DESSERTS}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몰드플레이트를 통해 이송되는 빙과류의 스틱을 레버식 승강부를 이용하여 클램프를 하강하여 잡아주고 몰드플레이트에서 빙과류를 분리시킨 후, 다시 상승하여 스틱을 잡고 이송하는 구성에 있어 승강부를 레버방식으로 형성하여 기존의 스크류방식 또는 실린더방식의 승강부가 좌우 균형 불일치로 인해 승강 작동시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승강구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크림 또는 샤베트 등과 같은 빙과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관용기, 스틱 또는 콘에 유제품으로 된 공급물을 공급한 후, 급속 냉동하므로 소비자가 먹을 수 있도록 제조되는 기호식품이다.
스틱형 또는 보관용기형 빙과제품은 한가지의 내용물을 그대로 얼려서 형성되는 일체로 된 타입과, 얼려진 빙과제품에 초코 혹은 커피맛 등의 액상첨가물에 침액(浸液; 딥핑(Dipping))하여 외부에 별도의 층을 적층 하므로 사용자에게 2가지 이상의 맛을 제공하는 딥핑된 타입이 있다.
이와 같이, 스틱형 빙과제품은 빙과류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다.
기존의 스틱형 빙과류 제조장치의 구성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몰드플레이트에 유제품, 샤베트 등의 공급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물이 수용된 몰드플레이트를 이송하여 냉동하여 방과류를 생성하는 냉동부와, 냉동부에 의해 얼려진 빙과류를 몰드플레이트에서 분리하기 위해 스틱을 잡고 승강 이동하는 승강부와, 잡은 스틱으로 빙과류를 이송하고, 하나 또는 여러 개 단위로 포장봉투에 포장하여 빙과제품을 생산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기존의 빙과류 제조장치의 승강부는 한 쌍의 스크류 또는 한 쌍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승강하는 것으로서, 좌,우측 스크류 또는 좌,우측 실린더가 설치 과정에서 설치 위치가 어긋나거나, 사용도중 충격에 의해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 좌,우 스크류의 회전이 비틀리거나 좌우 실린더의 신축이 어긋나 승강 작동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12043호(2012.12.07, 발명의 명칭: 보관용기형 빙과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몰드플레이트를 통해 이송되는 빙과류의 스틱을 레버승강부를 이용하여 클램프부를 하강하여 잡아주고 몰드플레이트에서 빙과류를 분리시킨 후, 다시 상승하여 스틱을 잡고 이송하는 구성에 있어 레버승강부를 레버방식으로 형성하여 기존의 스크류방식의 승강부가 좌우 균형 불일치로 인해 승강 작동시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승강구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무한궤도방식으로 스텝 이동하는 스텝이동부; 상기 스텝이동부에 의해 설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이송되는 클램프부; 상기 스텝이동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컨베이어에 의해 스텝 이송되는 몰드플레이트; 및 상기 클램프부를 하강하여 상기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빙과류의 스틱을 잡아 분리 상승시키고, 상기 스텝이동부에 의해 이동되게 하는 레버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텝이동부는, 동력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설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피동스프로킷;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피동스프로킷에 감겨져 이동하는 체인부재; 상기 체인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클램프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클램프부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클램프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스텝이동부에 구비된 가압부재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레버승강부에 의해 하강하는 이동판부재; 및 상기 이동판부재의 하강시 상기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다수개의 빙과류 스틱을 각각 잡아주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버승강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각각 연결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편심회전부의 단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부에 구비된 이동판부재를 상기 설치플레이트에서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회전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의 단부 측에 일측이 축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타측이 축연결되는 작동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은 승강안내부에 의해 상기 설치플레이트에서 가이드되고, 상기 승강안내부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측면에 한 쌍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롯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은 위치감지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정회전과 역회전의 시점을 감지하여 제어하고, 상기 위치감지제어부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상측 이동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상측감지센서;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하측 이동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하측감지센서; 및 상기 상측감지센서와 상기 하측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받아 들여 상기 구동부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는, 몰드플레이트를 통해 이송되는 빙과류의 스틱을 레버승강부를 이용하여 클램프부를 하강하여 잡아주고 몰드플레이트에서 빙과류를 분리시킨 후, 다시 상승하여 스틱을 잡고 이송하는 구성에 있어 레버승강부를 레버방식으로 형성하여 기존의 스크류방식의 승강부가 좌우 균형 불일치로 인해 승강 작동시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승강구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를 포함한 시스템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서 스텝이동부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의 내부에서 스텝이동부와 이동판부재를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서 클랩픔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서 레버승상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서 레버승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를 포함한 시스템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서 스텝이동부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의 내부에서 스텝이동부와 이동판부재를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서 클램프부의 상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서 레버승상부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에서 레버승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는, 프레임(10)에 구비되어 무한궤도방식으로 스텝 이동하는 스텝이동부(100)와, 스텝이동부(100)에 의해 설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이송되는 클램프부(200)와, 스텝이동부(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컨베이어(4)에 의해 스텝 이송되는 몰드플레이트(300)와, 클램프부(200)를 하강하여 몰드플레이트(300)에 수용된 빙과류의 스틱(2)을 잡아 분리 상승시키고, 스텝이동부(100)에 의해 이동되게 하는 레버승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텝이동부(100)는, 동력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110)과, 구동스프로킷(110)에 설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피동스프로킷(120)과, 구동스프로킷(110)과 피동스프로킷(120)에 감겨져 이동하는 체인부재(130)와, 체인부재(130)에 연결되고, 클램프부(200)를 밀어 이동시키는 가압부재(140)와, 클램프부(200)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클램프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지지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부재(140)는 체인부재(130)의 2개이상의 연결축에 각각 결합되는 장착판(142)와, 장착판(142)에 2개이상 결합되는 가압돌기(144)를 포함한다.
안내지지부재(150)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1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52)는 안내지지부재(150) 상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직사각형 단면의 블럭 형태로 설치된다.
완충부재(152)는 이동판부재(210)의 연장플레이트(216)의 직진 이동시 저면이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하면서 지지한다.
체인부재(130)는 구름지지부(160)에 의해 하중을 지탱하면서 구름 이동할 수 있다.
구름지지부(160)는, 체인부재(130)의 판체 사이에서 연결축에 의해 설치되어 구름 이동하는 구름롤러(162)와, 구름롤러(162)가 안착되어 구름 이동하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롤러안착판(164)을 포함한다.
구름롤러(162)의 반경은 롤러안착판(164)에 접촉되도록 체인부재(130)의 연결부위의 반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안착판(164)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볼팅 결합되되, 수직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결되어 구름롤러(162)가 안착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부(200)는, 스텝이동부(100)에 구비된 가압부재(140)에 의해 이동하고, 레버승강부(400)에 의해 하강하는 이동판부재(210)와, 이동판부재(210)의 하강시 몰드플레이트(300)에 수용된 다수개의 빙과류 스틱(2)을 각각 잡아주는 클램프부재(220)를 포함한다.
이동판부재(210)는, 클램프부재(220)를 설치하는 바디부(212)와, 바디부(212)의 양측에 구비되고, 가압부재(140)가 접촉되어 밀어주는 접촉플레이트(214)와, 접촉플레이트(214)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레버승강부(400)의 이동블럭(450)에 구비된 수납홈부(452)에 진입되어 바디부(212)가 승강되게 하는 연장플레이트(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플레이트(214)의 상면에는 가압부재(140)의 가입돌기(144)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부(215)가 구비된다.
클램프부재(220)는, 이동판부재(2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ㄷ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222)와, 고정부재(222)에 힌지 결합되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고, 스틱(2)의 삽입시 회동되어 잡아주는 회동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재(224)의 진입부위는 스틱(2)의 진입을 도와주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22)의 진입부위는 스틱(2)의 진입을 도와주도록 회동부재(224)의 경사 진입부위에 대응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22)의 상측부위는 ㄱ자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바디부(212)의 상면에 걸림 설치된다.
회동부재(224)는 탄성부에 의해 고정부재(222)에서 힌지를 기준으로 탄성 회전한다.
탄성부는 회동부재(224)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연결되어 고정부재(222)를 관통하여 이동판부재(210)의 바디부(212)에 설치되는 설치부재와, 설치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재와, 제1지지부재에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고, 회동부재(224)의 경사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와, 제1지지부재의 돌출부와 제2지지부재의 돌출부위에 일부 부간이 각각 삽입 설치되어 고정부재(224)를 기준으로 회동부재(22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설치부재는 연결축부재를 이용하여 바디부(212)에서 노출된 부위에 형성된 나사부에 너트로 고정 설치하고, 회동부재(224)와 고정부재(222)의 중간부위에서 설정각도로 구부려 회동부재(224)의 경사면부에 90도 각도로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회동부재(224)에 형성된 삽입공은 설치부재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부재(222)에 대해 회동부재(224)의 힌지 회전시, 설치부재가 삽입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준다.
레버승강부(400)는,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구동부(410)와, 구동부(41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20)와, 동력전달부(420)에 각각 연결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부(430)와, 프레임(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440)와, 편심회전부(430)의 단부 측에 연결되어 클램프부(200)에 구비된 이동판부재(210)를 설치플레이트(440)에서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럭(450)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420)는 구동부(410)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422)와, 구동풀리(422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피동풀리(424)와, 구동풀리(422)와 피동풀리(424)에 감겨지는 벨트부재(426)와, 피동풀리(424)에 축 연결되는 회전축(428)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플레이트(440)에는 이동판부재(210)가 승강하기 위해 상하로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442)가 형성된다.
이동블럭(450)에는 스텝이동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판부재(210)의 연장플레이트(216)가 삽입되는 수납홈부(452)가 마련될 수 있다.
편심회전부(430)는, 동력전달부(420)의 회전축(428)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레버부재(431)와, 레버부재(431)의 단부 측에 일측이 축연결되고, 이동블럭(450)에 타측이 축연결되는 작동축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축부재(432)는, 레버부재(431)에 축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433)와, 이동블럭(450)에 축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434)와. 제1,제2연결부재(433)(434)의 각각에 나사 결합되어 연결되는 나사축부재(445)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축부재(445)에는 제1연결부재(433)와 제2연결부재(434)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446)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446)는 나사축부재(445)의 나사부에 각각 체결되어 제1연결부재(433)와 제2연결부재(444) 간의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이동블럭(450)의 상하 이동위치를 결정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이동블럭(450)은 승강안내부(500)에 의해 상기 설치플레이트(440)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승강안내부(500)는, 설치플레이트(440)의 측면에 한 쌍 구비되는 가이드레일(510)와, 가이드레일(510)에 삽입 설치되어 이동블럭(45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롯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블럭(450)은 위치감지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부(410)의 정회전과 역회전의 시점을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감지제어부(600)는, 설치플레이트(440)의 상측에 구비되고, 이동블럭(450)의 상측 이동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상측감지센서(610)와, 설치플레이트(440)의 하측에 구비되고, 이동블럭(450)의 하측 이동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하측감지센서(620)와, 상측감지센서(610)와 하측감지센서(620)의 감지 신호를 받아 들여 구동부(410)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감지센서(610)와 하측감지센서(620)는 광을 조사하여 물체의 근접을 ㄱ감지하는 근접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동부(410)는 서보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보모터(servo motor)는 정역 회전시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는, 몰드플레이트를 통해 이송되는 빙과류의 스틱을 레버승강부를 이용하여 클램프부를 하강하여 잡아주고 몰드플레이트에서 빙과류를 분리시킨 후, 다시 상승하여 스틱을 잡고 이송하는 구성에 있어 레버승강부를 레버방식으로 형성하여 기존의 스크류방식의 승강부가 좌우 균형 불일치로 인해 승강 작동시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승강구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00 : 스텝이동부
110 : 구동스프로킷 120 : 피동스프로킷
130 : 체인부재 140 : 가압부재
150 : 안내지지부재 160 : 구름지지부 :
162 : 구름롤러 164 : 롤러안착판
200 : 클램프부 210 : 이동판부재
212 : 바디부 214 : 접촉플레이트
216 : 연장플레이트 220 : 클램프부재
222 : 고정부재 224 : 회동부재
300 : 몰드플레이트 400 : 레버승강부
410 : 구동부 420 : 동력전달부
422 : 구동풀리 424 : 피동풀리
426 : 벨트부재 428 : 회전축
430 : 편심회전부 431 : 레버부재
432 : 작동축부재 433 : 제1연결부재
434 : 제2연결부재 435 : 나사축부재
436 : 위치조절부재 440 : 설치플레이트
450 : 이동블럭 452 : 수납홈부
500 : 승강안내부 510 : 가이드레일
520 : 슬롯부재 600 : 위치감지제어부
610 : 상측감지센서 520 : 하측감지센서
530 : 제어부

Claims (7)

  1. 프레임(10)에 구비되어 무한궤도방식으로 스텝 이동하는 스텝이동부(100);
    상기 스텝이동부(100)에 의해 설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이송되는 클램프부(200);
    상기 스텝이동부(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컨베이어(4)에 의해 스텝 이송되는 몰드플레이트(300); 및
    상기 클램프부(200)를 하강하여 상기 몰드플레이트(300)에 수용된 빙과류의 스틱(2)을 잡아 분리 상승시키고, 상기 스텝이동부(100)에 의해 이동되게 하는 레버승강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승강부(400)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구동부(410);
    상기 구동부(41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20);
    상기 동력전달부(420)에 각각 연결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부(430);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440); 및
    상기 편심회전부(430)의 단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부(200)에 구비된 이동판부재(210)를 상기 설치플레이트(440)에서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럭(450);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플레이트(440)에는 상기 이동판부재(210)가 승강하기 위해 상하로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442)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럭(450)에는 상기 스텝이동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이동판부재(210)의 연장플레이트(216)가 삽입되는 수납홈부(45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이동부(100)는,
    동력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110);
    상기 구동스프로킷(110)에 설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피동스프로킷(120);
    상기 구동스프로킷(110)과 상기 피동스프로킷(120)에 감겨져 이동하는 체인부재(130);
    상기 체인부재(130)에 연결되고, 상기 클램프부(200)를 밀어 이동시키는 가압부재(140); 및
    상기 클램프부(200)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클램프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지지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200)는,
    상기 스텝이동부(100)에 구비된 가압부재(140)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레버승강부(400)에 의해 하강하는 이동판부재(210); 및
    상기 이동판부재(210)의 하강시 상기 몰드플레이트(300)에 수용된 다수개의 빙과류 스틱(2)을 각각 잡아주는 클램프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부(430)는,
    상기 동력전달부(420)의 회전축(428)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레버부재(431);
    상기 레버부재(431)의 단부 측에 일측이 축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럭(450)에 타측이 축연결되는 작동축부재(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450)은 승강안내부(500)에 의해 상기 설치플레이트(440)에서 가이드되고,
    상기 승강안내부(500)는,
    상기 설치플레이트(440)의 측면에 한 쌍 구비되는 가이드레일(510); 및
    상기 가이드레일(510)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45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롯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450)은 위치감지제어부(600)에 의해 상기 구동부(410)의 정회전과 역회전의 시점을 감지하여 제어하고,
    상기 위치감지제어부(600)는,
    상기 설치플레이트(44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럭(450)의 상측 이동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상측감지센서(610);
    상기 설치플레이트(44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럭(450)의 하측 이동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하측감지센서(620); 및
    상기 상측감지센서(610)와 상기 하측감지센서(620)의 감지 신호를 받아 들여 상기 구동부(410)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KR1020180026368A 2018-03-06 2018-03-06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KR10203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68A KR102033413B1 (ko) 2018-03-06 2018-03-06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68A KR102033413B1 (ko) 2018-03-06 2018-03-06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09A KR20190105809A (ko) 2019-09-18
KR102033413B1 true KR102033413B1 (ko) 2019-10-17

Family

ID=6807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368A KR102033413B1 (ko) 2018-03-06 2018-03-06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2147B2 (ja) * 2021-03-02 2023-04-21 シーピ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氷菓製造装置、開閉機構
JP7023548B2 (ja) * 2021-03-02 2022-02-22 シーピ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氷菓製造装置、開閉機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119B1 (ko) 2009-06-04 2012-03-16 이익재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JP2017099374A (ja) 2015-12-04 2017-06-08 サイトー機械金属株式会社 スティック付き冷菓抜取方法、及び抜取装置
KR101771952B1 (ko) * 2015-10-19 2017-08-28 이익재 스틱형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110B1 (ko) * 2004-05-03 2006-01-11 이익재 빙과류용 스틱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119B1 (ko) 2009-06-04 2012-03-16 이익재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KR101771952B1 (ko) * 2015-10-19 2017-08-28 이익재 스틱형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JP2017099374A (ja) 2015-12-04 2017-06-08 サイトー機械金属株式会社 スティック付き冷菓抜取方法、及び抜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09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413B1 (ko) 빙과류 이송용 레버식 승강장치
US8011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food articles
US3985223A (en) Universal gripper assembly for frozen confections
US4346803A (en) Conveyor
BRPI0712125A2 (pt) linha de produção intensificada versátil para preparar e empacotar produtos alimentìcios
US20100124593A1 (en) Ribbon cutt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ndwich baked goods
FR2564379A1 (fr) Dispositif pour le remplacement de cylindres de plaque
KR100775083B1 (ko) 자동판매기 인출장치
CN110626699A (zh) 一种托盘缓存装置及智能柜
KR101771952B1 (ko) 스틱형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KR102404919B1 (ko) 조각과일용 자동 계량 및 투입 장치
KR101122119B1 (ko)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US4198902A (en) Antijamming mechanism for conveyor
KR101212043B1 (ko) 보관용기형 빙과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45765B1 (ko) 빙과류용 스틱 로딩장치
US20050092578A1 (en) Variable-capacity store
KR101446203B1 (ko) 중공과자용 액상물 주입장치
US1116163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filling cups, packaging lines for cups
US4473098A (en) Container transport device for use with filling equipment
US3018872A (en) Tray for baking oven
US552898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layered products
US20050247029A1 (en) Conveyor belt tray closing apparatus
CN215456878U (zh) 一种快速风味布丁供应装置
CN116965443A (zh) 一种香肠加工用啮合式输送牵引机构
CN115818115A (zh) 一种用于冷链运输设备物料装卸的输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