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688A -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688A
KR20100129688A KR20100048353A KR20100048353A KR20100129688A KR 20100129688 A KR20100129688 A KR 20100129688A KR 20100048353 A KR20100048353 A KR 20100048353A KR 20100048353 A KR20100048353 A KR 20100048353A KR 20100129688 A KR20100129688 A KR 20100129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aper
pulp
rolling contac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4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타마이
유지 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Publication of KR20100129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2Defibrating by other means of wast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36Guiding mechanisms
    • D21F1/365Guiding mechanisms for controll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scree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과제] 소규모 점포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 고지 펄프를 초지하는 초지 공정을 고장이 적으며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행하는 간소한 구조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구름 접촉 롤러(140)가 고지 펄프(UPP)를 처리 반송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의 망상 벨트(105)에 대하여 텐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구름 접촉함과 아울러, 롤러 요동부(141)가 구름 접촉 롤러(140)를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교차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구름 접촉 롤러(140)가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중립 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구름 접촉 롤러(140)가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를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사행 수정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BELT MEANDERING PREVENTIVE DEVICE OF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PAPER MAKING DEVICE, AND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지(古紙)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되어 발생하는 고지를 폐기 처분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재이용 가능한 종이로 재생 처리하는 집기 사이즈의 소형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벨트 사행 방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관공청이나 일반 기업 등의 각종 사업소의 일상 업무는 물론, 일반 가정의 일상 생활에 있어서도 사용 완료되거나 불필요하게 된 각종 서류, 소위 고지가 발생되고 있다. 이들 고지는 쓰레기로서 폐기되거나 소각되거나 하여 폐기 처분되게 된다.
한편, 한정된 지구 자원의 유효 이용이라는 기운이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는 중이어서 최근 폐기 처분되어 온 고지를 폐기 처분하지 않고 재생 이용하기 위한 기술이 여러가지 개발되고 있다.
이들 고지 재생 기술은 대부분 제지 업계에 있어서 채용 실시되고 있고, 그 고지 재생 설비에는 일반적인 제지 설비와 같이 재생지의 고속 대량 생산과 고품질화를 목적으로 하여 광대한 부지, 막대한 투자, 및 초지에 사용되는 대량의 물이나 약품 등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고지 재생에 있어서는 많은 일손에 의한 고지 회수 작업이 필요하고, 또한 이 고지 회수에는 많은 사람에 의한 이물 혼입, 고지 재생지로의 지식 부족에 의한 분별 불량, 기피품의 제거 부족 등의 문제가 있고, 모처럼 고지를 회수하더라도 이들 고지를 100% 재생지로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전문업자에 의한 재차의 선별이나 세정 등의 작업이 부득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극비 문서 등의 고지는 기밀상의 문제 때문에 고지 회수에 간단히 내놓는 일이 없이 소각 처분되어 버리므로 리사이클화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들 고지 회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지 발생원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재생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유효하고, 이 관점으로부터 본 출원인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고지 재생 장치를 이미 개발하여 제안하고 있다.
이 고지 재생 장치는 고지 재생 공장 등의 대규모의 고지 재생 기술을 소규모 점포나 일반 가정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한 장치 기술로서 실현한 것이며,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고지를 해리(解離)하고 고해(叩解)하여 고지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 이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 및 이들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를 연동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부는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고지 펄프를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공정부, 및 이 초지 공정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공정부를 구비하며, 이들 양 공정부는 상기 고지 펄프를 처리 반송하는 주행 벨트를 갖는 벨트 컨베이어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지는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해리·고해되어서 고지 펄프가 되고, 그 후에 이 고지 펄프는 상기 초지부에 있어서의 벨트 컨베이어의 주행 벨트에 의해 반송되면서 여과 탈수, 압착 탈수 및 가열 건조의 각 공정을 거쳐서 재생지가 된다. 이 경우, 상기 펄프화 단계에서 고지는 섬유 레벨까지 분해되어서 거기에 기재된 문자나 선도는 완전히 분해 소멸되어 복원 불가능하게 되고, 이들 문자나 선도로 구성된 기밀 정보나 개인 정보의 누설·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8-17487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특히 상기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초지부의 벨트 컨베이어 구성을 한층더 개량함으로써 큰 사업소 등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 가정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라는 매우 좁은 고지 처리 공간에 있어서 고지 펄프를 초지하는 초지 공정을 보다 고장이 적고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원활하고 또한 고효율로 행할 수 있는 간소한 구조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는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의 주행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고지 펄프를 처리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부의 주행 벨트에 대하여 텐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는 구름 접촉 롤러, 상기 구름 접촉 롤러를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교차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롤러 요동 수단, 및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을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중립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를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사행 수정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1) 상기 주행 벨트에 대한 상기 구름 접촉 롤러의 구름 접촉 부위는 상기 주행 벨트의 처리 반송 부위의 처리 기능을 간섭하지 않는 부위로 설정된다.
(2) 상기 구름 접촉 롤러는 그 회전 지지축의 양단부가 지지 브래킷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 브래킷이 그 길이 방향 중심 위치에 설치된 지지축에 의해 고정측 지지부에 요동 가능하게 피벗(樞支)된다.
(3) 상기 지지 브래킷은 상기 구름 접촉 롤러를 수평 상태로 지지함과 아울러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상기 고정측 지지부에 피벗된다.
(4)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은 상기 구름 접촉 롤러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의 일단부에 설치된 캠 수단, 및 상기 캠 수단을 캠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한 상기 캠 수단의 캠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 브래킷이 요동되는 구성으로 된다.
(5) 상기 캠 수단은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원판 형상 편심 캠의 형태로 된 구동 캠, 및 상기 지지 브래킷의 일단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구동 캠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맞물리는 맞물림 홈의 형태로 된 종동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캠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 캠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맞물리는 상기 종동 캠을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이 요동되는 구성으로 된다.
(6)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은 상기 구름 접촉 롤러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의 일단에 피벗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는 요동 실린더의 형태로 되고, 상기 요동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돌출 퇴입(退入)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 브래킷이 요동되는 구성으로 된다.
(7) 상기 주행 벨트가 적정 주행 범위를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벨트 검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벨트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중립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를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사행 수정 위치가 되도록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된다.
(8) 상기 롤러 요동 수단에 의한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의 사행 수정 동작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최대 사행 수정 방향 위치를 향하여 점차 이동해 가고,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사행 수정되면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중립 위치로 이동 복귀해서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9) 상기 롤러 요동 수단에 의한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의 사행 수정 동작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최대 사행 수정 방향 위치로 단번에 이동해서 정지되고,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사행 수정되면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중립 위치로 이동 복귀해서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10)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의 주행 벨트는 물과 고지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벨트이다.
(11)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의 주행 벨트는 이전 공정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벨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초지 장치는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물과 고지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 및 이들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탈수 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는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처리 반송하는 주행 벨트를 각각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주행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 사행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벨트 사행 방지 수단은 상기 벨트 사행 방지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지 재생 장치는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고지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고지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 및 이들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를 연동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부는 상기 초지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에 의하면, 구름 접촉 롤러가 고지 펄프를 처리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부의 주행 벨트에 대하여 텐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구름 접촉됨과 아울러, 롤러 요동 수단이 상기 구름 접촉 롤러를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교차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중립 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를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사행 수정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규모 점포나 일반 가정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라는 매우 컴팩트한 장치 구성에 알맞은 소형이며 간소한 구조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가 실현되고, 이것에 의해 초지부의 벨트 컨베이어부의 주행 벨트를 적정 주행 범위 내에서 항상 안정되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매우 좁은 처리 공간에 있어서의 초지 공정을 고장이 적고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원활하고 또한 고효율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큰 사업소 등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 가정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환경에 우수하며 또한 런닝 코스트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밀 정보나 개인 정보 등 각종 정보의 누설·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를 실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고지 재생 장치의 전체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동 고지 재생 장치의 전체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고지 재생 장치의 고해부의 고지 펄프 순환 경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동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동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동 초지부에 있어서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6(a)는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마찬가지로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동 초지부에 있어서의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7(a)는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7(b)는 마찬가지로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동 벨트 사행 방지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동 벨트 사행 방지 장치의 사행 수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동 벨트 사행 방지 장치의 사행 수정 동작시에 있어서의 롤러 요동부와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0(a)는 동 롤러 요동부와 센서부 서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평면도, 도 10(b)는 동 센서부의 검지 동작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평면도이다.
도 11은 동 고지 재생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부에 있어서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의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부재 또는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에 의한 고지 재생 장치가 도 1 ~ 도 11에 나타내어져 있고, 이 고지 재생 장치(1)는 구체적으로는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되어서 발생하는 고지(UP)를 폐기 처분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재이용 가능한 종이로 재생 처리하는 장치로서, 고지(UP)로서는 관공청·일반 기업의 기밀 문서나 일반 가정의 사적 문서 등이며 사용 완료되거나 불필요하게 된 서류가 해당된다.
고지 재생 장치(1)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집기 사이즈, 즉 사무소 내에 배치 사용되는 책장, 로커, 사무 책상, 복사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집기류와 동등한 소형 형상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프 제조부(2), 펄프 농도 조정부(3), 초지부(초지 장치)(4) 및 장치 제어부(제어부)(5)가 주요부로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초지부(4)는 본 발명에 의한 특징 구성인 벨트 사행 방지부(벨트 사행 방지 수단)(10,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장치 구성부(2~5)는 장치 케이스(6) 내에 장치 수용되어서 이루어진 컴팩트 설계로 된다. 이 장치 케이스(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집기 사이즈의 것이며, 구체적인 형상 치수는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장치 케이스(6)는 사무소 등에 배치 사용되는 복사기 정도의 형상 치수를 갖는 거의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로 되고, 장치 케이스(6)의 천판부에는 고지(UP)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7)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측부에는 재생지(RP, RP,…)를 배출하는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배출구(8)의 하부 가장자리 부위에는 배출구(8)로부터 배출되는 재생지(RP,RP,…)를 수취하기 위한 재생지수취 트레이(9)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펄프 제조부(2)는 고지(UP)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고지 펄프를 제조하는 공정 부위이며, 고지(UP)를 교반 파쇄해서 해리하는 해리부(20), 및 이 해리부(20)에서 해리된 고지(UP)를 고해하는 고해부(21)로 이루어진다.
해리부(20)는 고지(UP)를 교반 파쇄해서 해리하는 공정 부위이며, 해리조(25), 교반 장치(26) 및 급수 장치(27)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해리조(2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천정벽에 고지(UP)를 투입 공급하는 상기 투입구(7)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저부벽에 해리된 고지 펄프(UPP)를 하류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구(28)가 형성되어 있다. 해리조(25)의 내부 용적은 한번에 교반 처리해야 하는 고지(UP)의 장수에 따라 설정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98리터의 물을 가수하여 A4판의 PPC(plain paper copier) 고지(UP)를 500장 정도(약 2000g) 한번에 교반 처리(배치 처리)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해리조(25)로 되어 있다. 이 경우의 해리되는 고지 펄프(UPP)의 농도는 2% 정도가 된다. 또한, 이 농도 조정은 급수 장치(27)로부터의 급수에 의해 행해지고, 이 급수 장치(27)는 후술하는 펄프 농도 조정부(3)의 일부를 이룬다.
상기 투입구(7)는 장치 케이스(6)의 케이스 커버(6a)의 외부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배출구(28)는 개폐 밸브(29)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후술하는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28)의 부위에는 고지(UP,UP,…)를 철하고 있었던 클립, 스테이플러침 등의 철하는 기구 등, 다음 공정인 고해 공정에 있어서 장해가 되는 각종 금기품을 제거하기 위한 금기품 필터(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 밸브(29)는 구체적으로는 구동 모터(35)에 의해 크랭크 기구(36)가 크랭크 동작됨으로써 개폐 동작된다. 상기 구동 모터(35)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가 사용되고, 이 구동 모터(35)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교반 장치(26)는 상기 해리조(2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교반 임펠러(40) 및 구동 모터(4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 임펠러(40)는 그 회전축(40a)이 해리조(25)의 저면 중앙 위치에 기립 형상으로 회전 지지되어 수평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40a)의 하단이 전동 풀리(42a), 전동 벨트(42b) 및 전동 풀리(42c)로 이루어진 전동 수단(42)을 통하여 구동 모터(41)의 회전축(41a)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급수 장치(27)는 상기 해리조(25)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펄프 농도 조정부(3)의 고해 농도 조정부(3A)를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급수 장치(2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수 회수조(45), 고해 농도 조정용 급수 펌프(46) 및 초지 농도 조정용 급수 펌프(4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백수 회수조(4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지부(4)에 있어서 여과 탈수되는 백수(W)(초지할 때에 초지망에 의해 여과된 극저농도의 펄프 물)를 회수하는 것이며, 이 백수 회수조(45)로 회수된 백수(W)가 상기 급수 펌프(46)에 의해 상기 해리조(25)로, 또한 상기 급수 펌프(47)에 의해 후술하는 농도 조정조(85)로 각각 공급된다.
또한, 이것에 관련하여 해리조(25)의 저부에는 중량 센서(48)가 설치되어 해리조(25) 내에서 한번에 배치 처리되는 고지(UP,UP,…)와 물의 량을 계측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중량 센서(48)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중량 센서(48)는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해리조(25)의 중량과 이 해리조(25) 내로 투입 공급된 고지(UP,UP,…) 및 물의 중량의 합계 중량을 감지 계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해리부(20)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제어 구성은 우선, 작업자에 의해 투입구(7)가 개방되어 해리조(25)로 고지(UP,UP,…)가 투입되면 그 중량이 상기 중량 센서(48)에 의해 감지 계측되어 소정 중량(장수)이 된 시점에 작업자에게 소리 및/또는 표시에 의해 통지된다. 이 표시에 따라 작업자가 투입구(7)를 폐지하면 상기 급수 장치(27)가 구동되어 급수 펌프(46)에 의해 백수 회수조(45)의 물(W)이 상기 투입된 고지(UP,UP,…)의 중량(장수)에 대응한 양만큼 해리조(25)로 공급된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투입구(7)로부터 해리조(25)로 임의의 양[상기 소정 중량(장수)보다 적은 양]의 고지(UP,UP,…)를 투입한 후에 투입구(7)를 폐지한 경우에도 그 중량이 상기 중량 센서(48)에 의해 감지 계측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 장치(27)가 구동되어 급수 펌프(46)에 의해 상기 계측 결과에 대응한 양의 물(W)이 백수 회수조(45)로부터 해리조(25)로 공급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 500장 정도(약 2000g)의 A4판의 PPC 고지(UP)가 해리조(25) 내로 투입되면 그 시점에 작업자에게 소리 및/또는 표시에 의해 통지되고, 상기 투입구(7)의 폐지 동작에 의해 약 98리터의 물이 급수 장치(27)에 의해 가수되거나, 또는 임의의 양[상기 소정 중량(장수)보다 적은 양]의 고지(UP,UP,…)를 투입한 경우에도 이 고지 투입량에 대응한 양의 물이 급수 장치(27)에 의해 가수되어 해리되는 고지 펄프(UPP)의 농도가 2% 정도가 되도록 제어 조정된다.
그러나, 교반 장치(26)에 있어서 장치 케이스(6)의 투입 개구, 즉 투입구(7)로부터 해리조(25) 내로 투입된 고지(UP,UP,…)는 구동 모터(41)에 의한 교반 임펠러(40)의 정회전·역회전 동작에 의해 급수 장치(27)로부터 공급된 물 속에서 소정시간(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0분~20분 동안)만큼 교반 혼합되고, 이것에 의해 고지(UP,UP,…)는 해리·고해되어 고지 펄프(UPP)가 된다.
또한, 상기 해리조(25)의 배출구(28)는 해리부(20)의 운전시에는 상기 개폐 밸브(29)에 의해 폐지되어 해리조(25)로부터 고지(UP)나 고지 펄프(UPP)가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는 한편, 후술하는 고해부(21)의 운전시에는 개폐 밸브(29)에 의해 투입구(7)가 개구되어 해리조(25)로부터 고지 펄프(UPP)가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로 유입 및 순환 회류되는 것이 허용된다.
고해부(21)는 상기 해리부(20)에서 해리된 고지(UP)를 고해하는 공정 부위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해리부(20)에서 해리된 고지(UP)를 가압 고해함과 아울러, 고지(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각종 인쇄 기술에 의해 고지(UP) 상에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한 인쇄 잉크, 또는 연필, 볼펜 또는 만년필 등의 필기 도구에 의해 고지(UP) 상에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한 잉크 등이 포함됨]를 마쇄 미세화(마이크로 섬유화)하는 것이다.
이 고해부(21)는 마쇄기(50)를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마쇄기(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회전 구동되는 한쌍의 고해 원반(51,52)을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한쌍의 고해 원반(51,52)은 고해 작용면(51a,52a)을 미소한 고해 간극(G)을 가지고 동심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쇄기(50)의 고해 작용면(51a,52a)의 고해 간극(G)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해 공정의 초기용 마쇄기(50)로부터 종기용 마쇄기(50)를 향해서 점차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해부(21)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대의 마쇄기(50)가 배치되어 이루어진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고지 펄프(UPP)가 마쇄기(50)를 통하여 소정 시간 순환되면서 고해 처리되는 순환식으로 되어 있다.
이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의한 고해 공정의 실행에 의해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6) 내라고 하는 작고 좁은 공정 공간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길이에 제한이 없는 무한 길이의 고지 펄프 고해 공정 경로가 형성되게 되고, 대규모 장치에 있어서의 고해 공정에 필적하는 고해 공정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목적에 따라 최적의 고해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1대의 마쇄기(50)가 고해 공정의 전체 공정을 통해서 고해 처리를 행하는 것에 관련하여, 이 1대의 마쇄기(50)가 고해 공정의 초기용 마쇄기로부터 종기용 마쇄기까지의 복수대의 마쇄기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마쇄기(50)의 고해 작용면(51a,52a)의 고해 간극(G)이 고해 공정의 초기로부터 종기를 향해서 점차 좁아지도록 제어 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마쇄기(5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케이스(6)를 구성하는 장치 기체(54)에 상기 해리부(20)의 해리조(25)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리부(20)의 해리조(25)에 연통 가능한 고해조(55), 이 고해조(55) 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한쌍의 고해 원반(51,52), 이들 한쌍의 고해 원반(51,52)을 상대적으로 회전 동작시키는 회전 구동원(56), 및 한쌍의 고해 원반(51,52)의 고해 간극(G)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 수단(57)을 구비한다.
고해조(55)는 상기 한쌍의 고해 원반(51,52)을 수납할 수 있는 밀폐형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류측으로부터의 고지 펄프(UPP)를 공급하는 공급구(55a) 및 고해된 고지 펄프(UPP)를 하류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구(55b)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급구(55a)는 고해조(55)의 저부 중앙부에 상하 방향을 향해서 개구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55b)는 고해조(55)의 원통 측부에 수평 방향을 향해서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급구(55a) 및 배출구(55b)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순환용 배관(49a,49b)을 통하여 상기 해리부(20)의 해리조(25)에 연통 가능하게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55b)는 또한 배출용 배관(59)을 통하여 고지 펄프 회수조(60)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61은 방향 전환 밸브를 나타내고 있고, 이 방향 전환 밸브(61)의 전환 동작에 의해 배출구(55b)로부터 배출되는 고지 펄프(UPP)는 선택적으로 상기 해리조(25)로 환류되거나 또는 고지 펄프 회수조(60)로 회수된다. 방향 전환 밸브(61)는 구체적으로는 전자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고해 원반(51,52)은 그 한쪽이 회전 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설치된 고정측 고해 원반으로 됨과 아울러 다른쪽이 회전 가능한 회전측 고해 원반으로 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측의 고해 원반(51)이 회전측으로 됨과 아울러 하측의 고해 원반(52)이 고정측으로 되어 이루어지고, 이 하측의 고정측 고해 원반(52)에 대하여 상측의 회전측 고해 원반(51)이 미소한 고해 간극(G)을 가지고 동심상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측 고해 원반(51)은 장치 기체(54)의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회전 주축(64)을 통하여 구동 모터(5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 주축(64)은, 구체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간극 조정 수단(57)의 승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상기 회전측 고해 원반(51)이 동심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장착됨과 아울러, 그 기단부가 상기 구동 모터(56)의 회전축에 회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또한 축선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동 연결되어 있다.
회전 구동원인 상기 구동 모터(56)는 상기 한쌍의 고해 원반(51,52)을 상대적으로 회전 동작시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가 사용되고, 이 구동원인 구동 모터(56)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미소한 고해 간극(G)을 형성하는 양 고해 원반(51,52)의 대향면(51a, 52a)끼리는 협동하여 고해 작용면을 형성한다. 이들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51a, 52a)은 다수의 지립이 결합재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 숫돌면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 고해 작용면(51a,52a)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직경 치수가 서로의 대향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며, 최외주 가장자리부가 서로 평행한 환상 평탄면으로 되고, 이들 환상 평탄면이 상기 고해 간극(G)을 형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상기 한쌍의 고해 원반(51,52)에 있어서 고정측 고해 원반(52)의 고해 작용면(52a)의 중심 부위에 상기 고해조의 공급구(55a)에 동축상으로 연통되는 입구(7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한쌍의 고해 원반(51,52)의 고해 작용면(51a,52a)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2개의 환상 평탄면이 상기 고해조(55)의 배출구(55b)에 연통되고 또한 상기 고해 간극(G)을 갖는 출구(7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회전측 고해 원반(51)의 외주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72, 72,…)가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고, 이들 블레이드(72, 72,…)는 회전측 고해 원반(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구(71)로부터 배출되는 고지 펄프(UPP)를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고해조(55)의 배출구(55b)를 향해서 압출하는 펌프 작용을 한다.
그러나, 구동원인 구동 모터(56)에 의해 회전측 고해 원반(51)이 고정측 고해 원반(52)에 대하여 회전 구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20)의 해리조(25)로부터 고해조(55)의 공급구(55a), 입구(70)를 통하여 고해 공간(B)으로 공급되는 고지 펄프(UPP)는 상기 입구(70)로부터 고해 공간(B)으로 유입되고, 이 고해 공간(B)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고해 작용면(51a,52a)에 의한 가압 고해 작용을 받음과 아울러 고지(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고, 이 후 상기 출구(71)로부터 고해조(55)의 배출구(55b)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출구(71)로부터 배출될 때에 고지 펄프(UPP)는 상기 고해 간극(G)을 갖는 출구(71)의 부위에서 더욱 가압 고해 작용을 받고, 이 고해 간극(G)에 의해 규정되는 소정의 미크론 사이즈까지 미세화(마이크로 섬유화)되게 된다.
이 점에 관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1대의 마쇄기(50)가 배치되어 이루어진 순환식 고해 공정(도 3 참조)이 채용되는 것에 관련하여, 즉 상기 1대의 마쇄기(50)가 고해 공정의 초기용 마쇄기로부터 종기용 마쇄기까지의 복수대의 마쇄기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에 관련하여 이 마쇄기(50)의 고해 간극(G)이 간극 조정 수단(57)에 의해 고해 공정의 초기로부터 종기를 향해서 점차 좁아지도록 제어 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간극 조정 수단(57)은, 구체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한쌍의 고해 원반(51,52)을 회전 축선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이들 고해 원반(51,52)의 고해 간극(G)을 제어 조정하는 구성으로 되고, 회전측 고해 원반(51)을 회전 축선 방향, 즉 회전 주축(64)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도시 생략), 및 이 이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원(66)이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구동원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가 사용되고, 이 구동 모터(66)는 상기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동 모터(6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 수단을 통하여 상기 회전 주축(64)이 승강 동작하고, 이것에 의해 회전 주축(64)과 일체인 회전측 고해 원반(51)이 고정측 고해 원반(52)에 대하여 상하 방향, 즉 회전 축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양 고해 원반(51,52)의 고해 간극(G)이 제어 조정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회전측 고해 원반(51)의 승강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되고, 이 위치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66)가 구동 제어된다. 상기 위치 검출 센서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간극 조정 수단(57)에 의한 고해 원반(51,52)의 고해 간극(G)의 제어 조정은, 도 3에 나타낸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있어서의 순환식 고해 공정에 있어서 순환 수단인 순환 펌프(69)와 서로 연동하여 행해진다.
즉, 도 3에 있어서 해리부(20)에 의해 해리 처리된 고지 펄프(UPP)는 상기 순환 펌프(69)에 의해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서 순환되면서 상기 마쇄기(50)에 의한 고해 공정이 실행되고, 이때 마쇄기(50)의 고해 작용면(51a,52a)의 고해 간극(G)은 간극 조정 수단(57)에 의해 고해 공정의 초기로부터 종기를 향해서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상기 해리부(20)의 해리조(25)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관련하여 상기 고해 공정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20)의 교반 장치(26)가 구동 제어되어 해리부(20)가 고해부(21)와 동시에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순환식 고해 공정에 있어서는 해리조(25)로부터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로 고지 펄프(UPP)가 유출되는 한편, 마쇄기(50)에 의한 고해를 거친 고지 펄프(UPP)가 해리조(25)로 유입되게 되고, 해리조(25) 내에서는 고해도가 다른 고지 펄프(UPP)가 혼재되므로 교반 장치(26)에 의한 교반 작용에 의해 해리조(25) 내의 고지 펄프(UPP)의 고해도가 균일화되어서 고해 처리의 촉진화가 도모된다.
상기 고지 펄프 회수조(60)는 고해부(21)에 의해 소정의 사이즈까지 고해 미세화된 고지 펄프(UPP)를 회수하는 부위이며, 여기에 회수된 고지 펄프(UPP)는 다음 공정인 초지 공정을 행하는 초지부(4)로 이송되기 전에 펄프 농도 조정부(3)에 의해 재생해야 할 재생지(RP)의 완성된 페이퍼 품질(finished paper quality)에 대응한 초지 농도로 혼합 조정된 펄프 현탁액(PS)으로 된다.
상기 펄프 농도 조정부(3)는 장치에 투입되는 고지(UP)와 물(W)의 혼합 비율을 중량 측정에 의해 조정하여 상기 초지부(4)로 공급되는 고지 펄프(UPP)의 농도를 조정하는 중량식의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해 농도 조정부(3A), 초지 농도 조정부(3B) 및 펄프 농도 제어부(3C)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고해 농도 조정부(3A)는 펄프 제조부(2)에 있어서의 고지 펄프(UPP)의 고해 농도를 고해부(21)에 의한 고해 효율에 대응하여 조정하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 장치(27)의 고해 농도 조정용 급수 펌프(46)와 고해 농도 제어부(75)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고해 농도 조정부(3A)의 급수 펌프(46)에 의한 백수(W)의 공급량은, 예를 들면 상기 교반 장치(26)에 의해 해리·고해된 고지 펄프(UPP)의 고해 농도가 다음 공정인 고해 공정을 실행하는 고해부(21)의 마쇄기(50)의 고해 능력에 허용되는 최대 농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2% 정도의 고해 농도가 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고해 농도 제어부(7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량 센서(48)로부터의 계측 결과에 따라 해리조(25)에 필요량의 물(W)을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 펌프(46)를 구동 제어한다. 이 고해 농도 제어부(7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치 제어부(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초지 농도 조정부(3B)는 초지부(4)에 있어서의 고지 펄프(UPP)의 초지 농도를 재생해야 할 재생지(RP)의 완성된 페이퍼 품질에 대응한 적정 농도로 조정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UPP)의 농도를 구분 형식으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되고, 구분 추출부(80), 현탁액 조제부(81) 및 초지 농도 제어부(82)를 주요부로서 구비한다.
구분 추출부(80)는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UPP)의 전량으로부터 소정의 적은 분량만큼 구분 추출하는 것이며, 고지 펄프 회수조(60)의 고지 펄프(UPP)를 추출하여 농도 조정조(85)로 이송하는 구분 추출용 고지 펄프 공급 펌프(8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현탁액 조제부(81)는 상기 구분 추출부(80)에 의해 구분 추출된 소정의 적은 분량의 고지 펄프(UPP)에 대하여 농도 조정용 물(W)을 소정량만큼 가수함으로써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을 조제하는 것이며, 상술한 급수 장치(27)의 급수 펌프(47)를 주요부로서 구비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농도 조정조(85)의 저부에는 상술한 해리조(25)의 경우와 같이, 로드셀로 이루어진 중량 센서(87)가 설치되어 있고, 농도 조정조(85) 내로 공급되는 고지 펄프(UPP)와 농도 조정용 물(W)의 양을 계측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며, 상기 중량 센서(87)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초지 농도 제어부(82)는 상기 구분 추출부(80) 및 현탁액 조제부(81)를 연동하여 제어하는 것이며 장치 제어부(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이하의 초지 농도 조정 공정을 실행하도록 상기 구분 추출부(80) 및 현탁액 조제부(81)의 펌프(86,47)를 연동하여 제어한다.
즉, 우선 상기 고해부(21)로부터 고지 펄프 회수조(60)로 회수되는 고지 펄프(UPP)의 전체량[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2000g의 고지(UP) + 100L의 물(W)]으로부터 고지 펄프 공급 펌프(86)에 의해 소정 분량(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L)의 고지 펄프(UPP)가 구분되어서 농도 조정조(85)로 이송 수용된다. 그러면, 그 중량이 상기 중량 센서(87)에 의해 감지 계측되고, 그 결과는 장치 제어부(5)로 송신된다.
이어서, 이 구분된 고지 펄프(UPP)의 소정 분량에 대응하여 급수 펌프(47)에 의해 백수 회수조(45)로부터 농도 조정조(85)로 희석용 물(W)이 소정량[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9L(실제로는 상기 중량 센서(87)의 중량 계측에 의함)]만큼 급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농도 조정조(85) 내에 있어서 고해 농도(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의 고지 펄프(UPP)가 물(W)과 혼합 희석되어서 소정 농도[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0.2% 농도(목표농도)]의 펄프 현탁액(PS)이 혼합 조제된다.
또한, 이 조제되어야 할 펄프 현탁액(PS)의 목표 농도는 미리 행한 실험 데이터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초지부(4)에 있어서의 초지 능력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약 0.2% 농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농도 조정조(85)에서 목표 농도의 초지 농도(0.2%)로 조제된 펄프 현탁액(PS)은 제 1 현탁액 공급 펌프(88)에 의해 농도 조정조(85)로부터 펄프 공급조(89)로 이송 공급되어 다음 공정의 초지부(4)를 위해 대기(待機) 저류된다. 이후, 이 초지 농도 조정 공정은 고지 펄프 회수조(60)의 고지 펄프(UPP)의 전체량에 대해서 동일하게 반복 실행된다. 상기 펄프 공급조(89)에는 펄프 현탁액(PS)을 초지부(4)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9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펄프 공급조(89) 내에는 교반 장치(9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교반 장치(91)의 교반 작용에 의해 대기 저류되는 펄프 현탁액(PS) 전체의 초지 농도가 일정값으로 균일화되어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지 농도 조정부(3)에 의한 농도 조정이 전체량 일괄식이 아니라 구분 형식, 즉 조금씩 배출하는 형식으로 행해짐으로써 사용 물량이 대폭 감소될뿐만 아니라 농도 조정조(85)의 형상 치수의 대폭적인 축소화도 가능해 지고 더욱더 고지 재생 장치(1) 전체의 컴팩트화가 도모될 수 있다.
펄프 농도 제어부(3C)는 상기 고해 농도 조정부(3A) 및 초지 농도 조정부(3B)를 연동하여 구동 제어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고해 농도 조정부(3A)의 고해 농도 제어부(75)로부터의 펄프 농도 제어 정보[고지(UP)의 투입량, 해리조(25)로의 급수량, 고지 펄프(UPP)의 고해 농도 등]를 수신하여 이 제어 정보에 따라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UPP)의 농도를 목표값(초지 농도)으로 하기 위한 초지 농도 제어 정보[고지 펄프(UPP)의 목표 초지 농도, 고지 펄프 회수조(60)로부터의 고지 펄프(UPP)의 구분 추출량, 농도 조정조(85)로의 급수량 등]를 초지 농도 조정부(3B)의 초지 농도 제어부(82)로 송신하고, 이것에 의해 상술한 초지 농도 조정 공정을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초지부(4)는 상기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UPP)를 초지하여 재생지(RP)를 제조하는 공정 부위이며,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 탈수 롤부(96)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를 주요부로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에는 상술한 벨트 사행 방지부(벨트 사행 방지 수단)(10 및 1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UPP)를 처리 반송하는 주행 벨트로서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를 각각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주행 벨트(105,145)는 상기 벨트 사행 방지부(10 및 11)에 의해 사행이 방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는 상기 펄프 제조부(2)의 펄프 공급조(89)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물(W)과 고지 펄프(UPP)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PS)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부위이며, 초지 컨베이어(100)와 펄프 공급부(101)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초지 컨베이어(100)는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면서 반송하는 것이며, 상기 펄프 현탁액(PS)을 여과 탈수하는 무수한 망눈으로 이루어진 초지망 구조의 망상 벨트(105)가 그 주행 방향을 향해서 직선상으로 주행하는 배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초지 컨베이어(100)는 펄프 현탁액(PS)을 초지하면서 반송 주행하는 무단 벨트의 형태로 된 상기 망상 벨트(105), 및 이 망상 벨트(105)를 주행구동하는 구동 모터(10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망상 벨트(105)를 구성하는 초지망 구조의 판재는 펄프 현탁액(PS)이 상기 초지망 구조의 무수한 망눈에 의해 적정하게 여과 탈수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일반적으로, 「나일론」(등록 상표)이라고 불림] 또는 스테인리스강(SUS) 등의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열성이 우수한 PET제 망상 벨트(105)로 되어 있다.
망상 벨트(105)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롤러(107), 탈수 롤부(96), 구동 롤러(108) 및 벨트 사행 방지부(10)를 통하여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懸架)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롤러(107)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10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망상 벨트(105)에 있어서의 초지 공정 길이는 상기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6) 내에 있어서의 망상 벨트(105)의 상측 주행 방향 길이[도시된 경우에는 도 1에 있어서의 펄프 공급부(101)로부터 탈수 롤부(96)까지의 좌우측 방향 길이]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속도는 초지 공정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0.1m/분~1m/분으로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0.2m/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종래의 고지 재생 공장 등의 대규모 공장에서의 이 종류의 초지 벨트의 주행 속도는 적어도 100m/분 이상으로 설정되고, 빠른 것은 1000m/분을 훨씬 상회하는 속도로 설정된다.
망상 벨트(105)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 그 주행 방향을 향해서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또한 직선상으로 주행하는 배치 구성으로 되어 한정된 설치 공간에 있어서의 초지 공정 길이의 가급적 연장이 도모됨과 아울러, 망상 벨트(105)의 초지망 구조와의 관계에서의 여과 탈수율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상기 망상 벨트(105)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 모터(106)는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이며,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 모터(106)는 후술하는 탈수 롤부(96)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의 주행 구동원으로서도 공용된다.
펄프 공급부(101)는 상기 망상 벨트(105) 상에 상기 펄프 제조부(2)로부터의 펄프 현탁액(PS)을 공급하는 부위이며, 구체적인 구조에 관해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 펄프 공급부(101)에 의해 펄프 현탁액(PS)이 상기 망상 벨트(10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펄프 공급부(101)는 상기 초지 컨베이어(100)의 초지 공정 개시단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90)에 의해 상기 펄프 공급조(89)로부터 펄프 공급부(101)로 공급되는 펄프 현탁액(PS)은 이 펄프 공급부(101)에서 소정량만큼 저류되고, 그 체류 작용에 의해 망상 벨트(10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된다. 이 망상 벨트(10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된 펄프 현탁액(PS)은 망상 벨트(105)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주행 작용에 의해 망상 벨트(105)와 함께 반송되면서 망상 벨트(105)의 망눈에 의한 자체 중량 여과 작용을 받아 탈수되어서 습지(RP0)(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함수율 90~85%)가 된다.
이 망상 벨트(105)에 의해 여과 탈수된 백수(W)(초지할 때에 초지망에 의해 여과된 극저농도의 펄프 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 장치(27)의 백수 회수조(45)로 회수된다.
탈수 롤부(96)는 상술한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와 후술한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를 압착 탈수하는 부위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류측의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의 후술하는 평활면 벨트(145)와 상류측의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의 망상 벨트(105)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적층 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들 평활면 벨트(145)와 망상 벨트(105)의 상하 인접 부분이 상기 연계부로 되고, 이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96)가 이들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협압(挾壓) 상태로 구름 이동 압착하여 탈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탈수 롤부(96)는 적어도 예비 탈수 롤부(96A) 및 본 탈수 롤부(96B)를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시의 탈수 롤부(96)는, 도 1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 탈수 롤부(96A), 본 탈수 롤부(96B), 및 보조 수단으로서의 각도 규정 롤부(96C)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예비 탈수 롤부(96A)는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를 예비적으로 압착 탈수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망상 벨트(105)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되는 예비 탈수 롤(120), 및 이 예비 탈수 롤(120)에 대하여 상기 평활면 벨트(145)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는 예비 프레스 롤(121)로 이루어진 예비 압착 롤쌍(12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예비 탈수 롤(120) 및 예비 프레스 롤(121)로 이루어진 예비 압착 롤쌍(122)에 의해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는 상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예비 압력을 가지고 협압 상태로 구름 이동 압착되어서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예비적으로 탈수 제거된다.
이 경우의 예비 압력, 즉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를 예비적으로 압착 탈수하는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의 예비 압착력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습지(RP0)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탈수후의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의 함수율이 80~75%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예비 압착력이 설정되어 있다.
본 탈수 롤부(96B)는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에서 예비 탈수된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를 본 압착 탈수하여 소정 함수율의 건지(재생지)(RP)로 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망상 벨트(105)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되는 본 탈수 롤(125), 및 이 본 탈수 롤(125)에 대하여 상기 평활면 벨트(145)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는 본 프레스 롤(126)로 이루어진 본 압착 롤쌍(127)의 세트를 적어도 1세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본 탈수 롤(125) 및 본 프레스 롤(126)로 이루어진 본 압착 롤쌍(127)에 의해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본 압력을 가지고 협압 상태로 구름 이동 압착되어서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최종적으로 탈수 제거되어 소정의 함수율의 건지, 즉 재생지(RP)가 된다.
이 경우의 본 압력, 즉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를 본 압착 탈수하는 상기 본 탈수 롤부(96B)의 본 압착력은 예비 탈수된 습지(RP0)에 대하여 확실하게 소정의 탈수 효과가 얻어지는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탈수후의 망상 벨트(105) 상의 건지(재생지)(RP)의 함수율이 70~65%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들 탈수 롤부(96)에 있어서의 롤(120,121,125,126)은, 구체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어 기구로 이루어진 구동 연결 수단에 의해 단일의 구동 모터(106)에 구동 연결되어서 모든 롤(120,121,125,126)이 서로 연동하여 회전 구동된다.
이 경우, 이들 롤(120,121,125,126)은 그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협압 상태로 구름 이동 압착되는 망상 벨트(105), 평활면 벨트(145)의 접촉면[망상 벨트(105)의 하면 및 평활면 벨트(145)의 상면]에 대하여 상하의 롤(120,125)의 외주면과 롤(121,126)의 외주면이 서로 약간의 회전 속도차를 가지고 각각 구름 이동 접촉되도록 회전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의 예비 및 본 프레스 롤(121,126)의 회전 속도가 하측의 예비 및 본 탈수 롤(120,125)의 회전 속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속도가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속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수 롤부(96)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0)가 하측의 망상 벨트(105)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의 하면으로 전사 이전될 때에 습지(RP0)에 텐션이 가해져 습지(RP0)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각도 규정 롤부(각도 규정 수단)(96C)는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 및 본 탈수 롤부(96B)에 의한 압착 탈수 작용을 보조하여 유효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예비 탈수 롤부(96A)로 삽통되는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 사이의 경사 각도를 규정한다.
각도 규정 롤부(96C)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로 삽통되는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 사이의 경사 각도를 규정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망상 벨트(105)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되어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에 대한 망상 벨트(105)의 삽입 각도를 규정하는 망상 벨트 안내 롤(130), 및 상기 평활면 벨트(145)에 상측으로부터 구름 접촉되어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에 대한 평활면 벨트(145)의 삽입 각도를 규정하는 평활면 벨트 안내 롤(131)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평활면 벨트 안내 롤(1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의 평활면 벨트(145)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 사행 방지부(11)의 구름 접촉 롤러(140a)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망상 벨트 안내 롤(130)에 의해 예비 탈수 롤부(96A)에 대한 망상 벨트(105)의 삽입 각도가 규정됨과 아울러 상기 평활면 벨트 안내 롤(131)에 의해 예비 탈수 롤부(96A)에 대한 평활면 벨트(145)의 삽입 각도가 규정됨으로써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가 간접적으로 소정의 범위 내로 설정되게 된다.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는 예비 탈수 롤부(96A)에 의한 예비 탈수 작용에 의해 습지(RP0)에 함유되는 수분이 예비 탈수 롤부(96A)의 상류측에 다량으로 착출(搾出)될 때, 이 착출된 다량의 수분이 습지(RP0)에 재흡수되어서 습지(RP0)가 다시 슬러리화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도록 설정된다.
즉, 예비 탈수 롤부(96A)의 예비 탈수 롤(120)과 예비 프레스 롤(121)에 의해 상면에 습지(RP0)를 배치한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협압 상태로 구름 이동 압착되면 습지(RP0)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은 양 롤(120,121)의 상류측으로 착출된다.
이 경우,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α)가 크다고 하면 양 롤(120,121)의 상류측 근방 위치에 있어서는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가 하측의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에 대하여 격리된 상태가 되고, 이 때문에 착출된 상기 습지(RP0)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수분의 일부가 습지(RP0)에 다시 흡수되어서 습지(RP0)가 다시 슬러리화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α)가 작다고 하면 양 롤(120,121)의 상류측 근방 위치에 있어서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가 하측의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에 압착된 상태가 되고, 이 때문에 상기 습지(RP0)로부터 착출된 수분 모두가 상기 망상 벨트(105)를 통하여 하측으로 낙하되어 습지(RP0)에 재흡수되지 않아 습지(RP0)의 재슬러리화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α)는 각종 시험의 결과, 바람직하게는 1~20°로 설정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7°로 설정되며,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5°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106)의 구동에 의해 탈수 롤부(96)에 있어서의 예비 탈수 롤부(96A) 및 본 탈수 롤부(96B)의 각 롤(120,121,125,126)이 회전되고, 우선 예비 탈수 롤부(96A)에 있어서의 예비 압착 롤쌍(122)에 의해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예비 압력을 가지고 협압 상태로 구름 이동 압착되어서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예비적으로 탈수 제거된다[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습지(RP0)의 함수율은 90~85%에서 80~75%로 감소됨].
이어서, 본 탈수 롤부(96B)에 있어서의 본 압착 롤쌍(127)에 의해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본 압력을 가지고 협압 상태로 구름 이동 압착되어서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0)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최종적으로 탈수 제거되어서 소정 함수율의 건지, 즉 재생지(RP)로 된다[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함수율 80~75%의 습지(RP0)가 함수율 70~65%의 건지(RP)가 됨]. 이 일련의 공정에 의해 습지(RP0)로부터 압착 탈수된 백수(W)는 급수 장치(27)의 백수 회수조(45)로 회수된다.
상기 탈수 롤부(96)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0)는 탈수 롤부(96)의 하류측 부위에 있어서 하측의 망상 벨트(105)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의 하면으로 전사 이전되고 평활면 벨트(145)와 함께 반송되어서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에 의한 건조 공정이 실시된다.
또한, 상기 이전 작용은 평활면 벨트(145)의 평활면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하측의 망상 벨트(105)의 표면이 미세한 연속 기공이 다수 개구되어 이루어진 미세 요철면인 것에 대하여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의 표면이 구멍이 없는 평활면이며, 이 결과 약간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습지(RP0)가 상기 평활면 벨트(145)의 표면과의 사이의 표면 장력에 의해 흡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벨트 사행 방지부(10)는 상기 망상 벨트(105)의 사행을 방지하는 것이며, 구름 접촉 롤러(140), 롤러 요동부(롤러 요동 수단)(141), 벨트 사행 검지부(벨트 검지 수단)(142), 롤러 위치 검지부(롤러 검지 수단)(143) 및 사행 제어부(제어 수단)(144)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름 접촉 롤러(140)는 상기 망상 벨트(105)에 대하여 텐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고, 구체적으로는 1개의 구름 접촉 롤러(140)가 상기 망상 벨트(105)의 처리 반송 부위의 처리 기능을 간섭하지 않는 부위에 구름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상 벨트(105)에 있어서 구동 롤러(107)와 구동 롤러(108) 사이의 하측 부위, 즉 펄프 현탁액(PS)을 여과 탈수 처리하여 습지(RP0)로 하는 초지 공정을 완료한 후의 귀환 공정을 구성하는 부위에 1개의 구름 접촉 롤러(140)가 구름 접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는 중공 원통형의 금속제이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회전 지지축(150)의 양단부(150a,150b)가 베어링(151,151)을 통하여 지지 브래킷(1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이 지지 브래킷(152)이 그 길이 방향 중심 위치에 고정 설치된 지지축(153)를 통하여 고정측 지지부(154)에 수평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케이스(6)를 구성하는 장치 기체(54)의 지지 프레임(54a,54b)이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설치되고, 이들 양 지지 프레임(54a,54b)에 상기 고정측 지지부(154)를 구성하는 지지 프레임이 교락(橋絡) 형상으로 장착 고정되고, 이 고정측 지지부(154)의 베어링부(154a)에 상기 지지 브래킷(152)의 지지축(153)이 회전 가능하게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브래킷(1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가, 상기 지지축(153)을 요동 중심으로 해서 수평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름 접촉 롤러(140)로서는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롤러가 사용되며, 도시된 실시형태의 구름 접촉 롤러(140)는 스테인리스강제의 중공 원통 롤러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가 상기 망상 벨트(105)에 대하여 텐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구름 접촉되어 있음으로써 구름 접촉 롤러(140)의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자세를 제어 조정함으로써 구름 접촉 롤러(140)와 망상 벨트(105)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후술하는 망상 벨트(105)의 사행 방지 또는 수정 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도 9를 참조하여 구름 접촉 롤러(140)가 통상 상태, 즉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름 접촉 롤러(140)의 회전 축선, 즉 회전 지지축(150)의 축심(X150)이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A)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중립 위치를 유지하는 경우, 구름 접촉 롤러(140)는 망상 벨트(105)를 구름 이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 롤러로서 기능한다.
또한, 구름 접촉 롤러(140)의 회전 축선(X150)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A)에 대하여 수직인 중립 위치[도 9(a)의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경사진 좌경사 위치에 있는 경우, 구름 접촉 롤러(140)는 망상 벨트(105)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망상 벨트(105)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여 좌측 방향으로의 사행 수정 작용을 한다.
마찬가지로, 구름 접촉 롤러(140)의 회전 축선(X150)이,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A)에 대하여 수직인 중립 위치[도 9(a)의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경사진 우경사 위치에 있는 경우, 구름 접촉 롤러(140)는 망상 벨트(105)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망상 벨트(105)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여 우측 방향으로의 사행 수정 작용을 한다.
롤러 요동부(141)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를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교차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이며, 요동 캠 기구(캠 수단)(160), 및 이 요동 캠 기구(160)을 캠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구동원)(161)로 구성되어 있다.
요동 캠 기구(16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5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구동 모터(161)에 의해 회전 캠 동작되는 회전 캠의 형태로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요동 캠 기구(160)는 상기 구동 모터(161)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구동 캠(160a), 및 상기 지지 브래킷(152)의 일단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구동 캠(160a)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맞물리는 맞물림 홈의 형태로 된 종동 캠(160b)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캠(160a)은 구동 모터(161)의 회전축(161a)에 원판 형상 캠이 편심 상태로 장착 고정되어 이루어진 원판 형상 편심 캠의 형태로 됨과 아울러, 종동 캠(160b)은 이 구동 캠(160a)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맞물리는 U자 형상의 맞물림 홈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161)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가 사용되며, 이 구동 모터(161)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161)의 구동에 의한 구동 캠(160a)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 구동 캠(160a)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맞물리는 종동 캠(160b)을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152), 또한 구름 접촉 롤러(14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것에 의해 구름 접촉 롤러(140)가 도 9(a) ~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세를 취함으로써 후술하는 망상 벨트(105)의 사행 수정 작용을 이룬다.
이것에 관련하여, 망상 벨트(105)의 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상기 벨트 사행 검지부(142), 및 구름 접촉 롤러(140)의 자세를 검지하는 상기 롤러 위치 검지부(143)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 사행 검지부(142)는 망상 벨트(105)가 적정 주행 범위를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상 벨트(105)가 구동 롤러(107)를 통과한 하류측 위치에 있어서 한쌍의 검지 센서(142a,142b)가 상기 망상 벨트(105)의 폭 방향 양측의 하방 위치에 각각 상향 배치되어 이루어진다(도 6의 2점 쇄선 참조).
이들 한쌍의 검지 센서(142a,142b) 사이에 놓인 망상 벨트(105)의 폭 방향 범위는 망상 벨트(105)의 적정 주행 범위를 규정하고 있고, 이 적정 주행 범위는 망상 벨트(105)가 펄프 현탁액(PS)을 여과 탈수 처리하여 습지(RP0)로 하는 초지 공정을 원활하게 또한 확실하게 안정시켜 실행할 수 있을 정도의 사행 허용 범위로 설정되며, 구체적으로는 실제로 초지 공정을 시험적으로 행하여 적정 주행 범위가 설정된다.
검지 센서(142a,142b)로서는 비접촉형 위치 검출 센서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사형 포토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검지 센서(142a,142b)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망상 벨트(105)가 이들 한쌍의 검지 센서(142a, 142b) 사이를 주행하고 있을 때, 즉 망상 벨트(105)가 적정 주행 범위 내를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어느 검지 센서(142a,142b)도 망상 벨트(105)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는다. 또한, 망상 벨트(105)가 좌측으로 과도하게 벗어나 사행되면 좌측의 검지 센서(142a)가 망상 벨트(105)의 존재를 검지하고, 한편 망상 벨트(105)가 우측으로 과도하게 벗어나 사행되면 우측의 검지 센서(142b)가 망상 벨트(105)의 존재를 검지하여 그 검지 신호를 제어 신호로서 장치 제어부(5)로 송신한다.
롤러 위치 검지부(143)는 구름 접촉 롤러(140)의 자세, 즉 구름 접촉 롤러(140)의 축심(X150)이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A)에 대하여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를 검지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캠(160a)와 관련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롤러 위치 검지부(143)는 상기 지지 프레임(154)에 있어서의 구동 캠(160a)과 동축, 즉 구동 모터(161)의 회전축(161a)에 구동 캠(160a)의 회전 방향 위치와 관련하여 고정된 회전자(143a), 및 이 회전자(143a)의 회전 방향 위치로부터 구동 캠(160a)의 회전 방향 위치, 즉 구름 접촉 롤러(140)의 자세를 검지하는 3개의 검지 센서(143b,143c,143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143a)는 원판 형상 편심 캠의 형태로 된 구동 캠(160a)의 회전 방향 위치와 관련된 반원 형상 평판의 형태로 되고, 이 반원 형상 평판(143a)의 직선 가장자리부 양단에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노치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3개의 검지 센서(143b,143c,143d)는 상기 회전자(143a)에 대하여,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자(143a)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라 90°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3개의 검지 센서(143b,143c,143d)로서는 비접촉형 위치 검출 센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과형 포토 인터럽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검지 센서(143b,143c,143d)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회전자(143a)가 검지 센서(143b,143c, 143d)에 대하여 도 10(b)의 실선으로 나타낸 회전 방향 위치에 있을 때에 구름 접촉 롤러(140)는 도 9(a)에 나타낸 중립 위치[도 10(a)의 실선 위치]에 있으며, 이때 중앙 위치의 검지 센서(143c)만이 회전자(143a)를 검지하여 그 검지 신호를 제어 신호로서 장치 제어부(5)로 송신한다. 한편, 양측의 검지 센서(143b,143d)는 회전자(143a)를 검지하지 않는다[검지 센서(143b,143d)는 회전자(143a)의 상기 노치부에 의해 투광이 투과됨].
또한, 회전자(143a)가 도 10(b)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 회전 방향 위치에 있을 때에 구름 접촉 롤러(140)는 도 9(b)에 나타낸 좌경사 위치[도 10(a)의 1점 쇄선 위치]에 있으며, 이때 검지 센서(143b)만이 회전자(143a)를 검지하여 그 검지 신호를 제어 신호로서 장치 제어부(5)로 송신한다. 한편, 나머지 검지 센서(143c,143d)는 회전자(143a)를 검지하지 않는다[검지 센서(143c)는 회전자(143a)의 상기 노치부에 의해 투광이 투과됨].
또한, 회전자(143a)가 도 10(b)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회전 방향 위치에 있을 때에 구름 접촉 롤러(140)는 도 9(c)에 나타낸 우경사 위치[도 10(a)의 2점 쇄선 위치]에 있으며, 이때 검지 센서(143d)만이 회전자(143a)를 검지하여 그 검지 신호를 제어 신호로서 장치 제어부(5)로 송신한다. 한편, 나머지 검지 센서(143b,143c)는 회전자(143a)를 검지하지 않는다[검지 센서(143c)는 회전자(143a)의 상기 노치부에 의해 투광이 투과됨].
사행 제어부(144)는 상기 벨트 사행 검지부(142) 및 롤러 위치 검지부(143)의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롤러 요동부(141)를 제어하는 것이고 장치 제어부(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하의 벨트 사행 수정 공정을 실행하도록 상기 롤러 요동부(141)의 구동 모터(161)를 자동 제어한다.
즉, 사행 제어부(14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어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벨트 사행 검지부(142)의 검지 센서(142a,142b)로부터의 검지 신호(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가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A)과 수직이 되는 중립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도 9(a) 참조],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가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를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사행 수정 방향으로 향하도록[도 9(b) 또는 도 9(c) 참조] 상기 롤러 요동부(141)의 구동 모터(161)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의 자세는 롤러 위치 검지부(143)에 의해 항상 검지되고 있고, 사행 제어부(144)는 상기 벨트 사행 검지부(142)의 검지 센서(142a,142b)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해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사행 수정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롤러 위치 검지부(143)의 검지 센서(143a,143b,143c)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구름 접촉 롤러(140)를 현재의 망상 벨트(105)의 사행 수정 자세로부터 상기 중립 위치[도 9(a)에 나타낸 위치]로 이동 복귀시키도록 상기 롤러 요동부(141)의 구동 모터(161)를 제어한다.
또한,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의 롤러 요동부(141)에 의한 구체적인 사행 수정 동작으로서는 (A)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가 상기 중립 위치[도 9(a)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최대 사행 수정 방향 위치[도 9(b) 또는 도 9(c)에 나타낸 위치]를 향하여 천천히 점차 이동해 가고,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사행 수정되면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가 상기 중립 위치로 이동 복귀해서 정지되는 구성, 및 (B)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최대 사행 수정 방향 위치로 단번에 이동해서 정지되어 상기 주행 벨트(105,145)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사행 수정되면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중립 위치로 이동 복귀해서 정지되는 구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A)의 사행 수정 동작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의 망상 벨트(105)는 벨트 사행 방지부(10)에 의해 벨트 사행 검지부(142)의 검지 센서(142a,142b)에서 규정되는 적정 주행 범위 내를 주행하면서 펄프 현탁액(PS)을 여과 탈수 처리하여 습지(RP0)로 하는 초지 공정을 실행한다.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에서 초지 형성된 후 탈수 롤부(96)에 의해 압착 탈수된 건지(RP)를 더욱 가열 건조시켜서 재생지(RP)로 하는 부위이며, 건조 컨베이어(170)와 가열 건조부(171)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건조 컨베이어(170)는 탈수 롤부(96)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0)를 평활하게 하면서 반송하는 것이며, 상기 평활면 벨트(145), 및 이 평활면 벨트(145)를 주행 구동하는 상기 구동 모터(10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평활면 벨트(145)는 습지(RP0)를 가열 건조시키면서 반송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소정폭을 갖는 평활면 구조의 판재가 소정 길이의 환상으로 접속 형성되어 이루어진 무단 벨트이다. 평활면 구조의 판재는 습지(RP0)의 한쪽 표면을 적정한 평활면으로 마무리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가열 건조부(171)에 의한 가열 작용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되며, 바람직하게는 불소 수지, 스테인리스강 등의 가요성 내열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불소 수지제 벨트가 채용되고 있다.
이 평활면 벨트(14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롤러(176), 종동 롤러(178), 벨트 사행 방지부(11) 및 탈수 롤부(96)를 통하여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롤러(176)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10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평활면 벨트(145)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 모터(10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초지 컨베이어(100) 및 탈수 롤부(96)의 주행 구동원으로서도 공용된다.
가열 건조부(171)는 상기 평활면 벨트(145) 상의 습지(RP0)를 가열 건조하는 부위이며, 상기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경로 도중 개소에 배치된 히터 플레이트(180)를 가열부로서 구비한다.
이 히터 플레이트(180)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평활면 벨트(145) 상의 습지(RP0)가 평활면 벨트(145)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가열 건조되는 배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도중에 상기 2개의 평활면 처리 롤(179,179)이 배치되어서 평활면 벨트(145) 상의 습지(RP0)를 순차적으로 구름 이동 가압하여 평활면 벨트(145)의 표면에 접촉하는 습지(RP0)의 한쪽 표면과 반대측 표면을 적정한 평활면으로 마무리하는 배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평활면 벨트(145)에 있어서의 상기 가열 건조부(171)의 하류측에는 박리 부재(181)가 설치되어 있고, 평활면 벨트(145) 상에서 건조 처리되어서 반송되는 건지, 즉 재생지(RP)(함수율10~7%)를 평활면 벨트(145)의 유지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한다.
이것에 관련하여 이 박리 부재(151)의 하류측의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경로 종단 위치에는 치수 커터부(182)가 설치되어 있고, 평활면 벨트(145)로부터 박리된 재생지(RP)는 여기서 소정 형상(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4판의 형상 치수)으로 절단되어 장치 케이스(6)의 배출구(8)로부터 배출된다.
벨트 사행 방지부(11)는 상기 평활면 벨트(145)의 사행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망상 벨트(105)용 벨트 사행 방지부(10)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름 접촉 롤러(140a,140b,140c), 롤러 요동부(141), 벨트 사행 검지부(142), 롤러 위치 검지부(143) 및 사행 제어부(144)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벨트 사행 방지부(11)를 구성하는 상기 각 구성부의 구성은 망상 벨트(105)용 벨트 사행 방지부(10)와 같고 3개의 구름 접촉 롤러(140a,140b,140c)를 구비한다는 점만이 상위하다.
즉, 벨트 사행 방지부(11)의 사행 방지 대상이 되는 평활면 벨트(1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불소 수지제 벨트가 채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불소 수지제 평활면 벨트(145)는 상기 망상 벨트(105)에 비교하여 탄성 및 유연성에 있어서 뒤떨어지므로 1개의 구름 접촉 롤러(140)에서는 원활하고 또한 확실한 사행 방지 작용이 발휘될 수 없어 벨트 사행 방지부(11)에 있어서는 3개의 구름 접촉 롤러(140a,140b,140c)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3개의 구름 접촉 롤러(140a,140b,140c)의 평활면 벨트(145)에 대한 구름 접촉 구성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활면 벨트(145)가 구름 접촉 롤러(140a)의 상측면, 구름 접촉 롤러(140b)의 하측면 및 구름 접촉 롤러(140c)의 상측면으로 연장되어서 구름 접촉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 사행 방지부(11)의 구름 접촉 롤러(140a)는 상기 각도 규정 롤부(96C)의 평활면 벨트 안내 롤(131)로서도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장치 구성의 소형 간소화가 도모되고 있다.
벨트 사행 방지부(11)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망상 벨트(105)용 벨트 사행 방지부(10)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장치 제어부(5)는 상술한 펄프 제조부(2), 펄프 농도 조정부(3) 및 초지부(4)의 각 구동부의 동작을 서로 연동하여 자동 제어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CPU, ROM, RAM 및 I/O 포토 등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치 제어부(5)에는 펄프 제조부(2)의 펄프 제조 공정, 농도 조정부(3)의 농도 조정 공정 및 초지부(4)의 초지 공정을 서로 연동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갖춰짐과 아울러 상기 각 구성부 2(20,21), 3(3A,3B), 4(95,96,97,10, 11)의 구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정보, 예를 들면 해리부(20)에 있어서의 교반 장치(26)의 구동 시간, 회전 속도, 급수 장치(27)의 급수 타이밍, 급수량, 고해부(21)에 있어서의 순환 펌프(69)의 구동 시간, 순환량 및 마쇄기(50)의 구동 시간, 회전 속도, 및 간극 조정 수단(57)의 조정 타이밍, 고해 간극(G) 조정량, 및 초지부(4)에 있어서의 컨베이어(100,170)의 주행 속도, 가열 건조부(171)의 구동 시간, 치수 커터부(152)의 동작 타이밍, 및 벨트 사행 방지부(10,11)의 동작 타이밍 등이 데이터로서 미리, 또는 키보드 등에 의해 적시 선택적으로 입력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치 제어부(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량 센서(48,87), 검지 센서(142a,142b,143b,143c,143d), 및 각 구동부(35,56,61,66,10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장치 제어부(5)는 이들의 각종 실측치 및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 구동부(35,56,61,66,106,161)를 제어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지 재생 장치(1)는 전원 투입에 의해 기동되어 장치 제어부(5)에 의해 각 구성부 2(20,21), 3(3A,3B), 4(95,10,96)가 서로 관련되어 자동 제어되고, 이것에 의해 장치 케이스(6)의 투입구(7)에 투입된 고지(UP,UP,…)는 펄프 제조부(2)의 해리부(20) 및 고해부(21)에 의해 해리·고해 처리되어서 고지 펄프(UPP)가 제조되고, 또한 펄프 농도 조정부(3)에서 초지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이 조제된 후, 이 펄프 현탁액(PS)가 초지부(4)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 탈수 롤부(96)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에 의해 초지되어 재생지(RP)로서 재생되어 장치 케이스(6)의 배출구(8b)로부터 재생지 수취 트레이(9)로 배출된다.
이 경우에 상기 초지부(4)에 있어서의 벨트 사행 방지부(10,11)는 구름 접촉 롤러(140,140a,140b,140c)가 고지 펄프(UPP)를 처리 반송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의 주행 벨트인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 주행 벨트에 대하여 텐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구름 접촉함과 아울러, 롤러 요동부(141)가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140a,140b,140c)를 상기 주행 벨트(105,145)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교차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주행 벨트(105,145)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140a,140b, 140c)가 상기 주행 벨트(105,145)의 주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중립 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주행 벨트(105,145)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140a,140b,140c)가 상기 주행 벨트(105,145)의 주행 위치를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사행 수정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규모 점포나 일반 가정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라는 매우 컴팩트한 장치 구성에 알맞은 소형이며 간소한 구조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가 실현되고, 이것에 의해 초지부의 벨트 컨베이어부의 주행 벨트를 적정 주행 범위 내에서 항상 안정되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매우 좁은 처리 공간에 있어서의 초지 공정을 고장이 적고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원활하고 또한 고효율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큰 사업소 등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 가정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환경에 우수하며 또한 런닝 코스트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밀 정보나 개인 정보 등 각종 정보의 누설·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를 실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도 12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벨트 사행 방지부(10,11)의 구체적인 구성이 개변된 것이다.
즉,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벨트 사행 방지부(10)에 있어서는 롤러 요동부(141)가 요동 실린더의 형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롤러 요동부(141)를 구성하는 요동 실린더는 그 실린더 본체(141a)가 고정측 지지부인 지지 프레임(154)에 지지축(190)를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그 피스톤 로드(141b)가 구름 접촉 롤러(140)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52)의 일단에 지지축(191)을 통하여 피벗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요동 실린더(141)의 피스톤 로드(141b)의 돌출 퇴입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 브래킷(152) 및 구름 접촉 롤러(14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 실린더(141)로서는 에어 실린더 장치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또한 이 실린더 장치의 작동 특성에 대응하여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의 롤러 요동부(141)에 의한 구체적인 사행 수정 동작으로서는,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다르게, 상기 (A) 및 (B)의 사행 수정 동작중 (B)의 사행 수정 동작, 즉 구름 접촉 롤러(140)가 중립 위치[도 9(a)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최대 사행 수정 방향 위치[도 9(b) 또는 도 9(c)에 나타낸 위치]로 단번에 이동해서 정지되어 망상 벨트(105)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사행 수정되면 상기 구름 접촉 롤러(140)가 상기 중립 위치로 이동 복귀해서 정지되는 구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다른 한쪽의 벨트 사행 방지부(11)도 상기 벨트 사행 방지부(10)와 같고, 또한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 1과 같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 및 2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벨트 사행 방지부(벨트 사행 방지 수단)(10 및 11)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실시형태 1 및 2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사행 방지 대상이 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95)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UP: 고지 UPP: 고지 펄프
PS: 펄프 현탁액 RP: 재생지
1: 고지 재생 장치 2: 펄프 제조부
4: 초지부(초지 장치) 5: 장치 제어부(제어부)
10: 벨트 사행 방지부(벨트 사행 방지 수단, 벨트 사행 방지 장치)
11: 벨트 사행 방지부(벨트 사행 방지 수단, 벨트 사행 방지 장치)
95: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96: 탈수 롤부
97: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 100: 초지 컨베이어
105: 망상 벨트(주행 벨트) 140: 구름 접촉 롤러
140a, 140b, 140c: 구름 접촉 롤러
141: 롤러 요동부(롤러 요동 수단)
142: 벨트 사행 검지부(벨트 검지 수단)
143: 롤러 위치 검지부(롤러 검지 수단)
144: 사행 제어부(제어 수단) 145: 평활면 벨트(주행 벨트)
150: 회전 지지축 152: 지지 브래킷
153: 지지축 154: 지지 프레임(고정측 지지부)
160: 요동 캠 기구(캠 수단) 160a: 구동 캠
160b: 종동 캠 161: 구동 모터(구동원)

Claims (14)

  1.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의 주행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고지 펄프를 처리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부의 주행 벨트에 대하여 텐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는 구름 접촉 롤러와,
    상기 구름 접촉 롤러를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교차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롤러 요동 수단과,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을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중립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를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사행 수정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벨트에 대한 상기 구름 접촉 롤러의 구름 접촉 부위는 상기 주행 벨트의 처리 반송 부위의 처리 기능을 간섭하지 않는 부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 접촉 롤러는 그 회전 지지축의 양단부가 지지 브래킷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 브래킷이 그 길이 방향 중심 위치에 설치된 지지축에 의해 고정측 지지부에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은 상기 구름 접촉 롤러를 수평 상태로 지지함과 아울러,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상기 고정측 지지부에 피벗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은 상기 구름 접촉 롤러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의 일단부에 설치된 캠 수단, 및 상기 캠 수단을 캠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한 상기 캠 수단의 캠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 브래킷이 요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수단은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원판 형상 편심 캠의 형태로 된 구동 캠, 및 상기 지지 브래킷의 일단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구동 캠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맞물리는 맞물림 홈의 형태로 된 종동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캠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 캠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맞물리는 상기 종동 캠을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이 요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은 상기 구름 접촉 롤러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의 일단에 피벗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는 요동 실린더의 형태로 되고;
    상기 요동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돌출 퇴입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 브래킷이 요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벨트가 적정 주행 범위를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벨트 검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벨트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중립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를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사행 수정 위치가 되도록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요동 수단에 의한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의 사행 수정 동작은 상기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최대 사행 수정 방향 위치를 향하여 점차 이동해 가고,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사행 수정되면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중립 위치로 이동 복귀해서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요동 수단에 의한 상기 롤러 요동 수단의 사행 수정 동작은 상기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상기 적정 주행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최대 사행 수정 방향 위치로 단번에 이동해서 정지되고, 상기 주행 벨트의 주행 위치가 적정 주행 범위 내로 사행 수정되면 상기 구름 접촉 롤러가 상기 중립 위치로 이동 복귀해서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의 주행 벨트는 물과 고지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의 주행 벨트는 이전 공정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13.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물과 고지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와,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탈수 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는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처리 반송하는 주행 벨트를 각각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주행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 사행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벨트 사행 방지 수단은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벨트 사행 방지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
  14.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고지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고지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 및 이들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를 연동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부는 제 13 항에 기재된 초지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
KR20100048353A 2009-06-01 2010-05-25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KR201001296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1938A JP2010275673A (ja) 2009-06-01 2009-06-01 古紙再生装置のベルト蛇行防止装置、抄紙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JPJP-P-2009-131938 2009-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88A true KR20100129688A (ko) 2010-12-09

Family

ID=4275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48353A KR20100129688A (ko) 2009-06-01 2010-05-25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300636A1 (ko)
EP (1) EP2258900A3 (ko)
JP (1) JP2010275673A (ko)
KR (1) KR20100129688A (ko)
CN (1) CN1018997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4078B2 (ja) * 2010-12-16 2015-05-27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再生処理装置
JP2017115259A (ja) * 2015-12-24 2017-06-29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再生処理装置
CN108252140A (zh) * 2018-03-22 2018-07-06 叶财明 一种造纸用打纸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1829A (en) * 1944-07-28 1947-06-10 Rice Barton Corp Fourdrinier papermaking machine
GB770926A (en) * 1955-01-04 1957-03-27 John Douglas Robertson Improvements in web guiding apparatus
FR1562009A (ko) * 1968-01-03 1969-04-04
JPS53376A (en) * 1976-06-25 1978-01-05 Tsukishima Kikai Co Appratus for correcting zigzag of endless belt
US4630245A (en) * 1983-07-15 1986-12-16 Introtek Corporation Non-contacting liquid level detection system
JP3394269B2 (ja) * 1991-12-18 2003-04-07 山口産業株式会社 コンベアベルトの自動調芯装置
US5744898A (en) * 1992-05-14 1998-04-28 Duke University Ultrasound transducer array with transmitter/receiver integrated circuitry
GB9225898D0 (en) * 1992-12-11 1993-02-03 Univ Strathclyde Ultrasonic transducer
FI94781C (fi) * 1993-01-29 1995-10-25 Valmet Paper Machinery Inc Paperikoneen kudoksen ohjainlaite
US5554262A (en) * 1994-07-11 1996-09-10 Wangner Systems Corp. Laser curtain edge tracking systems for papermaking machines
DE19605959C1 (de) * 1996-02-17 1997-09-11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Vorrichtung zum oszillierenden Linearantrieb eines Bauteils innerhalb einer Bahnherstellungsmaschine
US6371347B1 (en) * 1999-03-09 2002-04-16 Ronald Melvin Gilbertson Air switch and palm guide for papermaking machinery
DE10008800B4 (de) * 2000-02-25 2005-10-27 Voith Paper Patent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alanderwalze und Kalanderwalze
US6325895B1 (en) * 2000-06-12 2001-12-04 Voith Sulzer Paper Technology North America, Inc. Paper-making machine with an air press belt run
US6994674B2 (en) * 2002-06-27 2006-02-07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Multi-dimensional transducer array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891311B2 (en) * 2002-06-27 2005-05-10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Ultrasound transmit pulser with receive interconnection and method of use
ITSV20020040A1 (it) * 2002-08-13 2004-02-14 Esaote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il rilevamento di immagini ecografiche
EP1626817A2 (en) * 2003-04-15 2006-02-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wo-dimensional (2d) array capable of harmonic generation for ultrasound imaging
FI117293B (fi) * 2003-12-18 2006-08-31 Metso Paper Inc Laitteisto paperikoneen telan liikuttamiseksi
US7508113B2 (en) * 2004-05-18 2009-03-2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Apparatus for two-dimensional transducers used in three-dimensional ultrasonic imaging
WO2006134686A1 (ja) * 2005-06-17 2006-12-21 Hitachi, Ltd. 超音波撮像装置
US8079263B2 (en) * 2006-11-10 2011-12-20 Penrith Corporation Transducer array imaging system
JP5207507B2 (ja) * 2007-01-20 2013-06-12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再生装置の抄紙装置
JP4943874B2 (ja) * 2007-01-28 2012-05-30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再生装置の抄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8900A3 (en) 2013-01-16
JP2010275673A (ja) 2010-12-09
EP2258900A2 (en) 2010-12-08
CN101899793A (zh) 2010-12-01
US20100300636A1 (en)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0800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
KR20100090745A (ko)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방법,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JP5207504B2 (ja) 古紙再生装置ならびにその構成装置
KR101315156B1 (ko) 폐지 처리 장치
KR20100119842A (ko) 고지 재생 장치의 탈수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KR20080068790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
KR20100119844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US20120138250A1 (en) Pulp making device of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and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KR20110013210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재생지 평활화 장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KR20110015365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세정 방법, 세정 시스템 및 고지 재생 장치
KR20110050333A (ko)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방법,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KR20100129688A (ko) 고지 재생 장치의 벨트 사행 방지 장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KR20120025375A (ko)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JP2013007137A (ja) 古紙再生装置の再生紙平滑化装置、抄紙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KR20120018707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재생지 평활화 장치
CN101225618A (zh) 用于废纸再循环设备的纸浆浓度调节方法和装置
JP2010275672A (ja) 古紙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