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107B1 - 저밀도 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저밀도 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107B1
KR100701107B1 KR1020050069198A KR20050069198A KR100701107B1 KR 100701107 B1 KR100701107 B1 KR 100701107B1 KR 1020050069198 A KR1020050069198 A KR 1020050069198A KR 20050069198 A KR20050069198 A KR 20050069198A KR 100701107 B1 KR100701107 B1 KR 10070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ter
water
air
stirring tank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511A (ko
Inventor
최홍복
이재기
박주형
최은주
김정래
유수현
Original Assignee
(주)에코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데이 filed Critical (주)에코데이
Priority to KR102005006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1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거품 및 저밀도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수처리 장치는 오폐수가 저장되는 교반조와, 그리고 상기 오폐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을 상기 교반조의 내하부로 이송시켜서 오폐수 중에 분출시킴으로써 수압에 의하여 저밀도 물질을 오폐수에 혼합시켜 제거하는 저밀도 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한다. 이 수처리 장치는 거품을 오폐수에 혼합하여 순환시킴으로써 거품이나 스컴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수심이 깊은 처리조에서 다양한 밀도의 물질이 존재할 경우에도 수심 상하간에 균일한 밀도를 유지시킬 수 있어 후단의 처리공정의 효율과 효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거품, 수처리, 밀도, 제거, 스컴, 공기

Description

저밀도 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장치{WARER TREATMENT APPARATUS FOR EASYLY ELIMINATING AND MIXING OF BUBBLE AND LOW DENSITY MATTER}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를 개선하여 거품을 오폐수에 혼합하여 순환시킴으로써 거품이나 스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는 수중의 오염된 물질을 미생물 또는 화학적인 산화, 환원반응에 의하여 안정화된 물질로 변화시키고 처리되지 않은 잔류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수처리 과정에서는 거품 혹은 스컴(이하, 저밀도 물질)이 발생되는 경우가 매우 자주 발생한다. 그리고, 이 저밀도 물질은 그 밀도가 매우 낮아 수면 에서 쉽게 누적되며, 별도로 분리되었을 때는 수처리가 매우 어렵게 될 수 있다.
즉, 고밀도 및 저밀도 물질이 서로 혼합되어 있을 경우는 미생물이 섭취할 수 있는 영양물질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음으로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 유지되어 수질오염을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다.
반대로, 저밀도 물질이 별도로 분리되었을 경우에는 고밀도와 저밀도 물질이 서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미생물의 섭취할 수 있는 영양물질이 불균형을 이루는 경우가 되며 미생물의 번식이 어려워 미생물의 오염물질 섭취, 즉 오염물질 정화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수처리 과정에 있어서는 이러한 저밀도 물질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이, 저밀도 물질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수처리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며 물리적인 방식과 화학적인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물리적인 방식의 경우, 수처리시설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격렬한 교반을 유도하거나, 수면에 물을 뿌리는 등의 방식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처리 시설의 가동중지의 경우 효율저하가 나타나고, 교반이나 물을 뿌리는 방식은 다량의 거품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제어 방법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학적인 방식의 경우,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포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소포제 자체가 오염원이 되고 비싼 약품값으로 적절한 방법이 되지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거품이나 스컴 등의 저밀도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오폐수가 저장되는 교반조와; 상기 오폐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을 상기 교반조의 내하부로 이송시켜서 오폐수 중에 분출시킴으로써 수압에 의하여 저밀도 물질을 오폐수에 혼합시켜 제거하는 저밀도 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교반조의 내부를 상부구역 및 하부구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저밀도 물질 제거수단에 의하여 흡입되어 하부구역으로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하부수면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충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수두에 의하여 교반조의 상부에 저장된 오폐수를 이 공간으로 낙하시켜서 오폐수를 교반함으로써 침전물을 부유시켜 상기 교반조의 오폐수 밀도를 균일화 시킬 수 있는 교반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 고,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처리 장치는 오폐수가 저장되는 교반조(3)와, 상기 오폐수의 상부수면(S1)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을 상기 교반조(3)의 내하부로 이송시켜서 오폐수 중에 분출시킴으로써 수압에 의하여 저밀도 물질을 오폐수에 혼합시켜 제거하는 저밀도 물질 제거수단(7)과, 상기 교반조(3)의 내부를 상부구역 및 하부구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저밀도 물질 제거수단(7)에 의하여 흡입되어 하부구역으로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공간(V)이 형성됨으로써 하부수면(S2)이 형성되고, 이 공간(V)에 충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수두압에 의하여 교반조(3)의 상부에 저장된 오폐수를 이 공간(V)으로 낙하시켜서 오폐수를 교반함으로써 침전물을 부유시켜 침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반수단(5)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3)는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일정량의 오폐수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교반조(3)의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의 상부 수면에는 거품 혹은 스컴 등의 저밀도 물질이 부력에 의하여 층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저밀도 물질 제거수단(7)은 교반조(3)의 상부수면(S1)에 위치하여 저밀도 물질이 유입되는 호퍼(Hopper;17)와, 호퍼(17)로 유입된 저밀도 물질을 교반조(3)의 하부로 이송하여 이송된 저밀도 물질이 오폐수중에 혼합됨으로써 수압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하는 이송관(20)과, 이송관(20)에 구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저밀도 물질이 호퍼(17)로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19)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17)는 바람직하게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부우게(23)에 의하여 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떠있는 상태이다.
이때, 다수의 부우게(23)는 와이어(25)에 의하여 호퍼(17)에 연결되며, 이 와이어(25)의 길이 및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우게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호퍼(1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와이어(25)를 부우게(23)의 상부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호퍼(17)가 상승한 높이에 부유하게 되고, 와이어(25)를 부우게(23)의 하부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호퍼(17)가 하강하여 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수면(S1)의 거품이 이 호퍼(17)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호퍼(17)는 수면으로부터 적절한 깊이로 잠김으로써 대기의 공기도 미량 흡입될 수 있다.
물론, 부우게(23)가 와이어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20)의 상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호퍼(17)가 적절하게 승하강 할 수 있다. 따라서, 교반조(3)의 오폐수 수위의 높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19)가 구동하는 경우, 이송관(20)의 내부에 압력이 대기압보다 작아짐으로써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흡입력에 의하여 상부수면(S1)상에 형성되는 거품이 호퍼(17)로 유입될 수 있다. 호퍼(17)로 유립된 저밀도 물질은 이송관(20)의 하단부(21)를 통하여 교반조(3)의 내하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송관(20)의 하단부(21)를 통하여 교반조(3)의 하부로 분출된 저밀도 물질은 오폐수중에 분출됨으로써 수압에 의하여 미세화되어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부수면(S1)의 저밀도 물질은 교반조(3) 하부로 공급되어 오폐수의 수압에 의하여 제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저밀도 물질이 제거된 오폐수는 후술하는 플레이트(11)의 유동배관(13)을 통하여 플레이트(11)의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교반조(3)에 저장된 오폐수의 상하부 밀도를 균일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조(3) 상부의 저밀도 물질이 호퍼(17)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크레이퍼(Scraper;9)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 스크레이퍼(9)는 교반조(3)의 수면상에 떠있는 한 쌍의 공기 주머니(27)와, 한 쌍의 공기 주머니(27)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2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바(29)는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한 쌍의 공기 주머니(27)에 연결되어 있음으로, 상부수면(S1)상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오폐수 및 저밀도 물질이 호퍼(17)로 유입되는 경우, 호퍼(17) 방향으로 수류가 형성되며, 이 수류의 이동에 의하여 연결바(29)가 호퍼(17)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부수면(S1)상의 저밀도 물질층을 채집하여 호퍼(17)로 주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교반수단(5)은 상기 교반조(3)의 오폐수를 교반시킴으로써 침전물이 적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교반수단(5)은 상기 교반조(3)의 내부를 상하구역으로 구획하며, 그 하부에 상기 저밀도 물질제거수단(7)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하부수면(S2)을 형성하는 플레이트(11)와, 상기 플레이트(11)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오폐수가 상하로 이동하며,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중의 기체공간(V)을 확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배관(13)과, 상기 기체공간(V)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오폐수의 교반을 유도하는 공기 배출부(3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교반수단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는 교반조(3)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내측벽면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교반조(3)를 상부 및 하부구역의 2 부분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저밀도 물질제거수단(7)의 이송관(2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교반조(3)의 하부에 저장된 오폐수를 밀어내고, 플레이트(11)의 하부에 일정 부피의 공간(V)을 형성함으로써 하부수면(S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공기 배출부(31)의 밸브(37,37a)를 개방하는 경우, 교반조(3) 내부의 공간(V)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플레이트(11) 상부의 오폐수가 유동배관(13)을 통하여 이 공간(V)으로 낙하하여 교반을 일으킴으로써 교반조의 하부에 침적된 침전물이 부유하게 된다.
또한, 이 플레이트(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H)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H)에는 일정 길이의 상기 유동배관(13)이 각각 하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1)의 하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공간(V)이 형성되는 경우, 이 공간(V)의 부피, 즉 플레이트(11)의 저면과 하부수면(S1)의 사이는 유동배관 (13)의 길이 이내에서 결정된다.
그리고, 플레이트(11)의 하부구역에 저장된 오폐수에 교반이 발생한 경우, 부유한 침전물은 이 유동배관(13)을 통하여 플레이트(11)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반수단(5)은 교반조(3)의 내부를 상부구역 및 하부구역으로 구획하며, 하부구역으로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하부수면(S2)을 형성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수두에 의하여 교반조(3)의 상부에 저장된 오폐수를 이 공간(V)으로 낙하시켜서 오폐수를 교반함으로써 침전물을 부유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기 공기 배출부(31)는 교반조(3)의 플레이트(11) 하부 공간(V)에 모이는 공기가 증가하여 일정 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 일부 공기가 유동배관(13)의 하부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로 이동하지 않은 나머지 공기를 교반조(3)의 외부로 배출하여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교반을 유도하여 침전물이 부유하여 오폐수에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공기 배출수단(31)은 교반조(3)의 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배관(33)과, 상기 상부배관(33)의 하부에 연결되어 교반조(3)의 하부로 연장되는 중간배관(36)과, 상기 중간배관(36)의 단부로부터 교반조(3)의 내하부 상단위치로 연장되는 제1 하부배관(35)과, 제1 하부배관(35)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하부배관(35a)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1)의 저면에 형성되는 공간(V)에 잔류하는 공기는 제1 및 제2 하부배관(35,35a)으로 흡입되어 중간배관(36)과, 상부배관(33)을 통하여 교반조(3)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배관(35)에는 제1 밸브(37)가 구비되어 개폐함으로써 공기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배관(35a)에도 제2 밸브(37a)가 구비되어 개폐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밸브(37,37a)가 구비된 제1 및 제2 하부배관(35,35a)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펌프(19)의 작동으로 저밀도 물질제거수단(7)의 이송관(20)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플레이트(11)의 하단 공간(V)이 점차 공기로 가득차게 된다.
이 공간(V)이 공기가 증가함에 따라 확장됨으로써 하부수면(S2)의 높이는 먼저 제1 하부배관(35) 및 제1 밸브(37)에 이르게 되고, 이어서 제2 하부배관(35a) 및 제2 밸브(37a)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일정 압력이상인 경우, 공기가 하부수면(S2)을 밀어내고 유동배관(13)의 하단부를 통해서 유입되어 플레이트(11)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거품 및 필요 이상의 공기가 유동배관(13)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하부 배관(35a)의 제2 밸브(37a)를 열어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하부수면(S2)의 높이가 유동배관(13)의 하단선상에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오폐수 및 저밀도 물질을 교반시키기 위하여, 필요시 제2 밸브(37a)를 닫고 제1 하부배관(35)을 열어 일시에 대량의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대량의 공기가 제1 하부배관(3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플레이트 (11)하부의 공간(V)를 채우고 있던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므로, 이 빈 공간을 오폐수가 채우게 된다.
즉, 공기 배출 속도와 양에 비례하여 유동배관(13)을 통하여 플레이트 상부의 물이 하부로 솟아져 하부에서 격렬한 교반이 유도된다.
따라서, 본 장치는 거품 및 저밀도 물질이 제거되는 것과 동시에 혼합을 유도한다.
그리고, 공기 배출부(31)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에는 미량의 거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거품도 공기 이동시 교반조(3)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부로 이동된 미량의 거품은 호퍼(17)로 유입되어 다시 교반조(3)의 하부로 이동되어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조(3)의 내부에 오폐수를 저장함으로써 상부수면(S1)을 형성한다. 이때, 상부수면(S1)에는 거품 혹은 스컴 등의 저밀도 물질이 부유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펌프(19)를 구동하게 된다. 이 펌프(19)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관(20)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부수면(S1)의 거품 및 오폐수가 호퍼(17)로 유입된다. 이때, 호퍼(17)의 높이는 상부수면(S1)의 높이보다 낮게 유지며, 공기주머니(23)와 호퍼(17)를 연결하는 와이어(2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호퍼(17)의 높이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폐수가 호퍼(17)로 유입되면 호퍼(17) 방향으로 흐르는 수류가 형성되며, 이 수류에 의하여 한 쌍의 공기 주머니(27)에 연결된 연결바(29)가 이동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바(29)의 이동에 의하여 상부수면(S1)에 형성된 저밀도 물질이 호퍼(17)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호퍼(17)로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된 거품 및 오폐수는 이송관(20)을 통과하여, 이송관(20)의 하단부(21)로부터 분출됨으로써 플레이트(11) 하부로 유입된다.
이때, 교반조(3)의 내부는 오폐수가 저장된 상태이므로, 플레이트(11)의 하부공간에도 오폐수가 저장됨으로써 일정한 수압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거품 등의 저밀도 물질이 이송관(20)의 하단부(21)를 통하여 분출되는 경우, 이 저밀도 물질들은 일정한 수압 상태의 오폐수중으로 섞임으로써 거품이 미세화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오폐수중에 발생하는 거품 등의 저밀도 물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저밀도 물질이 교반조(3) 하부에서 제거됨으로 교반조(3)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의 밀도는 점차 높아짐으로써 고밀도로 전환되며, 결국 교반조(3)의 내부에 다양한 밀도의 물질이 존재할 경우에도 수심 상하간에 균일한 밀도를 유지시킬 수 있어 후단의 처리공정의 효율과 효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교반조(3) 하부의 고밀도 상태인 오폐수는 유동배관(13)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밀도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오폐수가 상부로 이동하는 동력은 플레이트(11) 상부의 오폐수에 의한 수두압과, 플레이트(11) 하부의 하부수면(S2)을 가압하는 공기압의 합력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제거공정을 장시간 실시하는 경우, 교반조(3) 하부에 침전물이 적치됨으로써 제거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교반조(3) 하부의 오폐수를 교반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오폐수를 교반시키기 위하여 호퍼(17)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저밀도 물질의 제거과정 중, 순수한 오폐수만을 순환시킴으로써 저밀도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나, 실제 운전시에는 대기중의 일부 공기가 흡입된다.
저밀도 물질이 호퍼(17)로 유입되는 경우, 대기중의 일부 공기가 호퍼(17)로 같이 유입될 수 있으며, 흡입된 공기는 플레이트(11)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공기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층에 의하여 하부수면(S2)이 형성되며, 이 하부수면(S2)은 바람직하게는 제1 하부배관(35)과 제2 하부배관(35a)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2 밸브(37a)를 닫고 제1 하부배관(35)을 열어 일시에 대량의 공기를 배출한다.
이와 같이, 대량의 공기가 제1 하부배관(3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플레이트(11)의 하부 공간(V)을 채우고 있던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므로, 이 빈 공간(V)을 오폐수가 채우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1) 상부의 오폐수가 이 유동배관(13)을 통하여 플레이트 하부로 쏟아짐으로써 격렬한 교반이 유도되어 교반조(3) 하부에 침적되었던 침전물들이 부유되어 오폐수에 혼합되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공기 배출부(31)에 의하여 교반조(3)의 상부에 공급된 공기에는 전공정에서 처리되지 못한 미세거품이 함유되어 있음으로, 이 미세거품들이 다시 호퍼(17)로 유입되어 재처리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반수단(5)의 유동배관(13)을 통과한 오폐수는 교반조(3)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다시 호퍼(17)로 유입됨으로써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오폐수중의 거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와 같이 교반을 통해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지만, 이동관(20) 등을 통해서 산화제(오존 등)를 교반조의 내부로 유입하여 하부수면(S2)에 부유하는 거품을 제거하거나 분해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거품을 오폐수에 혼합하여 순환시킴으로써 거품이나 스컴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수심이 깊은 처리조에서 다양한 밀도의 물질이 존재할 경우에도 수심 상하간에 균일한 밀도를 유지시킬 수 있어 후단의 처리공정의 효율과 효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반조의 내부에서 공기 배출로 인하여 교반을 발생시킴으로써 교반조 하부에 침전물이 적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7)

  1. 오폐수가 저장되는 교반조와; 그리고
    상기 오폐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을 상기 교반조의 내하부로 이송시켜서 오폐수 중에 분출시킴으로써 수압에 의하여 저밀도 물질을 오폐수에 혼합시켜 제거하는 저밀도 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물질 제거수단은 상기 교반조의 상부 수면에 위치하여 저밀도 물질과 공기가 유입되는 호퍼(Hopper)와, 상기 호퍼로 유입된 저밀도 물질을 상기 교반조의 하부구역으로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 구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저밀도 물질과 공기가 상기 호퍼로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우게에 와이어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오폐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수처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의 내부를 상부구역 및 하부구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저밀도 물질 제거수단에 의하여 흡입되어 하부구역으로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하부수면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충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수두압에 의하여 교반조의 상부에 저장된 오폐수를 이 공간으로 낙 하시켜서 오폐수를 교반함으로써 침전물을 부유시켜 침전물의 침적을 방지할 수 있는 교반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교반조의 내부를 상하구역으로 구획하며, 그 하부에 상기 저밀도 물질제거수단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하부수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오폐수가 상하로 이동하며, 수중 기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배관과, 상기 공간에 충전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오폐수 교반을 유도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교반조의 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배관과, 상기 상부배관의 하부에 연결되어 교반조의 하부로 연장되는 중간배관과, 상기 중간배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하부수면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제1 밸브를 구비하는 제1 하부배관과, 상기 중간배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하부배관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 밸브를 구비하는 제2 하부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배관의 제1 및 제2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수면의 사이 공간에 충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처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는 교반조의 수면상에 떠있는 한 쌍의 공기 주 머니와, 한 쌍의 공기 주머니를 서로 연결하여 이동시 저밀도 물질을 상기 호퍼로 이동시키는 연결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레이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20050069198A 2005-07-29 2005-07-29 저밀도 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장치 KR10070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198A KR100701107B1 (ko) 2005-07-29 2005-07-29 저밀도 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198A KR100701107B1 (ko) 2005-07-29 2005-07-29 저밀도 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511A KR20070014511A (ko) 2007-02-01
KR100701107B1 true KR100701107B1 (ko) 2007-03-28

Family

ID=3808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198A KR100701107B1 (ko) 2005-07-29 2005-07-29 저밀도 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1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893A (en) 1979-06-22 1981-01-13 Kubota Ltd Water treating apparatus
JPS57135092A (en) 1981-02-14 1982-08-20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Froth-separation type 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use of deep-layer aerating vessel
JP2000000587A (ja) 1998-06-18 2000-01-07 Japan Steel Works Ltd:The 好気性汚水処理装置
KR20020048581A (ko) * 2000-12-18 2002-06-24 야마모토 히로시 수압을 이용한 오존·산소용해방법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893A (en) 1979-06-22 1981-01-13 Kubota Ltd Water treating apparatus
JPS57135092A (en) 1981-02-14 1982-08-20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Froth-separation type 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use of deep-layer aerating vessel
JP2000000587A (ja) 1998-06-18 2000-01-07 Japan Steel Works Ltd:The 好気性汚水処理装置
KR20020048581A (ko) * 2000-12-18 2002-06-24 야마모토 히로시 수압을 이용한 오존·산소용해방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511A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6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ime slurry for grit removal
BR112013000208B1 (pt) Purificador para a purificação de um fluido como efluentes e métodopara a purificação aeróbica ou anaeróbica de um fluido de efluentes usando umpurificador
JPS6333406B2 (ko)
KR101647341B1 (ko)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JP2007130585A (ja) 活性炭吸着装置
KR101844734B1 (ko) 부상분리식 하폐수처리장치
US57203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manure and sand
JP2015083302A (ja) 排出ノズ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排出ノズル装置を用いた流体の分配方法および処理方法
CA260490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ime slurry for grit removal
CA2591851C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concentration of hydrophobic materials
KR20150029938A (ko) 수처리 장치
KR101807776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가압부상분리장치
KR100701107B1 (ko) 저밀도 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장치
JP2021176627A (ja) 水処理電解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7038195A (ja) 廃液からの浮上油回収方法および回収装置。
JP2006281157A (ja) 気泡式沈殿装置
JP2002263696A (ja) 洗浄処理装置
JP3210936U (ja) 排水処理装置
WO2018087544A1 (en)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KR102234444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US5466369A (en) Liquid circulating device
JP2007021304A (ja) 汚水浄化装置
KR101181800B1 (ko) 하.폐수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20210012431A (ko) 침사분리장치
US7121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ifying a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