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876A -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 - Google Patents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876A
KR20100129876A KR1020090048451A KR20090048451A KR20100129876A KR 20100129876 A KR20100129876 A KR 20100129876A KR 1020090048451 A KR1020090048451 A KR 1020090048451A KR 20090048451 A KR20090048451 A KR 20090048451A KR 20100129876 A KR20100129876 A KR 2010012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ing
dredged
suction port
head devi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125B1 (ko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125B1/ko
Priority to PCT/KR2009/007118 priority patent/WO2010140747A1/ko
Publication of KR2010012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58Submerg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43Passive suction heads with no mechanical cutting means
    • E02F3/925Passive suction heads with no mechanical cutting means with j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02F3/9262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with j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02F3/9268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with rotating cut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천 바닥이나 해저면을 준설할 때, 침적되어 있던 오니와 함께 준설헤드장치로 흡입된 준설 여수를 외부로 단순히 방류하지 않고 다시 순환시켜 준설헤드장치의 내부로 분사함으로써, 준설 여수가 외부로 무단 방류됨으로 인하여 수질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Dredging Head Apparatus for Dredging Stream Sediment, Dredging System and Dredging Method using such Apparatus}
본 발명은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천 바닥이나 해저면을 준설할 때, 침적되어 있던 오니와 함께 준설헤드장치로 흡입된 준설 여수를 외부로 단순히 방류하지 않고 다시 순환시켜 준설헤드장치의 내부로 분사함으로써, 준설 여수가 외부로 무단 방류됨으로 인하여 수질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요한 수심을 얻거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골재를 채취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해저면이나 하천 바닥을 준설하게 된다. 국내 특허출원 제1993-12180호에는 해저면이나 하천 바닥을 준설하는데 사용되는 선박형태의 준설기가 개 시되어 있다.
도 1은 국내 특허출원 제1993-12180호에 개시된 종래의 준설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준설기(100)에 구비된 준설헤드장치(1)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준설헤드장치(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다음에서는 상기한 국내 특허출원 제1993-12180호의 개시 내용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준설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준설기(100)는, 선박으로 이루어져 제어장치와 각종 측정기들이 구비된 본체(101)와, 본체(101)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인양와이어(102)의 감김 및 풀어짐에 의해 승하강하는 아암(103)과, 상기 아암(103)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바닥면을 긁어 준설하는 준설헤드장치(1)와, 상기 준설헤드장치(1)에 의해 흡입된 준설물을 본체(101)로 이송하는 배토관(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준설헤드장치(1)는, 저면은 개방되어 있고 전후면은 폐쇄되어 있으며 좌우측면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吸入具)(11)와, 상기 흡입구(11)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에 의해 와류를 형성시키면서 준설물을 파쇄하는 에지테이터(agitator)(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준설헤드장치(1)의 흡입구(11) 상부에는 흡입통로(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준설기(100)는 아암(103)이 하강하여 준설헤드장치(1)가 바닥면에 닿은 상태에서 아암(103)이 좌우로 번갈아 움직이게 되는데, 아암(103)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준설헤드장치(1)의 도어(12)가 개방되고 반대쪽 도어는 폐쇄된 상태에서 흡입구(11)가 개방된 도어(12)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준설할 바닥면의 준설토, 오니 등의 준설물을 긁어내면서 흡입하여, 준설헤드장치(1)에 연결된 배토관(2)을 통해 침전부(도면 미도시)로 이송한다. 종래의 준설기(100)에 대한 내용은 국내 특허출원 제1993-12180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국내 특허출원 제1993-12180호의 내용을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의 일부로 인용하고, 기타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준설기(100)에 구비된 침전부로 이송된 준설물은 상기 침전부에서 침전되는데, 준설물에 포함되어 있는 준설토 등의 침전 가능한 입자들은 침전되고, 준설시에 준설헤드장치(1)를 통해 준설물과 함께 흡입된 준설 여수(浚渫 餘水)는 다시 방류된다.
그런데 준설물 중에서 준설토 등과 같이 침전 가능한 물질들은 침전부에서 침전되지만, 준설과정에서 떠오르게 토사 부유물, 오니 부유물 등은 침전되지 못하고 여전히 준설 여수에 부유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준설 여수가 그대로 방류되는 경우, 오니 부유물, 토사 부유물 등이 떠있는 혼탁한 준설 여수가 무방비 상태로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됨으로 인하여, 탁도 증가, 수질의 저하, 악취 발생 등의 수질 오염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해저면이 나 하천 바닥을 준설할 때, 준설토, 오니 등의 준설물과 함께 준설헤드장치를 통해서 흡입된 준설 여수가 정화되지 아니한 채로 방류됨으로써 수질 오염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준설시 흡입된 준설 여수가 다시 준설헤드장치로 공급되어 준설에 필요한 준설 여수로서 다시 활용되도록, 준설 여수를 순환시키는 폐쇄 순환구조를 가짐으로써, 오니, 토사 부유물 등의 오염 물질을 함유한 준설 여수가 하천이나 바다로 무단 방류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그로 인한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토관을 통해서 이송된 준설물에서 침전 가능한 입자들을 침전시키고 순환관을 통해 준설 여수를 방출하는 침전부를 포함하는 준설기에 구비되어 해저면 또는 하천 바닥의 준설물을 흡입하는 준설헤드장치로서, 폐쇄된 전후면과, 개방된 저면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면과, 흡입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진 상자(box)형상으로 이루어져 준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吸入具)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의 중앙에는 회전에 의해 와류 형성시키면서 준설물을 파쇄하는 에지테이터(agitator)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통로는 흡입구의 상부면에서 상기 에지테이터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통로는 흡입된 준 설물을 이송하는 배토관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의 상기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 쪽의 상부 내면에는, 순환관을 통해 방출되어 순환되어 오는 준설 여수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흡입구를 통해 준설물과 함께 흡입된 준설 여수는 침전부를 거쳐 순환관을 통해 흡입구의 토출부로 토출되어 준설물과 함께 다시 흡입통로로 흡입되는, 준설 여수의 순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헤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선박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승하강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바닥면을 긁어 준설하는 준설헤드장치와, 상기 준설헤드장치로부터 흡입된 준설물 및 준설 여수가 통과하는 배토관과, 상기 배토관을 통해 흘러온 준설물에서 침전 가능한 입자들이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부와, 상기 침전부)에서 배출되는 준설 여수를 상기 준설헤드장치로 다시 순환시키는 순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기로서; 상기 준설헤드장치는, 앞서 설명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천 바닥이나 해저면을 준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아암을 회동시켜 상기 준설헤드장치를 바닥에 닿게 한 후; 상기 흡입구의 도어를 번갈아가면서 개방하면서 도어가 개방된 방향으로 상기 아암을 움직여서 준설헤드장치의 흡입구에 구비된 에지테이터를 회전시켜 와류를 형성하면서 준설물을 파쇄하여 상기 흡입통로로 흡입하고; 흡입통로로 흡입된 준설물 및 준설 여수는 배토관을 통해 침전부로 이송되어, 준설물에서 침전 가능한 입자들을 상기 침전부에서 침전시키고; 침전되지 아니한 준설 여수는 순환관을 통해 방출 되며; 순환관을 통해 순환되어 오는 준설 여수는 상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에지테이터에 의해 파쇄된 준설물과 함께 다시 흡입통로로 흡입되어; 준설 여수가 계속하여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준설시 흡입된 준설 여수가 폐쇄적인 순환을 통해 다시 준설헤드장치로 공급되므로, 오니 등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준설 여수가 무단으로 방류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그에 따라 수질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를 구비한 준설기(100)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준설기(100)에 구비된 준설헤드장치(1) 부분을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상 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준설기(100)는, 선박으로 이루어져 제어장치와 각종 측정기들이 구비된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승하강하는 아암(103)과, 상기 아암(103)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바닥면을 긁어 준설하는 준설헤드장치(1)와, 상기 준설헤드장치(1)로부터 흡입된 준설물 및 준설 여수가 통과하는 배토관(2)과, 상기 배토관(2)을 통해 흘러온 준설물이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부(104)와, 상기 침전부(104)에서 배출되는 준설 여수를 상기 준설헤드장치(1)로 다시 순환시키는 순환관(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준설기(100)에서 아암(103)이 하강하여 준설헤드장치(1)가 바닥면에 닿은 상태에서 준설헤드장치(1)가 좌우로 번갈아가면서 움직이면서 하천 바닥면이나 해저면의 준설토, 오니 등의 준설물을 흡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준설기(100)의 기본적인 구성과 준설 과정은 국내 특허 제1993-12180호의 개시 내용,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상기 국내 특허 제1993-12180호의 내용은 본 명세서 내용의 일부로서 인용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헤드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과 준설 여수의 순환 구조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준설기(100)에는 준설헤드장치(1)를 통하여 흡입된 토사, 오니 등의 준설물 중에서 침전이 가능한 입자들이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부(104)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침전부(104)에는 준설물의 침전된 후 남아 있는 준설 여수를 배출하기 위한 순환관(4)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순환관(4)의 타측은 상기 준설헤드장치(1)와 연결되어 있어, 침전부(104)를 통해서 배출된 준설 여수는 순환관(4)을 통해 다시 준설헤드장치(1)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준설헤드장치(1)는, 저면이 개방되어 있고 전후면 폐쇄되어 있으며 좌우측면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吸入具)(11)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흡입구(11)는, 폐쇄된 전후면과, 개방된 저면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면과, 흡입통로(14)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진 상자(box)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흡입구(11)의 중앙에는 회전에 의해 와류 형성시키면서 준설물을 파쇄하는 에지테이터(agitator)(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통로(14)는 흡입구(11)의 상부면에서 상기 에지테이터(13)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통로(14)는 배토관(2)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흡입구(11)에서 상기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 쪽의 상부 내면에는, 순환관(4)을 통해 다시 공급되어 오는 준설 여수가 토출되는 토출부(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흡입구(11)를 실선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인데, 도 5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것처럼, 상기 토출부(3)는 상기 흡입구(11)에서 상기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 쪽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토출부(3)는 이와 같은 길게 형성된 돌출 슬릿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원형이나 노즐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형성 위치 역시 도어(12)가 형성된 측면 쪽 뿐만 아니라, 흡입구(11)의 폐쇄되어 있는 전후면 쪽의 상부 내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3)는, 상기 흡입구(11)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순환관(4)과 연결되어 있다. 즉, 순환관(4)의 일측 단부는 흡입구(11)에서 토출부(3)와 연결되는 것이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준설헤드장치(1)와, 이를 포함하는 준설기(100)의 작동에 의하여 준설이 이루어지는 방법의 각 단계를 살펴본다.
아암(103)이 회동하여 준설헤드장치(1)가 준설할 바닥면에 닿게 되고, 흡입구(11)의 일측의 도어(12)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된 도어(12) 방향으로 준설헤드장치(1)가 수평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오니 등의 준설물 개방된 도어(12) 방향으로 밀려들어 오게 되고, 흡입구(11) 내의 에지테이터(13)가 회전하면서 준설토, 오니 등의 준설물 파쇄한다. 파쇄된 준설물(준설토, 오니 등)은 흡입구(11)에서 흡입되어 흡입통로(14) 및 배토관(2)을 거쳐 침전부(104)로 이송된다. 이 때, 준설토, 오니뿐만 아니라 물도 함께 흡입되어 이송된다.
침전부(104)에서는 자연 침강에 의해 준설토 등의 침전이 가능한 입자들이 침전되고, 기타 준설 여수는 순환관(4)으로 방출되는데, 순환관(4)을 통해 흘러온 준설 여수는 상기 흡입구(11)의 상부 내면에 형성된 토출부(3)를 통해 흡입구(11)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토출부(3)를 통해 배출된 준설 여수는 일종의 커튼 역할을 하게 되어, 개방된 도어(12)를 통해 준설물을 긁어 낼 때 흡입구(11) 외부의 물이 흡입구(11)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에지테이터(13)의 회전에 의해 준설토, 오니 등이 파쇄되어 흡입통로(14)로 흡입될 때, 토출부(3)를 통해 배출된 준설 여수는 준설토, 오니 등과 함께 다시 흡입통로(14)로 흡입된다. 즉, 흡입구(11) 내로 배출된 준설 여수는 파쇄된 준설토, 오니 등과 함께 다시 흡입통로(14) 내로 흡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파쇄된 준설토, 오니 등이, 순환 재공급 된 준설 여부와 함께 흡입통로(14)로 흡입되므로, 흡입구(11) 외부의 물이 유입되지 않아도, 준설토 등이 쉽게 흡입통로914)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흡입된 준설 여수는 배토관(2), 침전부(104) 및 순환관(4)을 통해 폐쇄적인 형태로 계속 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준설 과정에서 발생한 토사 부유물, 오니 부유물이 떠다니는 준설 여수가 무단으로 바다나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이 아니라, 준설헤드장치(1)의 흡입구(11)로 다시 공급되어, 준설물과 함께 흡입되고, 계속하여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준설 여수의 방류로 인한, 주변 물의 탁도 증가, 수질의 저하, 악취 발생 등의 수질 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 특허출원 제1993-12180호에 개시된 종래의 준설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준설기에 구비된 준설헤드장치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준설헤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를 구비한 준설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준설기에 구비된 준설헤드장치 부분을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헤드장치의 흡입구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준설헤드장치
3 : 토출부
11 : 흡입구
104 : 순환관

Claims (3)

  1. 배토관(2)을 통해서 이송된 준설물에서 침전 가능한 입자들을 침전시키고 순환관(4)을 통해 준설 여수를 방출하는 침전부(104)를 포함하는 준설기(100)에 구비되어 해저면 또는 하천 바닥의 준설물을 흡입하는 준설헤드장치(1)로서,
    폐쇄된 전후면과, 개방된 저면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면과, 흡입통로(14)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진 상자(box)형상으로 이루어져 준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吸入具)(11)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11)의 중앙에는 회전에 의해 와류 형성시키면서 준설물을 파쇄하는 에지테이터(agitator)(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통로(14)는 흡입구(11)의 상부면에서 상기 에지테이터(13)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통로(14)는 흡입된 준설물을 이송하는 배토관(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1)의 상기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 쪽의 상부 내면에는, 순환관(4)을 통해 방출되어 순환되어 오는 준설 여수가 토출되는 토출부(3)가 형성되어 있어;
    흡입구(11)를 통해 준설물과 함께 흡입된 준설 여수는 침전부(104)를 거쳐 순환관(4)을 통해 흡입구(11)의 토출부(3)로 토출되어 준설물과 함께 다시 흡입통로(14)로 흡입되는, 준설 여수의 순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헤드장치.
  2. 선박으로 이루어진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승하강하는 아암(103)과, 상기 아암(103)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바닥면을 긁어 준설하는 준설헤드장치(1)와, 상기 준설헤드장치(1)로부터 흡입된 준설물 및 준설 여수가 통과하는 배토관(2)과, 상기 배토관(2)을 통해 흘러온 준설물에서 침전 가능한 입자들이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부(104)와, 상기 침전부(104)에서 배출되는 준설 여수를 상기 준설헤드장치(1)로 다시 순환시키는 순환관(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기(100)로서; 상기 준설헤드장치(1)는,
    폐쇄된 전후면과, 개방된 저면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면과, 흡입통로(14)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진 상자(box)형상으로 이루어져 준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吸入具)(11)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11)의 중앙에는 회전에 의해 와류 형성시키면서 준설물을 파쇄하는 에지테이터(agitator)(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통로(14)는 흡입구(11)의 상부면에서 상기 에지테이터(13)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통로(14)는 흡입된 준설물을 이송하는 배토관(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1)의 상기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 쪽의 상부 내면에는, 순환관(4)을 통해 방출되어 순환되어 오는 준설 여수가 토출되는 토출부(3)가 형성되어 있어;
    흡입구(11)를 통해 준설물과 함께 흡입된 준설 여수가 침전부(104)를 거쳐 순환관(4)을 통해 흡입구(11)의 토출부(3)로 토출되어 준설물과 함께 다시 흡입통로(14)로 흡입되는, 준설 여수의 순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기.
  3. 선박으로 이루어진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승하강하는 아암(103)과, 상기 아암(103)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바닥면을 긁어 준설하는 준설헤드장치(1)와, 상기 준설헤드장치(1)로부터 흡입된 준설물 및 준설 여수가 통과하는 배토관(2)과, 상기 배토관(2)을 통해 흘러온 준설물이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부(104)와, 상기 침전부(104)에서 배출되는 준설 여수를 상기 준설헤드장치(1)로 다시 순환시키는 순환관(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기(100)를 이용하여 하천 바닥이나 해저면을 준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준설헤드장치(1)는, 폐쇄된 전후면과, 개방된 저면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면과, 흡입통로(14)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진 상자(box)형상으로 이루어져 준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吸入具)(11)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11)의 중앙에는 에지테이터(agitator)(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통로(14)는 흡입구(11)의 상부면에서 상기 에지테이터(13)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통로(14)는 흡입된 준설물을 이송하는 배토관(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1)의 상기 도어(12)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 쪽의 상부 내면에 는, 토출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103)을 회동시켜 상기 준설헤드장치(1)를 바닥에 닿게 한 후;
    상기 흡입구(11)의 도어(12)를 번갈아가면서 개방하면서 도어(12)가 개방된 방향으로 상기 아암(103)을 움직여서 준설헤드장치(1)의 흡입구(11)에 구비된 에지테이터(13)를 회전시켜 와류를 형성하면서 준설물을 파쇄하여 상기 흡입통로(14)로 흡입하고;
    흡입통로(14)로 흡입된 준설물 및 준설 여수는 배토관(2)을 통해 침전부(104)로 이송되어, 준설물에서 침전 가능한 입자들을 상기 침전부(104)에서 침전시키고;
    침전되지 아니한 준설 여수는 순환관(4)을 통해 방출되며;
    순환관(4)을 통해 순환되어 오는 준설 여수는 상기 토출부(3)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에지테이터(13)에 의해 파쇄된 준설물과 함께 다시 흡입통로(14)로 흡입되어; 준설 여수가 계속하여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방법.
KR1020090048451A 2009-06-02 2009-06-02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 KR10102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451A KR101025125B1 (ko) 2009-06-02 2009-06-02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
PCT/KR2009/007118 WO2010140747A1 (ko) 2009-06-02 2009-12-01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451A KR101025125B1 (ko) 2009-06-02 2009-06-02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76A true KR20100129876A (ko) 2010-12-10
KR101025125B1 KR101025125B1 (ko) 2011-03-25

Family

ID=4329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451A KR101025125B1 (ko) 2009-06-02 2009-06-02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5125B1 (ko)
WO (1) WO201014074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7697A (zh) * 2017-07-25 2017-09-29 芜湖皖桥园艺有限责任公司 一种河道快速清淤机
CN107882094A (zh) * 2017-11-21 2018-04-06 武汉理工大学 一种吸入式挖掘机的挖嘴
CN108824534A (zh) * 2018-07-17 2018-11-16 芜湖芬特勘测服务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清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1570A (en) * 2011-05-28 2012-12-12 John Simon Blight Suction dredging head with water jets
CN111809678B (zh) * 2020-07-08 2021-04-06 山东交通学院 一种具有筛分装置的全自动挖掘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238A (ja) * 1984-07-11 1986-01-29 Kurimoto Iron Works Ltd しゆんせつ船
SG59997A1 (en) * 1995-06-07 1999-02-22 Ibm Apparatus and process for improved die adhesion to organic chip carries
KR0171739B1 (ko) * 1995-12-29 1999-03-30 배순훈 카 오디오의 주파수 자동 선국장치 및 방법
KR200171739Y1 (ko) 1999-09-03 2000-03-15 김복중 흡입식 준설장치
KR200229574Y1 (ko) * 2001-01-09 2001-07-19 용호산업개발 주식회사 준설선용 진공흡입장치
BE1015565A3 (nl) * 2003-06-13 2005-06-07 Dredging Int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losmaken en winnen van baggermateria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7697A (zh) * 2017-07-25 2017-09-29 芜湖皖桥园艺有限责任公司 一种河道快速清淤机
CN107882094A (zh) * 2017-11-21 2018-04-06 武汉理工大学 一种吸入式挖掘机的挖嘴
CN108824534A (zh) * 2018-07-17 2018-11-16 芜湖芬特勘测服务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清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0747A1 (ko) 2010-12-09
KR101025125B1 (ko) 201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125B1 (ko)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
CN207941295U (zh) 污水沉淀处理系统
US201602449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epening riverbeds and their cleaning from sediments
KR20190109091A (ko)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WO1998020208A1 (fr) Procede de dragage et appareil de dragage
KR100530970B1 (ko) 배수처리장치
KR101030786B1 (ko) 사이펀원리를 이용한 슬러지처리장치
KR101444401B1 (ko)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 여과장치
KR100650111B1 (ko) 준설장치
KR101925607B1 (ko) 하천, 호소의 퇴적오니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적오니 처리 공법
KR101006745B1 (ko)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및 방법
KR101057512B1 (ko) 오니 처리장치
KR101418777B1 (ko) 수문개폐형 스컴스키머장치가 장착된 수처리시설의 원형슬러지수집기
CN218779555U (zh) 一种河底清淤装置
JP2005334846A (ja) 溜池の堆積物処理方法
KR100495161B1 (ko) 고심도 퇴적물의 준설공법 및 그 장치
WO2006033441A1 (ja) 水中堆積物の流送設備
JP2005016294A (ja) 堆積物の吸引流送設備
CN117449274B (zh) 一种流域治理用的水体垃圾清理及无害化处理设备及方法
KR200233363Y1 (ko)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
JP4059992B2 (ja) 土砂浄化装置
JPS6073922A (ja) 沈澱泥土浚渫工法
KR101143457B1 (ko) 유기물 침전이 방지되는 하폐수 처리용 침사조
PL228599B1 (pl) Urządzenie do hydromechanicznego oczyszczania i usuwania osadów dennych ze zbiorników zaporowych
JPS60253627A (ja) 浚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