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687A - 통신 장치, 휴대 단말, 통신 시스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휴대 단말, 통신 시스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687A
KR20100129687A KR1020100048016A KR20100048016A KR20100129687A KR 20100129687 A KR20100129687 A KR 20100129687A KR 1020100048016 A KR1020100048016 A KR 1020100048016A KR 20100048016 A KR20100048016 A KR 20100048016A KR 20100129687 A KR20100129687 A KR 20100129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우에노
다이스케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29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53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 H04L12/146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using digital 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2Contactless payments by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with the personal data of a us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6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by active credit-cards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讀出; read out}하고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기입{書入; write}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결제 처리부와;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결제 처리부에 의한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인증 정보 기록부와;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인증 정보를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인증 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휴대 단말, 통신 시스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프로그램{COMMUNIC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NON-CONTACT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통신 장치, 휴대 단말, 통신 시스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해, 회사나 가정내 뿐만 아니라, 거리나 공항 등의 공공 시설에서도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Wi-Fi(IEEE 802.11)나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IEEE 802.16) 등의 무선 통신 규격에 의거하는 무선 통신망의 인프라 정비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제공이 검토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유저 단말로부터 무선 기지국에의 무선 통신 환경 및,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광역 네트워크에의 접속 환경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받으려고 하는 경우, 유저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등록 수속을 행해서, 무선 기지국을 거친 광역 네트워크에의 접속 인증을 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취득한다. 이 때, 유저는, 서비스 제공자의 유저 등록 페이지에 액세스하고,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정보 등을 수동{손으로} 입력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전자 도청의 위험성이 높은 공공 장소에서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을 수동 입력하는 것은 가능한 한 피해야 하는 것이다. 또,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을 수동 입력하는 것은 번거롭다{귀찮다}. 그래서, 비접촉 집적회로(이후, 간단히 "IC"라고 한다) 카드를 이용해서, 이들 정보를 자동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이 모색되고 있다.
비접촉 IC 카드를 이용해서 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特開}제2003-229872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  735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비접촉 IC 카드에 기록해 두고, 접속할{접속대상의} 기기에 비접촉 IC 카드를 들어올려 비추어보아{hold up} 설정 정보를 판독입력{讀入; read; 읽어들임}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접속 설정을 완료시킨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이들 문헌에는, 액세스 포인트에 비접촉 IC 카드를 들어올려 비추어봄으로써, 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 정보가 비접촉 IC 카드로 기입{書入; write; 써넣음}되도록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분명히, 이들 기술을 이용하면, 무선 접속에 관계된 번잡한 설정 작업을 대폭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저의 편리성을 현격히{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기술을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에 응용하는 구성은, 예를 들면 비접촉 IC 카드에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을 기입해 두고, 이들 정보를 이용해서 유저 등록을 행한다고 하는 구성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면, 비접촉 IC 카드를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만으로 정보의 등록 조작이 끝나게 된다. 그러나,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유저 등록 수속시에 유저가 불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것은, 정보 입력의 수고가 든다고 하는 점만이 아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는 신용카드에 의한 결제가 전제로 되는 경우가 많고,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유저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받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비접촉 IC 카드 등의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는 유저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또한 간단하게 요금 결제 및 접속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이 검토{연구}되어 왔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에 있어서 안전하고 또한 간단하게 요금 결제 및 접속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 또한 개량된 통신 장치, 휴대 단말, 통신 시스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관점}에 따르면,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讀出; read out; 읽어냄}하고,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결제 처리부와;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결제 처리부에 의한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인증 정보 기록부와;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인증 처리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또, 상기 인증 정보에는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일단{일시적으로} 절단되고,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되어 있는 인증 정보의 유효 기한내에 다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다른 통신 장치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유효 기한이 붙어 있는 인증 정보가 기입되고, 상기 인증 정보의 유효 기한내에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가 그 통신 장치{自裝置}의 상기 비접촉 통신부에 들어올려 비추어 보여져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다른 장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기록부는,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결제 처리부에서 결제 처리의 대상으로 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다른 장치의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지어서{대응지은 방식으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개개의 상기 다른 장치에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인증 정보 기록부는,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다른 장치의 정보인 어드레스 정보,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인증 정보의 유효 기한을 대응지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시도된 시점에서 유효 기한내에 있는 상기 인증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액세스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다른 장치가 복수 존재하고, 상기 개개의 다른 장치에 우선도{優先度; order of priority}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우선도가 높은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접속 서비스를 대상으로 해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행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우선도가 높은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통신 장치는, 그 장치{自裝置}가 위치된 에리어를 검지하는 에리어 검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다른 장치가 복수 존재하고, 에리어마다 개개의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접속 서비스의 품질이 다른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에리어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에리어에서 상기 접속 서비스의 품질이 높은 상기 다른 장치를 특정하고,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접속 서비스를 대상으로 해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접속 서비스의 품질이 높은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령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상기 연령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거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시청 제한을 부과하는 시청 제한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복수 종류의 금전 정보가 저장되고, 각 종류의 상기 금전 정보에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우선도가 가장 높은 종류의 상기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는, 휴대 단말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과는 다른 무선 통신망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는 모바일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통신부를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임의의{certain; 어떤} 상기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처음으로 시도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영역 형성부에 의해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인증 정보 기록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영역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저장 영역에 상기 인증 정보를 기입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통신 장치가 가지는 비접촉 통신부에 의해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정보가 판독출력 및 기입되는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과는 다른 무선 통신망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는 모바일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통신부를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는, 금전 정보가 저장된 제1 저장 영역이 설치{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장치의 비접촉 통신부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져, 임의의 상기 다른 장치를 거친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처음으로 시도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을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영역 형성부에 의해 상기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통신 장치의 결제 처리에서 상기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금전 정보가 갱신되고, 상기 결제 처리의 완료에 수반해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가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결제 처리부와,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결제 처리부에 의한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인증 정보 기록부와,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구비하는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를 탑재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무선 통신부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과는 다른 무선 통신망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는 모바일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통신부를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 형성부를 구비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임의의{어떤} 상기 다른 장치를 거친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처음으로 시도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영역 형성부에 의해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인증 정보 기록부를 이용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영역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저장 영역에 상기 인증 정보를 기입하고, 상기 인증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킨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 장치의 비접촉 통신부를 거쳐서 비접촉 통신에 의해 정보의 판독출력/기입이 가능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에는, 금전 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 영역과,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에 이용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저장 영역이 설치되며; 상기 통신 장치의 비접촉 통신부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져, 상기 통신 장치에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 중에서 상기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금전 정보가 갱신되고, 상기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가 상기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인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기 위한 인증 처리에 이용되는,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통신부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를 위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1 제어 스텝과; 상기 제1 제어 스텝에서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2 제어 스텝과;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3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통신부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와;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1 제어 스텝과, 상기 제1 제어 스텝에서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2 제어 스텝과,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3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讀取; read}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에 있어서 안전하고 또한 간단하게 요금 결제 및 접속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전송로를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전송로를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에서 실현되는 서비스 내용에 대해서 그 개요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의 (a) 및 (b)는 같은{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IC 카드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같은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같은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같은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이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같은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 및 Proxy-AAA 서버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같은 실시형태에 따른 Home-AAA 서버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같은 실시형태의 1변형예{modification}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같은 변형예에 따른 유저 단말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같은 변형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같은 변형예에 따른 유저 단말이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같은 변형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이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같은 변형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같은 변형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이용권{service right}의 이전 조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같은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같은 변형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같은 변형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같은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1은 같은 변형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 선택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2는 같은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같은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변형예들}에 따른 유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같은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따른 IC 카드, IC 칩, 리더/라이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을 주목하라.
[설명의 흐름에 대해서]
여기서, 이하에 기재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의 순서에 대해서, 이하 간단히 기술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및, 상기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개시까지의 수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다음에, 도 3∼도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및, 상기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개시까지의 수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저 단말, IC 카드, 무선 기지국, Proxy-AAA 서버, Home-AAA 서버의 구성에 대해서, 각{개개의} 구성요소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에 따라서 설명을 한다.
그 다음에, 도 10∼도 16,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저 단말, 인증 시스템 및 결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각 구성요소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에 따라서 한다.
그 다음에, 도 17∼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변형예로서, 휴대 단말을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서 이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도 22를 참조하면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결제 방법을 선택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저 단말 등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할 항목)
1:첫머리{도입부}
1-1: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1-2: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
2: 실시형태
2-1: 개요
2-2: IC 카드의 데이터 구조
2-3: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2-4: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
2-4-1: 유저 단말의 처리
2-4-2: 무선 기지국 및 Proxy-AAA 서버의 처리
2-4-3: Home-AAA 서버의 처리
3: 변형예 1(인증 시스템/결제 시스템을 나누는 구성)
3-1: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3-2: 유저 단말의 기능 구성
3-3: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유저 미등록시)
3-3-1: 유저 단말의 처리
3-3-2: 인증 시스템의 처리
3-4: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유저 등록시)
3-5: 서비스 이용권의 이전 방법
3-6: 서비스 제공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선택 방법
4: 변형예 2(휴대 단말을 이용한 인증 방법)
4-1: 휴대 단말의 기능 구성
4-2: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유저 미등록시)
5: 변형예 3(복수의 결제 방법을 선택가능하게 하는 구성)
6: 유저 단말 등의 하드웨어 구성
1: 첫머리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에 앞서서, 일반적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유저 단말과 무선 기지국 사이를 WiMAX 액세스망으로 접속하고,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저쪽{beyond; 상대방}의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서비스 제공자가 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정된다. WiMAX란,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의 약어라는 점을 주목하라.
1-1: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저 단말(10)과, 무선 기지국(20)과, Proxy-AAA 서버(30)와, Home-AAA 서버(40)을 포함하고 있다. 유저 단말(10)과 무선 기지국(20) 사이는 WiMAX 등의 규격에 준거해서 통신을 행하는 무선 전송로로 접속되어 있다. 또, Home-AAA 서버(40)는,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50)에 접속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AAA는,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의 약어라는 점을 주목하라.
유저 단말(10)은, 유저가 이용하는 단말이며,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가 제공되는 대상이다. 또, 유저 단말(10)은, 예를 들면 WiMAX 등의 규격에 준거해서 무선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무선 기지국(20)은, 유저 단말(10)과의 사이에서 WiMAX 등의 규격에 준거해서 무선 통신하기 위한 송신 시설이다.
무선 기지국(20)은, 무선 전송로를 거쳐서, 유저 단말(10)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Proxy-AAA 서버(30)에 제공하거나, Proxy-AAA 서버(3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유저 단말(10)에 제공한다. Proxy-AAA 서버(30)는, 유저 단말(10)에 대해서 유저 등록용 Web 페이지를 제시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단, 여기서 Proxy-AAA 서버(30)가 제시 또는 제공하는 Web 페이지 및 인증 정보는, Home-AAA 서버(40)에 의해 제공을 받은{제공된} 것이라는 점을 주목하라.
그런데, Home-AAA 서버(40)의 Web 페이지가 제시되면, 유저는, 예를 들면 제시된 Home-AAA 서버(40)의 Web 페이지를 이용해서 서비스 플랜의 정보, 유저의 개인정보, 신용카드 정보 등(이하, 개인 정보 등)을 입력한다. 입력이 끝나면, Proxy-AAA 서버(30)는, 입력된 개인 정보 등을 유저 단말(10)로부터 취득해서, Home-AAA 서버(40)에 제공한다.
그리고, Proxy-AAA 서버(30)는, 개인 정보 등의 제공에 따라 Home-AAA 서버(40)에 의해 발행된 인증 정보를 취득하고, 무선 기지국(20)을 거쳐서 유저 단말(1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Proxy-AAA 서버(30)는 주로, 무선 기지국(20)에 의한 접속을 제어하거나, 유저 단말(10)과 Home-AAA 서버(40) 사이의 통신{정보의 주고받음}을 중개하도록 기능한다.
Home-AAA 서버(40)는, 유저 인증을 실행하도록 기능함과 동시에,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상기와 같이, Proxy-AAA 서버(30)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등이 입력되면, Home-AAA 서버(40)는, 입력된 개인 정보 등에 의거해서 인증 정보를 발행하고, Proxy-AAA 서버(30), 무선 기지국(20)을 통해서 유저 단말(10)에 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그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유저 단말(10)로부터 액세스가 있었던 경우, Home-AAA 서버(40)는, 그 인증 정보에 의거해서 유저 인증을 실행하고, 유저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을 허가한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이 해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유저에게 제공되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내용{sort}은,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된 플랜 중에서 유저가 선택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도 1에는, 유저가 유저 단말(10)로부터 Proxy-AAA 서버(30)에 액세스했을 때에, 단말 화면(12)에 표시되는 메뉴 등의 1예가 도시되어 있다. 유저가 브라우저 P1을 이용해서 Proxy-AAA 서버(30)에 액세스하면,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플랜의 선택 페이지가 표시된다. 유저에게는,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기간의 길이에 따라 다른 요금이 설정된 서비스 플랜이 제시된다.
여기서, 브라우저 P1에 표시된 서비스 플랜중에서, 유저가 원하는 플랜을 선택하면, 단말 화면(12)에는, 개인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폼 P2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입력 폼 P2에는, 유저의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란{欄}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유저는,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정보 등을 입력폼 P2에 입력해서, 유저 등록 조작을 진행시킨다. 입력폼 P2에 입력된 개인 정보 등은, 무선 기지국(20), Proxy-AAA 서버(30)를 통해서 Home-AAA 서버(40)에 제공되며, 유저 등록이 행해진다. 이 때, Home-AAA 서버(40)에 있어서, 신용카드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금의 자동이체{引落; charging} 결제가 행해진다.
결제가 무사히{성공적으로} 종료해서 유저 등록이 완료되면, Home-AAA 서버(40)으로부터 Proxy-AAA 서버(30) 및 무선 기지국(20)을 거쳐서 인증 정보가 유저 단말(10)에 제공된다. 유저 단말(10)은, Home-AAA 서버(40)로부터 제공된 인증 정보를 단말내의 기억수단{storage}에 기록하고,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개시할 때에 이용한다. 이와 같이, 기억수단에 인증 정보가 기록되어 있음으로써, 인증 정보의 유효 기한내이면, 유저 단자(10)로부터 Home-AAA 서버(40)를 거쳐서 자유롭게 광역 네트워크(5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시스템에서는, 유저 단말(10)과 무선 기지국(20) 사이가 WiMAX 등에 관한 무선 전송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서비스 범위내이면 어떠한 원하는 장소{point}에서도 고품질의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가 있다.
이상으로,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Home-AAA 서버(40)를 1개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고, 그 서비스 제공자에 대응하는 Home-AAA 서버(40)에 액세스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원하는 Home-AAA 서버(40)를 선택한 후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흐름에 따라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1-2: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유저 단말(10)로부터 무선 기지국(20)에의 액세스가 발생한다(S10). 이 때, 유저 단말(10)이 액세스를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Web 페이지에 관한 어드레스 정보가, 무선 기지국(20)을 거쳐서 Proxy-AAA 서버(30)에 제공된다(S12). Proxy-AAA 서버(30)는, 무선 기지국(20)을 거쳐서 유저 단말(10)로부터 제공된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가 나타내는 Home-AAA 서버(40)에 액세스하고, Web 페이지(H-AAA 페이지)의 정보 제공을 받는다(S14 및 S16). Home-AAA 서버(40)의 Web 페이지는, Proxy-AAA 서버(30) 및 무선 기지국(20)을 통해서 유저 단말(10)에게 제시된다(S18 및 S20).
그 다음에, 유저는, 유저 단말(10)의 단말 화면(12)에 표시된 Web 페이지를 이용해서, 원하는 서비스 플랜을 선택하고, 개인 정보나 신용카드 번호 등을 입력한다(S22). 유저에 의한 개인 정보 등의 입력이 완료되면, 유저 단말(10)로부터 무선 기지국(20)을 거쳐서 Proxy-AAA 서버(30)에 개인 정보 등이 송신되고(S24 및 S26), 개인 정보 등과 함께 이용 등록 요구가 Home-AAA 서버(40)에 송신된다(S28). 개인 정보 등과 함께 이용 등록 요구를 취득하면, Home-AAA 서버(40)는, 개인 정보 등을 이용해서 유저 등록을 실행하고, 인증 정보를 발행한다(S30). 이 때, 개인 정보 등에 포함되는 신용카드 번호를 이용해서 서비스 요금의 결제 처리가 실행된다.
Home-AAA 서버(40)에 의해 발행된 인증 정보는, Proxy-AAA 서버(30)에 제공되고(S32), 무선 기지국(20)을 통해서 유저 단말(10)에 제공된다(S34 및 S36). 이 때, Proxy-AAA 서버(30)로부터 유저 단말(10)에는, 인증 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입하도록 기입 요구가 송신된다. 이 기입 요구를 받으면, 유저 단말(10)은, Proxy-AAA 서버(30) 및 무선 기지국(20)을 통해서 제공된 인증 정보를 그의 단말{自端末}의 기억수단에 기입한다(S38). 유저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의 개시 조작이 실행되면, 유저 단말(10)은, 기억수단에 기입한 인증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그 인증 정보로 Home-AAA 서버(4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해서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을 개시한다(S4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개시까지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제공을 받기 위해서는,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를 유저가 수동 입력할 필요가 있다. 퍼스널컴퓨터(이하, PC)에 설치{탑재}되는 바와 같은 풀 키보드가 설치{set}된 유저 단말(10)을 이용하고 있으면, 이들 정보 입력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나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과 같이, 풀 키보드를 가지고 있지 않는 기기를 유저 단말(10)로서 이용하고 있는 경우, 유저에게는, 개인 정보 등의 입력시에 큰 부담이 생겨 버린다.
또, 공공 장소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한 경우, 개인 정보 등을 입력할 때에 타인에게 도청되어 버릴 위험성이 있다. 또,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유저는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것이 어렵다. 이 점을 감안해서, 본건 발명자는, 정보 입력 및 결제를 위해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한다고 하는 생각에 도달{想到}했다. 그러나, 정보 입력을 위해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에 부가해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에서의 결제를 위해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이용을 상정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하, 본건 발명자에 의해 고안{안출}된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의 1예인 IC 카드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에서의 인증 처리 및 결제 처리를 실현하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유저가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을 수동 입력하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유저도 용이하게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게 된다.
2-1: 개요
우선,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 실현되길 원하는 윤곽부분{outline}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실현되길 원하는 윤곽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은,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서비스 내용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다. 그 시스템의 상세 및 그 시스템에 실시된 각종 개혁{工夫; innovation}에 대해서는 후단에서{나중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할 때에, 유저가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을 수동 입력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수동 입력에는 불편이 따르는데다,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유저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받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본건 발명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C 카드(170)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이용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고안했다.
이 시스템에서, 유저는, 우선 자신이 가지는 유저 단말(100)에 탑재(또는 외부 접속)된 리더/라이터(104)에 대해서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본다{hold up}(S1). 그러면, 유저 단말(100)은,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의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그 포털 사이트에 접속한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10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라우저 P1을 기동하고, 단말 화면(102)에 서비스 플랜의 선택 페이지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유저가 서비스 플랜을 선택하면, 유저 단말(100)은,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플랜의 내용을 확인시키기 위해서 확인 폼 P3을 표시한다.
서비스 플랜의 확인이 완료되면, 유저 단말(100)은, 개인 정보 등을 판독출력하고, 결제 시스템에 액세스해서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S2). 이 때,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에 저장되어 있는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요구받은 네트워크 접속 요금을 결제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 유저가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네트워크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할 수가 있다. 또, 결제 처리시에 유저가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의 수동 입력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수동 입력시에 생기는 유저의 부하가 저감됨과 동시에, 이들 정보가 도청되는 위험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유저 단말(100)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네트워크 접속에 이용하는 인증 정보가 제공된다.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인증 정보는, 유저 단말(100)에 의해,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에 기입된다.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하는 경우, 유저는, 인증 정보가 기입된 IC 카드(170)를 유저 단말(100)에 탑재된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봄으로써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가 있다(S3). 이 때, 유저 단말(100)은,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로부터 인증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인증 처리를 완료시킨다. 인증 처리가 완료되면, 유저 단말(100)은, 광역 네트워크(5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형태에서 실현되길 원하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처리의 내용이다. 이와 같은 처리 형태를 실현하기 위해서, IC 카드(170)에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 구조가 적용된다.
2-2: IC 카드의 데이터 구조
여기서,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IC 카드(170)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a) 및 (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IC 카드(170)의 데이터 구조의 1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여기서 예시하는 데이터 구조는, IC 카드(170)가 가지는 기억수단 내부에 구축되는 것이다. IC 카드(170)의 기억수단에는, 적어도 1개의 저장 에리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 중에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 접속 설정 정보, 유저 정보 및 서비스 이용 정보 등이 저장된다.
단, IC 카드(170)의 데이터 포맷은, NFC Forum으로 규격화된 NDEF(NFC Data Exchange Format)를 이용해도 좋고, 벤더{vender}에 의해 정해진{규격화된} 독자 포맷을 이용해도 좋다. 또, NDEF를 이용하는 경우, NFC Forum Type으로서, WiMAX Forum이 정한 Type, 또는 벤더가 정한 Type이 사용된다.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는, 각종 전자 머니 서비스에 따른 금전 정보의 1예이다. 접속 설정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의 포털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예를 들면, URL)이다. 단,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어이다. 이 접속 설정 정보가 IC 카드(170)에 저장되어 있음으로써,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의 접속 설정 정보에 의거해서 서비스 제공자의 포털사이트에 자동적으로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서비스 제공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IC 카드(170) 내부에 복수의 접속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 우선적으로 접속을 시도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마다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접속 설정 정보에 관련지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련지움이 이루어지고 있음으로써, 유저 단말(100)은, 용이하게 우선도가 높은 서비스 제공자에게의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저 정보는, 개인 정보의 1예이다. 유저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유저 ID, 연령 정보, 성별 정보 등이 있다. 또, IC 카드(170)가 정기권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경우, 승차 구간이나 기한 정보 등도 유저 정보로서 IC 카드(170)에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IC 카드(170)에 저장되어 있는 연령 정보에 의거해서, IC 카드(170)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에서 제공가능한 Web 서비스를 제어하거나, 추천{권유} Web 서비스를 안내하거나 하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 유저 정보와 유저 단말(100)에 고유인 기기 정보(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와의 조합을 액세스권의 관리에 이용할 수도 있다.
서비스 이용 정보는, 인증 정보나 이용 기한 등의 정보이다. IC 카드(170)에는, 서비스 이용 정보로서,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 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인증 정보, 그 인증 정보의 유효 기한 등이 순차 저장된다. 결제 처리가 완료해서 IC 카드(170)에 서비스 이용 정보가 저장되면, 유저는, 서비스 이용 정보로서 저장된 유효 기한이 종료할 때까지,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그 인증 정보의 제공자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예를 들면, IC 카드(170)가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지면, 유저 단말(100)에 의해 IC 카드(170)의 서비스 이용 정보가 판독출력되고, 유효 기한이 확인된 후, 유효 기한내이면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접속이 개시된다. 한편, 유효 기한이 지난 경우, 유저 단말(100)은, 인증 정보를 사용하는 접속 설정 정보에 의거해서 서비스 제공자의 포털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예를 들면 서비스 플랜의 선택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유저는, 개인 정보 등의 수동 입력을 피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이용권에 관한 기한 관리도 IC 카드(170) 및 유저 단말(100)에 맡길 수 있게 된다.
또,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C 카드(170)에는, 복수의 저장 에리어(예를 들면, 저장 에리어 A1, A2, A3)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자 머니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저장 에리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 저장 에리어에는, 적어도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 및 유저 정보가 저장된다. 또, 서비스 제공자마다 저장 에리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 저장 에리어에는, 적어도 접속 설정 정보 및 서비스 이용 정보가 저장된다. 물론, 전자 머니 서비스의 종류가, 그 전자 머니 서비스를 이용해서 결제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자의 종류가 대응지어져 있어도 좋다.
전자 머니 서비스마다 설정된 저장 에리어 중에, 서비스 제공자마다 설정된 저장 에리어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게다가, 서비스 제공자마다 설정된 저장 에리어에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가 들어올려 비추어 보여졌을 때에, 우선도가 높은 저장 에리어에 저장되어 있는 접속 설정 정보 및 서비스 이용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판독출력 정보에 의거해서 서비스 제공자에 액세스한다. 마찬가지로, 전자 머니 서비스의 종류마다 설정된 저장 에리어에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에 의한 결제 처리를 실행할 때에, 우선도가 높은 저장 에리어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 및 유저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판독출력 정보에 의거해서 결제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전자 머니 서비스를 이용 기회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IC 카드(170)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에, 도 3에 예시한 서비스의 내용을, 도 4에 예시한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IC 카드(170)를 이용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2-3: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시스템 구성은, 유저 단말(100)과 무선 기지국(200) 사이를 WiMAX 액세스망으로 접속하고, 무선 기지국(200)으로부터 저쪽{상대방}의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을 서비스 제공자가 행한다고 하는 접속 형태를 상정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로, 유저 단말(100)과, 무선 기지국(200)과, Proxy-AAA 서버(210)와, Home-AAA 서버(220)를 구비하고 있다.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저 단말(100)과 무선 기지국(200) 사이에서, WiMAX 등의 규격에 준거해서 통신을 행하는 무선 전송로로 접속되어 있다. 또, Home-AAA 서버(220)는,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5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유저 단말(100)에는 리더/라이터(104)가 탑재되어 있으며, 유저 단말(100)로부터 IC 카드(17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IC 카드(170)에 정보를 기입할 수가 있다. 또한, IC 카드(170)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것을 주목하라.
유저 단말(100)은, 유저가 이용하는 단말이며,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이다. 또, 유저 단말(100)은, 예를 들면 WiMAX 등의 규격에 준거해서 무선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무선 기지국(200)은, 유저 단말(100)과의 사이에서 WiMAX 등의 규격에 준거해서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 시설이다. 무선 기지국(200)은, 무선 전송로를 거쳐서, 유저 단말(10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Proxy-AAA 서버(210)에 제공하며, 또 Proxy-AAA 서버(21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유저 단말(100)에 제공한다.
Proxy-AAA 서버(210)는, 유저 단말(100)에 대해서 유저 등록용 Web 페이지를 제시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단, 여기서 Proxy-AAA 서버(210)가 제시 또는 제공하는 Web 페이지 및 인증 정보는, Home-AAA 서버(220)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Proxy-AAA 서버(30)는 주로, 무선 기지국(200)에 의한 접속을 제어하고, 유저 단말(100)과 Home-AAA 서버(220) 사이의 통신{정보 교환}을 중개하도록 기능한다.
그런데, Home-AAA 서버(220)의 Web 페이지는, 유저 단말(100)의 리더/라이터(104)에 IC 카드(170)가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진 것을 트리거로 해서 제시된다. 우선, IC 카드(170)가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지면, 유저 단말(100)에 의해 IC 카드(170)에 저장된 Home-AAA 서버(220)의 포털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가 판독출력되고, 그 포털 사이트에 자동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유저는, 브라우저 P1을 기동해서 포털 사이트의 어드레스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포털 사이트에 액세스하면, 유저 단말(100)의 단말 화면(102)에는 브라우저 P1이 표시되고, Home-AAA 서버(220)의 Web 페이지가 제시된다. 이 때, Web 페이지로서, 예를 들면 서비스 플랜의 선택 페이지가 제시된다.
Home-AAA 서버(220)의 Web 페이지가 제시되면, 유저는, 제시된 Home-AAA 서버(220)의 Web 페이지로부터 서비스 플랜을 선택한다. 유저가 서비스 플랜을 선택하면, 예를 들면 단말 화면(102)에 선택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폼 P3이 표시되고, 서비스 내용 및 서비스 요금의 확인이 재촉된다. 확인이 완료되면,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를 이용한 결제 처리로 처리를 진행한다. 이때, 유저는,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을 수동 입력할 필요는 전혀 없다. 결제 처리로 진행하면, 유저 단말(100)은, 우선 Home-AAA 서버(220)로부터 서비스 요금의 정보를 취득해서 IC 카드(170)의 금전 정보를 갱신하고, 서비스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Home-AAA 서버(220)에 의해 인증 정보가 발행되고, 유저 단말(100)에 제공된다. 그래서, 유저 단말(100)은, Home-AAA 서버(220)로부터 제공된 인증 정보를 IC 카드(170)에 기입한다. 이 때, 유저 단말(100)은, 인증 정보의 유효 기한 및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모두 IC 카드(170)에 기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ome-AAA 서버(220)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서비스 요금을 결제하도록 기능하고, 인증 정보를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또, Home-AAA 서버(220)는, 제공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유저 인증을 실행하도록 기능하며, 또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할 때,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무선 기지국(200), Proxy-AAA 서버(210)를 거쳐서 Home-AAA 서버(220)에 액세스해서 유저 인증을 실행한다. 이 때, 유저가 개인 정보나 인증 정보를 수동 입력할 필요는 전혀 없다. Home-AAA 서버(220)에서 유저 인증이 성공하면, Home-AAA 서버(220)는, 유저 단말(100)에 대해, 광역 네트워크(50)에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가한다. 그 결과, 유저 단말(100)은,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광역 네트워크(5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유저 단말(100)의 리더/라이터(104)에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만으로, 거의 유저의 수동 입력을 수반하지 않고 유저 등록 처리, 결제 처리 및 유저 인증 처리가 완료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서비스 플랜의 선택을 유저가 행하도록 구성했지만, 예를 들면 IC 카드(170)에, 선택할 서비스 플랜의 조건을 기입해 둠으로써, 서비스 플랜의 선택 처리도 자동화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서비스 플랜의 조건으로서, 유효 기한 및 서비스 제공자의 우선도를 IC 카드(170)에 기입해 두는 방법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회선{line} 속도가 빠른 서비스 제공자에게 높은 우선도를 부가하거나, 싼 접속 요금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높은 우선도를 부여하는 방법 등이 생각된다. 또, 서비스의 품질은, 무선 기지국(200)과 유저 단말(100)과의 위치 관계나 거리 등에 의존해서 바뀌게 된다. 그 때문에, 유저 단말(100)에 위치 검지 기능을 탑재해 두고, 유저 단말(100)의 위치에서 가장 품질이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IC 카드(170)에 설정해 두는 방법도 생각된다. 또한, 위치 검지 기능은, GPS를 이용해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무선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지연 시간을 이용해서 추정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을 주목하라.
이와 같이{이상으로},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에,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말한다.
2-4: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IC 카드(170)가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지고, 유저 단말(100)에 의해,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가 검지된다(S102). 그리고, 유저 단말(100)로부터 무선 기지국(200)에의 액세스가 발생한다(S104). 이 때, 유저 단말(100)이 액세스를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Web 페이지에 관한 어드레스 정보가,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Proxy-AAA 서버(210)에 제공된다(S106). Proxy-AAA 서버(210)는,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유저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가 나타내는 Home-AAA 서버(220)에 액세스하고, Web 페이지(H-AAA 페이지)의 정보 제공을 받는다(S108, S110).
그리고, Home-AAA 서버(220)의 Web 페이지는, Proxy-AAA 서버(210) 및 무선 기지국(200)을 통해서 유저 단말(100)에 제시된다(S112, S114). 그 다음에, 유저는, 유저 단말(100)의 단말 화면(102)에 표시된 Web 페이지를 이용해서, 원하는 서비스 플랜을 선택한다(S116). 이 때,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을 유저가 입력할 필요는 전혀 없다. 유저에 의한 서비스 플랜의 선택이 완료되면, 유저 단말(100)로부터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Proxy-AAA 서버(220)에 카드 처리 요구가 송신된다(S118, S120). 송신되는 카드 처리 요구는, IC 카드(170)에 의한 서비스 요금의 결제 처리를 요구하기 위한 통지 정보이다.
그 다음에, Proxy-AAA 서버(210)에 송신된 카드 처리 요구는, Home-AAA 서버(220)에 전송된다(S122). 카드 처리 요구를 수신한 Home-AAA 서버(220)는, IC 카드(170)와의 사이에서 카드 처리에 의한 서비스 요금의 결제를 실행한다(S124). 이 때, IC 카드(170)와 Home-AAA 서버(220) 사이를 암호화된 통신로에 의해 투과적으로 접속하여, IC 카드(170)의 비닉{秘匿; secret} 정보가 도청되거나, 개찬{改竄; tampering}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카드 처리에 의한 결제가 완료되면, Home-AAA 서버(220)는, IC 카드(170)의 유저 정보를 등록하고, 이것{유저 정보}이 인증 정보를 발행하는 Proxy-AAA 서버(210)에 제공된다(S126).
Proxy-AAA 서버(210)에 제공된 인증 정보는, 무선 기지국(200)을 통해서 유저 단말(100)에 제공된다(S128, S130). 이 때, Proxy-AAA 서버(210)로부터 유저 단말(100)에는, 인증 정보를 IC 카드(170)에 기입하도록 기입 요구가 송신된다. 이 기입 요구를 받으면, 유저 단말(100)은, Proxy-AAA 서버(210) 및 무선 기지국(200)을 통해서 제공된 인증 정보를 IC 카드(170)에 기입한다(S132). 그리고, 유저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면,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에 기입한 인증 정보를 판독출력하고(S134), 그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Home-AAA 서버(22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해서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을 개시한다(S13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개시까지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처리 중에서 유저가 수동 입력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공정은 전무하다{존재하지 않는다}. 도 6의 예에서 딱 한번{唯一} 요구되는 서비스 플랜의 선택 처리에 대해서도, 단순히 선택 메뉴로부터 원하는 플랜을 선택할 뿐이기 때문에, 키보드 등에 의한 문자 입력 조작을 실행{수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 플랜 선택 조작에 대해서도, IC 카드(170)에 소정의 정보를 설정해 둠으로써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주목하라.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이용 개시에 수반해서 유저가 정보를 수동 입력할 필요는 없고, 단지 IC 카드(170)를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만으로 유저 등록 처리, 결제 처리 및 유저 인증 처리가 완료된다. 또,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이용해서 결제가 실행되기 때문에,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유저라도,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음에 유저 단말(100), 무선 기지국(200), Proxy-AAA 서버(210) 및 Home-AAA 서버(22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하나하나 설명한다.
2-4-1: 유저 단말의 처리
우선, 도 7을 참조하면서, 유저 단말(100)에 의한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유저 단말(10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C 카드(170)가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지면,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의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무선 기지국(200)에 액세스해서 Proxy-AAA 서버(210)에 어드레스 정보를 제공한다(S152). 또, Proxy-AAA 서버(210)는, 제공된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해서 Home-AAA 서버(220)에 접속하고, 그 Home-AAA 서버(220)의 포털 페이지를 유저 단말(100)에 제시한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 포털 페이지를 거쳐서 서비스 플랜이 선택되면, 유저 단말(100)은 결제 처리로 진행한다.
결제 처리에 있어서, 유저 단말(100)은, 서비스 요금의 결제에 IC 카드(170)를 이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54), IC 카드(17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텝 S156의 처리로 진행해서 카드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IC 카드(17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158로 진행해서 이용 등록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56으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Home-AAA 서버(220)와의 사이에서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이용한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Home-AAA 서버(220)는,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IC 카드(170)에 직접 액세스하고, 카드 인증, 요금 결제, 유저 ID 및 패스워드 등의 인증 정보를 기입한다.
한편, 스텝 S158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유저에게 신용카드 번호 등의 입력을 취득하고{구하고}, 그 입력 정보를 이용해서 Home-AAA 서버(220)에 유저를 등록한다. 결제 처리에 신용카드를 이용하기 위해 선택사항{選擇枝; option}을 남기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라. 이것은,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잔고가 급격히 적어져 버리거나, 특히 유저가 신용카드 결제를 바라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신용카드 결제를 선택한 경우, 유저의 수동 입력이 필요하게 되며, 그 때에만 유저의 부담이 증가해 버리지만, IC 카드(170)의 이용을 보완할 수 있다고 하는 의미에서 유저가 누리는{유저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의 향상 효과는 매우 큰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스텝 S156 또는 스텝 S158의 결제 처리를 거쳐 유저 등록이 행해지고, Home-AAA 서버(220)로부터 인증 정보가 제공되면, 유저 단말(100)은, 제공된 인증 정보를 IC 카드(170)에 기입한다(S160). 단, 카드 처리의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100)은, Home-AAA 서버(220)에 의한 인증 정보의 기입 처리에 있어서의 중개역{intermediary}으로서 기능한다. 그 다음에, 유저에 의해 서비스의 이용 개시가 요구되면,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로부터 인증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Home-AAA 서버(22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해서 네트워크의 접속 허가를 얻는다(S162). 그 결과, 유저는,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100)에 의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이용해서 결제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제 처리에 따라서 발행되는 인증 정보를 IC 카드(170)에 기입한다. 또,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에 기입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유저 인증을 실행하고, Home-AAA 서버(220)를 거친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을 실현한다. 또, 도 7의 예에서는, IC 카드(170)에 의한 결제 처리를 보완하는 형태로 신용카드 결제를 조합하는 개혁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저는, 거의 정보의 수동 입력을 행하지 않고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유저라도,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인증 정보를 모두 IC 카드(170)에 기입하도록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일부 정보를 유저 단말(100)의 기억수단에 기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는 점을 주목하라. 또, IC 카드(170)로부터 판독출력한 인증 정보를 유저 단말(100)이 소정 기간 보존유지{保持; hold}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2-4-2: 무선 기지국 및 Proxy-AAA 서버의 처리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서, 무선 기지국(200) 및 Proxy-AAA 서버(210)에 의한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무선 기지국(200) 및 Proxy-AAA 서버(21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100)로부터 무선 기지국(200)에의 액세스가 발생하고(S172), 유저 단말(100)에 Home-AAA 서버(220)의 포털 페이지가 제시된다. 이 때, 유저 단말(100)로부터 무선 기지국(200)을 통해서 Proxy-AAA 서버(210)에 송신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IC 카드(170)를 결제 처리에 이용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174). IC 카드(170)를 결제 처리에 이용하는 경우, Proxy-AAA 서버(210)는, 스텝 S176의 처리로 진행하고, Home-AAA 서버(220)에 카드 처리 요구를 송신한다(S176).
한편, IC 카드(170)를 결제 처리에 이용하지 않는 경우, Proxy-AAA 서버(210)는, 스텝 S178의 처리로 진행하고, Home-AAA 서버(220)에 신용카드 등에 의한 유저 이용 등록을 요구한다(S178). 이 때, Proxy-AAA 서버(210)는, 유저 단말(100)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용카드 번호 등의 정보를 Home-AAA 서버(220)에 제공한다.
스텝 S176 또는 스텝 S178의 처리에 의해 결제가 완료되고, Home-AAA 서버(220)로부터 인증 정보가 제공되면(S180), Proxy-AAA 서버(210)는, 제공된 인증 정보를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유저 단말(100)에 제공한다(S182). 이 때, Proxy-AAA 서버(210)에 의해 유저 단말(100)에 대해서 인증 정보의 기입 제어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무선 기지국(200) 및 Proxy-AAA 서버(210)에 의한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2-4-3: Home-AAA 서버의 처리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서, Home-AAA 서버(220)에 의한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Home-AAA 서버(22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Home-AAA 서버(220)는, Proxy-AAA 서버(210)로부터 받은 요구가 이용 등록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92). 이용 등록 요구를 받은 경우, Home-AAA 서버(220)는, 스텝 S198의 처리로 진행하고, 신용카드 등에 의한 이용 등록 처리를 실행한다(S198). 스텝 S192에서, Proxy-AAA 서버(210)로부터 받은 요구가 이용 등록 요구가 아닌 경우, Home-AAA 서버(220)는, 스텝 S194의 처리로 진행하고, 그 요구가 IC 카드 처리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94).
스텝 S194에서의 판단 결과, Proxy-AAA 서버(210)로부터 받은 요구가 IC 카드 처리 요구인 경우, Home-AAA 서버(220)는, 스텝 S196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Proxy-AAA 서버(210)로부터 받은 요구가 IC 카드 처리 요구가 아닌 경우, Home-AAA 서버(220)는, 에러 처리를 실행해서, 유저 등록 및 결제 처리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96에서는, Home-AAA 서버(220)에 의해,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카드 처리가 실행된다(S196). 이 때, Home-AAA 서버(220)는, IC 카드(170)에 액세스하고,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갱신해서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96 또는 스텝 S198에서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Home-AAA 서버(220)는, 인증 정보를 발행하고, Proxy-AAA 서버(210)에 등록한다(S200). Home-AAA 서버(220)에 의한 인증 정보의 등록을 받은 Proxy-AAA 서버(210)는, 유저 단말(100)에 대해서 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유저 단말(100)을 제어해서 인증 정보를 IC 카드(170)에 기입한다.
유저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개시 조작이 행해지면,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로부터 인증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그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Home-AAA 서버(22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시도한다. Home-AAA 서버(220)는, 유저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에 의해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인증이 성공하면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 서비스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Home-AAA 서버(220)에서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와 같이, 결제 처리, 및 인증 처리는,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Home-AAA 서버(220)와 IC 카드(170) 사이에서 실행된다. 그 때, IC 카드(170)에 저장된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가 이용된다. 또, 결제 완료에 수반해서 Home-AAA 서버(220)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는, IC 카드(170)에 저장된다. 그 때문에, 유저가 네트워크 접속을 일단{일시적으로} 절단한 후에 다시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때에도, IC 카드(170)를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만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그 시스템 구성 및 네트워크 접속이 개시될 때까지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할 때까지 유저가 행해야 할 조작을 크게 저감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유저에게도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공공 장소에서 이용할 때에도 개인 정보 등의 도청이나 누설{漏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변형예 1(인증 시스템/결제 시스템을 나누는 구성)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1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앞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인증 처리의 주체와 결제 처리의 주체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재구성한 것이다. 단, 인증 처리의 주체와 결제 처리의 주체를 어느 서버에 할당할지는, 본 실시형태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물론, 이와 같은 변경을 실시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도, 본 변형예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3-1: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Home-AAA 서버(220)가 인증 처리 및 결제 처리에 관계된 주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각 처리의 흐름이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아, 본 실시형태의 기술적 특징이 조금 이해하기 어렵지 않았나 생각한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100), IC 카드(170), 무선 기지국(200), 인증 시스템(310) 및 결제 시스템(320)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변형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유저 단말(100), IC 카드(170) 및 무선 기지국(200)의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저 단말(100), IC 카드(170) 및 무선 기지국(2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Proxy-AAA 서버(210) 및 Home-AAA 서버(220)의 기능이, 인증 시스템(310) 및 결제 시스템(320)의 기능에 재편성{再編成; reconstruct}되어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인증 시스템(310) 및 결제 시스템(32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유저 단말(100), IC 카드(170) 및 무선 기지국(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간단한 설명에 머문다.
인증 시스템(310)
우선, 인증 시스템(3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증 시스템(310)은,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개시할 때에, 유저가 행하는 인증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기능한다.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개시시에, 유저가 행해야 할 인증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인증 시스템(310)이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을 허가할 때에 행하는 유저 인증이 있다. 이 유저 인증은, 예를 들면 유저에게 미리 제공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실행된다. 또, 유저에게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인증 시스템(310)의 역할이다. 그 때문에, 인증 시스템(310)은, 인증 정보의 발행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인증 정보를 발행할 때,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에 대해, 유저를 특정하기 위한 유저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구한다. 유저로부터 유저 정보의 제공을 받으면, 인증 시스템(310)은, 그 유저에게 제공할 인증 정보를 발행하고, 유저 정보와 함께 보관{저장}한다. 그리고, 유저로부터, 유저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수반해서 광역 네트워크(50)에의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보관하고 있는 유저 정보 및 인증 정보와 유저로부터 취득한 유저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인증이 성립되면,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이 광역 네트워크(50)에 접속하는 것을 허가하고,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제공을 개시한다.
또, 인증 시스템(310)은, 결제 시스템(320)에 접속되어 있다.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에 대해서 인증 정보를 발행할 때, 결제 시스템(320)에 대해서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요구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에서는, 인증 시스템(310)이 자신이{스스로} 결제 처리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 처리를 결제 시스템(320)에 위탁하는 형태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결제 처리에 관해,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로부터 취득한 유저 정보 등을 결제 시스템(320)에 제공하는 역할 및, 무선 기지국(200)을 통한 유저 단말(100)에의 전송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결제 시스템(320)에 의해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결제 완료 통지를 받으면, 인증 시스템(310)은, 인증 정보를 발행한다.
또,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에 대해서 포털 페이지의 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200)을 통해서 유저 단말(100)로부터 액세스를 받은 경우에, 인증 시스템(310)은, 그것{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 등을 포함하는 포털 페이지를 제시한다. 포털 페이지로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서비스 플랜의 선택 페이지가 1예로서 예시되어 있다.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받으려고 하는 경우, 유저가 선택해야 할 정보로서는, 여기서 예시한 서비스 플랜 이외에,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의 종류나 결제방법 등이 있다. 또, 서비스 플랜의 구성으로서는, 서비스의 이용 기간, 접속 요금, 회선 속도 등의 조합이 생각된다. 그래서, 포털 페이지에서는, 이와 같은 이용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뉴나 선택 폼이 제공된다.
단, 본 변형예의 경우, 상기 이용 조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IC 카드(170)에 기입해 두고, IC 카드(170)가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진 시점에서, 유저 단말(100)로부터 인증 시스템(310)에 자동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원래, 유저 단말(100)에 의한 무선 기지국(200)에의 액세스는, IC 카드(170)가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짐으로써 개시된다. 그 때문에, IC 카드(170)에 필요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으면, 유저 단말(100)이 무선 기지국(200)에 액세스하는 타이밍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C 카드(170)내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도 4의 (a) 및 (b)를 참조해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단, IC 카드(170)에는, 도 4의 (a) 및 (b)에 예시한 정보 이외에도, 각종 정보를 기입해 둘 수가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 접속 설정 정보 및 유저 정보가 IC 카드(170)에 기입되어 있었다. 또, 결제 처리가 완료한 시점에서 서비스 이용 정보가 IC 카드(170)에 기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는, 금전적 가치를 가지는 금전 정보의 일종으로, 결제 시스템(320)에 의한 결제 처리의 단계에서 판독출력 또는 고쳐쓰기{書換; rewrite}되는 정보이다. 따라서,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는, 타인이 용이하게 고쳐쓸{리라이트할} 수 없도록, 엄중하게 관리되어야 할 정보이다. 그 때문에,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에 액세스할 때에는 카드 인증이 실행된다. 카드 인증의 처리는,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IC 카드(170)와 결제 시스템(320) 사이에서, 암호화된 전송로를 통해서 실행된다. 또,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나 고쳐쓰기용 커맨드 및 데이터는, 도청 또는 개찬되지 않도록 암호화되어 전송된다.
그런데, 유저 단말(100)이 무선 기지국(200)에 액세스할 때에 IC 카드(170)로부터 유저 단말(100)이 판독출력해서 이용하는 주요한 정보는, 접속 설정 정보 및 유저 정보이다.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접속 설정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의 인증 시스템(310)에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이다.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존재하는 경우, IC 카드(170)에는, 복수의 접속 설정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일도 때때로 있다.
또, 복수의 접속 설정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 각 접속 설정 정보에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는 일도 때때로 있다. 이 경우, 유저 단말(100)은, 우선도가 높은 접속 설정 정보를 IC 카드(170)로부터 판독출력하고, 판독출력한 접속 설정 정보가 나타내는 인증 시스템(310)에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액세스한다. 이와 같이 해서 유저 단말(100)로부터 무선 기지국(200)에의 액세스가 발생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포털 페이지가 제시되는 것이다.
또, IC 카드(170)중에, 유저가 선택을 원하는 서비스 플랜의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로부터 서비스 플랜의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무선 기지국(200)에의 액세스시에 인증 시스템(31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기간 「1일」의 서비스 플랜을 우선, 가격 「$30 이하」의 서비스 플랜을 우선, 회선 속도 「10Mbps 이상」의 서비스 플랜을 우선 등의 정보가 IC 카드(170)에 기입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서비스 플랜의 정보가 인증 시스템(310)에 송신되면, 그 조건에 적합한 서비스 플랜이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선택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폼 P3만이 유저 단말(100)에 표시된다. 유저에 의한 확인이 완료되면, 결제 처리로 수속이 진행한다.
이와 같이, 인증 시스템(310)은, IC 카드(170)에 기입된 정보에 의거해서 유저 등록 및 유저 인증을 실행한다. 그 때문에, 유저는, IC 카드(170)를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만으로 유저 등록 및 유저 인증을 완료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유저 정보가 IC 카드(17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유저 단말(100)에 의한 액세스를 받고 나서 인증 시스템(310)이 유저 정보를 생성하도록 변경해도 좋다는 점을 주목하라.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마다 다른 유저 ID로 유저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경우, 각 서비스 제공자의 인증 시스템(310)이 유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인증 시스템(310)과 유저 단말(100) 사이의 정보 교환은, 무선 기지국(200)을 통해서 유지{실행}된다. 유저 단말(100)과 무선 기지국(200) 사이는 WiMAX 등의 규격에 준거해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전송로로 접속되어 있다. 인증 시스템(310)은, 무선 기지국(200)을 제어하고, 무선 전송로를 통한 유저 단말(100)과의 사이의 정보 통신을 실현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무선 전송로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부호화/복호, 부호화 데이터의 변조/복조 및 신호의 게인 컨트롤 등, 데이터 처리 및 신호 처리를 무선 기지국(200)이 실행한다는 점을 주목하라. 단, 이들 데이터 처리 및 신호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의 처리를 인증 시스템(310)에서 실행하도록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제 시스템(320)
다음에, 결제 시스템(320)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제 시스템(320)은, 인증 시스템(310)에 의해 인증 정보가 발행될 때에,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에 관한 결제 처리를 실행하도록 기능한다. 특히, 본 변형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320)은, 유저 단말(100)의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진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이용해서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결제 시스템(320)과 IC 카드(170) 사이는, 암호화된 안전한{확실한} 전송로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 상기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의 판독출력 또는 기입 커맨드, 고쳐쓰기용 데이터, 및 카드 인증용 정보 등이 인증 시스템(310) 등에서 도청 또는 개찬되는 일은 없다.
그런데, 결제 시스템(320)은,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접속 요금의 결제 요구를 받은 경우에,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IC 카드(170)에 액세스한다. 그 다음에, 결제 시스템(320)은, IC 카드(170)에 저장된 카드 인증용 정보를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취득하고, IC 카드(170)와의 사이에서 카드 인증을 실행한다. 카드 인증이 성공하면, 결제 시스템(320)은,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이용해서,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요구받은 접속 요금의 금액을 결제한다. 이 때, 실제로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고쳐쓰는 것은, 리더/라이터(104)에 접속된 유저 단말(100)이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결제 시스템(320)은,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결제 완료 통지를 인증 시스템(310)에 송신한다.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 결제 완료 통지를 받으면,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정보와 인증 정보를 대응지어서 관리하고, 그 인증 정보를 유저 단말(100)에 제공한다. 유저 단말(100)에 제공된 인증 정보는, IC 카드(170)에 기입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이와 같이 해서 요금 결제 및 유저 등록이 실행된다. 또한, 인증 정보를 유저 단말(100)의 기록 매체에 기입해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른 유저 단말(100)에서 이용하는 것도 생각하면 IC 카드(170)에 기입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 대해서는 나중에{후단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여기까지의 처리가 완료되면, 유저는, IC 카드(170)를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만으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을 수동 입력하는 수고가 없어져, 유저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한다. 또, 네트워크 접속을 절단하고, 다시 네트워크 접속을 실행할 때에도,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보기만 하면 되고, 유저 ID나 패스워드의 수동 입력에 걸리는 수고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IC 카드(170)의 정보에 의거해서 유저 단말(100)이 자동적으로 브라우저 P1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것에 의해, 유저는, 단지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동작만으로 이용 환경을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이용해서 요금 결제가 실행되기 때문에,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유저라도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하에서는, 본 변형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IC 카드(170)에의 액세스를 담당하는 유저 단말(1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며, 또 본 변형예의 시스템으로 실행되는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3-2: 유저 단말의 기능 구성
우선,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변형예에 따른 유저 단말(1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변형예에 따른 유저 단말(10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100)은 주로, 표시부(단말 화면(102))와, 리더/라이터(104)와, 입력부(106)와, 무선 통신부(108)와, 결제 처리부(110)와, 접속 인증부(112)를 가진다. 단, 단말 화면(102), 리더/라이터(104) 및 입력부(106)는, 유저 단말(100)에 외부 접속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결제 처리부(110) 및 접속 인증부(112)가 취급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수단이 설치된다. 또, 유저 단말(100)이 가지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억수단이 설치된다. 결제 처리부(110) 및 접속 인증부(112)의 기능은, 후술하는 하드웨어 구성예 중에서, CPU(902)에 의해 ROM(904), RAM(906), 기억부(920), 리무버블 기억 매체 또는 외부 접속 기기(9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거해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라.
단말 화면(102)
우선, 단말 화면(102)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 화면(102)은, 유저 단말(100)의 표시부를 구비한다. 단말 화면(102)의 예로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ELD(Electro-Luminescence Display),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을 들 수 있다. 단말 화면(102)에는, 브라우저 P1의 기동 화면 및 확인 폼 P3이 표시된다(도 10을 참조). 물론, 단말 화면(102)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 화면 및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GUI"라 한다) 등이 표시된다.
리더/라이터(104)
다음에, 리더/라이터(104)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더/라이터(104)는, 비접촉 통신에 의해 IC 카드(170)에 저장된 정보를 리드/라이트하도록{읽고 쓰도록} 기능한다. 리더/라이터(104)는, 예를 들면 도 2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회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리더/라이터(104)는, 루프 안테나로 발생시킨 유도 자장에 의한 전자 결합을 이용해서, IC 카드(170)에 전력을 공급하고, 커맨드를 송신하며, 커맨드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IC 카드(170)로부터 수신한다. 리더/라이터(104)는, 유저 단말(100)의 하우징{筐體}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이하, "USB"라고 한다) 단자 등을 거쳐서 외부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본 변형예에 따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부(106)
다음에, 입력부(106)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력부(106)는, 유저가 정보를 수동 입력하는데 이용하는 조작 입력부로서 기능한다. 입력부(106)의 1예로서는,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터치패드, 터치패널, 조작 버튼, 조작 레버,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각종 입력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 시스템(310)의 포털 페이지가 단말 화면(102)에 표시되고, 서비스 플랜의 선택이 재촉되었을 때, 유저는, 입력부(106)를 조작해서 원하는 서비스 플랜을 선택한다. 또, 확인 폼 P3이 단말 화면(102)에 표시되었을 때, 유저는, 확인 폼 P3에 설치된 확인 완료의 의지를 나타내기 위한 GUI 버튼(OK)을 입력부(106)의 조작에 의해 누른다. 이와 같은 유저 조작은, 입력부(106)를 거쳐서 무선 통신부(108)에 통지된다.
무선 통신부(108)
다음에, 무선 통신부(108)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선 통신부(108)는, 예를 들면 WiMAX 등의 규격에 준거해서, 무선 기지국(200)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실현시키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08)는,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송신된 포털 페이지의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단말 화면(102)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무선 통신부(108)는, 포털 페이지의 GUI 버튼 등이 유저에 의해 눌려져, 입력부(106)로부터 유저 조작 통지가 입력된 경우에, 필요에 따라서 유저 조작의 정보를 무선 기지국(200)에 무선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08)는, 결제 처리부(110) 및 접속 인증부(112)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필요에 따라 무선 기지국(200)에 무선 전송한다. 또, 무선 통신부(108)는, 무선 기지국(200)으로부터 무선 전송되어 온 정보를 단말 화면(102), 접속 인증부(112) 및 결제 처리부(110)에 입력한다.
결제 처리부(110)
다음에, 결제 처리부(110)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제 처리부(110)는, IC 카드(170)를 이용한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를 실현하기 위해서, 리더/라이터(104)를 제어해서 IC 카드(170)로부터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IC 카드(170)에 정보를 기입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결제 처리부(110)는, IC 카드(170)로부터 판독출력한 정보를 무선 통신부(108)에 입력하고,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 또는 결제 시스템(320)에 송신한다. 또, 결제 처리부(110)는,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 또는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거해서, IC 카드(170)의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IC 카드(170)에 정보를 기입한다.
여기서, 유저가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를 행할 때에 결제 처리부(110)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에 따라서, 결제 처리부(11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저가 리더/라이터(104)에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보면, 결제 처리부(110)는, 리더/라이터(104)를 통해서 IC 카드(170)의 존재를 인식한다. 그 다음에, 결제 처리부(110)는, 리더/라이터(104)를 제어해서 IC 카드(17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고, 서비스 이용 정보(도 4의 (a) 및 (b)를 참조)의 유무를 확인한다. 서비스 이용 정보가 존재하면, 유저가 이전에 IC 카드(170)를 이용해서 유저 등록을 행한 것으로 간주할 수가 있다. 단, 여기에서는 서비스 이용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서비스 이용 정보가 IC 카드(17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결제 처리부(110)는,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로부터 접속 설정 정보를 판독출력한다. 또, 결제 처리부(110)는,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로부터 유저 정보를 판독출력한다{읽어낸다}. 이들 정보를 IC 카드(170)로부터 판독출력하면, 결제 처리부(110)는, 무선 통신부(108)를 거쳐서 무선 기지국(200)에 액세스하고, 접속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 시스템(310)에 유저 정보를 제공해서, 유저 등록 처리를 요구한다.
유저 등록 처리가 요구되면,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포털 페이지가 제시되고, 단말 화면(102)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서비스 플랜을 선택하면, 입력부(106)로부터 유저 조작의 정보가 무선 통신부(108)에 입력되고,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에 송신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증 시스템(310)은, 결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유저 조작의 정보가 인증 시스템(310)에 입력되면,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유저 조작의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플랜의 이용요금이 결제 시스템(320)에 통지되고, 그 이용 요금의 결제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해서, 이용 요금의 결제 요구를 받으면, 결제 시스템(320)은,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유저 단말(100)에 액세스하고, IC 카드(170)에 대한 카드 인증을 실행한다. 이때, 결제 처리부(110)는,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 제공된 카드 인증용 정보에 의거해서,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에의 액세스를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드 인증이 성공하면, 결제 시스템(320)은,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통지된 이용 요금의 분만큼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로부터 전자적 자동이체하도록 요구한다. 유저 단말(100)은, 이 자동이체 요구를 무선 통신부(108)에 의해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취득하며, 결제 처리부(110)에 입력한다.
결제 처리부(110)는,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에 액세스하고, 자동이체 요구로 지정된 금액분만큼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의 잔고{殘高; credit}를 줄이도록,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고쳐쓴다.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의 고쳐쓰기 처리가 완료되면, 결제 처리부(110)는, 무선 통신부(108)를 거쳐서 무선 기지국(200)에 액세스하고,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결제 시스템(320)에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
완료 통지가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 수신되면,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 인증 시스템(310)에 결제 완료 통지가 입력된다. 따라서, 인증 시스템(310)에 의해, 인증 정보가 발행되고, 유저 정보에 대응지어서 관리됨과 동시에, 그 인증 정보가 무선 기지국(200)을 통해서 유저 단말(100)에 제공된다. 유저 단말(100)에 제공된 인증 정보는, 무선 통신부(108)로부터 수신되고, 결제 처리부(110)에 입력된다.
따라서, 이 인증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접속 인증부(112)에 입력되고 보존유지된다. 결제 처리부(110)에 입력된 인증 정보는,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접속 인증부(112) 또는 IC 카드(17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유저는, 인증 시스템(310)을 거쳐서 광역 네트워크(5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까지가,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에 관계된 결제 처리부(110)의 실행{처리} 내용이다.
접속 인증부(112)
다음에, 접속 인증부(11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접속 인증부(112)는, 결제 처리부(110)의 기능에 의해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취득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유저 인증을 실행하도록 기능한다.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 할 때, 접속 인증부(112)는,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판독출력한다. 그리고, 접속 인증부(112)는, IC 카드(170)로부터 판독출력한 인증 정보를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무선 통신부(108)에 입력하고,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에 송신한다.
이 때, 접속 인증부(112)는, 인증 시스템(310)에 대해서 네트워크 접속의 개시를 요구하는 접속 개시 요구를 송신한다.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유저 인증을 실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접속 개시 요구에 따라서 유저 단말(1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개시한다. 단, 접속 인증부(112)가 인증 정보를 보존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보존유지하고 있는 인증 정보가 이용된다.
이와 같이, 유저 단말(1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제 처리부(110)의 기능에 의해,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이용한 결제 처리가 유저 단말(100)에서 가능하게 되며, 또 접속 인증부(112)의 기능에 의해, 유저 인증에 관계된 유저 조작이 간략화된다. 그 결과,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 정보 등을 수동 입력하는 수고가 덜어짐{생략됨}과 동시에,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유저에게도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3: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유저 미등록시)
여기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변형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해서,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여기서는 유저가 미등록 상태로 실시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2는,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더/라이터(104)에 IC 카드(170)가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지면, IC 카드(170)의 정보가 유저 단말(100)에 의해 취득된다(S302). 이 때, IC 카드(170)에 저장되어 있던 접속 설정 정보 및 유저 정보가 유저 단말(100)에 의해 판독출력된다. 일단 IC 카드(170)의 정보가 판독출력되면, 유저 단말(100)은,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에 액세스한다(S304). 이 때, 유저 단말(100)로부터 인증 시스템(310)에 유저 정보가 제공된다. 인증 시스템(310)에서는, 유저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유저 정보에 의거해서, 유저 등록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S306). 도 12의 예에서는, 유저가 미등록 상태인 것이 확인된다.
유저가 미등록인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서비스 플랜을 선택하기 위한 포털 페이지를 유저 단말(100)에 제시한다(S308).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포털 페이지의 제시를 받으면, 유저 단말(100)은, 단말 화면(102)에 포털 페이지를 표시하고, 유저에 의한 플랜의 선택 조작을 대기한다(S310). 유저에 의해 플랜이 선택되면, 유저 단말(100)은,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에 선택 플랜의 정보를 제시하고, 인증 시스템(310)을 거쳐서 결제 시스템(320)에 이용 요금의 결제를 요구한다(S312). 이때,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결제 시스템(320)에 선택 플랜에 대응하는 이용 요금의 결제 요구가 송신된다.
이용 요금의 결제 요구를 받으면, 결제 시스템(320)은,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IC 카드(170)에 액세스하고, 카드 인증을 실행한 후,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이용해서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S314). IC 카드(170)에 의한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결제 시스템(320)은, 결제 완료 통지를 인증 시스템(310) 및 유저 단말(100)에 송신한다(S316, S318). 결제 완료 통지를 받은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가 네트워크 접속시에 이용할 유저 인증용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S320). 그리고, 인증 시스템(310)은, 인증 정보를 유저 단말(100)에 제공하고, 유저 등록의 완료를 통지함{알림}과 동시에(S324), IC 카드(170)에 기입하도록 요구한다(S322).
인증 정보가 기입된 후에는, IC 카드(170)가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졌을 때에 유저 단말(100)이 인증 정보를 판독출력해서 유저 인증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인증 시스템(310)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가 제공된다(S326). 또한, 도 12의 예에서는, 인증 정보를 IC 카드(170)에 기입하는 바와 같은 처리의 흐름으로 되어 있지만, 인증 정보가 유저 단말(100)에 일단 보존유지되고, 그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서비스 제공을 받을 수 있도록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을 주목하라. 단, 동일한 유저가 다른 유저 단말(100)을 이용하는 것도 상정하면, 도 12에 예시한 IC 카드(170)에 대해서 인증 정보를 기입하고, 서비스 제공 개시시에 IC 카드(170)로부터 인증 정보를 판독출력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3-1: 유저 단말의 처리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변형예의 유저 단말(100)이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변형예의 유저 단말(100)이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우선,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가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졌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카드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S332). 카드 검출 처리로서, 예를 들면 리더/라이터(104)로부터 폴링 커맨드를 발신{송신}하고, IC 카드(170)에 의해 응답을 검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유저 단말(100)은, 카드 검출 처리에 의해 IC 카드(170)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34). 카드 검출 처리가 성공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336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카드 검출 처리가 실패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다시 스텝 S332의 처리로 진행하고, 카드 검출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스텝 S336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카드 검출 처리로 검출된 IC 카드(170)로부터 카드 정보를 취득하고,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에 액세스한다(S336). 이 때, 인증 시스템(310)에는 IC 카드(170)로부터 판독출력된 유저 정보가 송신되며, 유저의 등록 여부{유무}가 판단된다. 그리고, 유저 미등록인 경우, 유저 단말(100)에 포털 페이지가 표시되고, 유저에 의해 서비스 플랜의 선택이 행해진다. 한편, 유저가 등록된 경우에는, 잔여 유효 기한이 있는 인증 정보가 IC 카드(170)에 이미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결제 처리에 관한 통지가 유저 단말(100)에 송신되어 오는 일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유저 단말(100)은, 송신한 유저 정보에 대한 인증 시스템(310)(또는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의 응답 내용에 따라서 결제 처리에 관한 요구(플랜 선택 페이지의 제시 등)의 유무를 판단한다(S338). 결제 요구가 있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340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결제 요구가 없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350의 처리로 진행하고, 완료 통지를 출력함(S350)으로써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40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유저에게 서비스 플랜의 선택을 요구하고, 유저에 의한 플랜 선택 조작을 대기한다(S340). 그리고, 유저 단말(100)은, 서비스 플랜을 결정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42), 결정한 경우에는 스텝 S344의 처리로 진행하고, 결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40의 대기 상태를 계속한다.
스텝 S344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결정한 서비스 플랜의 정보를 인증 시스템(310)에 송신하고, 인증 시스템(310)을 거쳐서 결제 시스템(320)에 이용 요금의 결제를 요구한다(S344). 따라서,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결제 요구에 따라서 결제 시스템(320)과 IC 카드(170) 사이에서 결제 처리가 실행된다. 유저 단말(100)은,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 통지되는 결제 완료 통지를 대기하고, 결제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6).
결제가 완료된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348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결제가 완료되지 않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352의 처리로 진행하고, 유저에게 에러를 통지해서(S352)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결제가 완료되지 않는 이유의 예로서는, IC 카드(170)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머니 잔고의 부족이나 통신 에러 등이 생각된다.
스텝 S348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유저 등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8).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 인증 시스템(310)에 결제 완료 통지가 송신되고, 인증 시스템(310)에서 인증 정보가 발행된다. 이 인증 정보가 인증 시스템(310)에서 유저 정보에 대응지어서 보존됨과 동시에, 유저 단말(100)에 제공되어 IC 카드(170)에 기입됨으로써, 유저 등록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해서, 유저 등록이 완료되면, 유저 단말(100)은,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통신 에러 등의 어떠한 이유에 의해 유저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352의 처리로 진행하고, 유저에게 에러를 통지해서(S352)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으로, 유저 단말(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3-3-2: 인증 시스템의 처리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변형예의 인증 시스템(310)에 의한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변형예의 인증 시스템(31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인증 시스템(310)은,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유저 단말(100)로부터의 액세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2). 유저 단말(100)로부터의 액세스가 없는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스텝 S362의 처리를 반복해서 액세스를 대기한다. 한편, 유저 단말(100)로부터 액세스를 받으면, 인증 시스템(310)은, 스텝 S364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364의 처리로 진행하면, 인증 시스템(310)은, IC 카드(170)에 저장된 유저 정보를 유저 단말(100)로부터 취득한다(S364). 이 때,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 고유의 단말 정보를 아울러 취득해도 좋다.
유저 정보를 취득하면, 인증 시스템(310)은, 취득한 유저 정보를 이용해서 유저 등록의 유무를 판단한다(S366). 그 유저가 미등록인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스텝 S368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유저가 등록된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스텝 S378의 처리로 진행해서 네트워크를 개통시키고(S378),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68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에 서비스 플랜의 선택을 요구하고, 선택된 서비스 플랜에 대응하는 이용 요금의 결제를 결제 시스템(320)에 요구한다(S368). 그 다음에, 인증 시스템(310)은,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 결제 완료 통지를 수취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70), 받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스텝 S368의 처리로 진행해서 결제 요구를 재송신한다.
한편, 결제 완료 통지를 수취한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스텝 S372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372의 처리로 진행하면,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의 유저 인증에 이용할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그 인증 정보를 유저 정보에 대응지어서 보존유지한다(S372). 또, 인증 시스템(310)은, 생성한 인증 정보를 유저 단말(100)에 제공한다. 유저 단말(100)에 제공된 인증 정보는, 리더/라이터(104)를 거쳐서 IC 카드(170)에 저장되며, 유저 등록이 완료된다. 그래서,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등록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74), 성공한 경우에는 스텝 S376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유저 등록이 실패한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스텝 S380의 처리로 진행하고, 에러 처리를 실행해서(S380)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76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등록의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통지를 유저 단말(100)에 제공한다(S378). 따라서,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등록이 완료한 유저 단말(100)에 대해서 네트워크의 접속을 허가하고, 네트워크를 개통시킨다(S378). 이 네트워크 개통 처리가 완료되면, 인증 시스템(310)은,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인증 시스템(310)에 의한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3-4: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유저 등록시)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면서, 유저가 등록된 경우에 실행되는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유저가 등록된 경우에 실행되는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유저 단말(100)에 의해 IC 카드(170)의 카드 정보가 취득된다(S382). 그 다음에, 유저 단말(100)은,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에 액세스한다(S384). 이때, 인증 시스템(310)에는, IC 카드(170)로부터 유저 단말(100)이 판독출력한 유저 정보가 제공된다.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로부터 제공받은 유저 정보에 의거해서, 유저 등록의 유무를 판단한다(S386). 도 15의 예에서는, 유저가 등록되었다{유저 등록을 마쳤다}고 판정된다. 이 경우,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에 대해서 유저 인증이 완료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S388). 유저 인증의 완료 통지를 받으면,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네트워크의 이용을 개시한다(S390).
이와 같이, 유저가 등록된 경우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가 등록된 경우에는 결제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IC 카드(170)에 이미 기록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이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5: 서비스 이용권의 이전 방법
그런데, 지금까지 설명해 온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결제 처리에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가 이용됨과 동시에, 제 처리가 완료되면 IC 카드(170)에 인증 정보가 기입된다. 그 때문에, 결제 처리가 완료한 후, 유저가 서비스를 이용할 권리에 관한 정보는, IC 카드(170)에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IC 카드(170)에는,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기간의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유저 인증에 이용하는 인증 정보, 서비스 제공자의 인증 시스템(31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설정 정보 등이 대응지어서 기입되어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이들 정보를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해 가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도 16을 참조하면서, 서비스 이용권의 이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서비스 이용권의 이전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에는, 2대의 유저 단말(100A, 100B)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유저 단말(100A, 100B)은, 상기한 본 변형예에 따른 유저 단말(100)과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서비스 이용권의 이전이란, 예를 들면 유저가 제1 유저 단말(100A)로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를 실행하고, 유저 인증을 통해서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한 후, 네트워크를 절단하고, 유저가 제2 유저 단말(100B)에 의해 재접속하는 것을 말한다. 물론, 제3, 제4, …의 유저 단말(1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서비스 이용권의 이전은, 유저가 복수대{다수}의 유저 단말(100)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및, 공공 장소에 설치된 유저 단말(100)을 일시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생긴다. 예를 들면, 유저가 자택에 설치한 퍼스널 컴퓨터로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를 실행하고, 그 후 차에 탑재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유저 인증을 실행해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 서비스 이용권을 이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유저가 자택에 설치한 퍼스널 컴퓨터로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를 실행하고, 그 후, 공항이나 커피숍 등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로 유저 인증을 실행해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 서비스 이용권을 이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변형예의 경우, IC 카드(170)에 의한 요금 결제가 전제이며, 또 개인 정보의 수동 입력이 불필요해지며, 게다가 이들 비닉해야 할 정보가 시큐어한 전송로를 통해서 교환되기{주고받아지기} 때문에, 공공 장소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 이용하기 쉽다. 또, IC 카드(170)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이용해서 요금 결제를 행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공항이나 커피숍 등에서 필요한 분만큼 전자 머니 잔고를 자동이체{charge}해서, 간편하게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를 실행시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변형예의 구조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유저 개인이 보유하는 유저 단말(100)에서만 이용한다고 하는 것보다는, 공공 장소나 타인이 보유하는 유저 단말(100)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장면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시 말해, 유저가 단지 본 변형예에 따른 IC 카드(170)만을 보존유지하고, 유저 자신이 보유하는 것이 아닌 유저 단말(100)을 이용해서 유저 등록, 요금 결제 및 유저 인증이 실행될 기회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서비스 이용권을 안전하고 또한 간단하게 이전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원래, 본 변형예의 경우, 서비스의 개시시에 유저가 결정해야 할 사항으로서는, 서비스 플랜의 선택 정도이다. 따라서, 우선해야 할 서비스 플랜의 조건이 설정되어 있으면, 서비스 플랜을 선택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조차 유저에게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택해야 할 서비스 제공자의 조건, 서비스 플랜의 조건,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 및 유저 정보가 IC 카드(170)에 기입되어 있는 경우, 유저가 IC 카드(170)을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만으로,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가 간단히 완료해 버린다. 또,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가 완료된 후에 자동적으로 유저 인증이 실행되며, 서비스의 제공이 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네트워크를 일단 절단하고, 다시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하는 경우에도, 유저는, IC 카드(170)를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권을 이전해서 다른 유저 단말(100)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유저는, IC 카드(170)를 다른 유저 단말(100)의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기만 하면 된다. 이 때, 서비스 이용권의 유효 기한내이면, 새로운 유저 등록 및 결제 처리는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는, 제1 유저 단말(100A)에 설치된 리더/라이터(104)에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보아 서비스를 이용하며, 네트워크 접속을 일단 절단해서 제2 유저 단말(100B)에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본다. 인증 시스템(310)에서는, 유저 정보와 인증 정보를 대응지어서 관리함으로써 유저를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인증 시스템(310)은, 각 유저 단말(100) 고유의 정보를 이용해서 각 유저 단말(100)을 식별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제2 유저 단말(100B)에 IC 카드(170)가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진 시점에서,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로부터의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거부할 수가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고유의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등이 있다는 점을 주목하라.
 이와 같은 시스템을 설치하는 이유는, IC 카드(170)로부터 판독출력된 인증 정보 및 유저 정보가 제1 유저 단말(100A)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면, 연결 요구가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면 제2 유저 단말(100B)에까지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보아 서비스 제공이 개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 유저 단말(100)로부터의 동일한 인증 정보 및 유저 정보를 이용한 요구를 거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1명의 유저가 동시에 복수의 유저 단말(100A)과 유저 단말(100B)을 이용해서 네트워크 접속을 하지 않는다고 하는 특약{特約}을 수반하는 서비스 이용권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구조는 인증 정보 및 유저 정보의 악용 방지에도 기여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이용권의 이전을 수반하는 이용 형태에서도, 본 변형예의 구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유저의 조작 부담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용 형태에 대해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주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면, 비접촉 통신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implement}한 휴대 전화에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보아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를 실행하고, 공공 장소에 설치된 정보 기기에 IC 카드(170)를 들어올려 비추어보아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바와 같은 이용 형태도 생각된다. 또, IC 카드(170)의 기능을 탑재한 휴대 전화로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를 실행하고, 그 휴대 전화를 유저 단말(100)에 들어올려 비추어봄으로써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바와 같은 이용 형태도 생각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이용권의 이전을 수반하는 이용 형태는 다종 다양하며, 많은 경우에 있어서, 본 변형예에 따른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현격히{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6: 서비스 제공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선택 방법
다음에, 서비스 제공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선택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IC 카드(170)에는, 서비스 제공자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마다 저장 에리어가 설치되어 있거나 한다. 그 때문에,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에 저장된 정보에 의거해서, 액세스해야 할 서비스 제공자를 자동 선택할 수가 있다. 단, 자동 선택의 구조로서는, 여러가지의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마다 우선도를 설정해 두고, 우선도가 높은 순으로 서비스 제공자가 선택되는 바와 같은 구조를 이용할 수가 있다. 물론,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의 포털 페이지를 유저에게 제시해서, 유저가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단, 유저는 기간 1일의 접속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 A는, 1일의 이용요금: $12, 회선 속도:50Mbps라고 하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서비스 제공자 B는, 1일의 이용요금: $18, 회선 속도: 70Mbps라고 하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C는, 1일의 이용요금: $9, 회선 속도: 10Mbps라고 하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유저가 수동{손으로) 선택하는 구조의 경우,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가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진 시점에서, IC 카드(17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서비스 제공자의 접속 설정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각 서비스 제공자에게 액세스해서 접속 조건의 제시를 받는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100)의 단말 화면(102)에 각 서비스 제공자의 접속 조건이 기재된 포털 페이지가 표시되고, 유저에 의한 서비스 제공자의 선택 조작이 재촉된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의 선택 조작이 실행되면, 유저 단말(100)은, 그 서비스 제공자의 인증 시스템(310)에 액세스해서 유저 등록 및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유저 등록 및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선택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가 제공된다.
한편, IC 카드(170)에 기입된 정보에 의거해서 자동적으로 서비스 제공자가 선택되는 시스템에서, 유저 단말(100)은,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진 IC 카드(17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와 서비스 제공자마다 설정된 우선도의 정보를 판독출력한다{읽어낸다}. 또한, 우선도의 정보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하는 IC 카드(170)에 저장되는 정보 가운데, 접속 설정 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 정보로서 각 서비스 제공자에게 대응지어서 저장된다는 점을 주목하라. 또, 우선도의 정보는, 각 서비스 제공자의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지만, 서비스 내용의 선택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의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 A: 제1 순위, 서비스 제공자 B: 제3 순위, 서비스 제공자 C: 제2 순위」라고 하는 형식{폼}으로 설정된다. 한편, 서비스의 선택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는, "회선 속도가 높은 순", "이용 요금이 싼 순"이라고 하는 형식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IC 카드(170)에 "회선 속도가 높은 순"이라고 하는 선택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20의 예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B가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또, IC 카드(170)에 "이용 요금이 싼 순"이라고 하는 선택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20의 예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C가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물론, 이들 이외의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유저 단말(1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IC 카드(170)에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액세스하기 위한 접속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 우선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 및 이들 정보를 이용해서 서비스 제공자를 자동 선택하는 유저 단말(100)의 기능에 의해 실현된다. 이 기능은, 유저 단말(100)의 결제 처리부(110)에 의해 제공된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서,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존재하는 경우의 서비스 제공자 선택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1은,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존재하는 경우의 서비스 제공자 선택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우선, 유저에 의해 IC 카드(170)가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지면(S432),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의 저장 정보를 참조해서, 유효 기한이 남아 있는 인증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34). 잔여 유효 기한이 있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그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해서 스텝 S442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잔여 유효 기한이 있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436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436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현재 위치를 검지하고, 그 장소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제공자를 특정한다(S436). 이 때, 유저 단말(100)은, GPS 기능, 무선 기지국(200)의 위치, 무선 기지국(200)으로부터 도래하는 신호의 지연 시간 등에 의거해서 장소를 검지한다.
거리 등에서는, 유저 단말(100)의 위치에 따라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제공자가 다르다. 다시 말해, 유저 단말(100)이 액세스가능한 무선 기지국(200)에 접속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자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유저 단말(100)의 위치에 따라서 선택가능한 서비스 제공자가 다른 것이다. 그 때문에, 유저 단말(100)은, 스텝 S436의 처리에 의해, 그 장소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제공자를 특정해 두는 것이다. 그 다음에,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해서, 우선도의 설정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38). 우선도의 설정이 존재하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440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우선도의 설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스텝 S442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440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IC 카드(170)로부터 우선도의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가장 우선도가 높은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한다(S440). 우선도의 정보로서, 선택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유저 단말(100)은, 그 선택 조건에 가장 합치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가장 우선도가 높은 서비스 제공자로서 선택한다. 그 다음에, 유저 단말(100)은, 스텝 S442의 처리로 진행하고, 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한다(S442). 스텝 S434로부터 스텝 S442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유효 기한이 남아 있는 인증 정보에 대응한 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한다. 단, 통신 환경 등에 의해, 그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용가능한 서비스 제공자를 랜덤하게 선택하거나, 유저에 대해서 수동{손으로} 입력으로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도록 재촉한다.
또, 스텝 S438로부터 스텝 S442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랜덤하게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거나, 유저에 대해서 수동 입력으로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도록 재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스텝 S442의 처리가 완료되고, 서비스 제공자가 결정되면, 유저 단말(100)은, 유저 등록 및 요금 결제를 실행한다. 단, 잔여 유효 기한이 있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고, 그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가능한 경우, 유저 단말(100)은, 그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유저 인증을 행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자의 선택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선택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유저는, IC 카드(170)를 단지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만으로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또한, 우선도의 설정은 유저가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일부 변경한 1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변형예에서는, IC 카드(170)를 효과적으로 이용해서 네트워크 접속 개시까지 유저가 행하는 조작 부담을 줄이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여기에서는, IC 카드(170)의 이용이 전제로 되어 있었지만, 본 변형예의 구조는, IC 카드(170)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휴대 단말(190)) 등에도 응용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응용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4: 변형예 2(휴대 단말을 이용한 인증 방법)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IC 카드(170) 대신에, IC 칩(192)을 탑재한 휴대 단말(190)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의 IC 카드(170)를 이용하는 구조(이하, 수법 1)와 후술하는 휴대 단말(190)을 이용하는 시스템(이하, 수법 2)과는, 기본적인 구조에 관해서 공통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190)을 이용하는 경우, IC 칩(192)에 저장되는 정보의 시큐러티에 배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190)과 IC 칩(192) 사이의 처리에 관한 부분에 대한 검토{연구}가 요구된다. 이하, 이 검토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설명을 한다.
우선, 도 17을 참조하면서, 수법 2에 관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여기에서는 수법 1과 수법 2 사이의 차이점{相違点}에 대해서 기술하는데 그치며, 공통하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수법 1을 인용한다. 도 17은, 수법 2에 관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법 1의 시스템 구성과 수법 2의 시스템 구성과의 차이점은, 수법 1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던 IC 카드(170)가 수법 2에서 휴대 단말(190)로 치환되어 있는 점에 있다. 그 때문에, 수법 2의 시스템에서는, 유저가 IC 카드(170)를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이 아니라, 휴대 단말(190)을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게 된다. 휴대 단말(190)은, IC 카드(1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 그 기능은, 휴대 단말(190)에 탑재된 IC 칩(192)에 의해 제공된다. 그 때문에, 휴대 단말(190)의 조작에 의해 IC 칩(192)의 정보를 고쳐쓰고, IC 칩(192)의 메모리에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190)에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휴대 단말(190)에 탑재되는 IC 칩(192)은 범용적인 것이다. IC 카드(170)를 이용하는 시스템이면, 서비스 제공자 및 시스템 관리 책임자측에서 미리 저장 에리어를 분할하고, 접속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 IC 카드(170)를 유저에게 배포할 수가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190)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휴대 단말(190)의 제조 공정이나 판매 공정에서 서비스 제공자나 시스템 관리 책임자가 IC 칩(192)에 독자적인 저장 에리어를 분할하거나, 접속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 그래서, 휴대 단말(190)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유저가 휴대 단말(190)을 이용해서 IC 칩(192)에 저장 에리어를 분할하거나, 접속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할 필요가 있다.
단, 저장 에리어의 분할 처리나 접속 설정 정보 등의 저장 처리를 유저가 수동 조작으로 행하는 것은 번잡하기 때문에, 그 처리 자체를 전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하는 것은 가능하다. 수법 2에서는, 휴대 단말(190)용으로 특수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해서, IC 칩(192)에 저장 에리어를 분할하거나 접속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하는 구조가 제안된다. 우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휴대 단말(190)을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고,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면, 유저 단말(100)은, 유저가 등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유저가 등록된 경우, 유저 단말(100)은, IC 칩(192)으로부터 인증 정보 등을 판독출력해서 유저 인증을 실행하고,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한다.
한편, 유저 미등록인 경우, 휴대 단말(190)은, 서비스 제공자에 관한 각종 정보나, 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 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한다. 또한, 유저 미등록의 정보는, 휴대 단말(190)이 IC 칩(192)에 액세스해서 확인해도 좋고, 유저 단말(100)로부터 IC 칩(192)을 거쳐서 휴대 단말(190)에 통지되어도 좋다는 점을 주목하라. 또, 애플리케이션의 취득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190)이 데이터 통신에 이용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자의 인증 시스템(310), 또는 전자 머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320)으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방법이 있다. 또, 유저 단말(100)로부터 리더/라이터(104) 및 IC 칩(192)을 거쳐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방법도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취득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190)은, 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IC 칩(192)에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에리어를 분할한다{잘라낸다}. 따라서, 휴대 단말(190)은, 서비스 제공자 등으로부터,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데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분할한{잘라낸} 저장 에리어에 기입한다. 이와 같은 설정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90)에 탑재된 범용적인 IC 칩(192)이, 상기의 수법 1에 있어서의 IC 카드(170)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정보 설정이 완료한 후에는, 상기의 수법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유저 등록, 요금 결제 및 유저 인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1: 휴대 단말의 기능 구성
여기서, 도 18을 참조하면서, 휴대 단말(19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휴대 단말(19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90)은 주로, 모바일 통신부(196)와, 에리어 생성부(194)와, IC 칩(192)을 가진다. 또, 휴대 단말(190)은, 도시하지 않는 연산 처리부, 표시부, 입력부 등을 가지고 있다.
모바일 통신부(196)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도록 기능한다. 에리어 생성부(194)는, 모바일 통신부(196)에 의한 데이터 통신 또는 IC 칩(192)에 의한 비접촉 통신을 통해서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IC 칩(192)에 저장 에리어를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IC 칩(192)은, 리더/라이터(104)와의 사이에서 비접촉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데이터를 시큐어{secure}하게 저장하거나 하도록 기능한다. IC 칩(192)에는, 전술한 IC 카드(170)와 마찬가지로, 도 4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각종 정보가 저장된 저장 에리어가 설치된다. 단, 접속 설정 정보나 서비스 이용 정보 등이 저장되는 저장 에리어는, 에리어 생성부(194)에 의해 생성된다는 점을 주목하라. 단,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 에리어는, IC 칩(192)에 미리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하라.
이와 같이, 간단하게 휴대 단말(19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에, 휴대 단말(190)과 IC 칩(192) 사이의 통신을 포함시켜, 수법 2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4-2: 서비스 이용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유저 미등록시)
여기서, 도 19를 참조하면서, 수법 2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수법 2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개시까지의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휴대 단말(190)이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지고, 유저 단말(100)에 의해 휴대 단말(190)의 IC 칩(192)으로부터 유저 정보가 취득된다(S402). 그 다음에, 유저 단말(100)은, 무선 기지국(200)을 거쳐서 인증 시스템(310)에 액세스한다(S404). 그 다음에,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정보에 의거해서 유저 등록의 유무를 확인한다(S406). 여기에서는, 유저가 미등록인 것으로 한다. 그 다음에,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에 대해서 서비스 플랜을 제시한다(S408).
그 다음에, 유저는, 유저 단말(100)을 거쳐서 서비스 플랜을 선택한다(S410). 서비스 플랜이 선택되면, 유저 단말(100)로부터 인증 시스템(310)에 선택 내용이 통지되며,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결제 시스템(320)에 결제 요구가 송신된다(S412). 그 다음에, 결제 시스템(320)은, 휴대 단말(190)에 탑재된 IC 칩(192)과의 사이에서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S414).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시스템(320)은, 인증 시스템(310), 유저 단말(100)에 결제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S416, S418). 결제 완료 통지를 받은 인증 시스템(310)은, 네트워크 접속을 개시할 때에 유저가 인증 처리에 이용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S420).
그 다음에, 인증 시스템(310)은, 생성한 인증 정보를 저장 에리어 생성용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휴대 단말(190)에 송신한다(S420). 이 때, 송신 경로로서는, 예를 들면 모바일 통신 경로가 이용된다.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한 휴대 단말(190)은, 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IC 칩(192)에 저장 에리어를 생성하고, 그 저장 에리어에 인증 정보 등을 저장한다(S422). 이들 처리가 완료되면, 유저 등록이 완료한 것으로 간주해서, 인증 시스템(310)은, 유저 단말(100)에 유저 등록의 완료를 통지한다(S424). 유저 등록의 완료 통지를 받으면, 유저 단말(100)은, 휴대 단말(190)의 IC 칩(192)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유저 인증을 실행하고,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개시한다(S426).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90)을 이용하는 경우,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에리어를 IC 칩(192)에 생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휴대 단말(190)이 에리어 작성용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법 2에서는, 휴대 단말(190)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등을 거쳐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휴대 단말(190)을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결제 및 인증에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저에게 조작 부담을 주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성이 높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변형예 3(복수의 결제 방법을 선택가능하게 하는 구성)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또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변형예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제 시스템(320)이 복수 존재하는 시스템 구성에 관한 것이다. IC 카드(170)에는, 복수 종류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결제 방법은, 어떤{임의의} 종류의 전자 머니 서비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복수의 전자 머니 서비스를 유저가 결제 방법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유저가 복수의 전자 머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머니 서비스 A, B, C를 각각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320)이 시스템 구성에 포함된다. 각 결제 시스템(320)은, 인증 시스템(310)에 접속되고, 인증 시스템(310)으로부터 결제 요구를 받은 경우에, IC 카드(170)와의 사이에서 결제 처리를 실행하며, 결제 완료 통지를 인증 시스템(310)에 통지한다. 이와 같은 인증 시스템(310)과 각 결제 시스템(320) 사이의 통신에 관해서는, 도 10 등에 도시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결제에 이용하는 전자 머니 서비스를 유저측에서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100)에 있어서 플랜 선택 페이지로부터 서비스 플랜을 선택 할 때에, 결제 방법을 아울러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또, IC 카드(170)에 저장된 각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에 우선도를 설정해 두고, 그 우선도에 의거해서 자동적으로 결제 방법이 선택되도록 구성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또,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마다 이용하는 결제 방법의 종류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유저 단말(100)에서 결제 방법(결제 시스템(320)의 종류)이 선택되면, 선택된 결제 시스템(320)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유저 단말(100)로부터 무선 기지국(200)을 통해서 인증 시스템(310)에 통지된다. 그리고, 인증 시스템(310)이 결제 요구를 송신할 때, 그 통지된 정보로 특정되는 결제 시스템(320)에 결제 요구가 송신되고, IC 카드(170)와의 사이에서 결제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IC 카드(170)에 복수 종류의 전자 머니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유저가 우선적으로 이용하고 싶은 전자 머니 서비스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결제 방법의 선택을 자동화한 경우, 복수의 전자 머니 서비스에 대응한 IC 카드(170)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저가 IC 카드(170)를 리더/라이터(104)에 들어올려 비추어보는 것만으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일련의 처리가 완료된다. 그 결과, 유저의 편리성이 현격히{크게} 향상된다.
6: 유저 단말 등의 하드웨어 구성
이하, 유저 단말(100), 리더/라이터(104), IC 카드(170), IC 칩(192)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하드웨어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더/라이터(104), IC 카드(170), IC 칩(192)
우선, 도 24의 (a) 및 (b)를 참조하면서, 리더/라이터(104), IC 카드(170) 및 IC 칩(192)의 회로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의 (a) 및 (b)는, 리더/라이터(104), IC 카드(170) 및 IC 칩(192)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IC 카드(170)와 IC 칩(192)을 통합해서 "IC 디바이스"라고 부르기로 한다는 점을 주목하라. 또, 리더/라이터(104)를 단지 "리더/라이터"라고 표기한다.
IC 카드/IC 칩의 회로 구성
도 2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C 디바이스는, 안테나(702)와, 프론트엔드 회로(704)와, 변조기(706)와, 커맨드 재생기(708)와, 클럭 재생기(710)와, 제어 회로(712)와, 암호화 회로(714)와, 메모리(716)에 의해 구성된다. 또, IC 디바이스가 휴대 단말 등에 탑재되는 경우, 휴대 단말 등의 제어부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인터페이스 회로가 설치된다.
IC 디바이스의 안테나(702)로서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루프 안테나가 이용된다. 루프 안테나는 리더/라이터에도 설치되어 있으며, 리더/라이터의 루프 안테나에 전류가 공급되면 유도 자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해서, 유도 자장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IC 디바이스가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지면, 자장의 영향을 받아 IC 디바이스의 루프 안테나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IC 디바이스의 루프 안테나와 리더/라이터의 루프 안테나와는 비접촉 통신 동안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루프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변조에 의해, 커맨드나 응답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비접촉 통신 동안에, IC 디바이스의 루프 안테나에 전력이 야기{誘起; induce} 되기 때문에, 이 전력을 IC 디바이스의 구동 전력에 이용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루프 안테나를 구비{탑재}하고 있는 것에 의해, IC 디바이스는, 비접촉 통신 동안에, 리더/라이터로부터 커맨드 등의 정보 및 전력의 공급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안테나(702)에 야기된 전류는, 프론트엔드 회로(704)에 입력된다. 또한, 비접촉 통신에서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13.56㎒의 반송파가 이용된다는 점을 주목하라.
프론트엔드 회로(704)에서는, 안테나(702)에서 수신한 전력 신호(반송파)를 정류해서 직류{DC} 전원이 재생된다. 재생된 직류 전원은, 제어회로(712) 등에 구동 전원으로서 공급된다. 또, 프론트엔드 회로(704)는, 취득한 13.56㎒의 반송파를 분주해서, 커맨드 재생기(708) 및 클럭 재생기(710)에 입력한다. 커맨드 재생기(708)는, 입력된 반송파로부터 커맨드를 재생해서, 제어 회로(712)에 입력한다. 한편, 클럭 재생기(710)는, 입력된 반송파로부터 로직 회로(비도시)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을 재생해서, 제어 회로(712)에 입력한다.
IC 디바이스의 각 구성요소에 전력이 공급되면, 제어 회로(712)는, 커맨드 재생기(708)에 의해 재생된 커맨드에 따라서, 각 회로를 구동 제어한다. 또, 제어 회로(712)의 처리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암호화 회로(714)에 입력되어 암호화된다. 그리고, 암호화 회로(714)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는, 메모리(716)에 저장된다. 메모리(716)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수단{storage}이다. 메모리(716)로서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가 이용된다. 단, 메모리(716)로서 자기 기록 매체, 광기록 매체, 또는 광자기 기록 매체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메모리(716)내에 저장된 암호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제어 회로(712)에 메모리(716)로부터 암호화 데이터가 판독출력되고{읽어내어지고}, 변조기(706)에 입력된다. 변조기(706)에 입력된 암호화 데이터는,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거해서 변조되고, 프론트엔드 회로(704)에 입력된다. 프론트엔드 회로(704)는, 변조기(706)에 의해 변조된 암호화 데이터에 의거해서, 안테나(702)의 급전점{給電点; feeding point}에 있는 부하 임피던스를 변화시켜, 안테나(702)에 의해 야기되는 자장을 변동시킨다. 이 자장 변동에 의해,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리더/라이터의 루프 안테나를 흐르는 전류가 변화하고, 암호화 데이터가 리더/라이터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IC 디바이스의 회로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에, 리더/라이터의 회로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더/라이터의 회로 구성
도 2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더/라이터는, 안테나(730)와, 필터(732)와, 수신 앰프(734)와, 주파수 변환기(736)와, 식별기(738)와, 로직 회로(740)와, 제어 회로(742)와, 메모리(744)와, 변조기(746)와, 국부 발진기(750)와, 송신 앰프(748)와, 케이블 인터페이스 회로(752)에 의해 구성된다.
리더/라이터는, IC 디바이스와의 사이의 자기적인 결합을 이용해서, 커맨드나 전력을 IC 디바이스에 공급한다. 비접촉 통신을 개시할 때, 리더/라이터는, 우선, 안테나(730)를 통해서 IC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해서, IC 디바이스의 각 회로를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IC 디바이스의 각 회로가 활성화된 후, 리더/라이터는, 소정의 전송 프로토콜에 준거해서, 비접촉 통신을 개시한다. 소정의 전송 프로토콜로서는, 예를 들면 통신 접속의 확립 처리, 안티컬리젼{anti-collision} 처리, 인증 처리 등에 관한 규정이 정해져 있다.
비접촉 통신을 개시하면, 리더/라이터는, 제어 회로(742)를 제어해서 메모리(716)로부터 데이터를 판독출력하고, 로직 회로(740)에 입력한다. 로직 회로(740)에 입력되고,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는, 변조기(746)에 입력된다. 변조기(746)에는, 국부 발진기(750)에서 발생한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가 입력된다. 변조기(746)는, 로직 회로(74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반송파를 변조해서 변조파를 생성한다. 변조기(746)에서 생성된 변조파는, 송신 앰프(748)에 입력된다. 그리고, 송신 앰프(748)에서 증폭된 변조파는, 안테나(730)를 거쳐서 IC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반대로, IC 디바이스로부터 변조파를 수신한 경우, 안테나(730)에서 수신된 변조파는, 필터(732)를 통해서 수신 앰프(734)에 입력된다. 수신 앰프(734)에 입력된 변조파는, 증폭되어 주파수 변환기(736)에 입력된다. 주파수 변환기(736)에는, 국부 발진기(750)로부터 반송파가 입력되고 있다. 그 때문에, 주파수 변환기(736)는, 반송파와 동기하도록 수신 앰프(734)로부터 입력된 변조파의 주파수를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기(736)로부터 출력된 변조파는 식별기(738)에 의해 데이터로 변환되고, 로직 회로(740)에 입력된다. 로직 회로(7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제어 회로(742)를 거쳐서 메모리(744)에 저장된다. 메모리(744)로서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가 이용된다. 단, 메모리(744)로서 자기 기록 매체, 광기록 매체, 또는 광자기 기록 매체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논리 회로(7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케이블 인터페이스 회로(752)에 의해 접속된 외부의 기기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리더/라이터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상기의 IC 디바이스 및 리더/라이터는, 그 양쪽{모두}이 1개의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일도 있다. 상기 IC 디바이스 및 리더/라이터의 한쪽 또는 양쪽이 탑재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각종 통신 기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 게임기, 정보 가전{家電; household appliances} 등이 생각된다. 물론, IC 디바이스는 IC 카드나 IC 태그의 형태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리더/라이터는 리더/라이터 장치의 형태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저 단말(100)
다음에, 도 23을 참조하면서, 유저 단말(10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의 유저 단말(100)이 가지는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이용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도 23에 도시하는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이 하드웨어의 형태는 임의이며,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단말 등의 휴대 정보 단말, 게임기, 또는 각종 정보 가전이 이것에 포함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하드웨어는 주로, CPU(902)와, ROM(904)과, RAM(906)과, 호스트 버스(908)와, 외부 버스(912)와, 인터페이스(914)와, 브리지(910)와, 입력부(916)와, 출력부(918)와, 기억부(920)와, 드라이브(922)와, 접속 포트(924)와, 통신부(926)를 가진다.
CPU(902)는, 예를 들면 연산 처리기{processor} 또는 제어부로서 기능하며, ROM(904), RAM(906), 기억부(920) 및 리무버블 기록 매체(928)에 기록된 각종 프로그램에 의거해서 각 구성요소의 동작 전반 또는 그 일부를 제어한다. ROM(904)은, CPU(902)에 판독입력되는{읽어들여지는} 프로그램이나 연산에 이용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억수단{storage}으로서 기능한다. RAM(906)에는, 예를 들면 CPU(902)에 판독입력되는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적당히 변화하는 각종 파라미터 등이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저장된다.
이들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호스트 버스(908)를 거쳐서 상호 접속된다. 한편, 호스트 버스(908)는, 예를 들면 브리지(910)를 거쳐서 비교적 데이터 전송 속도가 저속인 외부 버스(912)에 접속된다. 또, 입력부(916)로서는,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 버튼, 스위치 및 레버 등이 이용된다. 또, 입력부(916)로서는, 적외선이나 그 밖의 전파를 이용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리모콘}가 이용되는 일도 있다.
출력부(918)로서는, 예를 들면 CRT, LCD, PDP 또는 EL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헤드폰 등의 오디오 출력 장치, 프린터, 휴대 전화 또는 팩시밀리 등, 취득한 정보를 이용자에 대해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기억부(92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기억부(920)로서는, 예를 들면 HDD(Hard Disc Drive) 등의 자기 기억 디바이스, 반도체 기억 디바이스, 광 기억 디바이스, 또는 광자기 기억 디바이스 등이 이용된다.
드라이브(922)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28)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리무버블 기록 매체(928)에 정보를 기입하는 장치이다. 리무버블 기록 매체(928)는, 예를 들면 DVD 미디어, Blu-ray 미디어, HD DVD 미디어, 각종 반도체 기억 미디어 등이다. 물론, 리무버블 기록 매체(928)는, 예를 들면 비접촉형 IC 칩을 탑재한 IC 카드 또는 전자 기기 등이라도 좋다.
접속 포트(924)는, 예를 들면 USB 포트, IEEE 1394 포트,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RS-232C 포트, 또는 광 오디오 단자 등과 같은 외부 접속 기기(930)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이다. 외부 접속 기기(930)는, 예를 들면 프린터, 휴대 음악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또는 IC 레코더 등이다.
통신부(926)는, 네트워크(932)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케이블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Bluetooth(등록상표), 또는 WUSB(Wireless USB)용 통신 카드, 광 통신용 라우터,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용 라우터, 또는 각종 통신용 모뎀 등이다. 따라서, 통신부(926)에 접속되는 네트워크(932)는, 케이블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며, 예를 들면 인터넷, 가정내 LAN, 적외선 통신, 가시광선 통신, 방송 또는 위성 통신 등이다.
(비고)
상기 유저 단말(100)은, 통신 장치의 1예이다. 상기 IC 카드(170) 및 휴대 단말(190)(IC 칩(192))은,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의 1예이다. 상기 리더/라이터(104)는, 비접촉 통신부의 1예이다. 상기 결제 처리부(110)는, 결제 처리부, 인증 정보 기록부의 1예이다. 상기 접속 인증부(112)는, 인증 처리부의 1예이다. 상기 인증 시스템(310)에 포함되는 장치는, 다른 장치의 1예이다. 상기 모바일 통신부(196)는, 모바일 통신부 및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의 1예이다. 상기 에리어 생성부(194)는, 영역{domain} 형성부의 1예이다.
본 발명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 명세서에 참고용으로 병합되어 있는, 2009년 6월 1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132285호에 관련된 주제를 포함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의 균등물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설계 요구조건 및 그 밖의 요인에 의거하여, 각종 변형, 조합, 수정 및 변경 등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당연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0, 100A, 100B: 유저 단말, 12, 102: 단말 화면, 20, 200: 무선 기지국, 30, 210: Proxy-AAA 서버, 40, 220: Home-AAA 서버, 50: 네트워크, 102: 단말 화면, 104: 리더/라이터, 106: 입력부, 108: 무선 통신부, 110: 결제 처리부, 112: 접속 인증부, 170: IC 카드, 190: 휴대 단말, 192: IC 칩, 194: 에리어 생성부, 196: 모바일 통신부, 310: 인증 시스템, 320: 결제 시스템, P1: 브라우저, P2: 입력 폼, P3: 확인 폼.

Claims (15)

  1.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讀出; read out}하고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기입{書入; write}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결제 처리부와;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결제 처리부에 의한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인증 정보 기록부와;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인증 처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에는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일단{temporarily} 절단되고,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되어 있는 인증 정보의 유효 기한내에 다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다른 통신 장치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유효 기한이 붙어 있는 인증 정보가 기입되고, 상기 인증 정보의 유효 기한내에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장치{自裝置}의 상기 비접촉 통신부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져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다른 장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기록부는,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결제 처리부에서 결제 처리의 대상으로 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다른 장치의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지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개개의 상기 다른 장치에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인증 정보 기록부는,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다른 장치의 정보인 어드레스 정보,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인증 정보의 유효 기한을 대응지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시도된 시점에서 유효 기한내에 있는 상기 인증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액세스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다른 장치가 복수 존재하고, 상기 개개의 다른 장치에 우선도{優先度; order of priority}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우선도가 높은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접속 서비스를 대상으로 해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행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우선도가 높은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위치된 에리어를 검지하는 에리어 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다른 장치가 복수 존재하고, 에리어마다 개개의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접속 서비스의 품질이 다른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에리어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에리어에서 상기 접속 서비스의 품질이 높은 상기 다른 장치를 특정하고,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접속 서비스를 대상으로 해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접속 서비스의 품질이 높은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령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상기 연령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거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시청 제한을 부과하는 시청 제한부를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복수 종류의 금전 정보가 저장되고, 각 종류의 상기 금전 정보에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우선도가 가장 높은 종류의 상기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는, 휴대 단말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과는 다른 무선 통신망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는 모바일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통신부를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 형성부
    를 더 포함하고;
    임의의 상기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처음으로 시도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영역 형성부에 의해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인증 정보 기록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영역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저장 영역에 상기 인증 정보를 기입하는 통신 장치.
  11.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통신 장치가 가지는 비접촉 통신부에 의해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정보가 판독출력 및 기입되는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과는 다른 무선 통신망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는 모바일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통신부를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 형성부
    를 구비하고;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는, 금전 정보가 저장된 제1 저장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장치의 비접촉 통신부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져, 임의의 상기 다른 장치를 거친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처음으로 시도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영역 형성부에 의해 상기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통신 장치의 결제 처리에서 상기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금전 정보가 갱신되고, 상기 결제 처리의 완료에 수반해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가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휴대 단말.
  12.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결제 처리부와,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결제 처리부에 의한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인증 정보 기록부와, 상기 비접촉 통신부를 제어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구비하는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를 탑재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무선 통신부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과는 다른 무선 통신망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는 모바일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통신부를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 형성부를 구비하는 제2 통신 장치
    를 포함하며;
    임의의 상기 다른 장치를 거친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처음으로 시도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취득부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가 제공하는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영역 형성부에 의해 상기 인증 정보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인증 정보 기록부를 이용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상기 영역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저장 영역에 상기 인증 정보를 기입하고, 상기 인증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통신 시스템.
  13.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 장치의 비접촉 통신부를 거쳐서 비접촉 통신에 의해 정보의 판독출력/기입이 가능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에는, 금전 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 영역과,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에 이용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저장 영역이 설치되며;
    상기 통신 장치의 비접촉 통신부에 들어올려 비추어보여져, 상기 통신 장치에서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 중에서 상기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금전 정보가 갱신되고, 상기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가 상기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인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기 위한 인증 처리에 이용되는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
  14.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통신부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를 위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1 제어 스텝과;
    상기 제1 제어 스텝에서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2 제어 스텝과;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3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15.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비접촉 통신을 거쳐서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통신부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와;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금전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에의 접속 요금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1 제어 스텝과, 상기 제1 제어 스텝에서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2 제어 스텝과,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시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접촉 통신부의 제3 스텝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00048016A 2009-06-01 2010-05-24 통신 장치, 휴대 단말, 통신 시스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001296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2285A JP2010277527A (ja) 2009-06-01 2009-06-01 通信装置、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非接触通信デバイス、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9-132285 2009-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87A true KR20100129687A (ko) 2010-12-09

Family

ID=4272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016A KR20100129687A (ko) 2009-06-01 2010-05-24 통신 장치, 휴대 단말, 통신 시스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306837A1 (ko)
EP (1) EP2259546A1 (ko)
JP (1) JP2010277527A (ko)
KR (1) KR20100129687A (ko)
CN (1) CN1019027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5973A (zh) * 2010-12-28 2012-07-04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显示器、支付交易系统及其支付交易方法
US9253167B2 (en) * 2011-04-19 2016-02-02 Apriva, Llc Device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within a secure mobile environment
JP5845742B2 (ja) * 2011-09-07 2016-01-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53821B2 (ja) * 2011-12-28 2014-07-16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携帯端末、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2122803B1 (ko) * 2012-05-24 2020-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eUICC에 SIM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030959A1 (en) 2012-08-24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display device for the same
WO2014030875A1 (en) 2012-08-24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information by using image on device display
KR101982820B1 (ko) 2012-09-13 201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US9576318B2 (en) 2012-09-25 2017-02-21 Mx Technologies, Inc. Automatic payment and deposit migration
US9497628B2 (en) 2013-04-16 2016-11-15 Xiaomi Inc. Method and terminal for obtaining information
CN103268462B (zh) * 2013-04-16 2016-05-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获取方法、装置和终端
US9698872B2 (en) * 2013-06-18 2017-07-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mote NFC device detection using a low power oscillator circuit
CN104854599B (zh) * 2013-06-18 2017-12-12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可穿戴设备和通信消息的处理方法
JP6330279B2 (ja) * 2013-09-18 2018-05-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488933A (zh) * 2013-09-27 2014-01-01 太仓苏易信息科技有限公司 非接触式电脑登陆保护系统
JP6451947B2 (ja) * 2015-03-26 2019-0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リモート認証システム
JP2017021604A (ja) * 2015-07-10 2017-01-2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9692815B2 (en) * 2015-11-12 2017-06-27 Mx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decentralized data aggregation
US11288359B1 (en) 2015-11-30 2022-03-29 Mx Technologies, Inc. Automatic account protection
US11233789B1 (en) 2015-11-30 2022-01-25 Mx Technologies, Inc. Automatic event migration
JP6772566B2 (ja) * 2016-06-06 2020-10-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78898B2 (ja) * 2017-11-01 2021-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JP7171614B2 (ja) * 2017-12-20 2022-11-15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220070620A1 (en) * 2018-10-25 2022-03-03 Mobile Tech, Inc Proxy nodes for expanding the functionality of nod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JP7292970B2 (ja) * 2019-05-15 2023-06-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432137B2 (ja) * 2019-09-20 2024-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通信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3115A (en) * 1996-08-13 1999-11-09 Lucent Technologies Inc. Geographic based method for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JP3387330B2 (ja) * 1996-09-12 2003-03-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マネー保有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電子マネー支払い方法
US6108789A (en) * 1998-05-05 2000-08-22 Liberate Technologies Mechanism for users with internet service provider smart cards to roam among geographically disparate authorized network computer client devices without mediation of a central authority
JP2001274925A (ja) * 2000-03-27 2001-10-05 Shigeyasu Mori インターネット及び電子メール等の通信サービスを提供・享受する場合の、双方の契約手続き及び支払い決済の全てを国際・国内電話プリペードカードを用いておこなう、ビジネスモデル
US7168092B2 (en) * 2000-08-31 2007-01-23 Sun Microsystems, Inc. Configuring processing units
US20020071416A1 (en) * 2000-12-13 2002-06-13 Greg Carlson Ad hoc wide area network access method and system
US20020174235A1 (en) * 2001-03-21 2002-11-21 George Likourezo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paid internet services
JP2002374376A (ja) * 2001-06-12 2002-12-26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接続用端末装置とその接続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173430A (ja) * 2001-09-28 2003-06-20 Sharp Corp Icカード、スクランブル解除装置、サーバ装置、身体的特徴読取装置、許可者判定方法、許可者登録方法、度数管理方法、許可者判定プログラム、許可者登録プログラム、度数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EP1466439B1 (en) * 2001-10-12 2010-04-21 Gemalto SA Method to obtain the cost of transmitting a set of data via a cellular packet radiocommunication network
JP4040403B2 (ja) * 2001-11-27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206647B2 (en) * 2002-03-21 2007-04-17 Ncr Corporation E-appliance for mobile online retailing
JP3748106B2 (ja) * 2002-04-25 2006-02-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809953B2 (en) * 2002-12-09 2010-10-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secu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JP4007291B2 (ja) * 2003-09-10 2007-11-1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登録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無線ネットワーク登録方法
US20050138178A1 (en) * 2003-12-19 2005-06-23 Shaun Astarabadi Wireless mobility manager
US7519325B2 (en) * 2004-12-30 2009-04-14 Nokia Corporation Docking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ags with mobile terminals
US7353991B2 (en) * 2006-02-21 2008-04-08 David Benjamin Espli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point-of-sale transactions
JP2008033789A (ja) * 2006-07-31 2008-02-14 Oki Electric Ind Co Ltd 本人確認・属性認証システム、本人確認・属性認証方法
WO2008085176A1 (en) * 2007-01-12 2008-07-17 Agere Systems Inc. Scanning available wireless-device services in multiple wireless-radio technology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9546A1 (en) 2010-12-08
CN101902739A (zh) 2010-12-01
JP2010277527A (ja) 2010-12-09
US20100306837A1 (en)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9687A (ko) 통신 장치, 휴대 단말, 통신 시스템, 비접촉 통신 디바이스,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프로그램
US9807612B2 (en) Secure data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US10115101B2 (en) Wireless establishment of identity via bi-directional RFID
JP6257582B2 (ja) 位置データを用いたモバイル通信デバイスと端末との間の取引認証
CN103501191B (zh) 一种基于nfc近场通信技术的移动支付装置及其方法
CN104169954A (zh) 用于使用便携式计算设备的安全的离线支付交易的系统和方法
EP2218238A1 (en) Transaction authentication
CN112889046A (zh) 用于非接触卡的密码认证的系统和方法
CN103577983A (zh) 一种脱机消费电子货币的圈存方法
JP2009087052A (ja) 現金引出処理システム、現金引出処理方法及び現金取扱機
JP5307415B2 (ja) 決済端末、決済処理システム、及び決済処理方法
WO2016088087A1 (en) Third party access to a financial account
WO2015161693A1 (zh) 数据安全交互方法和系统
KR20160117970A (ko) Ble를 이용한 전자결제 시스템
CN106980977A (zh) 基于物联网的支付系统及其支付卡
KR101807645B1 (ko) Usim 공인인증서를 유선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92916B1 (ko) 미드레인지 판독기 상호작용
CN112561533B (zh) 电子资源转移方法、物联网终端设备、电子设备及介质
CN204856595U (zh) 一种基于蓝牙的移动支付系统
CN103944910A (zh) 数据安全交互方法
KR101695097B1 (ko) 오티피카드를 이용한 계좌이체 기반 간편결제 방법
KR20090051286A (ko)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통한 비대면 금융거래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051284A (ko)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통한 홈쇼핑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240062195A1 (en) Digital Currency Pay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3937454A1 (en) Secure end-to-end pairing of secure element to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