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820B1 -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820B1
KR101982820B1 KR1020120101797A KR20120101797A KR101982820B1 KR 101982820 B1 KR101982820 B1 KR 101982820B1 KR 1020120101797 A KR1020120101797 A KR 1020120101797A KR 20120101797 A KR20120101797 A KR 20120101797A KR 101982820 B1 KR101982820 B1 KR 101982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etermined
frequency
termi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199A (ko
Inventor
이상호
이윤경
신재혁
최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820B1/ko
Priority to US14/025,071 priority patent/US10521323B2/en
Priority to PCT/KR2013/008220 priority patent/WO2014042429A1/en
Priority to EP13836932.7A priority patent/EP2895936B1/en
Priority to CN201380047574.8A priority patent/CN104620227B/zh
Publication of KR2014003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1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the presence of processing resources, peripherals, I/O links, software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G06F11/3093Configuration details thereof, e.g. installation, enabling, spatial arrangement of the pro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5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if the computing system is on, off, available, not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H04Q2209/883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where the sensing device enters an active or inactive mode

Abstract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기 제어 방법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에 대한 복수의 상태 목록 중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의 현재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상태 및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센서의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동작 스케줄에 따라 센서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Method for Controlling Sensors and Terminal Thereof }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의 상태에 따라 센서를 제어하도록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휴대 전화, 태블릿 PC 등 단말기는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단말기가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포함하게 됨으로써, 단말기는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 단말기는 센서를 사용할 때, 각 센서를 주기적으로 동작하여 각 센서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나 이렇게 센서를 주기적으로 동작시킬 때마다 전력이 소모되며, 불필요하게 자주 센서를 동작함으로써 전력과 리소스를 낭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 포함된 센서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동작 스케줄에 따라 동작되도록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에 대한 복수의 상태 목록 중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의 현재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상태 및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센서의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동작 스케줄에 따라 센서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 및 결정된 상태에 기초하여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상태에 따라 센서의 동작 빈도의 증감에 대한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센서가 동작하고 있는 현재 동작 빈도,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에 기초하여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가 현재 동작하고 있는 현재 동작 빈도,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에 기초하여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동작 빈도와 주기조절인자를 곱한 값과 최대 동작 빈도 중 작은 값을 센서의 동작 빈도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센서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것인지 또는 감소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기 설정된 영역은 결정된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동작 빈도는 결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최대 요구값 및 상태 목록 중 결정된 상태 이외의 다른 상태에 대응되는 최소 요구값 중 큰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은 결정된 상태에 따라 동작 스케줄을 변경할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선택된 센서의 동작 빈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선택된 센서 이외의 센서를 비활성화 하거나 또는 동작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센서를 통해 획득된 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센서만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활성화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태에 따라 각각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복수의 동작 스케줄에 포함된 센서의 동작 중 중복된 동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에 대한 복수의 상태 목록 중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부 와, 결정된 상태 및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센서의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스케줄러 및 결정된 동작 스케줄에 따라 센서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 및 결정된 상태에 기초하여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는 결정된 상태에 따라 센서의 동작 빈도의 증감에 대한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를 획득하고, 센서가 동작하고 있는 현재 동작 빈도,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에 기초하여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는 현재 동작 빈도와 주기조절인자를 곱한 값과 최대 동작 빈도 중 작은 값을 센서의 동작 빈도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는 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센서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것인지 감소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을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동작 빈도는 결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최대 요구값 및 상기 상태 목록 중 상기 결정된 상태 이외의 다른 상태에 대응되는 최소 요구값 중 큰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는 결정된 상태에 따라 동작 스케줄을 변경할 센서를 선택하고, 선택된 센서의 동작 빈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는 선택된 센서 이외의 센서를 비활성화 하거나 또는 동작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결정부는 단말기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스케줄러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센서를 통해 획득된 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센서만 활성화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태에 따라 각각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의 동작 스케줄 중 중복된 센서의 동작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의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태에 따른 센서별 요구 사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의 동작 빈도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 및 최대 동작 빈도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계의 동작 빈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단말기(100)는 다양한 센서(140)를 통해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상태(status)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40)는 가속도계(Accelerometer), 기압계(Barometer), 각속도계(Gyroscope)와 같은 물리적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140)는 가스 센서, 습도 센서, 바이오 센서 등과 같은 화학적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140)는 GPS(Ground Positioning System)과 같이 단말기(100)의 위치 확인을 위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40)는 단말기(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거나 수신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계는 관성에 의한 반작용을 측정함으로써 직선 가속도 또는 각가속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질량부분의 고유 각진동수에 비하여 측정되는 각진동수가 낮은 경우 질량 부분의 변위가 거의 가속도에 대응하므로, 가속도계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가속도계로는 가동 코일형, 압전형, 전전용량형, 변형 게이지형, 서보형, 차동 트랜스형 등이 있다. 가동 코일형은 추에 장착된 자석과 코일의 상대적 위치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기전력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압전형, 전전용량형, 변형 게이지형, 차동 트랜스형 등은 질량부분의 변위를 각각 압전소자, 정전용량, 변형 게이지, 차동 트랜스 등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서보형은 질량부분의 변위를 서보 기구를 사용하여 제로로 만들고, 구동 코일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가속도를 산출한다. 최근에는 미세 가공 기술에 의한 실리콘 반도체 가속도계도 개발되어 있다. 이외에도 1개의 실리콘칩 위에서 길이가 다른 빔을 다수 형성하여 주파수를 분석함으로써 가속도를 측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원리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압계는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기압계의 종류에는 수은기압계, 자기기압계, 아네로이드 기압계 등이 있다. 수은기압계는 한 쪽 끝이 막힌 관에 수은을 담아 세웠을 때 생기는 수은 기둥의 높이에 따라 기압을 측정한다. 아네로이드 기압계는 얇은 금속동판 2장을 대칭으로 회전축에 연결하고 두 금속동판 간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어 금속동판의 변형 정도에 따라 기압을 측정한다.
각속도계는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각속도계의 기본 원리는 고속 회전하는 회전체의 각속도 운동에 따라 각운동량 벡터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을 측정함으로써 각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가스 센서는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의 총칭으로서, 가스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가스 센서는 전기화학적 방법, 광학적 방법 또는 전기적 방법 등으로 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공기 중의 수분에 관련된 여러 가지 현상을 이용하여 습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습도 센서는 건습구 습도계, 모발 습도계, 염화 리튬 습도 센서, 전해 습도센서, 고분자막 습도 센서, 수정진동식 습도 센서, 산화알루미늄 습도 센서, 세라믹 습도 센서, 서미스터 습도 센서, 마이크로파 습도 센서, 결로 센서, 노점 센서 및 집적회로화 습도 센서 등이 있다.
바이오센서는 생물이 가진 기능을 이용하여 물질의 성질 등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바이오센서는 효소, 미생물이나 동식물세포 등이 생체촉매가 특정물질과 선택적으로 잘 반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물질의 존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대표적인 바이오센서의 메커니즘은 효소 등을 막 형태로 고정시키고, 고정된 막에 전극을 붙임으로써 반응을 컴퓨터가 판독하도록 하는 것이다.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기기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시스템이다. GPS 수신기로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센서(140)는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행한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 사용자가 접속한 웹페이지의 URL, 검색 키워드 또는 재생된 콘텐트 등을 센서(140)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40)는 단말기(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 거나 수신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발송한 텍스트,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상품 구매 정보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등을 센서(140)가 감지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다양한 센서(140)를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각 센서(140)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이러한 다양한 센서(140)를 이용하여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상태는 상태 결정부(110)가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180)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상태를 사용자가 걷는 상태, 서 있는 상태, 앉아 있는 상태 및 달리는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목록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센서(140)에 포함된 가속도계, 기압계 및 각속도계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상태 결정부(110)는 상태 목록에 포함된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현재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목록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태는 단말기(100)와 사용자(150)의 정황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을 설정하기 위한 센서(140)에 의해 획득된 정보의 분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목록에 포함된 각 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에 대한 요구사항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사용자(150)가 걷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40)의 종류, 최대 지연(Latency), 최소 동작 빈도 및 최대 동작 빈도 등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가 결정한 상태 및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180)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170)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러(120)가 결정하는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170)은 동작이 필요한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보다 작은 전력 및 리소스를 소비하여 센서(1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상태 결정부(110)가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180)에 따라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100)의 상태(160)를 결정할 수 있다(S200). 여기서, 단밀기(100) 또는 단말기 주변 환경(100)의 상태에 대한 상태 목록(190)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걷는 상태, 서 있는 상태, 앉아 있는 상태 및 달리는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목록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 센서(140)에 포함된 가속도계 및 각속도계를 통해 모션(motion)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태 목록 중 사용자가 걷는 상태에 대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 상태 결정부(110)는 현재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에 대한 상태를 걷는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180)는 센서(140)를 동작하여 획득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센서(140)가 가속도계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180)는 가속도계를 통해 획득된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14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150)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감지하는 경우,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180)는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목록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결정부(110)는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50)가 동영상 재생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태 결정부(110)는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단말기 사용자(150)의 동영상 시청 중인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스케줄러(120)는 결정된 상태(160) 및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180)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170)을 결정할 수 있다(S210).
여기서, 동작 스케줄(170)은 제어부(130)가 센서(140)를 동작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동작 스케줄(170)은, 예를 들어, 제어부(130)가 활성화 할 센서(140)의 종류, 센서(140)의 동작 빈도, 센서(140)를 통해 획득될 정보의 종류 또는 센서(140)의 전력 사용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120)는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 및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에 기초하여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스케줄러(120)는 결정된 상태에 따라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는 상태 목록에 포함된 각 상태 별로 정의된 요구 사항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보다 상세한 프로세스는 가속도계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예시인 도 5 및 도 6과 함께 후술한다. 여기서, 주기조절인자는 스케줄러(120)가 동작 스케줄(170)을 결정함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자이다. 동작 빈도는 일정 시간 동안 센서(140)가 동작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또한, 최대 동작 빈도는 센서(140)가 일정 동작 빈도 이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한계값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120)는 결정된 상태에 따라 동작 스케줄을 변경할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에 따라 가속도계, 기압계 및 각속도계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고, 다른 센서(140)의 동작 빈도는 점차 감소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스케줄러(120)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센서(140) 중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센서만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활성화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가 설정된 단말기(100)에 포함된 가속도계에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감지되는 경우, 가속도계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160)가 복수일 수 있다.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160)가 복수인 경우, 스케줄러(120)는 복수의 상태(160)에 따라 각각 동작 스케줄(170)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스케줄러(120)는 결정된 복수의 동작 스케줄(170)에 포함된 센서(140)의 동작 중 중복된 동작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스케줄러(120)에 의해 결정된 동작 스케줄에 따라 센서(1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220). 또한, 제어부(130)는 시스템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S230), 스케줄러(120)에 의해 결정된 동작 스케줄에 따라 센서(140)가 동작하여 획득된 정보를 다시 스케줄러(120) 또는 상태 결정부(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의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S21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스케줄러(120)는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180)를 획득할 수 있다. 스케줄러(120)는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180)를 획득함에 따라서, 획득된 정보에 포함된 값이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에 따라 가속도계에 대해 기 설정된 영역이 1 이상 10 미만인 경우, 가속도계에서 감지된 가속도의 크기가 1 이상 10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감기지(140)에서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S310), 스케줄러(120)는 결정된 상태에 따라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S320). 스케줄러(120)는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S340). 여기서,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는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센서(140) 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센서(140)에서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S310), 스케줄러(120)는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S330). 여기서, 스케줄러(120)는 최근에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된 주기조절인자에 따라 센서의 동작 빈도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스케줄러(120)는 스케줄러(120)에 포함된 타이머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50). 스케줄러(120)에 포함된 타이머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스케줄러(120)는 S300단계부터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 있다. 스케줄러(120)에 포함된 타이머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어부(130)가 결정된 동작 빈도에 따라 센서(1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220)로 진행함으로써 기 설정된 시간마다 동작 스케줄(170)이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S220단계로 진행함과 동시에 타이머를 초기화할 수 있다.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시점은 최초로 센서(140)를 통해 정보가 획득된 시점에 초기화할 수 있으며, 구현 방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상태에 따른 센서별 요구 사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태 결정부(110)는 걷기, 서있기, 앉아있기 및 달리기를 포함하는 상태 목록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목록에 포함된 상태 별로 동작 빈도를 변경할 센서의 종류, 동작 빈도 증가 조건, 주기조절인자, 최대 요구값, 최소 요구값 및 동작 빈도 감소 조건이 단말기(1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태 목록에 포함된 상태 별로 동작 빈도를 변경할 센서(140)의 종류는 상태에 따라 관련된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걷기, 서있기, 앉아있기 및 달리기에 관련된 센서(140)인 가속도계, 기압계 및 각속도계가 센서(140)의 종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동작 빈도 증가 조건은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예를 들어,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가 ‘걷기’이고, 기압계에서 감지된 기압의 변화량이 T2보다 크고 T3보다 작은 경우, 스케줄러(120)는 기압계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주기조절인자는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최소 요구값 및 최대 요구값은 상태 목록에 포함된 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140)가 동작해야 하는 빈도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의미한다.
또한,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가 동작 빈도 증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스케줄러(120)가 동작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의 동작 빈도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 및 최대 동작 빈도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에 따라 최대 동작 빈도 MSR_Ai 및 주기조절인자 Factor_Ai를 결정할 수 있다. 최대 동작 빈도는 다음 수학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2074277756-pat00001
예를 들어,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가 ‘서있기’ 상태인 경우, ‘서있기’ 상태에 대응되는 가속도계의 최대 요구값인 Mx_A2, ‘걷기’ 상태에 대응되는 가속도계의 최소 요구값인 Mn_A1, ‘앉아있기’ 상태에 대응되는 가속도계의 최소 요구값인 Mn_A3 및 ‘달리기’ 상태에 대응되는 가속도계의 최소 요구값인 Mn_A4 중 가장 큰 값을 ‘서있기’ 상태에 대응되는 최대 동작 빈도인 MSR_A2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러(120)는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가 ‘서있기’ 상태이고, 가속도계를 통해 감지된 가속도의 크기가 T6 이상이고 T7 이하인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스케줄러(120)는 가속도계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가 ‘서있기’ 상태이고, 가속도의 크기가 T6 이상이고 T7 이하인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가속도계의 동작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빈도를 감소시키는 비율은 최근에 적용된 주기조절인자에 따를 수 있다.
기압계, 고도계나 각속도계와 같은 다른 센서(140)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방식을 통해 최대 동작 빈도 및 동작 빈도의 증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계의 동작 빈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스케줄러(120)는 현재 가속도계를 동작하고 있는 동작 빈도인 Rn-1 과 이전 단계에서 결정된 주기조절인자인 Factor_Ai의 곱과 최대 동작 빈도인 MSR_Ai 중 작은 값으로 가속도계가 동작하도록 결정(S210)하고, 제어부(130)는 스케줄러(120)에 의해 결정된 동작 빈도에 따라 가속도계가 동작하도록 제어(S220)할 수 있다(S600). 여기서, n은 단계를 구분하기 위한 값으로서, 정수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Factor_Ai는 1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상태 결정부(110)는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를 상태 목록 중에서 결정할 수 있다(S610). 여기서,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는 가속도계를 통해 획득된 가속도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 및 가속도계를 통해 획득된 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620). 여기서,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를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S620단계에서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S630),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에 따라 Factor_Ai 및 MSR_Ai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하여 스케줄러(120)는 n의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S650-1). 이후, 스케줄러(120)는 현재 가속도계를 동작하고 있는 동작 빈도인 Rn-1 과 이전 단계에서 결정된 주기조절인자인 Factor_Ai의 곱과 최대 동작 빈도인 MSR_Ai 중 작은 값으로 가속도계가 동작하도록 동작 빈도 Rn을 결정(S210)하고, 제어부(130)는 스케줄러(120)에 의해 결정된 동작 빈도에 따라 가속도계가 동작하도록 제어(S220)할 수 있다(S600).
S620단계에서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S630),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하여 스케줄러(120)는 n의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S650-2). 이후, 스케줄러(120)는 현재 가속도계를 동작하고 있는 동작 빈도인 Rn-1을 최근에 결정된 주기조절인자인 Factor_Ai로 나눈 값과 최대 동작 빈도인 MSR_Ai 중 작은 값으로 가속도가 동작되도록 동작 빈도 Rn을 결정(S210)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스케줄러(120)에 의해 결정된 동작 빈도에 따라 가속도계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5).
또한,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에 대한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부(110)와,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스케줄러(120)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140) 및 스케줄러(120)가 결정한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에 따라 센서(14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태 결정부(110)는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태 결정부(110)는 가속도계에서 획득된 가속도값과 같이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값 또는 획득된 값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태를 상태 목록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결정부(110)는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서,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사용자(150)가 운전을 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기(100)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텍스트에 따라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태 결정부(110)가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스케줄러(120)는 결정된 상태 및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은 제어부(130)가 센서(140)를 동작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한다.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은 센서(140)의 활성화 여부, 센서(140)의 동작 빈도 또는 요구되는 정확도 등 제어부(130)가 센서(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가 결정한 상태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빈도의 증감의 정도를 조절하는 주기조절인자 및 센서(140)의 최대 동작 빈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러(120)는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현재 센서(140)가 동작하고 있는 빈도인 동작 빈도와 획득된 주기조절인자를 곱한 값과 최대 동작 빈도 중 작은 값을 센서의 동작 빈도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조절인자는 1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가 결정한 상태 및 센서(140)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스케줄러(120)는 센서(140)를 통해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센서(140)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영역은 상태 결정부(110)가 결정한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최대 요구값 및 상태 목록 중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 이외의 다른 상태에 대응되는 최소 요구값 중 큰 값을 최대 동작 빈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에 따라 동작 스케줄을 변경할 센서(140)를 선택하고, 선택된 센서의 동작 빈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는 상태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상태가 달리기 상태인 경우, 스케줄러(120)는 가속도계를 선택하고, 가속도계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스케줄러(120)는 선택된 센서 이외의 센서를 비활성화 하거나, 동작 빈도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1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센서(140)의 동작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센서(140) 중 센서(140)를 통해 획득된 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센서(140)만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러(120)는 상태 결정부(110)가 결정한 상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태에 따라 각각 동작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러(120)는 결정된 복수의 동작 스케줄을 분석하고, 복수의 동작 스케줄 중 센서(140)의 중복된 동작을 제거할 수 있다. 스케줄러(120)는 중복된 동작이 제거된 동작 스케줄을 병합함으로써, 복수의 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센서(140)의 동작을 만족하는 동작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센서(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단말기(100)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140)는 GPS(Ground Positioning System)과 같이 단말기(100)의 위치 확인을 위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40)는 단말기(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거나 수신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스케줄러(120)에 의해 결정된 동작 스케줄에 따라서 센서(14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센서(14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가속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단말기
110: 상태 분류부
120: 스케줄러
130: 제어부
140: 센서

Claims (23)

  1.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관한 모션(motion)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상태 목록 중,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센서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센서의 동작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동작 스케줄에 따라 상기 결정된 센서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 및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의 증감에 대한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가 동작하고 있는 현재 동작 빈도, 상기 주기조절인자 및 상기 최대 동작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현재 동작하고 있는 현재 동작 빈도, 상기 주기조절인자 및 상기 최대 동작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동작 빈도와 상기 주기조절인자를 곱한 값과 상기 최대 동작 빈도 중 작은 값을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것인지 또는 감소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은 상기 결정된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동작 빈도는,
    상기 결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최대 요구값 및 상기 상태 목록 중 상기 결정된 상태 이외의 다른 상태에 대응되는 최소 요구값 중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 따라 동작 스케줄을 변경할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센서의 동작 빈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센서 이외의 센서를 비활성화 하거나 또는 동작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센서만 동작 빈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활성화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태에 따라 각각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의 동작 스케줄에 포함된 센서의 동작 중 중복된 동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2. 제 1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매체.
  13.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관한 모션(motion)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상태 목록 중,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센서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센서의 동작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는 스케줄러; 및
    상기 결정된 동작 스케줄에 따라 상기 결정된 센서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획득된 모션 정보 및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의 증감에 대한 주기조절인자 및 최대 동작 빈도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가 동작하고 있는 현재 동작 빈도, 상기 주기조절인자 및 상기 최대 동작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현재 동작 빈도와 상기 주기조절인자를 곱한 값과 상기 최대 동작 빈도 중 작은 값을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의 동작 빈도를 증가시킬 것인지 감소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을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동작 빈도는,
    상기 결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최대 요구값 및 상기 상태 목록 중 상기 결정된 상태 이외의 다른 상태에 대응되는 최소 요구값 중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결정된 현재 상태에 따라 동작 스케줄을 변경할 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센서의 동작 빈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선택된 센서 이외의 센서를 비활성화 하거나 또는 동작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결정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 주변 환경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센서만 활성화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태에 따라 각각 동작 스케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동작 스케줄 중 중복된 센서의 동작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20101797A 2012-09-13 2012-09-13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982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797A KR101982820B1 (ko) 2012-09-13 2012-09-13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US14/025,071 US10521323B2 (en) 2012-09-13 2013-09-12 Terminal controlling method and terminal therefor
PCT/KR2013/008220 WO2014042429A1 (en) 2012-09-13 2013-09-13 Terminal controlling method and terminal therefor
EP13836932.7A EP2895936B1 (en) 2012-09-13 2013-09-13 Terminal controlling method and terminal therefor
CN201380047574.8A CN104620227B (zh) 2012-09-13 2013-09-13 终端控制方法和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797A KR101982820B1 (ko) 2012-09-13 2012-09-13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199A KR20140035199A (ko) 2014-03-21
KR101982820B1 true KR101982820B1 (ko) 2019-05-27

Family

ID=5023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797A KR101982820B1 (ko) 2012-09-13 2012-09-13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21323B2 (ko)
EP (1) EP2895936B1 (ko)
KR (1) KR101982820B1 (ko)
CN (1) CN104620227B (ko)
WO (1) WO20140424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2598B2 (en) 2014-08-18 2018-09-25 Intel Corporation Sensor power management
US9980116B2 (en) * 2014-12-31 2018-05-22 The Detection Group, Inc. Facility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KR20230079530A (ko) * 2021-11-29 2023-06-07 (주) 글루시스 엣지 스토리지 시스템 위한 고신뢰성 입출력 컨트롤러 구현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165A (ja) * 2003-05-28 2004-12-16 Nec Corp 監視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6737B2 (en) * 1998-12-18 2006-07-11 Tangis Corporation Thematic response to a computer user's context, such as by a wearable personal computer
CN104486479B (zh) * 2003-04-03 2017-08-25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管理语境相关信息的系统、移动站和方法
US7145454B2 (en) 2004-01-26 2006-12-0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uitive energy management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ceiver associated with a mobile terminal
JP2006245829A (ja) 2005-03-01 2006-09-14 Omron Corp 電気機器制御装置、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電気機器制御方法、電気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096910A (ko) * 2005-03-01 2006-09-13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중계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JP5076587B2 (ja) 2007-03-27 2012-11-21 富士通株式会社 センサ情報管理システム、センサ情報管理方法、センサ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0994151B1 (ko) 2007-11-07 2010-11-12 전자부품연구원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최적화된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448340B (zh) 2007-11-26 2011-12-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检测移动终端状态的方法、系统及该移动终端
KR100932920B1 (ko) * 2007-12-17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노드의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
KR101505198B1 (ko) * 2008-08-18 201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CN102176852A (zh) * 2008-10-08 2011-09-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便座装置
KR101572847B1 (ko) 2009-01-09 201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0277527A (ja) 2009-06-01 2010-12-09 Sony Corp 通信装置、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非接触通信デバイス、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86875B2 (en) 2009-06-05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based on gesture recognition
KR101607476B1 (ko) 2009-06-12 2016-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모션 인식 장치 및 방법
US8439265B2 (en) * 2009-06-16 2013-05-14 Intel Corporation Camera applications in a handheld device
KR101624903B1 (ko) 2009-09-16 201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459179B2 (ja) 2010-05-14 2014-04-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移動状態判別装置、移動状態判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32670B2 (en) 2010-06-02 2013-09-10 Deutsche Telekom A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nsing suppression for location-based applications
EP2395412A1 (en) 2010-06-11 2011-12-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on of components through prediction of device activity
CA2804003A1 (en) * 2010-06-30 2012-01-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mbience
KR20120001925A (ko) 2010-06-30 201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폭 추정을 위한 보행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WO2012001215A1 (en) * 2010-07-01 2012-01-05 Nokia Corporation Adaptation of context models
US9576195B2 (en) 2010-08-09 2017-02-21 Sk Planet Co., Ltd. Integrated image sear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101729938B1 (ko) 2010-08-09 2017-04-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9167991B2 (en) * 2010-09-30 2015-10-27 Fitbit, Inc. Portable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9317082B2 (en) 2010-10-13 2016-04-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Controlling operation of temperature sensors
US8706172B2 (en) 2010-10-26 2014-04-22 Miscrosoft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continuous sensing for communications devices
US9432916B2 (en) * 2012-12-27 2016-08-30 Intel Corporation Situation aware sensor power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165A (ja) * 2003-05-28 2004-12-16 Nec Corp 監視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5936A1 (en) 2015-07-22
US10521323B2 (en) 2019-12-31
US20140075055A1 (en) 2014-03-13
WO2014042429A1 (en) 2014-03-20
CN104620227A (zh) 2015-05-13
CN104620227B (zh) 2018-10-23
EP2895936A4 (en) 2016-06-08
KR20140035199A (ko) 2014-03-21
EP2895936B1 (en)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6198B2 (ja) 運動センサを動作させる電力効率の高い方法
Lammel The future of MEMS sensors in our connected world
CN104620189B (zh) 具有微机电系统运动传感器的移动设备硬件姿态检测实现
JP6223356B2 (ja) デバイスを制御する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デバイス
EP2851660B1 (en) Weighing apparatus, weighing system, weighing method, and program
KR101531449B1 (ko) 센서의 호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3524216A5 (ko)
KR101982820B1 (ko)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JP2009267886A (ja) 移動端末及び移動端末の位置情報取得制御方法及び移動端末プログラム
JP2004163168A (ja) 携帯用自律航法装置
CN103562730A (zh) 下落判定装置和下落判定方法
JP6452933B2 (ja) 電子機器
CN112486258A (zh) 可穿戴设备及其计步方法、计算机存储介质
KR20200011209A (ko) 위성 측위 회로를 이용하여 획득된 방위 정보에 기반하여, 센서를 통해 획득된 방위 정보 또는 센서를 보정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54992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rrecting and generating data related to outside air on basis of movement
JP2016057196A (ja) 電子機器および角速度検出値補正プログラム
JP5863189B2 (ja) 情報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8123591A1 (ja) 活動量算出プログラム、活動量算出方法、携帯端末および記録媒体
KR101851253B1 (ko) 사용자 단말에 관한 상황 인식 기반의 전력 소모 절감 장치 및 방법
CN117537774A (zh) 一种基于imu和气压数据的室内定位方法与装置
JP65615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1348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ndoor walking di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