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683A - 인코딩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인코딩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683A
KR20100129683A KR1020100046858A KR20100046858A KR20100129683A KR 20100129683 A KR20100129683 A KR 20100129683A KR 1020100046858 A KR1020100046858 A KR 1020100046858A KR 20100046858 A KR20100046858 A KR 20100046858A KR 20100129683 A KR20100129683 A KR 20100129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ing
mode
signal
encoding mode
inpu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193B1 (ko
Inventor
레이 미아오
펭얀 키
킹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2Mode decision, i.e. based on audio signal content versus external para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17Lossless audio signal coding; Perfect reconstruction of coded audio signal by transmission of coding error

Abstract

본 발명은 인코딩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코딩 방법은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에 대한 분석에 따라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사전 설정된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다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인코딩 모드들과 관련해서 호환성 및 선취권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인코딩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디코딩 방법{ENCOD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DECODING METHOD}
본 발명은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신호 압축 기술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인코딩 방법, 인코딩 장치, 인코딩 디바이스 및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손실 압축 기술은 대역폭을 세이브하고 무손실 재구성 신호를 생성하므로 코딩 효율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그렇지만, 신호들 간의 고유한 엔트로피(inherent entropy)로 인해, 상이한 신호들에 대한 압축 효율성은 상이한 압축 솔루션에 따라 크게 변하며, 실시간 전송에서는 복잡도에 대한 까다로운 조건이 있다. 그러므로 상이한 신호들에 대해 코딩 효율성, 복잡도 및 채택 간의 교환을 최고로 실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기존의 무손실 압축 기술은 높은 압축비를 얻기 위한 오디오 저장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용은 복잡도를 높인다. 다른 기술에서는, 신호의 모든 샘플을 압축하고 인코딩하여 큰 압축비를 얻는다. 그렇지만, 상이한 입력 신호들의 모든 샘플을 동일한 압축 모드에서 압축하면, 신호 특성이 무시되고, 그 입력 신호에 적절하지 않은 압축 모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우려가 크다. 그러므로 압축 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더 악화된 상황에서는, 신호가 압축 및 인코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인코딩 방법, 인코딩 장치,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입력 신호들에 대해 범용의 인코딩/디코딩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상이한 입력 신호들에 대한 압축 효율성이 복잡도가 낮아짐에 따라 개선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청구의 범위가 결정된 후 여기서 보충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을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인코딩 방법, 범용의 인코딩 장치 및 범용의 인코딩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인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첨부의 도면을 간략히 도입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하여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명백히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를 설명할 뿐이다. 첨부의 도면에 기초해서 창조적인 작업 없이도 다른 도면들이 작성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코딩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석 정책에 대한 결정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첨부의 도면과 결합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기술적 솔루션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명백히, 여기에 서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포괄하는 것이 아닌 단지 일부일 뿐이다.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작업 없이 고려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인코딩 장치에 대한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 장치는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 모드 결정 유닛(12), 인코딩 유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은 제1 인코딩 모드 및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 중 적어도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드 결정 유닛(12)은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에 의해 획득된 코딩 요구 값에 기초하여 위의 인코딩 모드 중에서,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코딩 유닛(13)은 모드 결정 유닛(12)에 의해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장치는 다양한 인코딩 모드를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인코딩 장치를 사용하여 제1 인코딩 모드 및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인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인코딩 장치에 대한 제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 장치는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 모드 결정 유닛(12), 및 인코딩 유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은 제1 인코딩 모드 및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드 결정 유닛(12)은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에 의해 획득된 코딩 요구 값에 기초하여 위의 인코딩 모드 중,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코딩 유닛(13)은 모드 결정 유닛(12)에 의해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신호는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에 프레임 단위로 입력된다.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2개의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추정한다. 제1 인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일 수 있다.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와는 다른 인코딩 모드를 포함한다. 다른 인코딩 모드들이 하나의 타입일 때, 상기 다른 인코딩 모드는 예측 인코딩 모드일 수 있다.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는 예측 인코딩 모드, 고정 인코딩 모드(constant encoding mode), 런-렝쓰 인코딩 모드 또는 펄스 인코딩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코딩 요구 값은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해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에 의해 요구되는 비트 수 및/또는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바이트 수를 포함한다. 코딩 요구 값은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상이한 입력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인코딩 모드의 특성과 조합하여 입력 신호의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한 추정을 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상이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여 코딩 요구 값이 획득되면, 인코딩 유닛(13)은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 내에 배치되거나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과 함께 로직 엔터티 내에 있거나 별도의 로직 엔터티일 수 있다. 코딩 요구 값이 입력 신호의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경우, 인코딩 유닛(13)은 모드 결정 유닛(12)의 출력을 수신하고 그 결정된 모드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신호 분석 유닛(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분석 유닛(14)은 입력 신호가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에 입력되기 전에, 신호 분석 정책에 따라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에 기초해서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인코딩 모드는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에 대한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로서 기능한다. 신호 분석 유닛(14)의 출력을 수신하면,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은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개별적으로 획득한다.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은 입력 신호를 인코드하기 위해,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에 의해 요구되는 코딩 요구 값들을 출력한다. 모드 결정 유닛(12)은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모드를 결정한다. 모드 선택 정책은 그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최소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고, 그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임계값에 가장 가까운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거나, 또는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 및 제1 인코딩 모드 중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기호에 따라 채택하며, 인코딩 모드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 식별자 및 인코딩에 필요한 대응 파라미터를 발생시키고 이 인코딩 모드 식별자 및 파라미터를 인코딩 유닛(13)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인코딩 유닛(13)은 모드 결정 유닛(12)에 의해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한다. 대안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은 다양한 인코딩 모드에 기초하여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는 프로세스에서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고, 상기 인코딩된 입력 프레임 신호는 인코딩 유닛(13)에 의해 재사용될 수 있다. 이 인코딩된 신호는 인코딩된 입력 프레임 신호, 및 인코딩에 의해 요구되는 인코딩 모드 식별자 및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 인코딩된 신호가 다른 신호 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장치는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을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인코딩 장치를 사용하고, 제1 인코딩 모드 및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결정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인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인코딩 장치의 제3 실시예
인코딩 장치는 신호 분석 유닛(14),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 모드 결정 유닛(12) 및 인코딩 유닛(13)을 포함한다. 신호 분석 유닛(14)은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을 분석하고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여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은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코딩 모드 및 제2 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드 결정 유닛(12)은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해서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코딩 유닛(13)은 그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입력 프레임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분석 유닛(14)은 입력 프레임 신호를 분석하고 다양한 인코딩 모드 중에서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여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신호의 다양한 신호 특성들은 다양한 인코딩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신호 특성은 고정 신호(constant signal), 특별 고정 신호, 펄스 신호 또는 적어도 두 개의 값을 가진 다중-값 신호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신호 분석 유닛은 신호 분석 정책에 따라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신호 분석 정책은 입력 프레임 신호의 다양한 신호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입력 프레임 신호의 특성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G711 코드 스트림 신호를 예로 든다. 입력 신호가 고정 신호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고정 인코딩 모드가 제2 인코딩 모드로서 선택된다. 입력 신호가 고정 특성(constant characteristic)에 부합하지는 않지만 입력 신호의 펄스 정보가 사전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펄스 인코딩 모드가 제2 인코딩 모드로서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분석 정책은 입력 프레임 신호에 대한 예측 인코딩 모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은 사전 설정된 특성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분석에 따라 부합하는 특성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입력 신호가 정상 고정(normal constant)도 아니고 특별 고정(special constant)도 아니고, 입력 신호가 사전 설정된 펄스 번호에 부합하지 않거나 다중-값 신호가 아닌 경우, 예측 인코딩 모드는 분석 후 제2 인코딩 모드로서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딩 요구 추정 유닛 및 모드 결정 유닛은,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의 추정에 있어서나 제1 인코딩 모드와 제2 인코딩 모드 사이에서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결정함에 있어서, 인코딩 장치에 대한 제1 실시예에서의 코딩 요구 추정 유닛 및 모드 결정 유닛과는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유닛은 인코딩 장치에 대한 제1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유닛과 동일하다.
인코딩 장치에 대한 제1 실시예와의 다른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장치는 신호 분석 유닛(1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예측 모드 식별 유닛(15)을 더 포함한다는 점이다.
예측 모드 식별 유닛(15)이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가 아닌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에는, 그 식별된 결과가 인코딩 유닛(13)에 전송된다. 인코딩 유닛(13)은 제2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여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한다. 예측 모드 식별 유닛(15)이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에는, 그 식별된 결과가 코딩 요구 추정 유닛(11)에 전송된다.
인코딩 장치에 대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의 모드 선택 정책 및 신호 분석 정책은 저장 유닛(16)을 통해 인코딩 장치에 저장될 수 있거나 판독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인코딩 장치에서 로직 엔터티일 수 있거나 인코딩 장치와는 별개일 수 있어서 데이터 정보를 외부에서 판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장치는 다양한 인코딩 모드를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인코딩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가 신호 특성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그 선택된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가 아닌 경우, 신호가 인코딩되어 즉시 출력된다. 이 선택된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인 경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해서 최적의 인코딩 모드가 선택될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인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인코딩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고 제2 인코딩 모드가 선택되어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한다.
인코딩될 입력 신호에는 다양한 신호 특성이 있다. 이 입력 신호의 특성에 대한 분석이 수행된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이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중에서 제2 인코딩 모드가 선택된다. 입력 신호는 PCM 신호일 수 있거나, G.711 표준에 따라 포인트 단위로 인코딩된 신호이거나 그외 신호일 수 있다.
단계 202: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사전 설정된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이 획득된다.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1 인코딩 모드가 사전 설정된다. 제1 인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일 수 있다.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단계 201에서 획득된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이 추정된다. 코딩 요구 값은 비트 수이거나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바이트 수일 수 있다.
단계 203: 입력 프레임을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가 다양한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선택된다.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 하에서 계산된 코딩 요구 값들은 소정의 정책에 따라 비교된다.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가 선택된다.
단계 204: 그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이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되는 그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인코딩되고 다중화된다.
더하여,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일부의 인코딩 파라미터도 다중화되어 디코더가 연속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방법은 다양한 인코딩 모드를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인코딩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가 신호 특성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에 기초하여 최적의 인코딩 모드가 선택될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인코딩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에 대한 분석이 수행된다.
입력 신호에는 다양한 신호 특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입력 신호의 신호 특성이 분석된다. 입력 신호의 신호 특성은 입력 프레임 신호가 고정 신호인지의 여부를 포함한다. 입력 프레임 신호가 고정 신호이면, 그 고정이 특별 고정인지의 여부가 추가로 결정된다. 입력 신호의 신호 특성은 또한 전체 입력 프레임 신호가 둘 이상의 값을 가지는지, 또는 입력 신호의 펄스 수를 가지는 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신호 특성이 위의 타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신호의 신호 특성은 신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모든 신호 특성을 포함한다.
단계 402: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는 신호 분석 정책에 따라 입력 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이러한 인코딩 모드를 제2 인코딩 모드라 한다. 다양한 신호 특성이 다양한 인코딩 모드에 대응한다. 입력 신호를 분석하면, 입력 신호의 인코딩 모드를 사전 설정된 분석 정책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신호 분석 정책은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신호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선취권을 취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가 고정 신호인지가 먼저 결정된다. 그런 다음 신호가 다중-값 신호인지가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신호가 펄스 신호인지가 결정된다. 결정 프로세서는 이하와 같을 수 있다. 단계 401에서 획득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가 고정 신호인지가 먼저 결정된다. 전체 입력 프레임 신호가 고정 신호인 경우, 대응하는 고정 인코딩 모드가 제2 인코딩 모드로서 선택된다. 대안으로, 프레임 신호가 특별 고정 프레임 신호인지가 추가로 결정된다. 특별 고정 프레임 신호인 경우, 특별 고정 인코딩 모드가 선택되고; 그렇지 않으면, 정상 고정 인코딩 모드가 선택된다. 신호가 고정 신호가 아닌 경우, 그 신호가 다중-값 신호인지가 결정된다. 전체 입력 프레임 신호가 두 개의 값을 포함하는 경우, 다중-값 인코딩 모드가 제2 인코딩 모드로서 선택된다. 신호 특성의 결정이 완료될 때까지 나머지 과정을 유추하여 추론한다. 이상의 결정을 위한 시퀀스는 또한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신호 분석 정책은 상이한 신호 특성의 결정 및 신호 특성이 분석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결정의 선취권을 포함한다.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들은 고정 인코딩 모드, 펄스 인코딩 모드, 다중-값 인코딩 모드 또는 런-렝쓰 인코딩 모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신호 특성이 사전 설정된 특성과 일치하지 않는 신호에 있어서는, 예측 인코딩 모드를 제2 인코딩 모드로서 사용한다. 도 5는 신호 분석 정책에 기초한 결정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 402는 단계 401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신호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후, 신호 분석 정책에 기초하여, 신호 특성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가 제2 인코딩 모드로서 선택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402는 단계 401의 완료에 기초하여 신호 분석 정책에 따라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단계들에 의하면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인코딩 모드를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압축 비율이 더 보장된다.
단계 403: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인지를 식별한다.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가 아닌 경우, 방법은 단계 407로 진행한다.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인 경우, 후속의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404: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사전 설정된 제1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이 획득된다.
단계 404는 적어도 두 가지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제1 인코딩 모드에 따라 입력 프레임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인코딩하고 인코딩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을 계산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식은 제1 인코딩 모드에 따라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코딩 요구 값을 프레임 단위로 추정하고 이 코딩 요구 값에 대한 추정치를 획득하는 것이다.
제1 인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일 수 있다.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은 인코딩에 필요한 비트 수 또는 바이트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수 또는 바이트 수는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복잡도의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는 비트 수의 예로 서술된다. 각각의 샘플 포인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는 인코딩될 신호의 최소 샘플 포인트 값 및 최대 샘플 포인트 값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어, 신호 x의 획득된 최대 샘플 포인트 값 max(x) 및 최소 샘플 포인트 값 min(x)에 기초하여, 각각의 샘플 포인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 "code_bits"는 이하의 공식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code_bits = log2[(max(x) - min(x) + 1)]. 대안으로, 단계 404 이전에 결정을 수행하여 인코딩될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이나믹 레인지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된다. 인코딩될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단계 404가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이나믹 레인지가 임계값 미만이거나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임계값 1 미만이거나 임계값 2를 초과하거나, 또는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비트 수가 임계값보다 높다.
단계 405: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이 획득된다. 이 단계는 단계 404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 404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단계 404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404에서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은 제2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 또는 바이트 수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획득된다. 대안으로, 단계 405 이전에 결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비트 수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단계 406이 수행된다.
단계 406: 단계 404 및 단계 405에서 획득된 코딩 요구 값이 비교된다.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는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 중에서 선택된다.
모드 선택 정책은 그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최소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제1 모드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이 제2 모드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1 모드가 선택된다. 제1 모드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이 제2 모드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인코딩 모드를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한다. 모드 선택 정책은, 그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임계값에 가장 가까운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이러한 두 가지 모드에 대한 코드 요구 값들을 사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코딩 요구 값과 임계값 간의 차이의 작은 절대값을 가지는 코딩 요구 값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를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한다. 대안으로, 임계값보다 작은 코딩 요구 값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가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된다. 모드 선택 정책은 인코딩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와 제1 인코딩 모드 중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기호에 따라 채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환경에서는, 때때로, 사전 설정된 인코딩 모드에서 인코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최초로 사용되는 모드가 여전히 존재한다. 물론, 제1 인코딩 모드 제2 인코딩 모드 중에서 입력 신호에 대한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정책은 위와 같은 유형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드 선택 정책은 당업자가 생각해 낼 수 있는 모든 솔루션을 망라한다.
단계 407: 이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되는 그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인코딩되고 다중화된다.
코딩 요구 값을 인코딩 방식에 의해 계산하기 위한 방법을 단계 404 및 단계 405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계 407에서, 제1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단계 404에서의 인코딩 결과를 제1 인코딩 모드에 필요한 파라미터와 다중화하여 인코딩한다. 그런 다음 다중화된 데이터는 디코더로 출력된다. 대안으로,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단계 405에서의 인코딩 결과를 제2 인코딩 모드에 필요한 파라미터와 다중화하여 인코딩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다중화된 데이터는 디코더로 출력된다. 코딩 요구 값이 단계 404 및 단계 405에서 사용된 추정 방법에 의해 획득되면, 단계 407에서는, 단계 406에서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입력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단계 403에서 입력과 같은 그 식별된 결과에 있어서, 입력 신호가 그 식별된 결과에 기초하여 인코딩되고 다중화된다.
인코딩된 입력 신호, 인코딩 모드 식별자 및 인코딩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다중화된다. 인코딩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샘플 포인트의 수, 샘플 포인트의 최소값, 각각의 샘플 포인트를 인코딩하기 위한 비트 수를 포함한다. 또한, 파라미터는 예측 계수, 예측 순서, 엔트로피 코딩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선택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다르다. 선택된 인코딩 모드는 입력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다.
인코딩될 신호가 제2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2 인코딩 모드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 식별자가 생성되어 전송된다. 입력 신호는 제2 인코딩 모듈을 통해 제2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인코딩될 신호가 제1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입력 신호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듈을 예로 하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듈에 의해 인코딩된다. 인코딩될 신호의 프레임 헤더 정보,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 포인트 값에 대한 정보 및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 식별자가 전송된다. 프레임 헤더 정보는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 포인트의 최소값 및 각각의 샘플 포인트를 인코딩하기 위한 비트 수이다.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 포인트 값에 대한 정보는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 포인트 값이다. 인코딩될 신호의 프레임 헤더 정보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 식별자에 기초하여 인코딩된다.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 포인트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샘플을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에 기초하여 비트 단위로 인코딩된다.
대안으로, 단계 403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3: 제2 인코딩 모드가 결정 모드 세트에서의 인코딩 모드들 중 한 모드인지를 식별한다.
결정 모드 세트는 사전 설정된다. 결정 모드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인코딩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적어도 하나의 인코딩 모드는 예측 모드이거나 제1 인코딩 모드와는 상이한 다른 모드일 수 있다. 단계 403에서 제2 인코딩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제2 인코딩 모드가 먼저 결정된다. 제2 인코딩 모드가 결정 모드 세트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여 단계 407가 수행되고,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이 제2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는 그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다중화되며, 그렇지 않으면, 후속의 단계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방법은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을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인코딩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를 신호 특성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그 선택된 제2 인코딩 모드가 결정 모드 세트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호가 인코딩되어 즉시 출력된다. 그 선택된 제2 인코딩 모드가 결정 모드 세트 내에 있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최적의 인코딩이 선택될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인코딩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흐름도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1: 제1 인코딩 모드 및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이 획득된다.
제1 인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일 수 있다.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와는 상이한 다른 인코딩 모드이다.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가 단지 하나의 모드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모드가 예측 모드가 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인코딩 모드가 배척되어서는 안 된다.
단계 602: 모드 결정 정책에 따라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선택한다.
단계 603: 그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그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다중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이 직접 추정된다.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이것들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실행 복잡도가 줄어든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방법은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을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고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결정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인코딩 방법에 대한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흐름도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01: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이 획득된다.
단계 801은 적어도 두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제1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입력 프레임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인코딩하고 인코딩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을 계산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식은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프레임 단위로 추정하고 이 코딩 요구 값에 대한 추정치를 획득하는 것이다.
제1 인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일 수 있다.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은 인코딩에 필요한 비트 수 또는 바이트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수 또는 바이트 수는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복잡도의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는 비트 수의 예로 서술된다. 각각의 샘플 포인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는 인코딩될 신호의 최소 샘플 포인트 값 및 최대 샘플 포인트 값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어, 신호 x의 획득된 최대 샘플 포인트 값 max(x) 및 최소 샘플 포인트 값 min(x)에 기초하여, 각각의 샘플 포인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 "code_bits"는 이하의 공식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code_bits = log2[(max(x) - min(x) + 1)].
단계 802: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이 획득된다.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와는 상이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이 획득된다. 단계 801에서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은 다른 인코딩 모드에 의해 요구되는 비트 수 또는 바이트 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획득된다. 코딩 요구 값은 인코딩에 필요한 비트 수 또는 바이트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인코딩 모드를 예로 한다.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가 예측 인코딩 모드인 경우, 예측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될 신호의 예측 인코딩 모드를 인코딩하기 위한 비트 수는 인코딩될 신호의 잔여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와 인코딩될 신호의 프레임 에지 정보의 비트 수와의 합이다. 이 잔여 신호에 대해 엔트로피 인코딩이 수행되어 이 잔여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잔여 신호는 예측 순서 및 예측 계수에 기초하여 획득된다. 그런 다음, 엔트로피 코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이 잔여 신호에 대한 엔트로피 코딩이 수행된다. 대안으로, 엔트로피 코딩의 특성을 활용하여, 잔여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의 계산을 간략화할 수 있다. 라이스 코딩(Rice coding)을 예로 한다. 입력 값은 m이다. 라이스 파라미터는 s이다. 이 값에 의해 요구되는 비트 수는 k+1+s이고, 여기서 k=m>>(s-1)이다. 그러므로 예측 잔여 신호에 대한 완전한 엔트로피 코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필요한 비트 수를 특성에 따라 추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솔루션의 복잡도가 감소한다. 프레임 에지 정보는 프레임 길이 파라미터, 예측 파라미터 및 엔트로피 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프레임 길이 파라미터는 현재의 프레임에 포함된 샘플 포인트의 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측 파라미터는 예측 순서 및 예측 계수와 같이, 선형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나타낸다. 엔트로피 코딩 파라미터에 있어서, 라이스 코딩을 예로 한다. 라이스 코딩에서, 인코딩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대응하는 파라미터들이 신호가 가변함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인코딩에서 인코딩되어 디코더로 전송되어야 한다. 예측 인코딩 모드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의해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코딩 요구 값을 획득하는 방법 외에,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코딩 요구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는 예로서만 예측 인코딩 모드에 기초한 것이다. 이 단계에서, 다양한 인코딩 모드들에 대한 인코딩 요구 값들이 획득될 수 있다. 이 획득 방법을 인코딩 모드 자체와는 상이한 인코딩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요구 인코딩 값을 인코딩 모드와는 관계없이 획득할 수 있다.
이 단계를 실행하기 전에, 입력 신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에 따라,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로서 기능하도록 다양한 인코딩 모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인코딩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코딩 요구 값을 계산할 때 복잡도를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801 및 단계 802를 수행하는 순서를 바꿀 수 있으며, 단계 810 및 단계 802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803: 단계 801 및 단계 802에서 획득된 적어도 두 개의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비교한다.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모든 선택 정책에 따라 위의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선택한다.
비교 단계에 있어서, 단계 802에서 획득된 다양한 코딩 요구 값들을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먼저 비교하고,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단계 801에서 획득된 다양한 코딩 요구 값들과 추가로 비교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801 및 단계 802에서 획득된 다양한 코딩 요구 값들이 직접적으로 함께 비교된다. 두 가지 방식 간의 차이점은, 위의 두 개의 단계 비교는 각각의 비교 단계에서 상이한 모드 선택 정책을 채택할 수 있는 반면, 한 비교 단계는 단순히 하나의 모드 선택 정책을 채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모든 선택 정책은 그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최소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든 선택 정책에 따르면, 제1 모드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이 제2 모드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보다 작은 경우,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로서 제1 모드를 선택한다. 제1 모드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이 제2 모드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로서 제2 모드를 선택한다. 모드 선택 정책은 그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임계값에 가장 가까운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모드 선택 정책에 따르면, 이러한 두 가지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은 사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된다. 코딩 요구 값과 임계값 간의 차이의 작은 절대값을 가지는 코딩 요구 값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를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한다. 대안으로, 임계값보다 작은 코딩 요구 값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를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할 수도 있다. 모드 선택 정책은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와 제1 인코딩 모드 중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기호에 따라 채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환경에서는, 때때로, 사전 설정된 인코딩 모드에서 인코딩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최초로 사용되는 모드가 여전히 존재한다. 물론, 제1 인코딩 모드 제2 인코딩 모드 중에서 입력 신호에 대한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정책은 위와 같은 유형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드 선택 정책은 당업자가 생각해 낼 수 있는 모든 솔루션을 망라한다. 두 단계 비교를 예로 한다. 제1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코딩 요구 값들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는, 임계값보다 작은 코딩 요구 값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들은 입력 신호에 대한 인코딩 모드로서 기능하는 단계 802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는,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최소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한다.
단계 804: 그 결정된 인코딩 모드 및 이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되는 그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인코딩되고 다중화된다.
단계 801 및 단계 802에서 인코딩에 의해 코딩 요구 값이 획득되면, 단계 804에서는, 인코딩된 모드에 대한 정보 및 단계 810 또는 단계 802에서 획득된 인코딩 결과를, 단계 803에서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다중화한다. 다중화된 결과는 디코더로 출력된다. 단계 801 및 단계 802에서 사용된 추정 방법에 의해 코딩 요구 값이 획득되면, 단계 804에서는, 단계 803에서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인코딩하여 그 인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인코딩된 입력 신호, 인코딩 모드 식별자 및 인코딩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다중화한다. 인코딩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샘플 포인트의 수, 샘플 포인트의 최소값, 각각의 샘플 포인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를 포함한다. 또한, 파라미터는 예측 계수, 예측 순서, 및 엔트로피 코딩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한다.
인코딩될 신호가 제1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입력 신호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듈을 예로 하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듈에 의해 인코딩된다. 인코딩될 신호의 프레임 헤더 정보,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 포인트 값에 대한 정보 및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 식별자가 전송된다. 프레임 헤더 정보는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 포인트의 최소값 및 각각의 샘플 포인트를 인코딩하기 위한 비트 수이다.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 포인트 값에 대한 정보는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 값이다. 인코딩될 신호의 프레임 헤더 정보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 식별자에 기초하여 인코딩된다. 인코딩될 신호의 샘플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샘플을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에 기초하여 비트 단위로 인코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방법은 다양한 인코딩 모드를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인코딩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디코딩 방법에 대한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01: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이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인코딩되어 전송되는 다중화된 신호가 역다중화된다.
단계 902: 역다중화되었던 인코딩된 데이터는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코딩되어 프레임 신호를 획득한다. 인코딩 모드는 이하의 단계에 따라 인코딩 종료 시에 획득된다.
제1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 및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한 모드가 획득된다. 입력 프레임 신호에 대한 인코딩 모드는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결정된다.
다중화된 신호는 역다중화되고 디코딩될 신호 및 인코딩 모드 식별자는 디코딩 유닛으로 전송된다. 예측 모드를 예로 한다. 인코딩 신호가 예측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측 계수, 예측 순서 및 엔트로피 코딩 파라미터도 획득된다. 디코딩될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모드는 역다중화된 인코딩 모드 식별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인코딩 모드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가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인 경우, 디코딩될 신호에 대한 디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디코딩 모드이다. 이때, 디코딩될 신호의 프레임 헤더에 대한 정보 및 샘플 포인트 값에 대한 정보가 디코딩되고, 디코딩된 헤더 정보 및 샘플 포인트 값에 대한 정보에 따라 신호가 무손실로 재구성된다. 인코딩 모드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가 다른 인코딩 모드인 경우에는, 디코딩될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모드가, 예측 디코딩 모드와 같이, 상기 다른 디코딩 모드에 대응하는 디코딩 모드인 것으로 결정된다. 이 예측 디코딩 모드를 예로 한다. 엔트로피 인코딩 파라미터에 따라 신호에 대한 엔트로피 디코딩을 수행하면 잔여 신호들이 획득된다. 이 잔여 신호들은 역다중화된 예측 계수 및 예측 순서에 기초하여 결합되어 신호가 무손실로 재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딩 방법은 다양한 디코딩 모드를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디코딩 방법을 사용하고 인코딩 프로세스의 역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압축해제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인코딩 장치에 대한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시스템은 신호 수신 장치(01), 인코딩 모드 결정 장치(02), 인코딩 장치(03) 및 다중화 및 출력 장치(04)를 포함한다.
신호 입력 장치(01)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 신호는 인코딩될 신호이다. 인코딩 모드 결정 장치(02)는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을 분석하고,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고,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사전 선정된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며;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위의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코딩 장치(03)는 그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하여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중화 및 출력 장치(04)는 그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그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를 다중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코딩 장치(03)는 다양한 인코딩 모드를 수행하는 인코더들로 이루어져 있다. 인코딩 모드 결정 장치(02)는 인코딩 장치(03)에 결합될 수 있거나, 다중화 및 출력 장치(04)에 결합될 수 있다. 인코딩 모드 결정 장치(02)는 인코딩 장치(03)에 결합되고, 추정 방법에 의해 코딩 요구 값의 추정치를 획득한다.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가 결정된 후, 그 결정된 인코딩 모드는 인코딩 장치(03)로 전송되며, 그 후, 인코딩 모드에 따라 입력 신호를 인코딩하고 그 인코딩 결과를 다중화 및 출력 장치(04)로 전송한다. 다중화 및 출력 장치(04)는 그 다중화된 데이터를 디코딩용 디코더로 전송한다. 인코딩 모드 결정 장치(02)가 다중화 및 출력 장치(04)에 결합되는 경우, 인코딩 장치(03) 및 인코딩 모드 결정 장치(02)는 로직 엔터티 내에 있을 있거나 인코딩 모드 결정 장치(02) 내에 위치할 수 있거나, 별도의 로직 엔터티들인 수 있다. 인코딩 모드 결정 장치(02)가 코딩 요구 값을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인코딩에 필요한 코딩 요구 값을 획득하도록 인코딩 장치(03)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가 결정된 후,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 모드 식별자 및 인코딩 파라미터는 다중화 및 출력 장치에 전송된다. 다중화 및 출력 장치는 그 수신된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그 다중화된 결과를 디코딩용 디코더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시스템은 다양한 인코딩 모드를 받아들이도록 도입된다. 범용의 인코딩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인코딩 모드 및 신호를 압축하고 인코딩할 때의 다양한 코딩 정책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도 및 압축 효율성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부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압축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인코딩 모드 하의 인코딩 동작은,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더, 고정 인코더, 예측 인코더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코더에 의해 수행된다. 입력 신호는 G.711 표준 하에 포인트 단위로 인코딩되는 신호와 같은 PCM 신호, 또는 실시예들에서의 전술한 동작들에 적용할 수 있는 그외 신호, 또는 전술한 실시예들로부터 당업자가 분명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의 전체 과정 또는 부분 과정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명령할 때는, 관련 하드웨어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행하는 동안,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리드 온리 메모리(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위한 단순한 설명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제공되지만, 변형 및 등가물이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6)

  1.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들에 대한 분석에 따라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사전 설정된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다중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는 신호 분석 정책에 따라 입력 프레임 신호의 특성들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선택되며,
    상기 신호 분석 정책은,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다양한 신호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들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신호 특성들이 사전 설정된 특성들에 부합하지 않는 입력 프레임 신호에 대한 예측 인코딩 모드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다양한 신호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들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신호 특성의 선취권에 따라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들을 분석하는 과정; 및
    사전 설정된 조건에 먼저 부합하는 상기 신호 특성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한 후,
    상기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인코딩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다중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한 후,
    상기 제2 인코딩 모드가 결정 모드 세트 내의 인코딩 모드들 중 한 모드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코딩 모드가 결정 모드 세트 내의 인코딩 모드들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인코딩 모드를 이용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다중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는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모드 선택 정책은,
    상기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최소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임계값에 가장 가까운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와 상기 제1 인코딩 모드 중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기호에 따라 채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요구 값은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 및/또는 바이트 수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인, 인코딩 방법.
  9.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제1 인코딩 모드 및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코딩 요구 값들을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다중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이고, 상기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한 모드는 상기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와는 상이한 다른 인코딩 모드들을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정책은,
    상기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최소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임계값에 가장 가까운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와 상기 제1 인코딩 모드 중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기호에 따라 채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코딩 모드 및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기 전에,
    신호 분석 정책에 따라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제2 인코딩 모드를 상기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한 모드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요구 값은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 및/또는 바이트 수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4.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인코딩하고 전송되는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역다중화되는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프레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인코딩 모드는 인코딩 종료 시에,
    제1 인코딩 모드 및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모든 선택 정책에 따라 상기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15. 인코딩 장치에 있어서,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들을 분석하고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 분석 유닛;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사전 설정된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추정하도록 구성된 코딩 요구 추정 유닛;
    상기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드 결정 유닛;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인코딩 유닛
    을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코딩 모드가 예측 모드인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예측 모드 식별 유닛;
    상기 예측 모드 식별 유닛이 상기 제2 인코딩 모드가 상기 예측 모드가 아닌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식별된 결과가 상기 인코딩 유닛에 전송되고 상기 인코딩 유닛은 상기 제2 인코딩 모드를 이용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딩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석 유닛은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들을 분석하고 신호 분석 정책에 따라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상기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신호 분석 정책은,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다양한 신호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들에 대응하는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또는
    신호 특성들이 사전 설정된 특성들에 부합하지 않는 입력 프레임 신호에 대한 예측 인코딩 모드를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유닛은,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드 선택 정책은,
    상기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최소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임계값에 가장 가까운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와 상기 제1 인코딩 모드 중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기호에 따라 채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요구 값은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 및/또는 바이트 수를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20.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인, 인코딩 장치.
  21. 인코딩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프레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신호 수신 장치;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들을 분석하고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사전 설정된 제1 인코딩 모드 및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코딩 모드 결정 장치;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인코딩 장치;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다중화하도록 구성된 다중화 및 출력 장치
    를 포함하는 인코딩 시스템.
  22. 인코딩 장치에 있어서,
    입력 프레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인코딩 모드 및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추정하도록 구성된 인코딩 요구 추정 유닛;
    모드 선택 정책에 따라 상기 코딩 요구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드 결정 유닛; 및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를 사용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인코딩 유닛
    을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코딩 모드는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이고, 상기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한 모드는 상기 다이나믹 레인지 인코딩 모드와는 상이한 다른 인코딩 모드들을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정책은,
    상기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최소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코딩 요구 값들 중에서, 임계값에 가장 가까운 코딩 요구 값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적어도 한 모드와 상기 제1 인코딩 모드 중 한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을 기호에 따라 채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신호 분석 정책에 따라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의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에서 상기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한 모드로서 제2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신호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인코딩 모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한 모드로서 상기 신호 분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인코딩 모드는 상기 코딩 요구 추정 유닛에 전송되고, 상기 코딩 요구 추정 유닛은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제1 인코딩 모드 및 상기 제2 인코딩 모드에 대한 코딩 요구 값들을 획득하는, 인코딩 장치.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요구 값은 상기 입력 프레임 신호를 인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 및/또는 바이트 수를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KR1020100046858A 2009-05-31 2010-05-19 인코딩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디코딩 방법 KR101162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107564.4 2009-05-31
CN200910107564.4A CN101615910B (zh) 2009-05-31 2009-05-31 压缩编码的方法、装置和设备以及压缩解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83A true KR20100129683A (ko) 2010-12-09
KR101162193B1 KR101162193B1 (ko) 2012-07-05

Family

ID=4149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858A KR101162193B1 (ko) 2009-05-31 2010-05-19 인코딩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디코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35906B1 (ko)
EP (2) EP2511905A1 (ko)
JP (2) JP5017418B2 (ko)
KR (1) KR101162193B1 (ko)
CN (1) CN10161591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938A1 (ko) * 2012-08-22 2014-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 부호화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9711150B2 (en) 2012-08-22 2017-07-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dio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udi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157A1 (ja) * 2009-01-29 2010-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方法
CN101615910B (zh) * 2009-05-31 2010-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压缩编码的方法、装置和设备以及压缩解码方法
US10468033B2 (en) 2013-09-13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ergy lossless coding method and apparatus, signal coding method and apparatus, energy lossless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6302071B2 (ja) * 2013-09-13 2018-03-2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損失符号化方法及び無損失復号化方法
JP6196117B2 (ja) * 2013-10-08 2017-09-13 株式会社東芝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装置
CN107424621B (zh) * 2014-06-24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音频编码方法和装置
CN111968656B (zh) * 2014-07-28 2023-11-10 三星电子株式会社 信号编码方法和装置以及信号解码方法和装置
CN104811722B (zh) * 2015-04-16 2019-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数据的编解码方法及装置
CN112955800B (zh) 2018-10-25 2023-03-10 富士胶片株式会社 透镜镜筒
EP4318954A1 (en) * 2021-03-23 2024-02-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n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and deco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599A (ja) * 1988-11-28 1990-06-04 Hitachi Ltd 音声分析合成方式
JPH02288739A (ja) * 1989-04-28 1990-11-28 Fujitsu Ltd 音声符号復号化伝送方式
JPH07287600A (ja) * 1994-04-19 1995-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蓄積装置
TW271524B (ko) * 1994-08-05 1996-03-01 Qualcomm Inc
JP3339335B2 (ja) * 1996-12-12 2002-10-28 ヤマハ株式会社 圧縮符号化復号方式
JPH10187199A (ja) * 1996-12-24 1998-07-14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媒体記録装置及び半導体記憶媒体再生装置
US7072832B1 (en) 1998-08-24 2006-07-04 Mindspeed Technologies, Inc. System for speech encoding having an adaptive encoding arrangement
US6691084B2 (en) * 1998-12-21 2004-02-10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mode variable rate speech coding
US7054809B1 (en) * 1999-09-22 2006-05-30 Mindspeed Technologies, Inc. Rate selection method for selectable mode vocoder
US6574593B1 (en) * 1999-09-22 2003-06-03 Conexant Systems, Inc. Codebook tables for encoding and decoding
US6959274B1 (en) * 1999-09-22 2005-10-25 Mindspeed Technologies, Inc. Fixed rate speech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JP2001142499A (ja) * 1999-11-10 2001-05-25 Nec Corp 音声符号化装置ならびに音声復号化装置
US6625226B1 (en) * 1999-12-03 2003-09-23 Allen Gersho Variable bit rate coder, and associated method, for a communication station operable in a communication system
AU2547201A (en) 2000-01-11 2001-07-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mode voice encoding device and decoding device
AU2001241672A1 (en) 2000-02-25 2001-09-03 Physical Opt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lossless compression using a plurality of coders
JP2002247137A (ja) * 2000-04-25 2002-08-30 Canon Inc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2290973A (ja) * 2001-03-28 200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メディア通信装置
JP2002351495A (ja) * 2001-05-22 2002-12-0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音声符号化及び復号装置
US7536305B2 (en) 2002-09-04 2009-05-19 Microsoft Corporation Mixed lossless audio compression
JP4728568B2 (ja) * 2002-09-04 2011-07-20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レベル・モードとラン・レングス/レベル・モードの間での符号化を適応させるエントロピー符号化
US7613606B2 (en) * 2003-10-02 2009-11-03 Nokia Corporation Speech codecs
GB0326262D0 (en) * 2003-11-11 2003-12-17 Nokia Corp Speech codecs
FI118835B (fi) * 2004-02-23 2008-03-31 Nokia Corp Koodausmallin valinta
GB0408856D0 (en) * 2004-04-21 2004-05-26 Nokia Corp Signal encoding
US7739120B2 (en) 2004-05-17 2010-06-15 Nokia Corporation Selection of coding models for encoding an audio signal
JP2006154350A (ja) * 2004-11-30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符号化データ変換装置
KR100707174B1 (ko) * 2004-12-31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음성 부호화 및 복호화 시스템에서 고대역 음성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US7599840B2 (en) * 2005-07-15 2009-10-06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vely using multiple entropy models in adaptive coding and decoding
EP1770915A1 (en) 2005-09-29 2007-04-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licy control in the evolved system architecture
US8060363B2 (en) 2007-02-13 2011-11-15 Nokia Corporation Audio signal encoding
CN100524462C (zh) * 2007-09-15 2009-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对高带信号进行帧错误隐藏的方法及装置
JP4918108B2 (ja) * 2009-02-18 2012-04-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復号方法、復号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1615910B (zh) 2009-05-31 2010-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压缩编码的方法、装置和设备以及压缩解码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938A1 (ko) * 2012-08-22 2014-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 부호화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9711150B2 (en) 2012-08-22 2017-07-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dio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udi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10332526B2 (en) 2012-08-22 2019-06-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dio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udi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10783892B2 (en) 2012-08-22 2020-09-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dio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udi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6723B1 (en) 2013-10-16
CN101615910A (zh) 2009-12-30
JP5456097B2 (ja) 2014-03-26
CN101615910B (zh) 2010-12-22
JP2011043795A (ja) 2011-03-03
US7835906B1 (en) 2010-11-16
JP2012194574A (ja) 2012-10-11
EP2511905A1 (en) 2012-10-17
EP2256723A1 (en) 2010-12-01
KR101162193B1 (ko) 2012-07-05
US20100305955A1 (en) 2010-12-02
JP5017418B2 (ja)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193B1 (ko) 인코딩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디코딩 방법
US9269366B2 (en) Hybrid instantaneous/differential pitch period coding
US8909521B2 (en) Coding method, coding apparatus, co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1395174B1 (ko) 압축 코딩 및 디코딩 방법, 코더, 디코더, 및 코딩 장치
JP5267362B2 (ja) オーディオ符号化装置、オーディオ符号化方法及びオーディオ符号化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ならびに映像伝送装置
US91547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JP4794452B2 (ja) オーディオ符号化におけるmdctデータに基づくウィンドウタイプ決定方法
CA281389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vel estimation of coded audio frames in a bit stream domain
JP2017530585A (ja) 符号化及び復号化のための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EP3069449B1 (en) Split gain shape vector coding
TW201218188A (en) Encoder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US201400060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nd decoding
JP4750707B2 (ja) オーディオ符号化におけるショートウィンドウグループ化方法
KR101397512B1 (ko)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86258B1 (ko) 스테레오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인코딩 장치
CN113129913B (zh) 音频信号的编解码方法和编解码装置
KR20200038297A (ko) 스테레오 신호 인코딩에서의 신호 재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
Gibson On the high rate, independence, and optimal prediction assumptions in predictive coding
JP7318645B2 (ja) 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77485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KR960012477B1 (ko) 인지 정보량을 이용한 적응적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KR20070037771A (ko) 오디오 부호화 시스템
KR20220073469A (ko) 기계학습 네트워크에서 영상의 특징지도를 압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80539B1 (ko) 분산비디오 부호화 영상의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Shu et al. Normalization of LPC residue for random access frame in audio 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8