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512B1 - 오니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니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512B1
KR101057512B1 KR1020110005901A KR20110005901A KR101057512B1 KR 101057512 B1 KR101057512 B1 KR 101057512B1 KR 1020110005901 A KR1020110005901 A KR 1020110005901A KR 20110005901 A KR20110005901 A KR 20110005901A KR 101057512 B1 KR101057512 B1 KR 10105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d
mixing
water
sludge
se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0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물이 투입되는 준설물 투입구와,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 투입구와, 상기 준설물과 약품을 혼합시키는 제1혼합수단과, 상기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이 배출되는 침전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준설물 투입구와 약품 투입구 및 제1혼합수단이 구비되는 제1영역과 상기 침전물 배출구가 구비되는 제2영역을 구획하는 제1유동격벽과; 상기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에 따라 발생되는 상징수가 배출되는 상징수 배출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징수 배출구가 구비되는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구획하는 제2유동격벽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니 처리장치{Sludg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천, 호수 또는 저수지의 바닥으로부터 준설한 준설물로부터 다양한 오니 또는 슬러지를 개량제와 혼합하여 응집시킨 후, 응집된 오니 또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침전시켜 제거하도록 된 오니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니 또는 슬러지를 응집 및 침전시킴으로써 생성된 비교적 깨끗한 상징수(오니 등이 제거된 물)를 하천 또는 저수지에 다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오니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수 또는 저수지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중에는 다양한 부유물질이 침전되어 퇴적물 또는 오니(슬러지:sludge)를 형성한다. 이러한 퇴적물 또는 각종 오니는 수질오염을 가속화시키고 생태환경을 파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준설선을 이용해서 이러한 퇴적물 또는 오니를 준설함으로써 제거하고 있다. 한편, 상기 준설선은 준설할 수역의 깊이와 바닥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비를 탑재하여, 해역, 강, 운하, 항만, 항로의 수중 퇴적물을 준설하고, 물밑의 슬러지를 포함하는 흙, 모래, 광물 등을 채취하는 작업, 수중구조물 축조의 기초공사, 해저 폐기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준설선을 이용해서 현재 수행되는 준설 방법에 있어서는, 준설된 퇴적물 및 오니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하고, 분리한다 하더라도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더욱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오니가 다시 하천 또는 저수지로 유입됨에 따라 2차 오염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준설장치로부터 압송되는 다양한 오니 또는 슬러지와 함께 다량의 물을 포함한 준설물을 개량제와 혼합하여 응집시킨 후, 응집된 오니 또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침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오니 또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응집 및 침전시킴으로써 생성된 상징수가 하천 또는 호수로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2차 오염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된 오니 처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침전물 생성을 위한 개량제 투입 과정이 청결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오니 처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준설물이 투입되는 준설물 투입구와,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 투입구와, 상기 준설물과 약품을 혼합시키는 제1혼합수단과, 상기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이 배출되는 침전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준설물 투입구와 약품 투입구 및 제1혼합수단이 구비되는 제1영역과 상기 침전물 배출구가 구비되는 제2영역을 구획하는 제1유동격벽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는 투명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준설물 투입구 또는 약품 투입구는 상기 투명 커버를 통해 상기 제1영역으로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에 따라 발생되는 상징수가 배출되는 상징수 배출구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징수 배출구가 구비되는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구획하는 제2유동격벽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영역에는 제2혼합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유동격벽에는, 상기 인접한 영역에 대한 유동량을 조정하기 위한 루버(louve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루버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영역의 제1혼합수단 및 제2영역의 제2혼합수단과 함께, 복수의 루버가 구비된 제1 및 제2 유동격벽을 설치하여 준설물과 개량제의 혼합률을 향상시키고, 오니의 응집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준설장치로부터 압송되는 다양한 오니 또는 슬러지와 함께 다량의 물을 포함한 준설물을 제1 내지 제3영역을 통한 1차 및 2차 침전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침전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오염된 상징수가 하천 또는 호수로 배출됨으로써 발생되는 하천 또는 저수지의 2차 오염의 발생이 억제된다.
더욱이, 약품 투입 및 혼합 과정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준설물로부터 오니 또는 슬러지를 응집 및 침전시키고 상징수를 제거한 후, 건조해서 토사로 사용하도록 하는 토사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사시도의 일측 및 타측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 처리장치를 이용해서 준설물로부터 오니 또는 슬러지를 응집 및 침전시키고 상징수를 제거한 후, 건조함으로써 토사로 사용하도록 하는 토사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먼저 하천, 호수 또는 저수지의 바닥으로부터 압축 펌프가 구비된 준설선 및/또는 굴착기를 이용해서, 바닥의 오니를 포함한 토양을 준설하는 과정과 s10; 준설된 준설물을 펌프 또는 호수 등의 압송장치를 이용해서 저류지로 압송해서 저장하는 한편 1차적으로 부유물 또는 눈으로 식별가능한 대형 쓰레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과 s20;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오니 처리장치를 이용해서 준설물을 약품과 혼합하여 오니 또는 슬러지를 응집 및 침전시키고 상징수를 제거하는 과정과 s30; 상징수가 제거된 침전물을 야적장으로 이송하여 적재함으로써 자연 건조시키는 과정과 s40; 건조된 토사를 추후 사용을 위해 사토장에 축적시키는 과정 s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사 생성 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오니 처리장치에서는, 다양한 슬러지 및 오니와 함께 다량의 물을 포함한 준설물이 투입된 후, 약품과 혼합되어 응집된 오니 또는 슬러지의 1차 침전 과정을 거쳐 분리된 상부 상징수가 상부 상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상부 상징수 배출구(71)를 통해 상부 상징수를 배출한 후, 소정 시간 동안의 2차 침전 과정을 통하여 분리된 하부 상징수가 하부 상징수 배출구(7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1차 침전 처리된 준설물을, 침전물 배출구(40)를 통해 외부 야적장으로 배출하기 전에, 2차 침전 처리함으로써, 침전물이 분리된 후 저수지로 되돌아가는 상징수에 의한 저수지의 2차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 야적장으로 배출하기 전에 침전물로부터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여 외부 야적장에서의 자연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의 토사 생성 과정 중 저류지를 이용한 1차 부유물 제거 단계 s2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준설물은 상기 저수지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오니 처리장치로 직접 압송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오니 처리장치는 준설선에 설치되어, 준설물로부터의 상징수를 바로 저수지에 배출하고, 침전물은 준설선에 축적시키거나 또는 육지로 압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사시도의 일측 및 타측 단면도로, 상기 저수지 또는 저류지로부터 압송된 준설물이 장치 내로 투입되는 준설물 투입배관 또는 투입구(10)와, 준설물 중의 고형물의 침전을 유도하는 약품(통상 "개량제"라 함)이 투입되는 약품 투입배관 또는 투입구(20)와, 상기 준설물과 약품을 혼합시키는 제1혼합수단(30)과, 상기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상기 고형물)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침전물 배출구(40)가 형성되는 하우징 또는 몸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사각 기둥 형태의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물 투입구(10) 및 약품 투입구(20)는, 몸체(50)에 대한 원활한 투입을 위해 몸체의 내부 중공부에 대해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더욱이, 상기 약품 투입구(20)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약품을 투입할 때, 주변에 약품 가루가 떨어지지 않고, 약품을 중공부 내로 투입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약품 투입구 상단에는 사일로(미도시)를 장착하여 약품을 자동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혼합수단(30)은 모터로 구동되는 스크류로 구현되는데, 몸체(50)의 일측면(도 2 및 3 중 우측면)에 2개의 스크류가 구비되어, 타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와류를 형성시켜서,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되는 준설물과 약품을 혼합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50)의 내부 중공부에는, 준설물 투입구(10)와 약품 투입구(20) 및 제1혼합수단(30)이 구비되는 상부의 제1영역 A1과, 상기 침전물 배출구(40)가 구비되는 하부의 제2영역 A2이 형성되며, 이를 위해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획하는 제1유동격벽(60)이 몸체(50)의 내부 중공부를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 A1은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 영역이 되고, 제2영역 A2는 배출 영역이 된다.
한편, 상기 제1영역 A1에 있어서는 투입된 준설물이 소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5분 내외) 약품과 혼합되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과 함께 미처리 준설물은 제2영역으로 낙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인 제1영역 A1에 형성되는 준설물 투입구(10) 및 약품 투입구(20)와 하부인 제2영역 A2에 형성되는 침전물 배출구(40)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0,20)로부터 투입된 준설물 및 약품의 혼합에 따라 침전된 침전물과 함께 미처리 준설물이 자중에 의해 제1유동격벽(60)을 경유해서 제2영역 A2으로 낙하할 때, 침전물이 침전물 배출구(40)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있어서는, 제2영역 A2에 있어서 침전물 배출구(40)가 중앙에 형성되고 하부를 향한 경사로가 형성됨에 따라, 낙하한 미처리 준설물을 포함한 처리된 침전물이 제2영역에서 장시간 머물면서 경사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영역 A2에 있어서는 상기 미처리 준설물의 약품과의 혼합 촉진을 위하여 미처리 준설물에 대해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분사장치(90)가 구비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90)는, 표면에 복수의 배출공(91)이 형성된 파이프 또는 로드와, 이 파이프 또는 로드에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영역 A2에서 제1영역과의 경계 근방에 구비되어, 사방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제1영역으로부터 낙하하는 미처리 준설물과 약품과의 혼합이 다시 한번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는, 일측 단부인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파이프가 형성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1영역과 제2영역 경계 근방에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공기분사장치로 설명하였지만, 공기분사장치는 몸체 바닥면에 장착하여 바닥에 자연 침전된 미처리 준설물을 다시 부양시킴으로써 약품과의 혼합을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분사장치의 형태는 파이프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 분사가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몸체(50)의 내부에는,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에 따라 발생되는 상징수가 배출되는 상징수 배출구(70)가 더 형성되며, 이 상징수 배출구(70)가 구비되는 제3영역 A3과 상기 제1영역 A1을 일측 및 타측부로 구획하는 제2유동격벽(8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영역 A3은 상징수 배출 영역이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50)의 내부 중공부는 상기 제1유동격벽(60)에 의해 상부와 하부(제2영역 A2)로 구획되고, 또한 상부는 제2유동격벽(80)에 의해 우측의 제1영역 A1과 좌측의 제3영역 A3영역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우측인 제1영역 A1의 측벽에 형성된 제1혼합수단(30)과 좌측인 제3영역 A3의 측벽에 형성된 상징수 배출구(70)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징수 배출구(70)의 위치는 상징수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관의 편의에 따른 위치일 뿐이며, 상징수 배출구(70)의 위치를 제3영역 A3의 상호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하거나, 제1영역 A1에 위치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제1혼합수단(3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준설물이 제1 및 제2 유동격벽(60,80)을 통해 각 영역들을 거치도록 유동되면서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율이 향상되고 오니의 응집 및 침전이 촉진된다.
여기서, 상기 상징수 배출구(70)는 제1영역 A1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에 따라, 상부 상징수 배출구(71) 및 하부 상징수 배출구(72)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준설물과 약품을 혼합하여 응집된 오니의 1차 침전 처리가 이루어질 때, 최초 발생되는 상징수를 상부 상징수 배출구(7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2차 침전 진행에 따라 발생되는 하부 상징수는 하부 상징수 배출구(7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징수 배출구(70)는 높이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영역 A2에도 상징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상징수 배출구(71,72) 형성에 따라, 상기 제1혼합수단(30)은 하부 상징수 배출구(72)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하부 상징수 배출구(71,72) 상에는 개폐용의 밸브수단(7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수단(73)은 수동밸브 또는 도시 생략된 외부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능한 전자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상징수 배출구(71)가 개방되는 동안 하부 상징수 배출구(72)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침전물 배출구(40)에도 밸브수단(4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50) 내에서의 1차 및 2차 침전 과정 동안 이 밸브수단(43)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상징수 배출구(71,72)에는 필터(74)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징수에 포함된 미처리 오니를 더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50)의 상부 개구는 투명 커버(51)로 덮이도록 된다. 일례로서, 이 투명 커버(51)는 복수 부분으로 구획되어, 상기 약품 투입구(20) 및/또는 준설물 투입구(10)를 감싸면서 투명 커버(51)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원뿔형상의 약품 투입구(20)를 통한 개량제 투입시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유동격벽(60,80)에는, 그 개구 넓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인접한 영역에 대한 유동량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루버(61,81:louver)가 구비된다. 이러한 루버(61,81)는, 준설물의 유동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 플레이트(또는 삼각형 단면 형상의 격벽)로 형성되어 오니의 유동속도 및/또는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루버의 경사 방향 또는 형상은, 예를 들어, 상기 제1영역 및 제3영역으로부터 제2영역에 대한 침전물의 유동은 원활히 이루어지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의 침전물의 유동은 원활하지 않게 되는 방향 또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루버의 경사 방향 또는 형상은, 예를 들어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부터 제3영역에 대한 상징수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방향 또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루버 간의 경사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루버(61,81)는, 그 개구 넓이를 확대 및 축소할 수 있게, 그 루버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구동모터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동수단에 따라 상기 루버(61,81)는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그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유동격벽(60)의 복수의 루버(61)는 제1영역과의 경계면에 형성된 루버(61)와 제3영역과의 경계면에 형성된 루버(61')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동격벽(80)의 복수의 루버(81)는 상부의 루버(81)와 하부의 루버(81')가 개별적으로 회전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다른 오니 처리장치에 의한 오니 처리 과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 처리장치는, 통상 컴퓨터 또는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는 도시 생략된 제어부로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혼합수단(30)과 제2혼합수단(90)의 온오프 동작과, 상기 상징수 배출구(70) 및 침전물 배출구(40)의 밸브수단(73,43)의 개방 및 폐쇄 동작과, 상기 제1 및 제2유동격벽(60, 80)에 구비된 루버(61,81)의 회전 동작이 제어된다.
먼저, 상기 제1영역 내로 약품과 준설물이 투입되면,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혼합수단(30,90)을 동작시켜 약품과 준설물을 혼합시킨다. 이때, 루버(61,81)는 정지된 상태이어도 무방하나 유동의 증진을 위하여 구동수단에 의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을 계속하는 상태이어도 좋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혼합수단(30,9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응집된 침전물과 함께 미처리 준설물이 제2영역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1차 침전을 유도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상징수 배출구(71)를 개방 동작시킴으로써, 오니와 분리된 상징수를 배출한다.
다음으로,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상징수 배출구(72)를 개방 동작시킴으로써 2차 침전으로 발생한 하부 상징수를 배출한다. 이때, 오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유동격벽(60)의 루버(61)를 폐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징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침전물 배출구(40)를 개방 동작시킴으로써, 제2영역 내의 침전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투입구(10,20)를 통한 준설물 및 약품 투입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제어부에 의한 상기 루버의 제어 동작에 있어서 유동경로의 "폐쇄" 및 "개방"은 유동 경로를 부분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이상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전자적인 제어 기능은 모두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밸브수단(43,73)의 구성이 생략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게 된다.
10 - 준설물 투입구, 20 - 약품 투입구,
30 - 제1혼합수단, 40 - 침전물 배출구,
60 - 제1유동격벽, 80 - 제2유동격벽,
71 - 상부 상징수 배출구, 72- 상징수 배출구,
A1 - 1차 침전 처리 영역, A2 - 2차 침전 처리 영역,
A3 - 배출 영역.

Claims (8)

  1. 준설물이 투입되는 준설물 투입구;
    상부에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 투입구;
    일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된 준설물과 약품을 혼합시키는 제1혼합수단;
    상기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이 배출되는 침전물 배출구;
    상기 제1혼합수단과 대응되는 타측벽에 상기 준설물과 약품의 혼합에 따라 발생하는 상징수를 배출하는 상징수 배출구;
    상기 준설물 투입구, 약품 투입구 및 제1혼합수단이 구비되는 제1영역과 상기 침전물 배출구가 구비되는 제2영역을 제1유동격벽에 의해 구획하고, 상기 제2영역에는 표면에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제2혼합수단을 포함하는 오니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는 투명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준설물 투입구 또는 약품 투입구는 상기 투명 커버를 통해 상기 제1영역으로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수 배출구가 구비되는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구획하는 제2유동격벽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수 배출구는, 높이가 다른 복수의 상징수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유동격벽에는, 유동량을 조정하기 위한 루버(louve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처리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10005901A 2011-01-20 2011-01-20 오니 처리장치 KR10105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01A KR101057512B1 (ko) 2011-01-20 2011-01-20 오니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01A KR101057512B1 (ko) 2011-01-20 2011-01-20 오니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512B1 true KR101057512B1 (ko) 2011-08-17

Family

ID=4493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901A KR101057512B1 (ko) 2011-01-20 2011-01-20 오니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5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79B1 (ko) 2012-11-07 2012-12-31 (주)서해산업개발 고화제를 이용한 오니 처리장치
KR101701908B1 (ko) * 2015-10-15 201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106A (ja) * 2000-02-24 2001-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沈殿分離方法および沈殿分離装置
JP2005007250A (ja) * 2003-06-17 2005-01-13 Fumiyoshi Yoshioka 汚泥処理装置及び汚泥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106A (ja) * 2000-02-24 2001-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沈殿分離方法および沈殿分離装置
JP2005007250A (ja) * 2003-06-17 2005-01-13 Fumiyoshi Yoshioka 汚泥処理装置及び汚泥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79B1 (ko) 2012-11-07 2012-12-31 (주)서해산업개발 고화제를 이용한 오니 처리장치
KR101701908B1 (ko) * 2015-10-15 201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2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watering of slurries
US5544756A (en) Dynamic mining system comprsing hydrated multiple recovery sites and related methods
WO1998020208A1 (fr) Procede de dragage et appareil de dragage
KR101057512B1 (ko) 오니 처리장치
KR100922414B1 (ko) 친환경 수중 준설 장치 및 공법
CN102358646B (zh) 矿用高效沉淀装置
KR101025125B1 (ko) 준설 여수 순환식 준설헤드장치, 이를 구비한 준설기 및 이를 이용한 준설방법
KR20110004520A (ko) 퇴적물 탐사, 준설, 선별,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102395318B1 (ko)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KR101595493B1 (ko) 적조방제용 황토살포기 및 황토살포기에 의해 제조되는 콜로이드 황토수 제조방법
JP2838054B2 (ja) 水圧を利用した浚渫方法と浚渫船の構造
KR20200042462A (ko) 유출물을 위한 재순환 시스템을 갖춘 트레일링 석션 호퍼 준설선 및 흡입 준설 방법
PL124691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and and/or gravel from water
CN102049349B (zh) 沉沙槽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US10619324B1 (en) Placement area renewal systems and methods
JP5058411B2 (ja) 沈砂等の移送装置
JPS5846604B2 (ja) 埋立工法
CN109690018B (zh) 气体水合物回收装置和气体水合物回收方法
KR20050109743A (ko) 폐쇄성 수역의 급속응집침전 정화처리 장치
WO2018092429A1 (ja) ガスハイドレート回収装置およびガスハイドレート回収方法
JP6094003B1 (ja) 分離洗浄処理装置
JP4629858B2 (ja) 水底軟弱地盤の砂撒システム、および水底軟弱地盤の砂撒システムを用いた砂撒工法
KR100701107B1 (ko) 저밀도 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장치
EP06794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salinating dredge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